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49U -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49U
KR20170001449U KR2020150006729U KR20150006729U KR20170001449U KR 20170001449 U KR20170001449 U KR 20170001449U KR 2020150006729 U KR2020150006729 U KR 2020150006729U KR 20150006729 U KR20150006729 U KR 20150006729U KR 20170001449 U KR20170001449 U KR 201700014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inner circumferentia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028Y1 (ko
Inventor
이종천
이상봉
성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하정밀
이상봉
이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하정밀, 이상봉, 이종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하정밀
Priority to KR20201500067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2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의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 단턱이 형성된 제1 몸체; 제1 단턱에 일단이 지지되며 제1 관통홀에 설치되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의 유격공간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샤프트; 일단에 제1 샤프트의 타단을 관통시키는 제1 샤프트홀을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되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며,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제1 관통홀 내에서의 이동에 따라 제1 샤프트의 타단에 의해 제1 샤프트홀이 개폐되는 제1 샤프트가이드; 내부의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 시트안착부가 형성되고, 제1 몸체의 제1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제1 관통홀에 끼움 결합 시 제1 샤프트가이드를 밀어 제1 샤프트홀을 개방시키는 제2 몸체; 및 제2 관통홀에 설치되며, 제2 몸체의 제1 관통홀로부터의 분리 시 둘레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부가 후방 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시트안착부에 안착되고,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일단이 제1 샤프트의 타단 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며 밸브시트부가 시트안착부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 관통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QUICK CONNECTING APPARATUS FOR PIPE}
본 고안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및 공조 기기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배관을 분리할 수 있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로는 통상 가스나 액체 등이 있다. 배관 용도는 공기조화, 냉난방, 급배수, 통기/환기, 도시가스 등 다양하다. 이러한 용도에 따라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 장소의 형태, 관의 길이 제한, 분해 및 조립 등의 이유로 두 개 이상의 관을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관이음 방식으로는 플랜지 이음, 끼워맞춤 이음, 나사식 이음, 용접 이음, 접착 이음 등이 있으며, 관이음의 한 방식으로 배관을 신속하게 연결 혹은 분리하기 위해 퀵 커넥터(quick connecto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퀵 커넥터는 배관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데, 이때, 배관을 흐르는 유체의 누출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분리 시 유체의 누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6148호(2009. 06. 03.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내부의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 단턱이 형성된 제1 몸체; 제1 단턱에 일단이 지지되며 제1 관통홀에 설치되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의 유격공간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샤프트; 일단에 제1 샤프트의 타단을 관통시키는 제1 샤프트홀을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되고,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며,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제1 관통홀 내에서의 이동에 따라 제1 샤프트의 타단에 의해 제1 샤프트홀이 개폐되는 제1 샤프트가이드; 내부의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 시트안착부가 형성되고, 제1 몸체의 제1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제1 관통홀에 끼움 결합 시 제1 샤프트가이드를 밀어 제1 샤프트홀을 개방시키는 제2 몸체; 및 제2 관통홀에 설치되며, 제2 몸체의 제1 관통홀로부터의 분리 시 둘레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부가 후방 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시트안착부에 안착되고,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일단이 제1 샤프트의 타단 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며 밸브시트부가 시트안착부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 관통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관통홀은 제2 몸체와의 결합 측 내주면 상에 형성된 제1 링홈을 구비하고, 제1 링홈에 제1 실링링이 구비되고, 제1 실링링은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제2 몸체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1 샤프트가이드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링홈과 제1 실링링은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구비되고, 제1 및 제2 몸체의 분리 중 제1 샤프트의 타단 단부와 제2 샤프트의 일단이 떨어지며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가 각각 차단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실링링은 제1 샤프트가이드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나머지 제1 실링링은 제2 몸체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샤프트의 타단의 둘레에 제2 링홈이 형성되고, 제2 링홈에 제2 실링링이 구비되고,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1 샤프트가이드의 탄성적 이동에 따라 제2 실링링에 의해 제1 샤프트홀이 밀폐되며 제1 관통홀의 유로가 차단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링홈은 제1 홈측벽보다 제2 홈측벽이 높게 형성되고, 제1 샤프트홀의 내경은 제1 홈측벽에 의한 외경보다 크고 제2 홈측벽에 의한 외경보다 작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1 샤프트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샤프트가이드의 일단에 지지되며 제2 몸체의 분리 시 제1 샤프트홀과 제1 샤프트의 타단 사이가 밀폐되도록 제1 샤프트가이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샤프트는 지지부와 밀폐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일단에 방사상 돌기가 형성되어 제1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밀폐부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밀폐부는 일단에 지지부의 타단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구비되고 둘레에 제2 링홈이 구비되고 타단이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제2 샤프트의 일단을 푸싱하고, 제1 샤프트가이드는 제1 샤프트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단부가 제2 실링링에 의해 밀폐되며 제1 샤프트홀의 유로가 차단된다.
