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093A -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 Google Patents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093A
KR20190071093A KR1020170171832A KR20170171832A KR20190071093A KR 20190071093 A KR20190071093 A KR 20190071093A KR 1020170171832 A KR1020170171832 A KR 1020170171832A KR 20170171832 A KR20170171832 A KR 20170171832A KR 20190071093 A KR20190071093 A KR 2019007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valve
fastening
fram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668B1 (ko
Inventor
이전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신보이엔지
이상봉
이전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보이엔지, 이상봉, 이전한 filed Critical (주)신보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7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2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hooks hinged about a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제1 및 제2 몸체와 제1 및 제2 몸체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밸브체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체결 시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제1 및 제2 몸체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는, 분리가능한 제1 커넥팅밸브유닛; 제3 및 제4 몸체와 제3 및 제4 몸체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및 제4 밸브체를 포함하되,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 체결 시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제3 및 제4 몸체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되, 제1 커넥팅밸브유닛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제2 커넥팅밸브유닛; 제1 및 제3 몸체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제2 및 제4 몸체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가능한 프레임유닛; 및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에 따라 다른 하나를 체결하며 제1 및 제2 몸체 간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 간 결합을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그를 포함하는 공조기기가 제안된다.

Description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MULTI CONNECTING VALVE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배관 커넥팅 장치 및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연결 배관을 안전하고 용이 분리하고 재연결할 수 있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배관을 구비하는 공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가스나 액체 등의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유체를 흐르게 하는데 사용된다. 배관 용도는 공기조화, 냉난방, 급배수, 통기/환기, 도시가스 등 다양하다. 배관 설치 시 설치 장소의 형태, 관의 길이 제한, 분해 및 조립 등의 이유로 두 개 이상의 관을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때,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플랜지 이음, 끼워맞춤 이음, 나사식 이음, 용접 이음, 접착 이음 등이 있으며, 배관 이음의 한 방식으로 배관을 신속하게 연결 혹은 분리하기 위해 퀵 커넥터(quick connecto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퀵 커넥터는 배관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각 배관별로 양쪽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에서 열교환기들 간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예컨대 수리, 이사 등의 이유로 실내기(에어컨 본체)와 실외기 간의 분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퀵 커넥터를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배관 상에 설치하여 퀵 커넥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양쪽으로 분리하고 있다.
하지만,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의 경우 열교환기들 간에 하나의 배관이 아니라 2개의 유체 배관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전기케이블도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에서 배출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도 구비된다. 이때, 각각의 배관이나 케이블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 분리 및 재연결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도 복잡해진다. 또한 각각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비용도 증대될 수 있다. 이때, 종래의 퀵 커넥터들은 2개의 유체배관을 동시에 분리 및 재연결을 할 수 없고, 나아가 전기케이블을 함께 분리 및 재연결하도록 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449호 (2017. 04. 2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6148호(2009. 06. 0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6793호(2010. 06. 18.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다수의 연결배관, 예컨대 2개의 유체배관을 안전하고 쉽게 분리하고 재연결할 수 있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및 제2 몸체와 제1 및 제2 몸체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밸브체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체결 시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제1 및 제2 몸체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는, 분리가능한 제1 커넥팅밸브유닛; 제3 및 제4 몸체와 제3 및 제4 몸체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및 제4 밸브체를 포함하되,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 체결 시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제3 및 제4 몸체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되, 제1 커넥팅밸브유닛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제2 커넥팅밸브유닛; 제1 및 제3 몸체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제2 및 제4 몸체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가능한 프레임유닛; 및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에 따라 다른 하나를 체결하며 제1 및 제2 몸체 간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 간 결합을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체결유닛은 일측이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제1 및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체결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의 체결면에 구비되는 지지홀들에 제1 내지 제4 몸체 각각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 중 어느 하나의 각 전방부는 체결면에서 돌출되되 결합 체결 시 각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 중 다른 하나의 각 내측면 상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실링링이 각각 구비되고, 각 전방부가 제1 및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 중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 및 제2 밸브체 간에 그리고 제3 및 제4 밸브체 간에 각각 맞닿기 전에 제1 실링링을 지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결합 체결에 따라 전기회로가 직렬 연결되는 분리가능한 핀커넥터유닛 및 결합 체결 시 내부 유로가 개방되는 분리가능한 액관커넥팅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핀커넥터유닛은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체결면에 구비된 다른 지지홀에 각각 지지되며 결합 체결에 따라 회로를 직렬연결시키는 암수 핀커넥터을 포함할 수 있다. 액관커넥팅유닛은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체결면에 구비된 별도의 지지홀에 각각 지지되며 각각 유로홀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관연결체와 제1 및 제2 관연결체 각각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유로홀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핀밸브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관연결체의 결합 체결 시 유로홀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암 핀커넥터는 체결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액관커넥팅유닛은 제1 및 제2 관연결체 각각의 내부에서 제1 및 제2 핀밸브체 각각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들 및 제1 및 제2 관연결체 각각의 내부에서 제1 및 제2 핀밸브체 각각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후방지지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연결체 중 어느 하나의 전방부는 체결면에서 돌출되어 결합 체결 시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단부에 전방 유로홀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관연결체 중 다른 하나는 내측면에 구비되되 삽입된 전방부와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실링링 및 전방부의 삽입에 따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된 내측 유로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핀밸브체 각각은 전방 및 내측 유로홀 각각을 개폐하는 전방 헤드 및 전방 헤드에 연결되고 후방지지부를 관통하는 핀샤프트를 구비하고, 전방 헤드의 단부가 돌출되어 제1 및 제2 관연결체의 결합 체결 시 맞닿아 서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체결유닛은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체결면 후방에서 