KR20170001458U -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58U
KR20170001458U KR2020150006740U KR20150006740U KR20170001458U KR 20170001458 U KR20170001458 U KR 20170001458U KR 2020150006740 U KR2020150006740 U KR 2020150006740U KR 20150006740 U KR20150006740 U KR 20150006740U KR 20170001458 U KR20170001458 U KR 201700014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fixed
engaging member
clamp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057Y1 (ko
Inventor
기병찬
함영창
김호형
김도형
이동원
서으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5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빔의 플랜지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빔의 일측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빔의 타측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클램프 본체;를 마련하여 하중이 무거운 부품 또는 장비 등의 이동 또는 승강 시 아이 플레이트의 방향을 전환시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중량물에 따라 빔 클램프가 설치되는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중량물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아이 플레이트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Beam Clamp Possible Redirection}
본 고안은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빔 클램프가 설치된 상태에서 방향 전환 및 빔 클램프에 걸리는 하중에 따라 빔 클램프를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 공간 형성 시 천장과 기둥의 소재로서 H형강이나 I형강과 같은 빔(beam)을 이용하며, 이러한 빔(H-빔 또는 I-빔 등)에는 중량체의 이송에 요구되는 호이스트(크레인)을 비롯한 전기 배선용 배관 및 에어 덕트 등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들이 장착된다.
한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는 데크(deck) 하부에 하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으며, 하부 구조물은 다수의 빔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하부 구조물인 빔(beam)에는 하중을 갖는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클램프가 설치되고 있으며, 클램프는 빔의 플랜지 두께에 맞게 체결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빔의 설치된 방향을 따라 설치되므로, 무거운 하중을 갖는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클램프를 설치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클램프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클램프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클램프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 및 클램프를 새로이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거운 하중을 갖는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클램프의 허용 하중이 작은 경우에는 클램프를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빔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빔 클램프에는 동체 상에 조임나사를 구비하여 앵글 또는 빔에 고정되는 빔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단에 조임나사를 설치하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선단에 앵글 또는 빔을 고정하도록 상하로 경사톱니를 구비하는 클램핑부; 및 상기 동체의 하단에 전산볼트의 위치를 변경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공을 구비하는 위치조절부;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다기능 빔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에는 내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일정 길이의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길이 중간 부위로 축 볼트가 수직 관통되어 상하부 너트에 의해 연결되고, 축 볼트의 전방측에서 상부 바디와 하부 바디의 마주보는 외주연의 단면에는 상호 대응되게 톱니가 형성되도록 하며, 축 볼트의 후방에는 하부 바디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상단부가 상부 바디에 근접하도록 조정 볼트를 구비하는 바디 본체; 상기 하부 바디의 선단에서 상단부가 하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축 회전이 가능하게 행거축이 축 지지되고, 상기 행거축의 하단부에는 수평 체결되는 제1 볼트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 고정되도록 연결 밴드가 구비하는 제1 행거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 바디의 내측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조정 볼트의 상단부가 저면에 밀착되는 수평 절곡부, 상기 수평 절곡부의 후단부에서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도록 하여 상부 바디의 내측 후단면에 상부의 일부가 밀착되도록 한 수직 절곡부와 상기 하부 바디의 후방에서 상부 바디의 후단면과 수직 절곡부에서 나선을 형성한 홀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볼트, 상기 제2 볼트의 하부에서 수직 절곡부의 하부에 형성한 각도 조절홀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이탈 방지되게 축 고정되는 제3 볼트로 이루어지는 제2 행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35100호(2014년 3월 21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01626호(2015년 1월 6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빔 클램프는 행거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행거를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없고, 이에 따라 행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직교되는 방향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방향이 다른 클램프를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다기능 빔 클램프는 하부 바디에 설치된 행거축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으나, 연결밴드가 제1 볼트에 의해 지지되므로 무거운 하중을 갖는 부품이나 장비 등을 이동시키는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거운 하중을 갖는 부품이나 장비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간편하게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빔 클램프에 아이패드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는 빔의 플랜지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빔의 일측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빔의 