게다가, 또 하나의 예에서,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2 샤프트의 후방 측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밸브시트부의 후면에 지지되며 제2 몸체의 분리 시 밸브시트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밸브시트부를 시트안착부에 안착시켜 밀폐되도록 하는 제2 스프링; 및 제2 샤프트의 후방 단부를 관통시키며 제2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샤프트홀 및 제2 샤프트홀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홀을 구비하고, 제2 관통홀 내에 설치되고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단턱에 지지되며 제2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샤프트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시트안착부는 제2 관통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서 제1 몸체와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제2 샤프트의 밸브시트부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부,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시트 링홈, 시트 링홈에 설치되며 시트안착부와 밀착되어 유로를 밀폐시키는 시트 실링부 및 시트 실링부를 시트 링홈에 고정시키는 시트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2 몸체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제2 몸체가 끼움 결합된 제1 몸체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 제1 몸체의 제2 몸체와의 결합방향 반대 측에 체결되는 제1 관 커넥터; 및 제2 몸체의 제1 몸체와의 결합방향 반대 측에 체결되며 제2 샤프트가이드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관로 내로 흐르는 유체의 실질적인 손실없이 관로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후 유체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실질적인 손실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은 도 1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분리 중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1 샤프트의 밀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2 샤프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상측에', '하부에', '하측에' 등의 용어들의 경우에도 접속되는 위치뿐만 아니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 방향이 바뀌는 경우 그에 따른 대응되는 상대적인 방향 개념을 내포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고안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양측에 모두 배관이 연결될 수도 있고, 일측은 배관이 연결되고 타측은 배관 연결이 요구되는 설비에 연결되는 배관 커넥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은 도 1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분리 중 유로 차단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분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1 샤프트의 밀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2 샤프트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1 몸체(10), 제1 샤프트(30), 제1 샤프트가이드(40), 제2 몸체(20) 및 제2 샤프트(5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1 스프링(7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2 스프링(70b) 및 제2 샤프트가이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커넥팅 너트(85), 제1 관 커넥터(90a) 및 제2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1 및 제2 몸체(10, 20)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는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0)의 내부로 제2 몸체(20)의 일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몸체(10)의 내부로 제2 몸체(20)의 일부가 끼움 결합되는 경우 제2 몸체(20)의 외주면에서 지지되는 커넥팅 너트(85)에 의해 제1 몸체(10)의 외주면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1 몸체(10)는 내부에 제1 관통홀(10a)이 구비된다. 이때, 제1 관통홀(10a) 내부로 제2 몸체(20)의 일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에 제1 단턱(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단턱(11)은 제1 관통홀(10a) 내에 설치되는 제1 샤프트(30)의 일단을 지지한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제1 관통홀(10a)은 제2 몸체(20)와의 결합 측 내주면 상에 형성된 제1 링홈(1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홈(13)에 제1 실링링(80a)이 구비된다. 예컨대, 제1 실링링(80a)은 탄성재질의 오링, 예컨대 고무 오링일 수 있다. 제1 실링링(80a)은 제2 몸체(20)의 제1 몸체(10)로의 끼움 결합 시 제2 몸체(20)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10a)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제2 몸체(20)의 제1 몸체(10)로부터의 분리 시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10a)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0)로의 제2 몸체(20)의 결합 시 제1 몸체(10) 및 제1 몸체(10) 사이의 유로가 개방되고, 제1 몸체(10)로부터의 제2 몸체(20)의 분리 시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각각의 유로가 차단된다. 