힌지결합되고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체결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는 체결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의 결합 시 상대편 체결면을 통과하는 체결핀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유닛의 힌지 회전에 따라 체결걸이가 체결핀에 체결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체결면을 갖는 수직구조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수직구조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힌지결합부가 후방 돌출된 수직구조부는 체결핀이 통과하는 핀통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유닛은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사이에서 나란하게 힌지회전하도록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체결걸이는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이고,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는 걸림시작측보다 걸림내부측이 힌지축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핀통과부를 통과한 체결핀을 끌어당기고 제1 및 제2 프레임을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중 하나는 체결된 체결유닛의 체결해제를 방지하는 락킹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체결핀의 말단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체결걸이는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이고,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는 걸림부에 대응되게 나란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은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체결 및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 체결시 각각의 어느 하나는 삽입측 몸체이고 다른 하나는 수용측 몸체이고, 제1 및 제2 밸브체의 어느 하나와 제3 및 제4 밸브체의 어느 하나는 수용측 몸체 내에서 고정지지되는 고정형 밸브체이고 각각의 다른 하나는 삽입측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동작형 밸브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각각은 수용측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며 삽입측 몸체의 삽입에 따라 후퇴하는 슬라이딩 밸브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밸브시트는 고정형 밸브체가 관통하는 제1 밸브시트홀 및 제1 밸브시트홀 주위에 형성되되 고정형 밸브체의 제1 밸브부가 탈착되는 제1 시트부를 구비하고 삽입측 몸체의 삽입에 의한 후퇴에 따라 제1 밸브부로부터 제1 시트부가 탈락되며 수용측 몸체 내에 관통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측 몸체는 동작형 밸브체가 관통되는 제2 밸브시트홀 및 내주면에 돌출되어 제2 밸브시트홀 주위를 형성하되 동작형 밸브체의 제2 밸브부에 탈착하는 제2 시트부를 구비하고, 삽입측 몸체의 삽입에 따라 동작형 밸브체의 전방단부가 고정형 밸브체의 전방단부와 맞닿으며 동작형 밸브체가 후방으로 밀려 제2 밸브부가 제2 시트부로부터 탈락되며 삽입측 몸체 내에 관통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각각은, 수용측 몸체 내에서 슬라이딩 밸브시트를 탄성 지지하고 삽입측 몸체의 분리 시 제1 밸브부에 제1 시트부가 밀착되도록 슬라이딩 밸브시트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삽입측 몸체 내에서 동작형 밸브체를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고 삽입측 몸체의 분리 시 제2 밸브부가 제2 시트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측 몸체의 내측면의 슬라이딩 밸브시트의 동작구간 내에 제2 실링링이 구비되어 수용측 몸체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밸브시트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고정형 및 동작형 밸브체 각각은 밸브부 외에 샤프트부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밸브부 각각은 샤프트부의 둘레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 및 제2 시트부 각각과 밀착되는 부위에 실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각각은, 수용측 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샤프트부의 후방과 체결되어 고정형 밸브체를 지지하는 제1 밸브체지지부, 삽입측 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동작형 밸브체의 샤프트부 후방이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동작형 밸브체의 전후진을 안내하며 동작형 밸브체를 지지하는 제2 밸브체지지부 및 수용측 및 삽입측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에 결합 체결되는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삽입측 몸체의 전방부 둘레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모습에 따라,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 사이에서 냉매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기기에 있어서, 연결 배관에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하나 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가 설치되며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분리에 의한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기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이상의 연결배관을 한번에 안전하고 쉽게 분리하고 재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에서 중앙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체결유닛에 의한 미체결상태 및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 및 4c는 각각 도 4a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변형예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a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a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기준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 및 그의 분리상태, 그리고 기준선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기준선 C-C'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액관커넥팅유닛의 분리상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가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방향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로 설명되고 있는 경우 그러한 용어는 기준으로부터 정해지는 상대적 개념이고, 이때 기준은 본 명세서에서 직접 설명되거나 또는 직접 설명되지 않더라도 방향 및/또는 위치를 나타내는 구성과 관련 구성의 관계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설명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도 1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a 및 3b는 도 1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에서 중앙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각 체결유닛에 의한 미체결상태 및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 및 4c는 각각 도 4a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변형예의 분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a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a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7c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기준선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 및 그의 분리상태, 그리고 기준선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기준선 C-C'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액관커넥팅유닛의 분리상태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4b, 4c, 5 및 6에서 제1 및/또는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의 제1 내지 제4 밸브체들(13, 14, 23, 24)이 생략되어 도시되고 있다.
도 1에서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분리가능한 제1 커넥팅밸브유닛(10), 분리가능한 제2 커넥팅밸브유닛(20), 분리가능한 프레임유닛(30) 및 체결유닛(5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핀커넥터유닛(60) 및 액관커넥팅유닛(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핀커넥터유닛(60) 및 액관커넥팅유닛(70) 중 적어도 핀커넥터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4a 내지 8에서 도시되는 핀커넥터유닛(60) 및/또는 액관커넥팅유닛(70)이 전부 또는 일부 생략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1 커넥팅밸브유닛(10)은 제1 및 제2 몸체(11, 12)와 제1 및 제2 밸브체(13, 1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밸브체(13, 14) 각각은 제1 및 제2 몸체(11, 12)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한다. 제1 및 제2 몸체(11, 12)의 결합 체결 시 제1 및 제2 몸체(11, 12)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제1 및 제2 몸체(11, 12)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된다. 제2 커넥팅밸브유닛(20)은 제1 커넥팅밸브유닛(10)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2 커넥팅밸브유닛(20)은 제3 및 제4 몸체(21, 22)와 제3 및 제4 밸브체(23, 24)를 포함한다. 제3 및 제4 밸브체(23, 24) 각각은 제3 및 제4 몸체(21, 22)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한다. 제3 및 제4 몸체(21, 22)의 결합 체결 시 제3 및 제4 몸체(21, 22)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제3 및 제4 몸체(21, 22)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된다. 프레임유닛(30)은 제1 및 제3 몸체(11, 21)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30a)과 제2 및 제4 몸체(12, 22)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30b)을 포함한다.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에 따라 다른 하나를 체결한다. 이때,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몸체(11, 12) 간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간 결합을 고정시킨다.