타측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클램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의 저면에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는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부재의 선단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하부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걸림부재;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제2 걸림부재; 상기 제1 걸림부재의 하부 부재 선단에 상기 제2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구멍; 상기 제2 걸림부재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수단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구멍; 상기 힌지 구멍에 결합되는 힌지;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 사이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 사이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아이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걸림부재 및 제2 걸림부재는 2개의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보강 브래킷; 상기 상부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걸림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구; 상기 제2 걸림부재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구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스크류 핸들과 상기 스크류 핸들을 회전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에 의하면, 하중이 무거운 부품 또는 장비 등의 이동 또는 승강 시 아이 플레이트의 방향을 전환시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으며, 중량물에 따라 빔 클램프가 설치되는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중량물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아이 플레이트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가 결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기능한 빔 클램프의 아이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는 빔(1)의 플랜지(3)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구멍(11)이 형성되는 고정블록(10);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빔(1)의 일측 플랜지(3)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걸림부재(21) 및 상기 빔(1)의 타측 플랜지(3)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걸림부재(21)의 일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걸림부재(31)로 이루어진 한 쌍의 클램프 본체(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10)의 저면에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플레이트(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는 H-빔(beam) 등의 플랜지(3, 도 5 참조)에 장착되어 중량이 무거운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옮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부품 또는 장비의 이동 방향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는 고정블록(10)의 저면에 아이 플레이트(40)를 고정하여 중량이 무거운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옮기는데 필요한 강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빔 클램프는 빔(1, 도 5 참조)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블록(10),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본체(20) 및 상기 고정블록(10)의 저면에 방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는 아이 플레이트(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블록(10)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에는 아이 플레이트(40)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1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11)은 아이 플레이트(40)를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조립될 수 있도록 정다각형 형상으로 배치하되,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정다각형 형상이 되도록 하나의 정다각형을 구성하는 체결구멍(11)들 사이에 다른 하나의 동일한 정다각형 형상의 체결구멍(11)을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사각형 형상으로 배치한다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구멍(11)은 대략 4개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구멍(11)은 아이 플레이트(40)를 직각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으며, 4개의 체결구멍(11)들 사이에 또 하나의 정사각형이 형성될 수 있도록 4개의 체결구멍(11)을 형성한다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45°)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는 아이 플레이트(40)를 방향 전환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는 각각 클램프 본체(2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록(10)과 클램프 본체(20)는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본체(20)는 상기 플랜지(3)의 상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부재(22)와 상기 상부 부재(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부재(22)의 선단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하부 부재(2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걸림부재(21); 상기 플랜지(3)의 상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부재(32)와 상기 상부 부재(3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부재(33)가 일체로 형성된 제2 걸림부재(31); 상기 제1 걸림부재(21)의 하부 부재(23) 선단에 상기 제2 걸림부재(31)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구멍(25); 상기 제2 걸림부재(31)가 상기 플랜지(3)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수단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구멍(26); 상기 힌지 구멍(25)에 결합되는 힌지(27); 상기 체결구멍(26)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20)는 빔(1)의 일측 플랜지(3)에 결합되는 제1 걸림부재(21)와 빔(1)의 타측 플랜지(3)에 결합되는 제2 걸림부재(31)로 이루어진다.
