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27A -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 Google Patents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27A
KR20170001427A KR1020150091404A KR20150091404A KR20170001427A KR 20170001427 A KR20170001427 A KR 20170001427A KR 1020150091404 A KR1020150091404 A KR 1020150091404A KR 20150091404 A KR20150091404 A KR 20150091404A KR 20170001427 A KR20170001427 A KR 20170001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rubber
plate
w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071B1 (ko
Inventor
최지호
장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07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6Ground engaging parts o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4Toothed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로킷(2) 및 가이드 롤러(6)를 포함하는 고무 궤도로서, 상기 스프로킷(2)과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6)와 접촉하는 심금(100), 궤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궤도의 인장력을 보강하는 스틸 코드(210); 및 상기 심금(100)의 일부와 상기 스틸 코드(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궤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200)를 포함하고, 상기 심금(100)은, 일면으로부터 상기 궤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로킷(2)과 접촉하는 날개부(300)를 구비하는 고무 궤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Rubber crawler improving the abrasion of rubber}
본 발명은 굴삭기, 운반차, 특수목적기계와 같은 중장비 차량들의 이송 수단으로 사용되는 고무 궤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고무 궤도에 동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과 상기 고무 궤도의 접촉으로 인해 고무의 내구 수명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궤도로 전달되는 동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고무 궤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궤도는 외면을 형성하는 고무와, 상기 고무 내에 삽입되는 금속 심금 및 스틸 코드를 조합하여 제작되며, 이러한 궤도는 콤바인, 운반차, 굴삭기, 소형 제설차 등의 농업용 또는 건설용 기계의 바퀴 부품으로 사용된다. 상기 궤도가 지반을 따라 이동할 때, 이러한 지반 환경에 대응하여 구동 가능하므로 작업 능률 향상과 함께 환경친화적인 이동 또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고, 특히 굴삭기에 상기 궤도가 사용될 때, 스틸 체인의 대체품으로 상기 고무 궤도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 또는 작업시 소음 또는 진동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틸 체인에 비해 고무 궤도는 가벼운 무게로 인하여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궤도는 엔진의 구동력을 궤도에 전달하는 심금과, 차량의 주행시 엔진의 주행 부하를 견디고 장기간 사용시 파단을 방지하기 위한 스틸 코드와, 상기 심금 및 스틸 코드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고무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무 내에 상기 심금의 본체 부분 및 상기 스틸 코드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궤도의 주행을 위해 엔진에서 제공되는 동력이 스프로킷으로 전달된다. 상기 스프로킷은 상기 궤도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심금을 감싸는 고무와 접촉하여 상기 궤도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금속 재질인 스프로킷과 심금을 감싸는 부분의 고무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궤도로 동력이 전달된다. 다만, 지반의 환경이 좋지 못한 경우, 예를 들면 자갈이나 입자가 큰 모래 등이 다수 존재하는 농경지에서 트랙터 등의 차량 운행시,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고무의 접촉 강도가 더욱 강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고무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장기간 주행 또는 작업시 상기 고무와 금속 재질의 스프로킷이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고무가 마모됨에 따라 상기 고무의 내구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스프로킷과 고무는 제한적인 부분에서만 접촉할 수 있었다. 따라서, 차량에 동력을 더욱 많이 전달하여 결과적으로 동력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궤도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 보다 넓어질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74321호 공보(2001. 08. 04. 공개).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스프로킷이 고무가 아닌 금속 재질의 심금과 직접 접촉하여 고무의 마모 또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심금이 접촉하는 부분을 종래에 비해 넓게 형성하여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무 궤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로킷 및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고무 궤도로서, 상기 스프로킷과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와 접촉하는 심금, 궤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궤도의 인장력을 보강하는 스틸 코드 및 상기 심금의 일부와 상기 스틸 코드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궤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를 포함하고, 상기 심금은, 일면으로부터 상기 궤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로킷과 접촉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는 고무 궤도를 제공를 제공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심금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 중 스프로킷에 접촉하는 부분의 고무를 제거하여 금속 재질의 스프로킷이 금속 재질의 심금과 접촉하므로 고무가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차단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로킷과 접촉하는 심금의 일 부분에 궤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심금이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상기 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심금으로 동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의 중앙 또는 단부에는 상기 날개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가 설치되므로 상기 스프로킷과 상기 날개부가 직접 접촉하더라도 상기 날개부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무 궤도와 스프로킷 또는 가이드 롤러의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고무 궤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고무 궤도의 일 구성인 심금의 상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심금의 하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에 대한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고무 궤도와 상기 스프로킷이 서로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고무 궤도와 상기 스프로킷이 접촉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고무 궤도와 상기 가이드 롤러가 서로 결합한 모습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무 궤도와 스프로킷 또는 가이드 롤러의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고무 궤도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궤도(1)는 폐곡선 루프의 형상을 가지고, 루프의 내부 양측에 스프로킷(2)이 배치된다. 