이하에서,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을 살펴보고, 프레임유닛(30) 및 체결유닛(50)을 살펴본 후 핀커넥터유닛(60) 및 액관커넥팅유닛(70)을 살펴본다.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
먼저,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 2a, 2b, 4a, 4b, 4c, 5, 6 및/또는 7a를 참조하면, 제1 커넥팅밸브유닛(10)과 제2 커넥팅밸브유닛(20)은 나란하게 설치된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제1 커넥팅밸브유닛(10)은 제1 및 제2 몸체(11, 12)와 제1 및 제2 밸브체(13, 14)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밸브체(13, 14) 각각은 제1 및 제2 몸체(11, 12)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한다. 도 2a, 2b 및 7c를 참조하면, 제2 커넥팅밸브유닛(20)은 제3 및 제4 몸체(21, 22)와 제3 및 제4 밸브체(23, 24)를 포함하고, 제3 및 제4 밸브체(23, 24) 각각은 제3 및 제4 몸체(21, 22)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한다. 제1 내지 제4 몸체(11, 12, 21, 22)는 동 내지 동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내지 제4 밸브체(13, 14, 23, 24)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b, 4b, 4c 및 7b를 참조하면,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분리 시 제1 및 제2 몸체(11, 12)가 서로 분리되고 제3 및 제4 몸체(21, 22)가 서로 분리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 밸브체(13, 14)가 떨어지며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고, 제3 및 제4 밸브체(23, 24)가 떨어지며 각각의 유로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가 결합상태인 경우 제1 및 제2 몸체(11, 12)가 결합체결되고 제3 및 제4 몸체(21, 22)가 결합체결된다. 이때, 제1 및 제2 몸체(11, 12)의 결합유로 및 제3 및 제4 몸체(21, 22)의 결합유로가 개방된다. 예컨대, 도 7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밸브체(13, 14)가 맞닿아 밀리며 제1 및 제2 몸체(11, 12)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도 2a 및 7c를 참조하면 제3 및 제4 밸브체(23, 24)가 맞닿아 밀리며 제3 및 제4 몸체(21, 22)의 결합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은 동일 구조로 형성되거나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예에서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몸체(11, 12)의 결합 체결 및 제3 및 제4 몸체(21, 22)의 결합 체결시 각각의 어느 하나는 삽입측 몸체이고 다른 하나는 수용측 몸체이다. 이하에서, 제1 및 제3 몸체(11, 21)가 수용측 몸체(11, 21)이고 제2 및 제4 몸체(12, 22)가 삽입측 몸체(12, 22)인 경우를 예를 들어 수용측 몸체(11, 21)와 삽입측 몸체(12, 22)가 설명될 것이다.
예컨대, 도 2a, 2b, 3a, 4b, 4c, 5,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몸체(11, 12)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중 어느 하나의 각 전방부(12c, 22c)는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각각의 체결면에서 돌출되고 결합 체결 시 각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몸체(11, 12) 중 다른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중 다른 하나, 예컨대 수용측 몸체(11, 21)의 각 내측면 상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실링링(11a, 21a)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가 결합상태로 되는 경우, 제1 및 제2 몸체(11, 12)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삽입측 몸체(12, 22)의 각 전방부(12c, 22c)는 제1 및 제2 몸체(11, 12) 중 다른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중 다른 하나, 예컨대 수용측 몸체(11, 21)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 및 제2 밸브체(13, 14) 간에 그리고 제3 및 제4 밸브체(23, 24) 간에 각각 맞닿기 전에 제1 실링링(11a, 21a)을 지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수용측 몸체(11, 21)의 내측면의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의 동작구간 내에 제2 실링링(11b, 21b)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링링(11b, 21b)에 의해 수용측 몸체(11, 21)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실링링(11a, 21a) 또는/및 제2 실링링(11b, 21b)은 탄성재질의 오링, 예컨대 고무 오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밸브체(13, 14)의 어느 하나와 제3 및 제4 밸브체(23, 24)의 어느 하나는 수용측 몸체(11, 21) 내에서 고정지지되는 고정형 밸브체(13, 23)이고 각각의 다른 하나는 삽입측 몸체(12, 22)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동작형 밸브체(14, 24)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형 및 동작형 밸브체(13, 14, 23, 24)는 동일 구조나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하나의 예에서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2b, 4c, 5,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삽입측 몸체(12, 22)의 전방부(12c, 22c) 둘레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12d, 22d)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삽입측 몸체(12, 22)의 분리 시 수용측 몸체(11, 21) 내측면에 형성된 제1 실링링(11a, 21a)보다 잔압제거홀(12d, 22d)의 위치가 후퇴된 경우 잔압제거홀(12d, 22d)을 통하여 삽입측 몸체(12, 22) 내부의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분리되는 공간의 잔압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만일,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잔압제거홀(12d, 22d)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삽입측 몸체(12, 22)의 분리 시 내부 분리 공간에 남아 있는 유체의 압력, 즉 잔압에 의해 폭발하듯이 튕겨져 나갈 수 있어, 안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 각각은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는 수용측 몸체(11, 21) 내에서 탄성 지지되며 삽입측 몸체(12, 22)의 삽입에 따라 후퇴한다.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는 삽입측 몸체(12, 22)의 전방부(12c, 22c)에 의해 밀리며 수용측 몸체(11, 21) 내에서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는 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분리가능한 삽입측 및 수용측 몸체(11, 12, 21, 22) 각각에서의 전방은 삽입측 및 수용측 몸체(11, 12, 21, 22)가 결합되는 측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삽입측 및 수용측 몸체(11, 12, 21, 22)의 각 전방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삽입측 및 수용측 몸체(11, 12, 21, 22) 내에 구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프레임유닛(30) 및/또는 액관커넥팅유닛(7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는 제1 밸브시트홀(15a, 25a) 및 제1 밸브시트홀(15a, 25a) 주위에 형성된 제1 시트부(15b, 25b)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형 밸브체(13, 23)가 제1 밸브시트홀(15a, 25a)을 관통하고, 제1 시트부(15b, 25b)는 고정형 밸브체(13, 23)의 제1 밸브부(13a, 23a), 예컨대 고정형 밸브체(13, 23)의 샤프트부(13b, 23b) 둘레에 원판형으로 형성된 제1 밸브부(13a, 23a)에 탈착한다. 이때, 삽입측 몸체(12, 22)의 삽입에 의한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의 후퇴에 따라 제1 밸브부(13a, 23a)로부터 제1 시트부(15b, 25b)가 탈락되며 수용측 몸체(11, 21) 내에 관통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측 몸체(12, 22)의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의 제1 시트부(15b, 25b)가 제1 밸브부(13a, 23a)로 안착된다. 예컨대, 이때, 제1 밸브부(13a, 23a)에 안착되는 제1 시트부(15b, 25b) 부위는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제1 밸브부(13a, 23a)의 위치인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1 시트부(15b, 25b) 돌출부위의 내주면에 의해 제1 밸브시트홀(15a, 25a)이 구속되며 형성된다.