제1 몸체(10)로부터의 제2 몸체(20)의 분리 시에도 각각 개별적으로 유로가 차단되므로 제1 몸체(10)에 연결되는 배관 측과 제2 몸체(20)에 연결되는 배관 측이 분리된 상태로 관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예에 따른 배관용 커넥팅 장치가 구비된 배관의 분리 시 완전 분리 전 제1 및 제2 몸체(10a, 20a)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므로 배관 내의 유체의 누출이 최소화되어 실질적인 유체 손실(누출)없이 배관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링홈(13)과 제1 실링링(80a)은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제1 링홈(13)과 제1 실링링(80a)은 2개씩 구비되고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몸체(10, 20)의 분리 중 제1 샤프트(30)의 타단 단부와 제2 샤프트(50)의 일단이 떨어지며 제1 및 제2 관통홀(10a, 20a)의 유로가 각각 차단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실링링(80a)은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10a)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나머지 제1 실링링(80a)은 제2 몸체(20)의 외주면과 제1 관통홀(10a)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가 완전히 분리되기 전에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 각각의 유로가 모두 차단되므로, 분리 시 유체, 예컨대 가스 또는 냉매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에는 제3 단턱(12)이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3 단턱(12)은 제1 관통홀(10a) 내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70a)의 일단을 지지한다. 제1 스프링(70a)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예컨대, 제3 단턱(12)은 제1 단턱(11)보다 후방측(제2 몸체(20)와 결합방향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턱(11)의 내경은 제3 단턱(12)의 내경보다 작다.
계속하여,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2 몸체(20)는 제1 몸체(10)의 제1 관통홀(10a)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분해 시, 제2 몸체(20)는 제1 몸체(1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몸체(2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제2 관통홀(20a)을 구비한다. 제2 관통홀(20a)의 내주면에 시트안착부(21)가 형성된다. 시트안착부(21)는 후술되는 제2 샤프트(50)의 밸브시트부(51)가 안착되는 곳이다. 예컨대, 제1 몸체(1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 제2 몸체(20)의 분리 시 제2 샤프트(50)의 밸브시트부(51)가 시트안착부(21)에 안착되며 제2 관통홀(20a)의 유로가 차단되고, 제1 관통홀(10a)로의 제2 몸체(20)의 결합 시 제2 샤프트(50)의 밸브시트부(51)가 시트안착부(21)로부터 떨어지며 제2 관통홀(20a)의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제2 몸체(20)의 제1 몸체(10)의 제1 관통홀(10a)로의 끼움 결합 시, 제2 몸체(20)는 제1 샤프트가이드(40)를 밀어 제1 샤프트홀(41)을 개방시킨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시트안착부(21)는 제2 관통홀(20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서 제1 몸체(10)와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2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돌기부(21a)에 후술되는 제2 샤프트(50)의 밸브시트부(51), 예컨대 시트 실링부(51c)가 밀착되며 제2 관통홀(20a)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관통홀(20a)의 내주면에 제2 단턱(22)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턱(22)은 후술되는 제2 샤프트가이드(60)를 지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몸체(20)의 둘레에 커넥팅 너트(85)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팅 너트(85)는 일단이 제2 몸체(20)의 둘레에 지지되고, 제2 몸체(20)가 제1 관통홀(10a)에 끼움 결합 시, 제1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며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결합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1 샤프트(30)를 살펴본다. 제1 샤프트(30)는 제1 관통홀(10a)의 제1 단턱(11)에 일단이 지지되며 제1 관통홀(10a)에 설치된다. 이때,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과 제1 샤프트(30) 사이의 유격공간으로 유로가 형성된다. 제1 샤프트(30)의 타단은 후술되는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제1 샤프트홀(4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샤프트(30)의 타단의 둘레에 제2 링홈(31)이 형성된다. 이때, 제2 링홈(31)에 제2 실링링(80b)이 구비된다. 예컨대, 제2 실링링(80b)은 탄성재질의 오링, 예컨대 고무 오링일 수 있다.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제2 몸체(20)의 분리 시,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탄성적 이동에 따라 제2 실링링(80b)에 의해 제1 샤프트홀(41)이 밀폐되며 제1 관통홀(10a)의 유로가 차단된다. 즉, 제2 실링링(80b)에 의해 제1 샤프트(30)의 타단과 제1 샤프트홀(41)이 밀폐됨으로써, 제1 관통홀(10a)의 유로가 차단되게 된다.