한편 고정블록(10)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본체(2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부재(21)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걸림부재(21)의 상측에는 플랜지(3)의 상면에 걸쳐지는 상부 부재(22)와 상기 상부 부재(22)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재(2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 부재(22)와 하부 부재(23)는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레이트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플레이트의 상부를 상부 부재(22)로 지칭하고, 플레이트의 하부를 하부 부재(23)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부 부재(22)와 하부 부재(23)가 일체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는 보강 브래킷(24)의 양 측면에 고정되도록 2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부재(23)는 상부 부재(22)의 선단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는 제2 걸림부재(31)의 하부 부재(3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부재(22)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하부 부재(23)는 내측을 향해 만곡되게 구부러져 2개의 하부 부재(23)가 서로 밀착된다. 이러한 상부 부재(22)와 하부 부재(23)는 일정 두께를 갖는 2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부재(23)의 선단에는 제2 걸림부재(31)가 회전되도록 힌지구멍(25)이 형성되며, 힌지구멍(25)의 상부에는 체결수단이 설치되도록 체결구멍(26)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25)에는 제2 걸림부재(31)의 하부 부재(32)가 밀착된 상태에서 힌지(27) 결합되고, 제2 걸림부재(31)는 힌지(27)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구멍(26)에는 제2 걸림부재(31)가 플랜지(3)에 걸린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수단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부재(22)에는 보강 브래킷(24)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제1 고정구(28)가 고정되며, 제1 고정구(28)에는 빔(1)의 웨브(2)에 밀착되도록 간격 조절되는 간격조절구(29)가 체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걸림부재(31)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걸림부재(31)의 상측에는 플랜지(3)의 상면에 걸쳐지는 상부 부재(32)와 상기 상부 부재(32)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부재(3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상부 부재(32)와 하부 부재(33)는 일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레이트는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플레이트의 상부를 상부 부재(32)로 지칭하고, 플레이트의 하부를 하부 부재(33)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 부재(32)와 하부 부재(33)로 이루어지는데, 제1 걸림부재(21)와 동일하게 상부 부재(32)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고, 하부 부재(33)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구부러져 2개의 하부 부재(33)가 서로 밀착된다.
상기 하부 부재(33)에는 제1 걸림부재(21)의 힌지구멍(25) 및 체결구멍(26)에 대응되게 힌지구멍(34) 및 체결구멍(3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힌지구멍(34)에는 힌지(27)가 결합되며, 체결구멍(35)에는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아울러 제2 걸림부재(31)의 상부 부재(31) 사이에는 제2 고정구(36)가 고정되며, 제2 고정구(36)의 일측에는 빔(1)의 웨브(2)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구(37)가 설치되는데, 간격조절구(37)는 제2 고정구(36)를 관통하는 스크류 핸들(38)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크류 핸들(38)은 제2 고정구(36)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스크류 핸들(38)을 회전시킴에 따라 간격조절구(37)는 웨브(2)와의 간격이 조절된다.
또한 스크류 핸들(38)에는 스크류 핸드(38)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바(39)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록(10)의 저면에는 아이 플레이트(40)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 플레이트(40)에는 체결구멍(11)에 대응되는 고정구멍(41)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구멍(11)과 고정구멍(41)에는 아이 플레이트(40)를 고정시키는 볼트(42)가 구비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기능한 빔 클램프의 아이플레이트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는 중량물인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빔(1)의 플랜지(3)에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클램프의 고정블록(10)은 빔(1)의 플랜지(3) 저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클램프 본체(20) 중 제1 걸림부재(21)는 빔(1)의 일측 플랜지(3)에 결합되고, 제2 걸림부재(31)는 빔(1)의 타측 플랜지(3)에 결합된다.
즉, 제1 걸림부재(21)는 제2 걸림부재(31)를 회전시켜 하강시킨 상태에서 일측 플랜지(3)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 걸림부재(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걸림부재(31)를 회전시켜 타측 플랜지(3)에 끼워 결합된다
상기 제2 걸림부재(31)는 제1 걸림부재(21)의 힌지 구멍(25)에 결합된 힌지(27)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1 걸림부재(21)의 체결구멍(26) 및 제2 걸림부재(31)의 체결구멍(35)에는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끼워 체결하게 된다.