한편,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삽입측 몸체(12, 22)는 제2 밸브시트홀(12a, 22a) 및 내주면에 돌출되어 제2 밸브시트홀(12a, 22a) 주위를 형성하는 제2 시트부(12b, 2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동작형 밸브체(14, 24)는 제2 밸브시트홀(12a, 22a)을 관통하고, 동작형 밸브체(14, 24)의 제2 밸브부(14a, 24a), 예컨대 동작형 밸브체(14, 24)의 샤프트부(14b, 24b) 둘레에 원판형으로 형성된 제2 밸브부(14a, 24a)는 제2 시트부(12b, 22b)에 탈착된다. 삽입측 몸체(12, 22)의 삽입에 따라 동작형 밸브체(14, 24)의 전방단부가 고정형 밸브체(13, 23)의 전방단부와 맞닿으며 동작형 밸브체(14, 24)가 후방으로 밀려 제2 밸브부(14a, 24a)가 제2 시트부(12b, 22b)로부터 탈락되며 삽입측 몸체(12, 22) 내에 관통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측 몸체(12, 22)의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동작형 밸브체(14, 24)의 제2 밸브부(14a, 24a)가 제2 시트부(12b, 22b)로 안착된다. 예컨대, 제2 밸브부(14a, 24a)가 안착되는 제2 시트부(12b, 22b) 부위는 삽입측 몸체(12, 22)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부위에서 제2 밸브부(14a, 24a)의 위치인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2 시트부(12b, 22b) 돌출부위의 내주면에 의해 제2 밸브시트홀(12a, 22a)이 구속되며 형성된다.
예컨대, 고정형 밸브체(13, 23)는 제1 시트부(15b, 25b)와 탈착이 이루어지는 제1 밸브부(13a, 23a)를 구비하고, 동작형 밸브체(14, 24)는 제2 시트부(12b, 22b)에 탈착하는 제2 밸브부(14a, 24a)를 구비한다. 예컨대,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고정형 및 동작형 밸브체(13, 14, 23, 24) 각각은 밸브부(13a, 14a, 23a, 24a) 외에 샤프트부(13b, 14b, 23b, 24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밸브부(13a, 14a, 23a, 24a) 각각은 샤프트부(13b, 14b, 23b, 24b)의 둘레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및 제2 시트부(15b, 25b, 12b, 22b) 각각과 밀착되는 부위에 실링부(113a, 114a, 123a, 124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밸브부(13a, 14a, 23a, 24a)의 실링부(113a, 114a, 123a, 124a)는 원판 고리형 실링링일 수 있고, 예컨대 수지 재질, 예컨대 테플론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 각각은 제1 스프링(16a, 26a) 및 제2 스프링(16b, 2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16a, 26a)은 수용측 몸체(11, 21) 내에서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를 탄성 지지하고, 삽입측 몸체(12, 22)의 분리 시 제1 밸브부(13a, 23a)에 제1 시트부(15b, 25b)가 밀착되도록 슬라이딩 밸브시트(15, 25)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스프링(16b, 26b)은 삽입측 몸체(12, 22) 내에서 동작형 밸브체(14, 24)를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고, 삽입측 몸체(12, 22)의 분리 시 제2 밸브부(14a, 24a)가 제2 시트부(12b, 22b)에 밀착되도록 동작형 밸브체(14, 24)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도 2a, 2b,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 각각은 제1 밸브체지지부(17, 27) 및 제2 밸브체지지부(18, 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체지지부(17, 27)는 수용측 몸체(11, 21) 내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형 밸브체(13, 23)의 샤프트부(13b, 23b)의 후방과 체결되어 고정형 밸브체(13, 23)를 지지한다. 제2 밸브체지지부(18, 28)는 삽입측 몸체(12, 22) 내에 고정 설치되며 동작형 밸브체(14, 24)의 샤프트부(14b, 24b) 후방이 관통하는 가이드홀(18a, 28a)을 구비하여 동작형 밸브체(14, 24)의 전후진을 안내하며 동작형 밸브체(14, 24)를 지지한다. 예컨대, 제2 밸브체지지부(18, 28)는 후단이 삽입측 몸체(12, 22) 내부에 설치된 스냅링(118, 128)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홀(18a, 28a)이 형성된 기둥부위 둘레에 제2 스프링(16b, 26b)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 각각은 관 커넥터(19, 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 커넥터(19, 19a, 19b, 29, 29a, 29b)는 수용측 및 삽입측 몸체(12, 22)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에 결합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관 커넥터(19a, 29b, 29a, 29b)는 2개 이상 결합되어 수용측 몸체(11, 21) 및/또는 삽입측 몸체(12, 22)의 후방에 결합 체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관 커넥터(19, 29)는 너트, 니플, 유니언 또는 다른 관 이음매일 수 있다. 관 커넥터(19, 29)는 동 또는 동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관 커넥터(19, 29)의 결합부위에는 실링링 등의 기밀부재를 개재시켜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다.