이때, 도 1, 2 및/또는 4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링홈(31)은 제1 홈측벽(31a)보다 제2 홈측벽(31b)이 높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1 홈측벽(31a)은 제1 샤프트홀(41)측 방향에 형성되고 제2 홈측벽(31b)은 제1 샤프트(30)의 타단 단부측 방향에 형성된다. 이때, 제1 샤프트홀(41)의 내경은 제1 홈측벽(31a)에 의한 외경보다 크고 제2 홈측벽(31b)에 의한 외경보다 작다. 이에 따라, 제2 링홈(31)에 설치된 제2 실링링(80b)과 제1 샤프트홀(41)의 단부가 밀폐되며 제1 관통홀(10a)의 유로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링링(80a)에 의해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과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외주면 사이가 밀폐되고, 제2 몸체(20)가 제1 관통홀(10a)로부터 분리 시, 제2 실링링(80b)에 의해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제1 샤프트홀(41)과 제1 샤프트(30)의 타단부가 밀폐되면서 제1 관통홀(10a)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제1 샤프트(30)는 지지부(30a)와 밀폐부(30b)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30a)는 일단에 방사상 돌기(130a)가 형성되어 제1 관통홀(10a)의 제1 단턱(11)에 지지된다. 즉, 제1 샤프트(30)의 일단 측이 지지부(30a)를 형성하고, 지지부(30a)의 말단에서 수직하게 방사상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돌기들(130a)이 제1 관통홀(10a)의 제1 단턱(11)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지지부(30a)의 타단은 밀폐부(30b)의 일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30a)의 타단은 밀폐부(30b)의 끼움홈(130b)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2, 3 및/또는 5을 참조하면, 제1 샤프트(30)의 밀폐부(30b)는 일단에 지지부(30a)의 타단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130b)이 구비된다. 밀폐부(30b)의 둘레에는 제2 링홈(31)이 구비된다. 또한, 밀폐부(30b)의 타단은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제2 샤프트(50)의 일단을 푸싱한다. 즉, 제1 샤프트(30)는 일단이 제1 관통홀(10a)의 제1 단턱(11)에 의해 지지되므로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시에도 고정되어 있고, 반면 제2 샤프트(50)는 제2 몸체(20)의 제2 관통홀(20a)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밀폐부(30b)의 타단이 제2 샤프트(50)의 일단을 푸싱하게 된다. 이때, 밀폐부(30b)의 타단에 의한 제2 샤프트(50)의 푸싱에 따라 제2 샤프트(50)의 밸브시트부(51)가 제2 관통홀(20a)에 형성된 시트안착부(21)로부터 떨어지며 제2 관통홀(20a)의 유로가 개방되게 된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샤프트(30)의 밀폐부(30b)의 타단에 지지홈(23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밀폐부(30b)의 지지홈(230b)에 제2 샤프트(50)의 일단이 지지되며 밀폐부(30b)의 타단에 의해 제2 샤프트(50)가 푸싱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1 샤프트가이드(4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 샤프트가이드(40)는 일단에 제1 샤프트(30)의 타단을 관통시키는 제1 샤프트홀(41)을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된다.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외주면은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된다. 예컨대, 제1 관통홀(10a)의 제1 링홈(13)에 설치된 제1 실링링(80a)에 의해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과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외주면이 밀폐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샤프트가이드(40)는 제1 관통홀(10a)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의 결합 및/또는 분리에 따라 제1 관통홀(10a) 내에서 내주면을 따라 이동된다. 제1 샤프트가이드(40)는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제2 몸체(20)의 일단에 의해 밀리고 제2 몸체(20)의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회복된다.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제1 관통홀(10a) 내에서의 이동에 따라, 즉 제2 몸체(20)에 의한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푸싱과 탄성력에 의한 푸싱해제에 따라, 제1 샤프트(30)의 타단에 의해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제1 샤프트홀(41)이 개폐된다.
