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91U - 가죽 허리띠 - Google Patents

가죽 허리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91U
KR20170000891U KR2020160004063U KR20160004063U KR20170000891U KR 20170000891 U KR20170000891 U KR 20170000891U KR 2020160004063 U KR2020160004063 U KR 2020160004063U KR 20160004063 U KR20160004063 U KR 20160004063U KR 20170000891 U KR20170000891 U KR 201700008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waistband
waistband body
hole
position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702Y1 (ko
Inventor
쿤-리 시아오
Original Assignee
쿤-리 시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쿤-리 시아오 filed Critical 쿤-리 시아오
Publication of KR201700008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가죽 허리띠는 버클 몸체와 허리띠 몸체를 가진다. 버클 몸체는 바닥 기초와 위치결정편을 가진다. 바닥 기초는 관통공과 제한홈을 가진다. 관통공과 제한홈은 바닥 기초를 관통하여 횡으로 형성되고 서로 소통한다. 위치결정편은 바닥 기초에서 돌출하여 형성되고 위치결정봉을 가진다. 허리띠 몸체는 버클 몸체에 연결되고 연결 단부와 통과 단부, 제1위치결정공, 및 다수의 제2위치결정공들을 가진다. 연결 단부는 위치결정봉에 연결되고 제한홈 안에 고정된다. 통과 단부는 관통공 내에 고정된다. 제1위치결정공은 허리띠 몸체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위치결정봉 주변에 배치된다. 제2위치결정공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허리띠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가죽 허리띠{LEATHER BELT}
본 고안은 가죽 허리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며 느슨해지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죽 허리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죽 허리띠는 흔하게 착용하는 부속품 중 하나이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가죽 허리띠는 버클 몸체와 허리띠 몸체를 가진다. 버클 몸체는 허리띠 몸체와 연결하는 이빨을 가지는 고정 장치(fixing mount)를 가지거나, 고정 장치가 버클 몸체의 아래 부분에 나사로 고정되어 허리띠 몸체와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버클 몸체와 허리띠 몸체로 기존의 가죽 허리띠를 체결할 수 있다.
기존의 가죽 허리띠는 착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가 고정 장치의 이빨에 의해 허리띠 몸체에 연결된다면, 허리띠 몸체의 단일 면만이 버클 몸체의 고정 장치와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허리띠 몸체의 단일 면은 고정 장치의 이빨에 의해 손상될 수 있고, 이러한 점은 기존의 가죽 허리띠의 실용성을 제한할 것이다.
나아가, 기존의 가죽 허리띠의 허리띠 몸체가 나사로 버클 몸체에 연결된다면, 허리띠 몸체의 2개의 반대 면들은 기존의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와 연결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버클 몸체 그 자체는 정해진 수의 부품을 가지며 버클 몸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더욱이, 기존 허리띠의 버클 몸체와 허리띠 몸체 사이의 나사 구조는 반복적으로 마모될 수 있고 버클 몸체와 허리띠 몸체 사이에서 느슨해질 수 있다. 게다가, 복잡한 구조의 버클 몸체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를 재배치하거나 기존의 허리띠 몸체에서 버클 몸체를 분리하는 도구가 필요하게 되고, 이렇게 됨으로써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완화하거나 없애버리는 가죽 허리띠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느슨해지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죽 허리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죽 허리띠는 버클 몸체와 허리띠 몸체를 가진다. 버클 몸체는 바닥 기초와 위치결정편을 가진다. 바닥 기초는 관통공과 제한홈을 가진다. 관통공과 제한홈은 바닥 기초를 관통하여 횡으로 형성되고 서로 소통한다. 위치결정편은 바닥 기초에서 돌출하여 형성되고 위치결정봉을 가진다. 허리띠 몸체는 버클 몸체에 연결되고 연결 단부와 통과 단부, 제1위치결정공, 및 다수의 제2위치결정공들을 가진다. 연결 단부는 위치결정봉에 연결되고 제한홈 안에 고정된다. 통과 단부는 관통공 내에 고정된다. 제1위치결정공은 허리띠 몸체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위치결정봉 주변에 배치된다. 제2위치결정공들은 소정의 간격으로 허리띠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죽 허리띠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죽 허리띠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죽 허리띠의 작동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죽 허리띠의 부분 단면도로 형태로 보여주는 작동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가죽 허리띠의 측면도이며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에 연결된 허리띠 몸체의 측면을 보여준다.
