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369U -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369U
KR20170001369U KR2020150006581U KR20150006581U KR20170001369U KR 20170001369 U KR20170001369 U KR 20170001369U KR 2020150006581 U KR2020150006581 U KR 2020150006581U KR 20150006581 U KR20150006581 U KR 20150006581U KR 20170001369 U KR20170001369 U KR 20170001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holder
cutting
knife holder
wet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945Y1 (ko
Inventor
이정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엔지니어링
이정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엔지니어링, 이정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50006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4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3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26D1/36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4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 B26D1/40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티슈 제조를 위한 물티슈 원단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롤러(101)와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베이스롤러(101)와 상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나이프홀더부(120)의 삽입 배치를 위한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이 간격 형성되는 커팅롤러(110); 상기 커팅롤러(110)의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삽입되고 상부가 노출 배치상태로 커팅롤러(110)에 체결 조립되는 홀더(121)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121)의 상부에 나이프(130)를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 및 조립하기 위한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이 경사 형성되는 나이프홀더부(120);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되어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된 상태로 체결 조립되는 나이프(130);를 포함하며, 상기 나이프(130)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몸체로 형성시켜 사방(四方)의 네 모서리라인 부분을 칼날(131)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나이프와 나이프홀더부를 세트로 구비하여 커팅롤러 측에 조립 장착할 수 있고,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함과 더불어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로 나이프를 형성함으로써 나이프의 네 모서리라인 부분을 모두 칼날로 형성 및 이를 물티슈 원단의 절단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FABRIC CUTTING DEVICE FOR MANUFACTURING OF WET TISSUE}
본 고안은 물티슈를 제조함에 있어 물티슈 원단을 절단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물티슈 원단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이프를 세트(set) 구성으로 하되 구조 개선을 통해 1개의 나이프에서 다수의 칼날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칼날의 마모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칼날 형성을 위한 연마시간도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나이프의 장착을 위한 일련의 셋팅(setting) 또는 리셋팅(resetting)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음식점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때로는 영업 판촉물로도 사용되고 있는데, 주로 부직포를 원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주재료인 부직포가 롤 타입으로 감겨져 연속 공급되고, 접으며, 가수하여 물을 흡수시킨 후 절단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 상에서 수행함으로써 대량생산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하나의 장치상에 주재료인 부직포를 연속 공급하고 공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원단공급부와, 부직포를 접기 위한 폴딩부와, 부직포를 공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부직포를 잡아 지지하여주기 위한 홀더부와, 부직포에 물을 공급하여 가수하여주기 위한 물공급부와, 부직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와, 절단된 부직포를 포장하기 위해 이송 처리하기 위한 이송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구성이 요구된다.
이때, 원단공급부를 통해 연속 공급되는 부직포를 이송시키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하려면 이송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롤러가 한쌍으로 설치되고, 서로 회전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 사이로 부직포가 통과할 시 절단부로 안내되는데, 여기에서 가이드롤러는 절단되는 부직포가 절단 후에도 장력에 의해 이탈되거나 위치가 변화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겸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부직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부는 한쪽에 나이프(knife)가 달린 커팅롤러가 구비되고, 이에 대항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는 베이스롤러가 한쌍 구조로 설치되며, 이들이 서로 회전할 때 그 사이를 부직포가 통과하면서 압력을 받아 커팅롤러의 나이프에 의해 절단 처리된다.
여기에서, 커팅롤러와 베이스롤러가 서로 회전하며 나이프와 베이스롤러가 대항하여 압력을 가해야 부직포가 절단되는데, 이때 나이프의 칼날이 단단한 금속체인 베이스롤러와 접촉되므로 칼날이 쉽게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렇게 되면 물티슈 원단인 부직포가 완전하게 절단되지 못하고 감기게 되어 절단장치의 운전 정지는 물론 시스템 전체의 운전이 불가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베이스롤러와의 압력 작용관계로 인해 마모된 나이프의 칼날은 커팅롤러에서 분리해낸 후, 연마전문공장에 의뢰하여 재생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나이프의 칼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쪽 부분에 임의의 각도를 주어 연마해야되며, 이때 칼날은 임의의 각도 형성에 의해 예리하게 형성되므로 연마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재사용시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사각 연마에 의해 절단을 수행하는 칼날이 한곳에만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쉽게 마모되고 칼날 재생을 위한 연마 횟수가 빈번해지며, 이로 인한 경비 발생은 물론 제품 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부연하여, 종래 사용되고 있는 나이프는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칼날(B1; Blade)이 한곳으로만 형성되도록 끝이 뾰족한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칼날(B1)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연마작업으로 