상기 스프로킷(2)은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동력을 상기 궤도(1)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로킷(2)은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로 구성되고, 이러한 두 개의 스프로킷(2)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상기 루프의 내부에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스프로킷(2)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스프로킷(2)의 일 부분은 상기 궤도(1)의 일 구성인 심금(100)과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로킷(2)의 양단에는 상기 심금(100)에 접촉하는 스프로킷 톱니부(3, 4)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는 상기 스프로킷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일단에 배치되는 제1 스프로킷 톱니부(3) 및 타단에 배치되는 제2 스프로킷 톱니부(4)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스프로킷 톱니부(3)가 상기 심금(100)의 일측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스프로킷 톱니부(4)가 상기 심금(100)의 타측에 접촉하여 엔진으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을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에 의해 상기 궤도(1)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스프로킷 톱니부(3)와 상기 제2 스프로킷 톱니부(4)는 상기 궤도(1)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스프로킷 홈(101)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는 상기 스프로킷 홈(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심금(100)에 접촉하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스프로킷(2) 사이에는 상기 궤도(1)가 차량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롤러(6)가 설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 롤러(6)는 차량의 주행을 담당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6)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롤러(6)는 상기 심금(100)의 일측에 접촉하는 제1 안내 롤러(6a) 및 상기 심금(100)의 타측에 접촉하는 제2 안내 롤러(6b)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심금(100)은 고무가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돕고자 고무를 생략하였다. 상기 제1 안내 롤러(6a)와 상기 제2 안내 롤러(6b)는 상기 심금(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내 롤러(6a)는 상기 제1 스프로킷 톱니부(3)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심금(100)의 중앙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안내 롤러(6b)는 상기 제1 스프로킷 톱니부(3)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심금(100)의 중앙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심금(100)의 중앙에서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내 롤러(6a, 6b)와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가 순차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롤러(6a)와 상기 제2 안내 롤러(6b)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상기 심금(100)의 일 구성인 돌출부(11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안내 롤러(6a)와 상기 제2 안내 롤러(6b) 사이에 상기 돌출부(110)가 삽입된 상태로 차량의 주행 또는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궤도(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궤도(1)는 상기 스프로킷(2)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6)와 접촉하여 차량의 궤도 이탈을 방지하는 심금(100)과, 궤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궤도(1)의 인장력을 보강하는 스틸 코드(210)와, 상기 심금(100)의 일부와 상기 스틸 코드(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고무(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심금(100)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고무 궤도의 일 구성인 심금의 상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심금의 하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심금(100)은 상기 궤도(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30)의 상면은 상기 스프로킷(2)과 상기 가이드 롤러(6)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동력 전달 기능과 궤도(1)의 이탈 방지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플레이트(130)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플레이트(130)로부터 상기 궤도(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0)는 상기 가이드 롤러(6)의 안내 롤러(6a, 6b) 사이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상기 궤도(1)의 내측 방향이란 고무 궤도(1)의 조립시 상기 궤도(1)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상기 궤도(1)의 외측 방향이란 상기 궤도(1)의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플레이트(130)는 상기 돌출부(110)를 기준으로 일측,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10)의 좌측에 배치되는 부분(제1 플레이트)과, 타측,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10)의 우측에 배치되는 부분(제1 플레이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궤도(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날개부(310)가 형성되고,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일면으로부터 상기 궤도(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날개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날개부(310)와 상기 제2 날개부(320)는 상기 스프로킷(2)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고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되어있다. 상기 제1 날개부(310)와 상기 제2 날개부(320)는 상기 돌출부(11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고,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는 상기 날개부(310, 320)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심금(100)에 본 발명의 날개부와 대응되는 구성이 형성되지 않아서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와 상기 심금(100)의 접촉 면적이 제한되어 있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일면으로부터 곡면으로 연장되는 날개부(310, 320)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가 각각 상기 날개부(310, 320)에 추가로 접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동력전달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동력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날개부(310, 320)의 상면에는 고무(200)가 거의 도포되지 않거나 전혀 도포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플레이트(130)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6)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고무(200)가 도포되지만,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상기 고무(200)가 도포되지 않거나, 상기 플레이트(130)에 도포되는 고무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이 도포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상면 전체에 고무가 도포되어 금속 재질의 스프로킷(2)이 고무에 접촉하여 상기 고무의 마모 또는 손상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로킷(2)은 고무(200)가 아닌 금속 