프레임유닛(30)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프레임유닛(30)을 살펴본다. 도 1에서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유닛(30)은 제1 및 제3 몸체(11, 21)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30a)과 제2 및 제4 몸체(12, 22)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30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에서 제1 내지 제4 몸체(22)를 지지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상에 지지홈(도시되지 않음)이나 지지홀(31c) 또는 지지대들(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제1 내지 제4 몸체(22)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b, 4b, 4c 및 5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몸체(22) 각각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각각의 체결면에 구비되는 지지홀들(31c)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각각의 체결면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의 결합 체결 시 서로 마주하는 면을 의미한다. 예컨대, 각 체결면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각각의 수직구조부(31)에 형성된다.
이때, 도 2a, 2b, 3a, 4b, 4c, 5, 7a, 7b 및 7c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각각의 체결면에서 제1 및 제2 몸체(11, 12)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중 어느 하나의 각 전방부(12c, 22c)가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3a, 3b, 5 및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에 체결유닛(50)이 힌지결합될 수 있고,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다른 하나는 체결면 상에 돌출 형성된 체결핀(31b)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핀(31b)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의 결합 시 상대편 체결면을 통과하고, 체결유닛(50)에 형성된 곡선형 홈(53)과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핀(31b)은 상대편 프레임의 체결면 상에 형성된 핀통과부(31a)를 통과하여 체결유닛(50)에 형성된 곡선형 홈(53)과 체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b, 3a, 3b, 4c, 5, 7b 및 8을 참조하면, 체결핀(31b)의 말단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3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각각은 체결면을 갖는 수직구조부(31)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는 수직구조부(31)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32)에는 체결유닛(50)이 힌지결합된다. 도 3a, 3b, 4b, 5 및 8을 참조하면 힌지결합부(32)가 후방 돌출된 수직구조부(31)는 상대 프레임에서 돌출 형성된 체결핀(31b)이 통과하는 핀통과부(31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핀통과부(31a)는 수직방향으로 패인 홈구조이거나 도 3a, 3b, 4b,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구조부(31)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a, 4b 및5를 참조하면 힌지결합부(32)를 구비한 제1 프레임(30a)은 후방구조부(33)과 프레임커버(34)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후방구조부(33)는 수직구조부(31)의 지지홀들(31c)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 관연결체, 핀커넥터 등이나 그들과 연결되는 배관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힌지결합부(32)는 바닥커버와 일체로 형성되어 프레임커버(34)와 함께 커버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 2a, 2b, 4a, 4b, 4c, 5, 6, 7a, 7b 및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하나는 락킹부(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락킹부(35)는 체결되어 있던 체결유닛(50)의 체결해제를 방지한다. 예컨대, 도 4a, 4b, 4c 및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수직구조부(31) 상부에 고정홈(36)이 구비되고 체결유닛(50)의 손잡이(55)가 고정홈(36)에 안착되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하나의 프레임, 예컨대 체결유닛(50)과 힌지결합되지 않은 프레임(30b)에 형성된 락킹부(35)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시켜 고정홈(36)에 안착된 손잡이(55)의 상부를 덮어 체결유닛(50)의 체결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 2a 및 2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체결유닛(50)이 힌지결합된 프레임(30a)의 수직구조부(31) 상에 락킹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및 2b를 참조하면, 체결유닛(50)이 힌지결합된 프레임(30a)의 수직구조부(31) 상부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 락킹부(35)를 수직구조부(31) 상부를 따라 슬라이딩하거나 회전시켜 체결핀(31b)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유닛(50)의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하여 체결유닛(50)을 반대로 회전시켜 체결해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유닛(50)
계속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체결유닛(50)을 살펴본다. 도 1, 2b, 3a, 3b, 4a, 4b, 4c, 5, 6, 7a 및 8을 참조하면,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에 따라 다른 하나를 체결한다. 이때,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몸체(11, 12) 간 그리고 제3 및 제4 몸체(21, 22) 간 결합을 고정시킨다.