도 7은 도 1의 가죽 허리띠의 측면도이며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에 연결된 허리띠 몸체의 다른 측면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죽 허리띠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죽 허리띠는 버클 몸체(10)와 허리띠 몸체(20)를 가진다.
버클 몸체(10)는 바닥 기초(11)와 위치결정편(12)을 가진다. 바닥 기초(11)는 U자 형태의 프레임이 될 수 있으며, 하부, 상부, 2개의 자유단, 관통공(111), 그리고 제한홈(112)을 가진다. 관통공(111)은 바닥 기초(11)의 하부를 통하여 횡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의 가진다. 제한홈(112)은 바닥 기초(11)의 2개의 자유단 사이에서 바닥 기초(11)의 상부를 통하여 횡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11)과 소통되며 소정의 폭을 가진다. 관통공(111)의 폭은 제한홈(112)의 폭보다 좁고, 이 때문에 바닥 기초(11)는 개방되어 상부로 확대되는 계단 형상의 U자 프레임이 만들어진다.
위치결정편(12)는 사각형이 될 수 있으며 바닥 기초(11)의 2개의 자유단 위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가까운 단부, 먼 단부, 바닥측, 그리고 위치결정봉(121)을 가진다. 위치결정편(12)의 바닥측은 제한홈(112) 위에서 위치결정편(12)의 가까운 단부에 인접하게 바닥 기초(11)와 함께 형성된다. 위치결정편(12)의 먼 단부는 바닥 기초(11)에 멀리 연장된다. 위치결정봉(121)은 위치결정편(12)의 바닥측에서 돌출되어 위치결정편(12)의 먼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위치결정봉(121)의 길이는 관통공(111)과 제한홈(112)의 2개의 깊이의 합보다 짧다.
허리띠 몸체(20)는 버클 몸체(10)에 탈락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 단부(21), 통과 단부(22), 좁은 단면(23), 제1위치결정공(24), 그리고 다수의 제2위치결정공(25)을 가진다. 허리띠 몸체(20)의 연결단부(21)는 바닥 기초(11)의 제한홈(112)을 통과함으로써 위치결정편(12) 아래에 고정되고 제한홈(112)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는 바닥 기초(11)의 제한홈(112)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는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과 함게 형성되어 위치결정편(12) 아래로 연장되고 바닥 기초(11)의 관통공(111)을 통과한다.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는 관통공(111)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짐으로써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가 바닥 기초(11)의 관통공(111) 안에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좁은 단면(23)은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와 통과 단부(22) 사이에서 허리띠 몸체(20) 위에 형성되고 이 때문에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와 통과 단부(22)는 다른 폭을 가지며 각각 바닥 기초(11)의 제한홈(112)과 관통공(1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됨으로써, 허리띠 몸체(20)는 버클 몸체(10)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좁은 단면(23)은, 본 고안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띠 몸체(20) 위에서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본 고안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에 인접하게 허리띠 몸체(20) 위에 형성된다.
더욱이, 도 6과 7을 참조하면, 허리띠 몸체(20)는 버클 몸체(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색상 또는 다른 패턴을 가지는 2개의 반대면들을 가진다. 사용자는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면들 중 하나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버클 몸체(10)에 연결할 수 있다. 제1위치결정공(24)은 연결 단부(21)에 인접하게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를 버클 몸체(10)의 위치결정편(12)와 연결하도록 위치결정봉(121) 주변에 배치된다. 제2위치결정공들(25)은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면들을 관통하여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에 인접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가 바닥 기초(11)의 관통공(111)을 통과하면, 제2위치결정공들(25) 중 하나는 제1위치결정공(24)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위치결정편(12)의 위치결정봉(121) 주변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와 통과 단부(22)는 제1위치결정공(2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위치결정편(12)의 위치결정봉(121)에 의해 각각 제한홈(112)과 관통공(111), 그리고 사용자에게 착용되기 위한 고정되고 환상(環狀)의 구조로서 가죽 허리띠를 형성하는 제2위치결정공들(25) 중 하나 안에 고정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가죽 허리띠의 특징들과 구조적인 관계들에 의하면,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는 위치결정편(12)의 위치결정봉(121)과 바닥 기초(11)의 제한홈(112)에 의해 바닥 기초(11)의 제한홈(112) 안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허리띠 몸체(20)는 회전하거나 느슨해지지 않고도 버클 몸체(10)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나아가,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는 바닥 기초(11)의 관통공(111)을 통과하여 위치결정봉(121)이 제2위치결정공들(25) 중 하나를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위치결정편(12)의 위치결정봉(121)은 허리띠 몸체(20)를 버클 몸체(10)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뿐 아니라 사용시에 가죽 허리띠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죽 허리띠의 연결 및 조정 효과를 부여하기도 한다.