재질의 심금(100)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상기 고무(200)의 마모 또는 손상 등의 문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금속 재질의 스프로킷(2)이 금속 재질의 심금(100), 구체적으로 날개부(310, 320)에 접촉시 상기 날개부(310, 320)의 균열 또는 파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상기 날개부(310, 320)에는 리브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날개부(310)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1 전방 날개부(311) 및 제1 후방 날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310)의 후면에는 일측이 상기 제1 전방 날개부(311)의 중앙 지점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 후방 날개부(312)의 중앙 지점과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중앙 리브(313)가 형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날개부(320)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 전방 날개부(321) 및 제2 후방 날개부(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날개부(320)의 후면에는 일측이 상기 제2 전방 날개부(321)의 중앙 지점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 후방 날개부(322)의 중앙 지점과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중앙 리브(3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중앙 리브(313)와 상기 제2 중앙 리브(323)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중앙 리브(313)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중앙 리브(323)에 결합하는 연결 리브(333)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중앙 리브(313), 상기 제2 중앙 리브(323) 및 상기 연결 리브(333)에 의해 상기 심금(100), 특히 상기 날개부(310, 320)가 상기 스프로킷 톱니부(3, 4)와 접촉하더라도 그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고 상기 날개부(310, 3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심금(100) 중 상기 스프로킷(2)과 접촉하는 부분은 경화 과정을 거쳐서 제조함에 따라 상기 심금(100), 특히 상기 날개부(310, 320)의 강도가 보강되어 균열의 위험을 추가로 줄일 수 있다.
상기 날개부(310, 3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도 5는 도 4의 리브(313, 323, 333)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게 날개부(300)가 제1 날개부(310)와 제2 날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310)와 제2 날개부(32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날개부(3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상기 제2 날개부(3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날개부(310)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전방 날개부(311) 및 후방 날개부(312)를 포함한다.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의 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부 리브(316a, 316b)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 리브(316a, 316b)는,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의 일단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단부 리브(316a) 및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 단부 리브(316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부 리브(316a)와 상기 제2 단부 리브(316b)가 병렬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날개부(310)의 강도가 보강되고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는 강도 보강을 위한 리브를 포함하는 구성이 아니라 도 5를 참조하여 제1 단부 리브(316a), 상기 제2 단부 리브(316b), 전방 날개부(311) 및 후방 날개부(312)에 의해 생기는 빈 공간을 채운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고무 궤도 2: 스프로킷
5: 가이드 롤러 100: 심금
110: 돌출부 130: 플레이트
200: 고무 210: 스틸 코드
300: 날개부 313, 323: 중앙 리브
316a, 316b: 단부 리브

Claims (8)

  1. 스프로킷(2) 및 가이드 롤러(6)를 포함하는 고무 궤도로서,
    상기 스프로킷(2)과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6)와 접촉하는 심금(100);
    궤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궤도의 인장력을 보강하는 스틸 코드(210); 및
    상기 심금(100)의 일부와 상기 스틸 코드(2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궤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무(200)를 포함하고,
    상기 심금(100)은, 일면으로부터 상기 궤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로킷(2)과 접촉하는 날개부(3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금(100)은,
    상기 궤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평한 일면을 가지는 플레이트(130); 및
    상기 가이드 롤러(6)에 삽입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30)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궤도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300)와 상기 돌출부(110)의 연장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돌출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부(310) 및 제2 날개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날개부(310)와 상기 제2 날개부(320)는 상기 스프로킷(2)과 접촉하여 상기 스프로킷(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전방 날개부(311, 321) 및 후방 날개부(312, 322)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 321)의 중앙 지점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 322)의 중앙 지점과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리브(313, 3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리브는, 상기 돌출부(110)를 기준으로 상기 플레이트(130) 후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중앙 리브(313) 및 상기 플레이트(130) 후면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중앙 리브(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 리브(313)와 상기 제2 중앙 리브(323)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제1 중앙 리브(313)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중앙 리브(323)에 결합하는 연결 리브(33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0)는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전방 날개부(311) 및 후방 날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130)의 후면에는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의 단부와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플레이트(13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부 리브(316a, 316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리브는,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의 일단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의 일단과 결합하는 제1 단부 리브(316a); 및
    일측이 상기 전방 날개부(311)의 타단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후방 날개부(312)의 타단과 결합하는 제2 단부 리브(316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300)는 고무가 도포되지 않거나 상기 플레이트(130)에 도포되는 고무의 양보다 더 적은 양의 고무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궤도.