예컨대, 도 1, 3a, 3b, 5 및 8을 참조하면,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 예컨대 체결핀(31a)에 체결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a, 3b, 4c, 5, 7b 및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의 체결면 후방에서 힌지결합되고 힌지축(51)으로부터 이격된 체결걸이(53)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걸이(53)는 갈고리 형상 또는 홈 형상, 예컨대 곡선형 홈(53)일 수 있다. 이때, 체결유닛(50)의 힌지 회전에 따라 체결걸이(53), 예컨대 곡선형 홈(53)이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다른 하나는 체결면 상에 돌출된 체결핀(31b)에 체결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을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 3a, 3b, 5 및 8을 참조하면 체결유닛(50)은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10, 20) 사이에서 나란하게 힌지회전하도록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의 수직구조부(31)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32)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축(51)이 힌지결합부(32)에 구비된 홈(32a) 내지 홀에 지지되며 체결유닛(50)이 힌지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힌지축(51)은 체결유닛(50)의 일부로 힌지결합부(32)의 홈(32a) 내지 홀에 결합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힌지결합부(32)의 일부를 형성하고 체결유닛(50)에 힌지축이 결합되는 힌지홀 내지 힌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 3b, 4c, 5, 7b 및 8을 참조하면, 체결걸이(53)는 갈고리 형상(도시되지 않음) 또는 곡선형 홈 구조(53)이고,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53)는 걸림시작측보다 걸림내부측이 힌지축(51)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시작측은 힌지 회전에 따라 걸림이 시작되는 부위이고 걸림내부측은 걸림이 시작된 후 힌지 회전에 따라 최대 걸림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의미한다. 곡선형 홈 구조(53)에서 바깥쪽 곡선만 남기고 안쪽 곡선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분을 제거하면 갈고리 형상이 될 수 있다.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53)는 핀통과부(31a)를 통과한 체결핀(31b)을 끌어당기고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을 밀착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캠 방식으로 체결핀(31b)을 끌어당기며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을 밀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갈고리 형상(도시되지 않음) 또는 곡선형 홈 구조(53)는 체결핀(31b)의 말단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부(131b)에 대응되게 나란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b, 4a, 4b, 4c, 5, 7b 및 8을 참조하면 체결유닛(50)은 손잡이(55)를 구비하여 힌지회전을 원할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55)는 힌지결합부위와 체결걸이(53)를 구비하는 체결유닛(50)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유닛(50) 바디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a, 4b, 4c, 5, 7b 및 8을 참조하면 손잡이(55)가 체결유닛(50)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체결 시 상대측 프레임(30b)에 형성된 고정홈(36)에 안착될 수 있고, 예컨대 도 4a, 4b, 5 및 7a를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 보다 쉽게 힌지동작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55)에 결합되어 손잡이 부분을 연장시키는 손잡이 연장부(55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1, 3a 및 3b를 참조하면, 체결유닛(50) 바디에 손잡이 결합홈(54)이 형성되고 체결작업 및 분리작업시 손잡이 결합홈(54)에 예컨대 "┏━" 형 손잡이(55)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55)를 체결유닛(50)과 분리시켜 의도치 않은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하나에 형성된 락킹부(35)를 통해 손잡이(55)가 분리된 체결유닛(50)의 체결해제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핀커넥터유닛(60)
하나의 예에서,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분리가능한 핀커넥터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4b, 4c, 5, 6, 7a 및 7b를 참조하면 핀커넥터유닛(60)은 결합 체결에 따라 전기회로를 직렬로 연결시킨다. 도 4a, 4b, 4c, 5, 6, 7a 및 7b를 참조하면, 핀커넥터유닛(60)은 암수 핀커넥터(60a, 60b)을 포함할 수 있다. 암수 핀커넥터(60a, 60b) 각각은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의 각 체결면에 구비된 다른 지지홀(31c)에 각각 지지되며 결합 체결에 따라 회로를 직렬연결시킨다.
도 4c, 5, 7a 및 7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암 핀커넥터(60b)는 체결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암 핀커넥터(60b)가 돌출된 프레임의 수직구조부(31) 상에는 삽입형 몸체(12, 22)도 같이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 등의 공조기기의 열교환기들 사이에는 배관뿐만 아니라 전기케이블도 연결되므로, 핀케넉터유닛(60)으로 전기케이블도 유체배관과 함께 쉽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다.
액관커넥팅유닛(70)
하나의 예에서,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분리가능한 액관커넥팅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4b, 4c, 5, 6, 7c 및 9를 참조하면 액관커넥팅유닛(70)은 결합 체결에 따라 내부 유로가 개방된다. 도 4c, 7c 및 9를 참조하면, 액관커넥팅유닛(70)은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와 제1 및 제2 핀밸브체(73, 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는 제1 및 제2 프레임(30a, 30b)의 각 체결면에 구비된 별도의 지지홀(31c)에 각각 지지되며 각각 유로홀(71a, 72a)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핀밸브체(73, 74) 각각은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 각각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유로홀(71a, 72a)을 개폐한다.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의 결합 체결 시 유로홀(71a, 72a)이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의 결합 체결 시 제1 및 제2 핀밸브체(73, 74)가 맞닿아 서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예컨대, 도 7c 및 9를 참조하면, 액관커넥팅유닛(70)은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 각각의 내부에서 제1 및 제2 핀밸브체(73, 74) 각각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들(75, 76) 및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 각각의 내부에서 제1 및 제2 핀밸브체(73, 74) 각각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후방지지부들(77, 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c 및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 중 어느 하나의 전방부는 체결면에서 돌출되어 결합 체결 시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단부에 전방 유로홀(7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 중 다른 하나는 내측면에 구비되되 삽입된 전방부와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실링링(71b) 및 전방부의 삽입에 따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된 내측 유로홀(71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c 및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핀밸브체(73, 74) 각각은 전방 헤드(73a, 74a) 및 핀샤프트(73b, 74b)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전방 헤드(73a, 74a)는 전방 및 내측 유로홀(72a, 71a) 각각을 개폐하고, 각 핀샤프트(73b, 74b)는 각 전방 헤드(73a, 74a)에 연결되고 각 후방지지부(77, 78)를 관통한다. 각 전방 헤드(73a, 74a)의 단부는 돌출되어 제1 및 제2 관연결체(71, 72)의 결합 체결 시 맞닿아 서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각 전방 헤드(73a, 74a)의 원뿔대 사면 둘레를 따라 실링링(173a)이 구비되어 내측 및 전방 유로홀(71a, 72a)의 차단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공조 기기]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공조 기기를 살펴본다. 공조 기기는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기기이다. 예컨대, 제1 열교환장치인 본체와 제2 열교환장치인 응측기(실외기)가 연결배관으로 연결된 에어컨일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전술한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분리에 의해 연결 배관이 분리되며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가 연결 배관으로 연결되고 연결배관에 전술한 실시예들의 어느 하나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냉매의 손실이 거의 없이 에어컨 본체와 에어컨 실외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추후 재결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연결 배관에 설치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는 전술한 발명의 모습의 실시예에 설명된 바를 참조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0, 20: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11, 21: 제1 및 제3 몸체 또는 수용측 몸체