임의의 경사각을 주는 관계로 칼날을 한 개씩 개별 연마할 수밖에 없어 연마비용은 물론 연마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러한 임의의 경사각을 갖는 구조로 칼날(B1)은 예리해지고 마모가 급격하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나이프(K; Knife)를 나이프홀더부(H; Holder)에 장착한 후 커팅롤러 측에 다시 조립하게 되는 일련의 셋팅(setting) 또는 리셋팅(resetting) 작업이 빈번해질 수밖에 없어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경비가 증대됨은 물론 제품 생산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결국은 물티슈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칼날(B1)을 나이프홀더부(H)에 장착한 후 커팅롤러 측에 조립하는 등의 셋팅 작업을 수행할 때, 칼날(B)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을 수행할 시 상하위치 조정볼트(B2; Bolt)가 나이프홀더부(H)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수직 배치 및 나이프홀더부(H)의 밑면에 위치하므로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0834호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이프를 세트(set) 구성으로 하되 구조 개선을 통해 1개의 나이프에서 다수의 칼날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칼날의 마모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칼날 형성을 위한 연마시간도 줄일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나이프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셋팅(setting) 또는 리셋팅(resetting)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칼날의 상하 위치조정 작업 또한 편리하게 하며, 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물티슈 제조에 따른 절단작업의 효율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나이프의 칼날을 임의의 경사각이 아닌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각도 연마를 평면 연마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나이프 1개에 다수의 칼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칼날의 마모 속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절단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는, 베이스롤러(101)와 서로 마주하여 한쌍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베이스롤러(101)와 상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나이프홀더부(120)의 삽입 배치를 위한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커팅롤러(110); 상기 커팅롤러(110)의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삽입 가능한 몸체의 홀더(121)로 구비되고 상부가 노출 배치된 상태로 커팅롤러(110)에 체결 조립되며, 홀더(121)의 상부에 나이프(130)를 삽입 조립하되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하기 위한 나이프경사배치홈(12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나이프홀더부(120);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되어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된 상태로 체결 조립되는 나이프(130);를 포함하며, 상기 나이프(130)와 나이프홀더부(120)를 세트로 구비하여 상기 커팅롤러(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나이프(130)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몸체로 형성시켜 사방(四方)의 네 모서리라인 부분을 칼날(131)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몸체에 다수의 칼날(131)을 보유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에는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나이프(130)에 일단이 접촉되어 나이프(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가 나사 체결 및 경사 배치되며, 상기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의 위치조정헤드부(141)가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게 배치함에 의해 나이프(130)를 나이프홀더부(120)에 조립시 나이프(130)의 위치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티슈 원단의 절단을 위한 나이프를 나이프홀더부에 장착하여 세트로 구비한 상태에 커팅롤러 측에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나이프를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시켜 커팅롤러 상에 장착함으로써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로 형성시킨 몸체를 갖게 한 나이프의 네 모서리라인 부분을 모두 칼날로 형성 및 이를 물티슈 원단의 절단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나이프를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함과 더불어 구조 개선을 통해 나이프를 하나의 몸체에 다수의 칼날을 보유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위치를 변화시켜가면서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나이프를 통해 기존에 비해 4배의 수명 연장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보다 칼날의 마모 속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생연마를 수행할 경우 임의 각도로 연마하지 않고 평면 연마를 실시할 수 있어 연마 시간 및 이에 따른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나이프를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함과 더불어 나이프의 상하 위치조정 작업을 측면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개선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위치 조정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나이프를 커팅롤러 측에 장착하기 위한 일련의 셋팅(setting) 또는 리셋팅(resetting)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물티슈 제조에 따른 원단 절단작업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에 사용되는 나이프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를 제조시스템에 적용시킨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에 있어 나이프홀더부에 나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에 있어 커팅롤러와 나이프홀더부 및 나이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로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고안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팅롤러(110)와 나이프홀더부(120), 나이프(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팅롤러(110)는 롤 형태로 감겨진 물티슈 원단(1)을 연속적으로 공급 및 공급되는 물티슈 원단(1)을 절단장치(100) 측으로 이송 처리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롤러(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롤러(10)를 통해 이송 처리 및 안내되는 물티슈 원단(1)을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롤러(101)와 서로 마주하게 배치 및 한쌍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물티슈 원단(1)은 부직포이다.