예컨대,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샤프트가이드(40)는 제1 샤프트홀(41)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면(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42)의 단부는 제1 샤프트(30)의 제2 링홈(31)에 형성된 제2 실링링(80b)에 의해 밀폐되며 제1 샤프트홀(41)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즉,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제1 샤프트가이드(40)가 푸싱상태가 해제되며 위치 복귀되고, 이때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경사면(42) 단부가 제2 실링링(80b)과 밀착되며 제1 샤프트홀(41)이 닫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2, 3, 4 및/또는 6을 참조하여,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의 제2 샤프트(50)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2 샤프트(50)는 제2 몸체(20)의 제2 관통홀(20a)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2 샤프트(50)는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분리 시 제2 관통홀(20a)의 유로를 차단하고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제2 관통홀(20a)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도 1, 2, 3 및/또는 6을 참조하면, 제2 샤프트(50)는 둘레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부(51)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샤프트(50)는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분리 시 밸브시트부(51)가 후방 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제2 관통홀(20a)의 시트안착부(21)에 안착되며 제2 관통홀(20a)의 유로를 차단시킨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샤프트(50)는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일단이 제1 샤프트(30)의 타단 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며 밸브시트부(51)가 시트안착부(21)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 관통홀(20a)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예컨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제2 샤프트(50)의 밸브시트부(51)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부(51a), 시트 링홈(51b), 시트 실링부(51c) 및 시트 커버부(51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2, 3 및/또는 6을 참조하면, 플레이트부(51a)는 제2 샤프트(50)의 중간 둘레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시트 링홈(51b)은 플레이트부(51a)의 가장자리 부위에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시트 실링부(51c)는 시트 링홈(51b)에 설치되며 시트안착부(21)와 밀착되어 제2 관통홀(20a)의 유로를 밀폐시킨다. 시트 실링부(51c)는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분리 시 시트 안착부(21)에 밀착되고 제2 몸체(20)의 분리 시 시트 안착부(21)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예컨대, 시트 실링부(51c)는 제2 관통홀(20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서 제1 몸체(10)와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21a)와 밀착되어 제2 관통홀(20a)의 유로를 밀폐시킨다. 예컨대, 시트 실링부(51c)는 수지 재질, 예컨대 테플론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시트 커버부(51d)는 시트 실링부(51c)를 시트 링홈(51b)에 고정시킨다. 즉, 시트 커버부(51d)는 시트 실링부(51c)가 시트 링홈(51b)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시트 커버부(51d)는 플레이트부(51a)의 전면에 설치되며 시트 실링부(51c)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도록 시트 실링부(51c)를 덮는다. 이때, 노출된 시트 실링부(51c) 영역이 시트 안착부(21)에 안착되는 부위가 된다.