KR1020150091404A 2015-06-26 2015-06-26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KR10206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404A KR102066071B1 (ko) 2015-06-26 2015-06-26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404A KR102066071B1 (ko) 2015-06-26 2015-06-26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27A true KR20170001427A (ko) 2017-01-04
KR102066071B1 KR102066071B1 (ko) 2020-01-14

Family

ID=5783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404A KR102066071B1 (ko) 2015-06-26 2015-06-26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0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640A (zh) * 2019-05-29 2019-07-19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橡胶带式履带芯金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329A (en) * 1976-05-10 1977-03-30 Ohtsu Tire & Rubber Co Ltd Endless belt for crawler vehicles
JPH01154980U (ko) * 1988-04-12 1989-10-25
KR20010074321A (ko) 2000-01-22 2001-08-04 송인혁 무심금 궤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1329A (en) * 1976-05-10 1977-03-30 Ohtsu Tire & Rubber Co Ltd Endless belt for crawler vehicles
JPH01154980U (ko) * 1988-04-12 1989-10-25
KR20010074321A (ko) 2000-01-22 2001-08-04 송인혁 무심금 궤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7640A (zh) * 2019-05-29 2019-07-19 北京北方车辆集团有限公司 一种橡胶带式履带芯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071B1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4822B2 (en) Crawler track
KR101054483B1 (ko) 크롤러 벨트의 트랙 슈를 연결시키기 위한 링크, 크롤러 벨트를 위한 어셈블리, 및 크롤러 벨트
EP2327611B1 (en) Vehicle track
US9567022B2 (en) Vehicle track
KR101138913B1 (ko) 크롤러 벨트
US9315225B2 (en) Segmented track and track segment therefor
US9446805B2 (en) Track assembly having arcuate crawler shoes
US9796436B2 (en) Undercarriage track link assembly having offset link gaps
US7823988B2 (en) Crawler without steel cores
EP2727801B1 (en) The annular inner core of rubber track, track chains and chain-driven vehicles
KR20170001427A (ko) 고무의 마모 현상을 개선한 고무 궤도
US10710653B2 (en) Self aligning idler wheel design for rubber tracks
CN210971336U (zh) 一种vt型橡胶履带结构
US10343735B2 (en) Rubber track chain segment
JP2011240820A (ja) クローラ用の芯金及びゴムクローラ
JP5788662B2 (ja) 弾性クローラ
WO2014138931A1 (en) Track for traction of an off-road vehicle
JP4037715B2 (ja) 弾性クローラ
KR101860368B1 (ko) 크롤러용 심금 및 이를 포함하는 크롤러
JP2013035366A (ja) 弾性クローラ及びクローラ走行装置
JP5588283B2 (ja) 弾性クローラ
KR20130077970A (ko) 고무타입 무한궤도의 메탈코어
JP2013010444A (ja) クローラ用芯金及び弾性クローラ
JPH04191183A (ja) ゴム履帯
JP2012158298A (ja) クローラ用芯金及び弾性ク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