나아가, 버클 몸체(10)의 제한홈(112)와 관통공(111)은 다른 폭을 가지며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와 통과 단부(22)도 좁은 단면(23)에 의해 다른 폭을 가지고 각각 제한홈(112)과 관통공(111)에 대응한다. 허리띠 몸체(20)가 버클 몸체(10)에 연결될 때,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는 바닥 기초(11)의 제한홈(112) 안에 고정되고 허리띠 몸체(20)의 통과 단부(22)는 바닥 기초(11)의 관통공(111) 안에 고정된다. 이렇게 되면, 허리띠 몸체(20)는 연결 단부(21)와 제한홈(112) 사이에서 2개의 제한하는 구조적 장치에 의해 그리고 통과 단부(22)와 관통공(111) 사이에서 버클 몸체(10)에 확실하게 연결된다. 더욱이, 위치결정봉(121)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제1위치결정공(24)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버클 몸체(10)에 연결하기 위해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면들 사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정리하면, 가죽 허리띠의 허리띠 몸체(20)는, 기존의 가죽 허리띠의 버클 몸체의 고정 장치의 이빨을 사용하지 않고도, 위치결정봉(121) 주변에 배치되는 제1위치결정공(24)과 제한홈(112) 안에 고정되고 제한된 허리띠 몸체(20)의 연결 단부(21)에 의해 버클 몸체(10)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면들은 버클 몸체(10)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며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 면들은 버클 몸체(1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가죽 허리띠의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죽 허리띠의 상기 2개의 제한하는 구조의 장치들은 버클 몸체(10)의 구조적 복잡성을 단순하게 하고 버클 몸체(10)의 부붐 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되면, 버클 몸체(10)를 제조하는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 나아가, 허리띠 몸체(20)는 연결 단부(21)와 제한 홈(112) 사이에서 그리고 통과 단부(22)와 관통공(111) 사이에서 2개의 제한하는 구조의 장치들에 의해 버클 몸체(10)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죽 허리띠를 조립하고 교체할 때에는, 위치결정봉(121)이 도구 없이 제1위치결정공(24)에서 분리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띠 몸체(20)의 2개의 반대 면들 사이에서 변경하여 버클 몸체(10)와 결합되며 이로 인해 사용이 편리하다.
본 고안의 수 많은 특징들과 이점들이, 본 고안의 상게한 구조와 특징들과 함께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내용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다. 형상, 크기, 및 부품의 배치에 관한 변경은 본 고안의 사상 내에서 상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변경은 첨부된 실용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넓은 의미로 충분히 확대될 수 있다.
10: 버클 몸체 11: 바닥 기초
12: 위치결정편 20: 허리띠 몸체
21: 연결 단부 22: 통과 단부
23: 좁은 단면 24: 제1위치결정공
25: 제2위치결정공 111: 관통공
112: 제한홈 121: 위치결정봉

Claims (8)

  1. 바닥 기초와 위치결정편을 구비하는 버클 몸체와, 상기 버클 몸체에 탈락 가능하게 연결되는 허리띠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 기초는:
    하부;
    상부;
    2개의 자유단들;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하부를 관통하여 횡으로 형성되는 관통공; 및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2개의 자유단들 사이에서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상부를 관통하여 횡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소통되는 제한홈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편은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2개의 자유단들 상에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자유단들에서 돌출되고,
    가까운 단부;
    상기 바닥 기초에서 멀리 연장되는 먼 단부;
    상기 제한홈 위에서 상기 위치결정편의 상기 가까운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2개의 자유단들과 함께 형성되는 바닥측; 및
    상기 위치결정편의 상기 먼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위치결정편의 상기 바닥편 위에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편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결정봉을 가지며,
    상기 허리띠 몸체는: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제한홈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위치결정편 아래에 장착되는 연결 단부;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연결 단부와 함께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편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통과 단부;
    상기 연결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허리띠 몸체를 통과하여 형성되며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연결 단부를 상기 버클 몸체의 상기 위치결정편에 연결하도록 상기 위치결정봉 주변에 배치되는 제1위치결정공; 및,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통과 단부에 인접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허리띠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제2위치결정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결정공들 중 하나는 제1위치결정공과 일직선 상에 배열되고 상기 위치결정편의 상기 위치결정봉 주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제한홈은 상기 관통공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연결 단부는 상기 제한홈의 상기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통과 단부는 상기 관통공의 상기 폭에 상당하는 폭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허리띠 몸체는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연결 단부와 상기 통과 단부 사이에 상기 허리띠 몸체 상에 형성된 좁은 단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연결 단부와 상기 통과 단부가 다른 폭들을 가지게 하며 상기 바닥 기초의 상기 제한홈과 상기 관통공 내에 각각 장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단면은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연결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허리띠 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좁은 단면은 상기 허리띠 몸체의 상기 통과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허리띠 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띠 몸체는 다른 색상을 가지는 2개의 반대 면들을 가지고 있어 상기 버클 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띠 몸체는 다른 색상을 가지는 2개의 반대 면들을 가지고 있어 상기 버클 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기초는 U자 형상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편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기초는 U자 형상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위치결정편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죽 허리띠.