다음으로,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를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때,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1 스프링(70a)을 더 포함한다. 제1 스프링(70a)은 제1 샤프트(30)의 둘레 주위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스프링(70a)의 일단은 제1 관통홀(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단턱(12)에 지지되고, 제1 스프링(70a)의 타단은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일단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프링(70a)은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 시 탄성력을 축적하고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분리 시 제1 샤프트가이드(4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 샤프트홀(41)과 제1 샤프트(30)의 타단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제2 몸체(20)의 끼움 결합에 따라, 제1 스프링(70a)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샤프트가이드(40)가 밀리며 제1 스프링(70a)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부터의 분리 시 제1 스프링(70a)에 축적된 탄성력이 제1 샤프트가이드(40)로 제공된다. 이때, 탄성력에 의해 제1 샤프트가이드(40)가 제1 관통홀(10a)을 따라 이동하며 제1 샤프트(30)의 타단부에 의해 제1 샤프트가이드(40)의 제1 샤프트홀(41)이 밀폐되며 제1 관통홀(10a)의 유로가 차단된다.
다음으로, 또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를 살펴본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제2 스프링(70b) 및 제2 샤프트가이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70b)은 제2 샤프트(50)의 후방 측, 예컨대 밸브시트부(51)의 후방측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밸브시트부(51)의 후면에 지지된다. 이때, 제2 스프링(70b)의 타단은 제2 샤프트가이드(6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2 스프링(70b)은 제2 몸체(20)의 제1 관통홀(10a)로의 끼움 결합 시 제1 샤프트(30)의 타단 단부에 의한 제2 샤프트(50)의 밀림에 따라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고, 제2 몸체(20)의 분리 시 밸브시트부(5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밸브시트부(51)를 시트안착부(21)에 안착시켜 밀폐되도록 한다.
다음,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제2 샤프트가이드(60)는 제2 관통홀(20a) 내에 설치된다. 이때, 제2 샤프트가이드(60)는 제2 관통홀(2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단턱(22)에 지지되며 제2 스프링(70b)의 타단을 지지한다. 예컨대, 제2 샤프트가이드(60)는 일면, 예컨대 제2 스프링(70b)을 지지하는 면이 제2 단턱(22)에 지지되고, 타면이 예컨대 제2 몸체(20)의 타단측에 체결되는 후술되는 제2 관 커넥터(90b)의 말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가이드(60)는 제2 샤프트홀(6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홀(62)을 구비한다. 제2 샤프트홀(61)은 제2 샤프트(50)의 후방 단부를 관통시키며 제2 샤프트(50)의 이동을 안내한다. 유로홀(62)은 제2 샤프트홀(61) 주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예컨대, 도 3에서와 같이, 제2 샤프트가이드(60)는 돌출부 없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1 내지 2에서와 같이 제2 스프링(70b)이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 내에 제2 샤프트홀(6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를 더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 따른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는 커넥팅 너트(85), 제1 관 커넥터(90a) 및 제2 관 커넥터(9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너트(85), 제1 관 커넥터(90a) 및/또는 제2 관 커넥터(90b)는 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팅 너트(85)는 제2 몸체(20)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제2 몸체(20)가 끼움 결합된 제1 몸체(10)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된다. 예컨대, 커넥팅 너트(85)의 일단은 중심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 몸체(20)의 둘레에 지지되고 절곡부가 제2 몸체(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단턱(24)에 걸리며 커넥팅 너트(85)의 제1 몸체(10) 외주면과의 나사체결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팅 너트(85)의 일단부, 예컨대 절곡부의 내경이 제2 몸체(20) 외주면 상의 고리형 단턱(24) 외경보다 큰 경우 고리형 단턱(24)과 커넥팅 너트(85)의 절곡부 사이에 와이어 스프링(8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스프링(82)의 외경은 커넥팅 너트(85)의 일단부, 예컨대 절곡부의 내경보다 크므로, 커넥팅 너트(85)의 제1 몸체(10) 외주면과의 나사체결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다음, 제1 관 커넥터(90a)는 제1 몸체(10)의 제2 몸체(20)와의 결합방향 반대 측에 체결된다. 제2 관 커넥터(90b)는 제2 몸체(20)의 제1 몸체(10)와의 결합방향 반대 측, 즉 제2 몸체(20)의 타단측에 체결되며 제2 샤프트가이드(60)의 후방을 지지한다. 예컨대, 제1 및 제2 관 커넥터(90a, 90b)는 니플, 유니온 또는 다른 관 이음매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관 커넥터(90a, 90b)의 일단은 각각 제1 및 제2 몸체(10, 2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몸체(10, 20)의 관통홀과 제1 및 제2 관 커넥터(90a, 90b)의 외주면 사이에 실링링(80c)을 구비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관 커넥터(90a)의 일단이 제1 단턱(11)의 반대면, 즉 제1 샤프트(30)가 지지되는 면과 반대쪽 면에 접합 밀폐링(81)을 개재시켜 밀착될 수 있다. 접합 밀폐링(81)은 수지재질의 평오링일 수 있다. 또한, 제2 관 커넥터(90b)의 일단은 직접 또는 접합 밀폐링(81)을 개재시켜 제2 샤프트가이드(6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제1 몸체 10a: 제1 관통홀