이때, 상기 커팅롤러(110)는 상기 베이스롤러(101)와 상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팅롤러(110)와 베이스롤러(101)는 각각 모터의 연결에 의해 회전 구동 및 그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커팅롤러(110)는 원형이되 일정한 길이를 갖는 롤러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다수의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은 나이프홀더부(120)의 삽입 배치를 통해 나이프(130)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롤러형 몸체를 갖는 커팅롤러(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은 회전 구동되는 커팅롤러(110)에 형성되므로 2개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할 것인데, 도시한 바와 같이 3등분하여 형성함으로써 3세트의 나이프 조립체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커팅롤러(110)의 외면 둘레에 2개나 4개로 형성할 수 있는 등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커팅롤러(110)에는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이웃하는 부분으로 조립의 용이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롤러형 몸체를 절삭하여 탭을 가공하는 등 평단면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나이프홀더부(120)는 상기 커팅롤러(110)의 외면 둘레로 형성되는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삽입 가능한 형체의 블록형 몸체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부가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삽입되고 상부가 노출 배치된 상태로 커팅롤러(110) 상에 체결 조립되는 홀더(1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홀더(121)에는 상부에 나이프(130)의 삽입 배치를 위한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이 길이방향 측으로 형성되는데, 나이프(130)를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121)에는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으로 나이프(130)를 삽입한 후 체결 고정에 사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121)의 길이방향 측 양측단부에는 단턱 구조를 적용하여 커팅롤러(110) 측에 홀더(121)를 고정 결합하는데 용이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나이프홀더부(120)는 홀더(121)의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나이프(130)를 삽입 배치하고 고정볼트(123)를 홀더(121)에 체결하여 홀더(121)에 나이프(130)를 고정시켜 세트로 조립한 상태에 상기 커팅롤러(110)의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나이프 조립체로 삽입 배치한다.
이렇듯, 상기 나이프(130)가 조립된 나이프홀더부(120)를 커팅롤러(110)의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 측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121) 및 커팅롤러(110)를 동시에 걸치도록 홀더장착블럭(124)을 각각 안착 배치한 상태에 장착볼트(125)를 체결함으로써 커팅롤러(110) 측에 조립하면 되며, 나이프(130)가 조립된 나이프홀더부(120)를 포함하는 세트(set) 상태로 커팅롤러(110) 측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에는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나이프(130)의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121)의 측부에 나사체결공을 형성하되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연결되게 구비하고, 이 나사체결공에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를 나사 체결하여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는 위치조정헤드부(141)가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되고, 반대쪽 끝단이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나이프(13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나사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를 홀더(121)에 체결하기 위한 나사체결공 또한 45도 경사 구조로 형성된다 할 것이며, 경사 배치되는 나이프(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경사 배치된다 할 것이다.
즉, 상기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를 나이프홀더부(120)의 외측면으로 노출 배치시킨 구조를 통해 나이프(130)를 나이프홀더부(120) 측에 조립시 나이프(130)의 위치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토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하 위치 조정에 따른 나이프(130)의 설치 높이를 물티슈 원단(1) 절단작업에 유용한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나이프(130)는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홀더(121) 측에 45도 각도로 경사 형성시킨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 배치한 상태로 볼트 등의 체결을 통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선형의 라인 커터로 구비되며, 물티슈용 원단(1)을 실질적으로 절단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상기 나이프(130)에는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홀더(121) 측에 삽입 배치한 후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나이프(130)는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에 장착시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나이프(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몸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상하좌우측 사방(四方)의 네 모서리 부분을 칼날(131)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나이프(130)는 하나의 몸체에 다수의 칼날(131)을 보유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위치를 변화시켜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나이프(130)는 직사각형 단면의 형태를 갖게 되는 몸체로서, 네 모서리 부분이 직각(90도)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모두 칼날(131)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고, 칼날(131)의 사용시 마모 속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방향 전환에 따라 칼날(131)을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어 하나의 나이프(130)를 통해 기존에 비해 4배의 수명 연장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재생연마작업을 수행할 경우 임의의 각도로 연마하지 않고 평면 연마를 실시하여 칼날을 형성시킬 수 있으면서 다수의 칼날을 형성시킬 수 있어 연마 시간 및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이프홀더부(120)를 통해 나이프(130)를 조립 장착한 커팅롤러(110)와 한쌍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롤러(101)의 바로 하측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100)를 경유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물티슈 원단(1)을 접기 위한 폴딩가이드(20)와 폴딩롤러(30)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롤 형태로 감겨진 물티슈 원단(1)을 연속 공급하고 이송 처리할 시, 물티슈 원단(1)은 한쌍의 가이드롤러(10)를 통과하여 베이스롤러(101)와 커팅롤러(110)의 사이로 안내 및 삽입된다.
이렇게, 베이스롤러(101)와 커팅롤러(110)의 사이로 삽입된 물티슈 원단(1)은 회전하는 커팅롤러(110)에 장착된 나이프(130)와 커팅롤러(110)에 대항하여 상대 회전하는 베이스롤러(101) 사이에서 절단압력을 받아 절단 처리된다.
이때, 상기 나이프(130)는 나이프홀더부(120)에 세트로 조립된 상태로 커팅롤러(110) 측에 조립 장착되며, 회전 구동하면서 물티슈 원단(1)을 절단하게 된다.