상기 제1 걸림부재(21)의 간결조절구(29)는 회전시켜 웨브(2)에 밀착되게 하며, 제2 걸림부재(31)의 간격조절구(37)는 스크류 핸들(38)에 의해 회전되어 웨브(2)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고정블록(10)의 저면에는 아이 플레이트(40)가 고정되는데, 아이 플레이트(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볼트(42)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빔 클램프는 아이 플레이트(40)에 로프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중량물의 승강 또는 이동 방향에 따라 아이 플레이트(40)는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아이 플레이트(40)는 고정블록(10)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42)를 해제시킴에 따라 고정블록(1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아이 플레이트(40)는 사용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킨 다음 아이 플레이트(40) 및 고정블록(10)의 체결구멍(11)에 볼트(42)를 체결함으로써,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로 고정블록(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아이 플레이트(40)를 이용하여 부품 또는 중량물을 이동 또는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시키고자 하는 부품 등이 3톤 또는 4톤 이상인 경우에는 빔(1)에 일정 간격으로 2개의 빔 클램프를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빔 클램프의 아이 플레이트(40)는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중량물의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안전하게 이동 또는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빔 클램프는 클램프 본체(20)와 아이 플레이트(40)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고정블록(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블록(10)은 대략 H-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정블록(10)은 한 쌍의 클램프 본체(2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블록(10)은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20) 사이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12); 상기 상부 플랜지(1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20) 사이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13); 상기 상부 플랜지(12)와 하부 플랜지(13)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14);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플랜지(13)에는 아이플레이트(40)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1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12)의 길이 방향 양단은 한 쌍의 클램프 본체(20) 사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하부 플랜지(13)는 상부 플랜지(12)의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하부 플랜지(13)는 제1 걸림부재(21)의 하부 부재(23) 및 제2 걸림부재(31)의 하부 부재(33)에 보다 넓게 용접되어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플랜지(13)에는 아이 플레이트(40)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구멍(15)은 아이 플레이트(4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12)와 하부 플랜지(13) 사이에는 강성을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스티프너(16)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빔 클램프는 중량물인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빔(1)의 플랜지(3)에 설치되며,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의 작동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20)의 제1 걸림부재(21)는 일측 플랜지(3)에 결합되고, 제2 걸림부재(31)는 제1 걸림부재(21)의 힌지(27)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타측 플랜지(3)에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클램프 본체(20) 사이에는 고정블록(10)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블록(10)의 저면에는 아이 플레이트(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록(10)의 체결구멍(15)과 아이 플레이트(40)의 고정구멍(41)은 볼트(4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아이 플레이트(40)는 중량물인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부품 또는 장비의 이동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고정블록(10)과 아이 플레이트(40)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42)를 해제하고, 아이 플레이트(4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맞춘 다음 볼트(42)를 체결하게 된다.
이렇게 아이 플레이트(4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시키거나 승강시키게 된다.
아울러 부품 또는 장비 등의 중량이 2톤 또는 3톤 이상인 경우, 빔 클램프는 빔(1)에 다수로 설치된다. 이러한 빔 클램프의 아이 플레이트(4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빔(1)에 설치된 다수의 빔 클램프를 이용하여 하중이 무거운 부품 또는 장비 등을 이동 또는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고정블록 11: 체결구멍
12: 상부 플랜지 13: 하부 플랜지
14: 웨브 15: 체결구멍
16: 스티프너 20: 클램프 본체
21: 제1 걸림부재 22: 상부 부재
23: 하부 부재 24: 보강 브래킷
25: 힌지구멍 26: 체결구멍
27: 힌지 28: 제1 고정구
29: 간격조절구 31: 제2 걸림부재
32: 상부 부재 33: 하부 부재
34: 힌지구멍 35: 체결구멍
36: 제2 고정구 37: 간격조절구
38: 스크류 핸들 39: 회전바
40: 아이 플레이트 41: 고정구멍
42: 볼트

Claims (7)

  1. 빔의 플랜지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빔의 일측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빔의 타측 플랜지에 끼워지도록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일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걸림부재로 이루어진 한 쌍의 클램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록의 저면에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는 상기 고정블록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부재의 선단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하부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걸림부재;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제2 걸림부재;