KR2020160004063U 2015-08-26 2016-07-14 가죽 허리띠 KR20048670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213818U TWM512308U (zh) 2015-08-26 2015-08-26 可方便使用的皮帶
TW104213818 2015-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91U true KR20170000891U (ko) 2017-03-08
KR200486702Y1 KR200486702Y1 (ko) 2018-06-21

Family

ID=5521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63U KR200486702Y1 (ko) 2015-08-26 2016-07-14 가죽 허리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07626U (ko)
KR (1) KR200486702Y1 (ko)
TW (1) TWM512308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147A (en) 1974-05-16 1975-10-21 Robert K Ostrander Belt buckle and belt strap combination
US5127136A (en) * 1991-08-12 1992-07-07 Douglas Magnus Belt buckle
KR200178916Y1 (ko) 1999-11-02 2000-04-15 주식회사무꾸미 벨트
JP3132969U (ja) * 2007-03-19 2007-06-28 健 岩井 ファッションバックル
KR20110000842U (ko) * 2009-07-18 2011-01-26 이종면 섬유제와 피혁제를 이용한 양면벨트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147A (en) 1974-05-16 1975-10-21 Robert K Ostrander Belt buckle and belt strap combination
US5127136A (en) * 1991-08-12 1992-07-07 Douglas Magnus Belt buckle
KR200178916Y1 (ko) 1999-11-02 2000-04-15 주식회사무꾸미 벨트
JP3132969U (ja) * 2007-03-19 2007-06-28 健 岩井 ファッションバックル
KR20110000842U (ko) * 2009-07-18 2011-01-26 이종면 섬유제와 피혁제를 이용한 양면벨트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02Y1 (ko) 2018-06-21
JP3207626U (ja) 2016-11-24
TWM512308U (zh) 201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94490S1 (en) Fashion strap
USD860818S1 (en) Watch
TW200706127A (en) Slide fastener chain
CN204351211U (zh) 具有多个破孔特征的帽盖结构及拉链头组合结构
US20150289608A1 (en) Universal reversible watch band device
ATE382278T1 (de) Uhrkette
KR200486702Y1 (ko) 가죽 허리띠
USD809907S1 (en) Tool for fixing a tension member of composite strand for prestressed concrete reinforcement and post tensioning concrete structure
US9872541B2 (en) Leather belt
US20150358045A1 (en) Electronic device protecting casing
US20150067951A1 (en) Metallic Swimming Goggle Replacement Clip
US9920558B1 (en)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connecting assembly
DE602008000626D1 (de) Gleitbrett mit seitlichen Kanten
US20210321724A1 (en) Double-sided belt buckle
TW201410176A (zh) 拉鏈用鏈齒及具有該鏈齒之拉鏈
EP2047744A1 (en) Buckle for pet collar
JP2017086139A (ja) 水泳用足ひれ
JP2017086140A (ja) 水泳用フィンのヒールストラップ
BRPI0810716A2 (pt) Peça de vestuário
US11219278B1 (en) Double-sided belt buckle improvement
JP5989149B2 (ja) 鼻緒の末端整形処理用端部品及びその端部品を使用した鼻緒の挿げ構造並びに同鼻緒の挿げ方法
KR20180033648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KR200346500Y1 (ko) 허리벨트
ITAN20110002U1 (it) Cinta perfezionata.
KR200239502Y1 (ko) 미장용 수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