11: 제1 단턱 12: 제3 단턱
13: 제1 링홈 20: 제2 몸체
20a: 제2 관통홀 21: 시트안착부
21a: 돌기부 22: 제2 단턱
30: 제1 샤프트 30a: 지지부
130a: 방사상 돌기 30b: 밀폐부
130b: 끼움홈 230b: 지지홈
31: 제2 링홈 31a: 제1 홈측벽
31b: 제2 홈측벽 40: 제1 샤프트가이드
41: 제1 샤프트홀 50: 제2 샤프트
51: 밸브시트부 51a: 플레이트부
51b: 시트 링홈 51c: 시트 실링부
51d: 시트 커버부 60: 제2 샤프트가이드
61: 제2 샤프트홀 62: 유로홀
70a: 제1 스프링 70b: 제2 스프링
80a, 80b, 80c: 실링링 81: 접합 밀폐링
85: 커넥팅 너트 90a, 90b: 관 커넥터

Claims (10)

  1. 내부의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제1 단턱이 형성된 제1 몸체;
    상기 제1 단턱에 일단이 지지되며 상기 제1 관통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과의 유격공간으로 유로를 형성시키는 제1 샤프트;
    일단에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을 관통시키는 제1 샤프트홀을 구비하고 타단이 개방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밀착 설치되며,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관통홀 내에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홀이 개폐되는 제1 샤프트가이드;
    내부의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 시트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의 제1 관통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관통홀에 끼움 결합 시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를 밀어 상기 제1 샤프트홀을 개방시키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관통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의 분리 시 둘레에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부가 후방 측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시트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일단이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 단부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며 상기 밸브시트부가 상기 시트안착부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제2 관통홀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제2 몸체와의 결합 측 내주면 상에 형성된 제1 링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홈에 제1 실링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링링은 상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링홈과 제1 실링링은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분리 중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 단부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이 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의 유로가 각각 차단되는 시점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실링링은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나머지 제1 실링링은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과 상기 제1 관통홀 내주면 사이를 밀폐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4.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의 둘레에 제2 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링홈에 제2 실링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의 탄성적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실링링에 의해 상기 제1 샤프트홀이 밀폐되며 상기 제1 관통홀의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 링홈은 제1 홈측벽보다 제2 홈측벽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샤프트홀의 내경은 상기 제1 홈측벽에 의한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2 홈측벽에 의한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6.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샤프트의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3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의 일단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1 샤프트홀과 상기 제1 샤프트의 타단 사이가 밀폐되도록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7. 청구항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샤프트는 지지부와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일단에 방사상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단턱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밀폐부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는 일단에 상기 지지부의 타단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구비되고 둘레에 상기 제2 링홈이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몸체의 끼움 결합 시 상기 제2 샤프트의 일단을 푸싱하고,