    상기 제1 걸림부재의 하부 부재 선단에 상기 제2 걸림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구멍;
    상기 제2 걸림부재가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수단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체결구멍;
    상기 힌지 구멍에 결합되는 힌지;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 사이에 고정되는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 본체 사이에 고정되는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웨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랜지에는 상기 아이플레이트가 고정되도록 다수의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 및 제2 걸림부재는 2개의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보강 브래킷;
    상기 상부 부재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제1 걸림부재에 고정되는 제1 고정구;
    상기 제2 걸림부재에 고정되는 제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구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스크류 핸들과 상기 스크류 핸들을 회전시키는 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KR2020150006740U 2015-10-15 2015-10-15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KR2004850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40U KR200485057Y1 (ko) 2015-10-15 2015-10-15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40U KR200485057Y1 (ko) 2015-10-15 2015-10-15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58U true KR20170001458U (ko) 2017-04-25
KR200485057Y1 KR200485057Y1 (ko) 2017-11-23

Family

ID=5866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40U KR200485057Y1 (ko) 2015-10-15 2015-10-15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57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6316U (ko) * 1986-12-12 1988-06-22
JPH10129977A (ja) * 1996-10-30 1998-05-19 Misawa Homes Co Ltd 鋼製梁・木製梁兼用吊り具
JP2001139278A (ja) * 1999-11-15 2001-05-22 Murayama Co Ltd 鋼材用吊りクランプ
JP2002060173A (ja) * 2000-08-18 2002-02-26 Sankyu Inc 自動吊りトング
CN201201851Y (zh) * 2008-04-23 2009-03-04 中冶陕压重工设备有限公司 轧机牌坊专用吊具
KR20140004565A (ko) * 2012-07-03 2014-01-13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중합체, 화합물, 액정 표시 소자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40035100A (ko) 2012-09-13 2014-03-21 이점용 빔 클램프
KR20150001626A (ko) 2014-06-13 2015-01-06 박을식 다기능 빔 클램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6316U (ko) * 1986-12-12 1988-06-22
JPH10129977A (ja) * 1996-10-30 1998-05-19 Misawa Homes Co Ltd 鋼製梁・木製梁兼用吊り具
JP2001139278A (ja) * 1999-11-15 2001-05-22 Murayama Co Ltd 鋼材用吊りクランプ
JP2002060173A (ja) * 2000-08-18 2002-02-26 Sankyu Inc 自動吊りトング
CN201201851Y (zh) * 2008-04-23 2009-03-04 中冶陕压重工设备有限公司 轧机牌坊专用吊具
KR20140004565A (ko) * 2012-07-03 2014-01-13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중합체, 화합물, 액정 표시 소자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40035100A (ko) 2012-09-13 2014-03-21 이점용 빔 클램프
KR20150001626A (ko) 2014-06-13 2015-01-06 박을식 다기능 빔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057Y1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501B1 (ko) 케이블 안내 장치
US6494307B1 (en) Flexible track and carriage system
US86716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drilling rig assembly
US20090255966A1 (en) Device for adjustably holding a rack on a pickup truck
JP2008133916A (ja) チェーンクランプ装置
US10000363B2 (en) Pipe flange lifting apparatus
US20180231147A1 (en) Adjustable support
JP2017529467A (ja) 橋梁のための作業用プラットホームを支持するための足場
KR200485057Y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빔 클램프
US7114690B2 (en) Universal mast support frame and method for mounting masts
KR200439342Y1 (ko)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JP2018025003A (ja) 構真柱建込み装置
US9186762B2 (en) Turbine extension nut support tool
JP6210608B1 (ja) 支保工
JP2009041338A (ja) 固定具
JP5787400B2 (ja) 鉄塔の斜材交換装置
KR101632352B1 (ko)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KR20150060071A (ko) 삽입형 핀 지그
EP3184479A1 (en) Simplified assembly trellis-like modular element for towers of tower cranes and tower comprising such modular element
US10591110B1 (en) Attachment assembly connectable to an externally-threaded rod for support of an item therefrom
JP3152426U (ja) 船艙またはバラストタンクの足場用ブラケットの構造
KR200488553Y1 (ko) 타워크레인용 수평브레이싱
KR20150000644U (ko) 선박용 바닥 구조물
KR102185605B1 (ko) 가스 터빈용 장착 시스템 및 연관 가스 터빈
US20200317430A1 (en) Locking means for a transport cra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