즉, 물티슈 원단(1)을 절단 처리시, 나이프홀더부(120)를 통해 45도 경사각도로 장착된 나이프(130)가 모서리부의 칼날(131)을 통해 절단 작업을 수행하며, 종래에 비해 칼날(131)의 마모 속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어서, 절단된 물티슈 원단(1)은 폴딩가이드(20)와 폴딩롤러(3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접힘 처리된 후 아래 컨베이어(40)로 낙하되어 다음 포장공정으로 이송 처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물티슈 원단 100: 물티슈 원단 절단장치
101: 베이스롤러 110: 커팅롤러
111: 나이프홀더 삽입홈 120: 나이프홀더부
121: 홀더 122: 나이프 경사배치홈
130: 나이프 131: 칼날
140: 나이프 위치조정볼트

Claims (3)

  1. 물티슈용 원단(1)의 절단을 위한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롤러(101)와 서로 마주하여 한쌍 구조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베이스롤러(101)와 상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나이프홀더부(120)의 삽입 배치를 위한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커팅롤러(110);
    상기 커팅롤러(110)의 각 나이프홀더 삽입홈(111)에 삽입 가능한 몸체의 홀더(121)로 구비되고 상부가 노출 배치된 상태로 커팅롤러(110)에 체결 조립되며, 홀더(121)의 상부에 나이프(130)를 삽입 조립하되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하기 위한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나이프홀더부(120);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되어 45도 각도로 경사 배치된 상태로 체결 조립되는 나이프(130); 를 포함하며,
    상기 나이프(130)와 나이프홀더부(120)를 세트로 구비하여 상기 커팅롤러(1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130)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몸체로 형성시켜 사방(四方)의 네 모서리라인 부분을 칼날(131)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몸체에 다수의 칼날(131)을 보유하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에는 나이프 경사배치홈(122)에 삽입 배치되는 나이프(130)에 일단이 접촉되어 나이프(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가 나사 체결 및 경사 배치되며,
    상기 나이프 위치조정볼트(140)의 위치조정헤드부(141)가 상기 나이프홀더부(12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게 배치함에 의해 나이프(130)를 나이프홀더부(120)에 조립시 나이프(130)의 위치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KR2020150006581U 2015-10-07 2015-10-07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KR200483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81U KR200483945Y1 (ko) 2015-10-07 2015-10-07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81U KR200483945Y1 (ko) 2015-10-07 2015-10-07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69U true KR20170001369U (ko) 2017-04-17
KR200483945Y1 KR200483945Y1 (ko) 2017-07-12

Family

ID=5866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581U KR200483945Y1 (ko) 2015-10-07 2015-10-07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31B1 (ko) * 2023-10-17 2024-03-07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전극 시트용 컷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932A (ja) * 2007-01-24 2008-08-07 Ibaraki Precision Mach Co Ltd ロータリ式カッター
KR101300834B1 (ko)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419493B1 (ko) * 2013-11-29 2014-07-14 정재윤 회전형 화장지 커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8932A (ja) * 2007-01-24 2008-08-07 Ibaraki Precision Mach Co Ltd ロータリ式カッター
KR101300834B1 (ko)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KR101419493B1 (ko) * 2013-11-29 2014-07-14 정재윤 회전형 화장지 커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231B1 (ko) * 2023-10-17 2024-03-07 주식회사 에이치와이티씨 전극 시트용 컷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945Y1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05496U (zh) 自封袋制袋机
CN101492879A (zh) 一种拉布机的切刀装置
KR200483945Y1 (ko)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KR200482915Y1 (ko) 물티슈 제조용 원단 절단장치
CN102196735A (zh) 切割装置
CN211945613U (zh) 食品包装袋薄膜分切机
CN110103270A (zh) 一种改进型自动笋子切片机
KR102016933B1 (ko) 분진 발생 차단을 위한 컨베이어벨트의 직물층 절단분리장치
CN102573528A (zh) 切割和研磨装置
CN212704145U (zh) 一种扁钢丝的高效切断装置
CN213163400U (zh) 板材开槽机
CN114367902B (zh) 一种漂体打磨设备
CN110371756A (zh) 一种方便调节型传送装置
KR102081153B1 (ko) 커팅롤러와 이를 이용한 커팅 장치 및 시트 커팅방법
KR100605513B1 (ko) 타이어 재단공정의 코드지 재단장치
EP0967047A2 (en) Grinding wheel support assembly for sharpening circular or endless blades
KR102633596B1 (ko) 고정나이프를 활용한 슬릿팅장치
CN104926095B (zh) 一种玻璃珠切割设备
CN215039577U (zh) 一种胶片压延机用气泡去除装置
US201158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cylinders
JP2002172586A (ja) 刻み海苔用切断装置
KR102189706B1 (ko) 지관 분리를 위한 테이프 절단장치
KR200312019Y1 (ko) 커팅 블레이드용 절곡홈 가공장치
CN115070837B (zh) 一种高速精密的绿色环保型盘纸分切机
CN110711829B (zh) 一种钢丝切丸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