12, 22: 제2 및 제4 몸체 또는 삽입측 몸체
11a, 21a: 제1 실링링 11b, 21b: 제2 실링링
12a, 22a: 제2 밸브시트홀 12b, 22b: 제2 시트부
12c, 22c: 삽입측 몸체 전방부 12d, 22d: 잔압제거홀
13, 23: 제1 및 제3 밸브체 또는 고정형 밸브체
14, 24: 제2 및 제4 밸브체 또는 동작형 밸브체
13a, 23a: 제1 밸브부 14a, 24a: 제2 밸브부
13b, 14b, 23b, 24b: 샤프트부 15, 25: 슬라이딩 밸브시트
15a, 25a: 제1 밸브시트홀 15b, 25b: 제1 시트부
16a, 26a: 제1 스프링 16b, 26b: 제2 스프링
17, 27: 제1 밸브체지지부 18, 28: 제2 밸브체지지부
19, 19a, 19b, 29, 29a, 29b: 관 커넥터
30: 프레임유닛 30a, 30b: 제1 및 제2 프레임
31: 수직구조부 31a: 핀통과부
31b: 체결핀 31c: 지지홀
32: 힌지결합부 33: 후방구조부
35: 락킹부 50: 체결유닛
51: 힌지축 53: 체결걸이 또는 곡선형 홈
55: 손잡이 55a: 손잡이 연장부
60: 핀커넥터유닛 60a: 수 핀커넥터
60b: 암 핀커넥터 70: 액관커넥팅유닛
71, 72: 제1 및 제2 관연결체 71a, 72a: 유로홀
73, 74: 제1 및 제2 핀밸브체 73a, 74a: 전방 헤드
73b, 74b: 핀샤프트 75, 76: 지지스프링
77, 78: 후방지지부

Claims (13)

  1. 제1 및 제2 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1 및 제2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체결 시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는, 분리가능한 제1 커넥팅밸브유닛;
    제3 및 제4 몸체와 상기 제3 및 제4 몸체 각각 내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3 및 제4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 체결 시 상기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유로가 개방되고 상기 제3 및 제4 몸체의 분리 시 각각의 유로가 차단되되, 상기 제1 커넥팅밸브유닛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분리가능한 제2 커넥팅밸브유닛;
    상기 제1 및 제3 몸체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및 제4 몸체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분리가능한 프레임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에 따라 다른 하나를 체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몸체 간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몸체 간 결합을 고정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체결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체결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결합 고정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의 체결면에 구비되는 지지홀들에 상기 제1 내지 제4 몸체 각각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몸체 중 어느 하나의 각 전방부는 상기 체결면에서 돌출되되 결합 체결 시 각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몸체 중 다른 하나의 각 내측면 상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 실링링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전방부가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몸체 중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밸브체 간에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밸브체 간에 각각 맞닿기 전에 상기 제1 실링링을 지나면서 기밀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4. 청구항 2에서,
    결합 체결에 따라 전기회로가 직렬 연결되는 분리가능한 핀커넥터유닛 및 결합 체결 시 내부 유로가 개방되는 분리가능한 액관커넥팅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핀커넥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체결면에 구비된 다른 지지홀에 각각 지지되며 결합 체결에 따라 회로를 직렬연결시키는 암수 핀커넥터을 포함하고,
    상기 액관커넥팅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각 체결면에 구비된 별도의 지지홀에 각각 지지되며 각각 유로홀을 구비하는 제1 및 제2 관연결체와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 각각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유로홀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핀밸브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의 결합 체결 시 상기 유로홀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암 핀커넥터는 상기 체결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액관커넥팅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핀밸브체 각각을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들 및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 각각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핀밸브체 각각의 전후진을 가이드하는 후방지지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 중 어느 하나의 전방부는 상기 체결면에서 돌출되어 결합 체결 시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단부에 전방 유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 중 다른 하나는 내측면에 구비되되 삽입된 상기 전방부와 사이에 기밀을 유지시키는 실링링 및 상기 전방부의 삽입에 따라 맞닿는 부위에 형성된 내측 유로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핀밸브체 각각은 상기 전방 및 내측 유로홀 각각을 개폐하는 전방 헤드 및 상기 전방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후방지지부를 관통하는 핀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헤드의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연결체의 결합 체결 시 맞닿아 서로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체결면 후방에서 힌지결합되고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된 체결걸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는 체결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결합 시 상대편 체결면을 통과하는 체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유닛의 힌지 회전에 따라 상기 체결걸이가 상기 체결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체결면을 갖는 수직구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수직구조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결합부가 후방 돌출된 상기 수직구조부는 상기 체결핀이 통과하는 핀통과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사이에서 나란하게 힌지회전하도록 상기 힌지결합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체결걸이는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이고,
    상기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는 걸림시작측보다 걸림내부측이 힌지축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통과부를 통과한 상기 체결핀을 끌어당기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밀착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8. 청구항 6에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하나는 체결된 상기 체결유닛의 체결해제를 방지하는 락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핀의 말단부에 좌우측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걸이는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이고,