    상기 제1 샤프트가이드는 상기 제1 샤프트홀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단부가 상기 제2 실링링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제1 샤프트홀의 유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2 샤프트의 후방 측 둘레 주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밸브시트부의 후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의 분리 시 상기 밸브시트부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밸브시트부를 상기 시트안착부에 안착시켜 밀폐되도록 하는 제2 스프링;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후방 단부를 관통시키며 상기 제2 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샤프트홀 및 상기 제2 샤프트홀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로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단턱에 지지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샤프트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시트안착부는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와의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샤프트의 밸브시트부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시트 링홈, 상기 시트 링홈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안착부와 밀착되어 유로를 밀폐시키는 시트 실링부 및 상기 시트 실링부를 상기 시트 링홈에 고정시키는 시트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2 몸체의 둘레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제2 몸체가 끼움 결합된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과 나사 체결되는 커넥팅 너트;
    상기 제1 몸체의 상기 제2 몸체와의 결합방향 반대 측에 체결되는 제1 관 커넥터; 및
    상기 제2 몸체의 상기 제1 몸체와의 결합방향 반대 측에 체결되며 상기 제2 샤프트가이드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KR2020150006729U 2015-10-14 2015-10-14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KR200486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29U KR200486028Y1 (ko) 2015-10-14 2015-10-14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29U KR200486028Y1 (ko) 2015-10-14 2015-10-14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49U true KR20170001449U (ko) 2017-04-24
KR200486028Y1 KR200486028Y1 (ko) 2018-03-23

Family

ID=5866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29U KR200486028Y1 (ko) 2015-10-14 2015-10-14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093A (ko) 2017-12-14 2019-06-24 (주)신보이엔지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2029998B1 (ko) 2018-03-30 2019-10-08 (주)신보이엔지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KR20200001228A (ko) 2018-06-27 2020-01-06 (주)신보이엔지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KR101102290B1 (ko) * 2006-11-17 2012-01-03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의 조인트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290B1 (ko) * 2006-11-17 2012-01-03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관 조인트의 조인트 부재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093A (ko) 2017-12-14 2019-06-24 (주)신보이엔지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2029998B1 (ko) 2018-03-30 2019-10-08 (주)신보이엔지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KR20200001228A (ko) 2018-06-27 2020-01-06 (주)신보이엔지 비상분리 가능한 대형배관 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28Y1 (ko) 2018-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600B2 (en) Permanent joint comprised of a fitting, a sleeve and a pipe, as well as fitting for fluid conduits and a sleeve for fluid conduit pipes
JP3235129U (ja) ブロック継手
KR200486028Y1 (ko)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JP5399409B2 (ja) 2つの硬質物体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JP2006214583A (ja) 配管用フランジ継手
MX2013008783A (es) Valvula de irrigacion.
CA2928872A1 (en) Self-locking push-to-connect insert
US9383050B1 (en) Quick removal plumbing fitting
ES2748287T3 (es) Acoplamiento de conducto de ventilación y método de fabricación del mismo
JP2019509444A (ja) タブ付きリテーナおよび観察開口を有するフィッティング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US7004513B2 (en) Pipe coupling methods
KR101894895B1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KR20170056944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1878041B1 (ko) 잔압제거형 배관 커넥팅 장치 및 공조 기기
US9486884B2 (en) Excess flow valve with flexible sealing member
JP6118956B2 (ja) 配管装置
KR101826876B1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40137153A (ko) 개스킷
US20150219232A1 (en) Membrane style excess flow valve
KR102029998B1 (ko) 캠을 구비한 배관 커넥팅 장치
CN212643582U (zh) 阀座-笼组件和阀
KR20200000958U (ko) 퀵 커넥터 어셈블리
EP2938915B1 (en) Sealing element and arrangement
KR101737708B1 (ko) 흡기 매니폴드의 유동관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