    상기 갈고리 형상 또는 곡선형 홈 구조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게 나란한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9.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은 동일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몸체의 결합 체결 및 상기 제3 및 제4 몸체의 결합 체결시 각각의 어느 하나는 삽입측 몸체이고 다른 하나는 수용측 몸체이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체의 어느 하나와 상기 제3 및 제4 밸브체의 어느 하나는 상기 수용측 몸체 내에서 고정지지되는 고정형 밸브체이고 각각의 다른 하나는 상기 삽입측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는 동작형 밸브체이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각각은 상기 수용측 몸체 내에서 탄성 지지되며 상기 삽입측 몸체의 삽입에 따라 후퇴하는 슬라이딩 밸브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밸브시트는 상기 고정형 밸브체가 관통하는 제1 밸브시트홀 및 상기 제1 밸브시트홀 주위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형 밸브체의 제1 밸브부에 탈착하는 제1 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측 몸체의 삽입에 의한 후퇴에 따라 상기 제1 밸브부로부터 상기 제1 시트부가 탈락되며 상기 수용측 몸체 내에 관통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측 몸체는 상기 동작형 밸브체가 관통되는 제2 밸브시트홀 및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2 밸브시트홀 주위를 형성하되 상기 동작형 밸브체의 제2 밸브부가 탈착되는 제2 시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측 몸체의 삽입에 따라 상기 동작형 밸브체의 전방단부가 상기 고정형 밸브체의 전방단부와 맞닿으며 상기 동작형 밸브체가 후방으로 밀려 상기 제2 밸브부가 상기 제2 시트부로부터 탈락되며 상기 삽입측 몸체 내에 관통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10. 청구항 9에서,
    상기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각각은, 상기 수용측 몸체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 밸브시트를 탄성 지지하고 상기 삽입측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1 밸브부에 상기 제1 시트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밸브시트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삽입측 몸체 내에서 상기 동작형 밸브체를 후방에서 탄성 지지하고 상기 삽입측 몸체의 분리 시 상기 제2 밸브부가 상기 제2 시트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제2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측 몸체의 내측면의 상기 슬라이딩 밸브시트의 동작구간 내에 제2 실링링이 구비되어 상기 수용측 몸체의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밸브시트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고,
    상기 고정형 및 동작형 밸브체 각각은 상기 밸브부 외에 샤프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밸브부 각각은 상기 샤프트부의 둘레에서 원판형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 각각과 밀착되는 부위에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제 1 및 제2 커넥팅밸브유닛 각각은, 상기 수용측 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의 후방과 체결되어 상기 고정형 밸브체를 지지하는 제1 밸브체지지부, 상기 삽입측 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동작형 밸브체의 샤프트부 후방이 관통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동작형 밸브체의 전후진을 안내하며 상기 동작형 밸브체를 지지하는 제2 밸브체지지부 및 상기 수용측 및 삽입측 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후방에 결합 체결되는 관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12. 청구항 9에서,
    상기 삽입측 몸체의 전방부 둘레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잔압제거홀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유닛의 일측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체결면 후방에서 힌지결합되고 타측에는 곡선형 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중 다른 하나는 체결면 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결합 시 상대편 체결면을 통과하는 체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유닛의 힌지 회전에 따라 상기 곡선형 홈이 상기 체결핀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13.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 사이에서 냉매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연결 배관으로 연결된 공조 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에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의 분리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장치의 분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기기.
KR1020170171832A 2017-12-14 2017-12-14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2065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32A KR102065668B1 (ko) 2017-12-14 2017-12-14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32A KR102065668B1 (ko) 2017-12-14 2017-12-14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93A true KR20190071093A (ko) 2019-06-24
KR102065668B1 KR102065668B1 (ko) 2020-01-13

Family

ID=6705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832A KR102065668B1 (ko) 2017-12-14 2017-12-14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KR20100066793A (ko) 2008-12-10 2010-06-18 한국원자력연구원 분리형 볼밸브장치 및 볼밸브어셈블리
JP5047292B2 (ja) * 2007-08-10 2012-10-10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装置
KR20150142831A (ko) * 2014-06-11 2015-12-23 이종천 분리형 볼밸브 장치
KR20170001449U (ko)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기하정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7292B2 (ja) * 2007-08-10 2012-10-10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装置
KR20090056148A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성신모텍 퀵 커넥터
KR20100066793A (ko) 2008-12-10 2010-06-18 한국원자력연구원 분리형 볼밸브장치 및 볼밸브어셈블리
KR20150142831A (ko) * 2014-06-11 2015-12-23 이종천 분리형 볼밸브 장치
KR20170001449U (ko) 2015-10-14 2017-04-24 주식회사 기하정밀 배관용 퀵 커넥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68B1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8265B2 (en) Single-use aseptic fluid couplings
CA2366968C (en) Automatic dry release connector
RU2447351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лапанами
KR980003345A (ko) 열교환장치, 이의 냉매 재사용 및 회수방법
US9080705B2 (en) Connector
US10975983B2 (en) Wireform clip for use with supply valves
US7600788B2 (en) Fast-fit coupling for a fluid circulation system
CN113544426A (zh) 盲配流体连接器
JP4777147B2 (ja) 接続支管
KR20190071093A (ko) 멀티 커넥팅밸브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1878041B1 (ko) 잔압제거형 배관 커넥팅 장치 및 공조 기기
KR100968247B1 (ko) 스펙터클 블라인드 밸브
KR20060096950A (ko) 배관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한 냉매배관
CN216279978U (zh) 一种用于换电车辆的接头组件及换电车辆
KR101618639B1 (ko)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KR20160117774A (ko) 유로관 연결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N212930489U (zh) 热水器的水路组件和热水器
KR102029153B1 (ko) 유압오일배출부를 구비한 멀티커플러 연결장치
US20210003240A1 (en) Wall socket
KR101786065B1 (ko) 퀵 분리형 볼밸브 장치
JP2018036022A (ja) 給湯口アダプター
KR20170142302A (ko) 퀵 커플러
CN218294871U (zh) 接头组件、电池包液冷系统及电池包测试系统
CN218954313U (zh) 一种接头组件和管道接头
CN220172238U (zh) 液冷板、电池总成及用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