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704A -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 Google Patents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04A
KR20170000704A KR1020150090001A KR20150090001A KR20170000704A KR 20170000704 A KR20170000704 A KR 20170000704A KR 1020150090001 A KR1020150090001 A KR 1020150090001A KR 20150090001 A KR20150090001 A KR 20150090001A KR 20170000704 A KR20170000704 A KR 2017000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arm
camera module
image inform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최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민 filed Critical 최영민
Priority to KR102015009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704A/ko
Priority to PCT/KR2015/006489 priority patent/WO2016208786A1/ko
Publication of KR2017000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루프에 장착되어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 또는 주변 정보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루프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서포트암(110)과; 상기 서포트암(110) 상측 선단에 고정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20)과; 차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20)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Vehicle having a roof-type surrounding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루프에 장착되어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 또는 주변 정보를 편리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증가에 따라서 빈번한 교통체증과 많은 자동차 관련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통체증과 차량 사고의 상당 부분은 운전자가 전방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된다.
특히 차체가 낮은 소형 차량 운전자는 대형 차량 운전자와 비교하여 시야가 낮기 때문에 멀리까지의 시야 확보가 어려우며, 대형 차량에 대형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그 만큼 사고의 위험이 가중된다.
공개특허공보 특1997-0026497호(공개일자: 1997.06.2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411호(공고일자: 2004.01.03)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량 루프에 장착되어 주행 차량의 교통상황 또는 주변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은, 루프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서포트암과; 상기 서포트암 선단에 고정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차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암은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를 인식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포트암을 신축 구동하는 구동부와; 서포트암의 신축 길이에 따라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져 전방위에 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차량 주변의 전방위에 대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루프에 장착되어 주행 차량 주변의 교통 상황 또는 주변 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안전 운전과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량은 루프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서포트암(110)과; 서포트암(110) 상측 선단에 고정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20)과; 차실 내에 구비되어 카메라모듈(120)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서포트암(110)은 주행 시에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유선형 구조를 갖고 차량 루프 상에 기립 설치되며, 예를 들어, 서포트암은 루프와 일체로 구성된 구조물일 수 있으며,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물리적으로 고정되거나 루프에 자기력에 의해 고정되는 마그네틱 방식의 고정일 수 있다.
또한 서포트암(110)은 수 m에서 높이가 고정된 타입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신축 가능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다단 중첩된 텔레스코픽 타입일 수 있다.
신축 가능한 서포트암(110)은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신축 구동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동부로는 유압, 공압 또는 전동식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20)은 서포트암(110) 상측 선단에 고정되어 영상 정보를 촬영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차량 주변 360ㅀ를 모두 촬영이 가능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모듈(120)은 서포트암(110) 상측 선단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에 의해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는 카메라(122)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20)은 구동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카메라(122)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주변 360ㅀ 방향 모두에 대해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모듈의 다른 실시예로써,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차량 주변 360ㅀ 모든 방향에 대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220)은 하우징(221)과, 하우징(221) 내에 일정 각도마다 고정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222)(223)(224)를 포함한다.
하우징(221)은 투명한 재질의 케이스로써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보호하게 되며, 원통형 또는 반구형일 수 있으며, 서포트암 상측 선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222)(223)(224)는 화각에 따라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는 야간 시에도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LED조명이 부가될 수 있으며, 또는 적외선 카메라가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출력부(130)는 차실 내에 구비되어 카메라모듈(120)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센터페이사 내에 구비되어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카메라모듈을 구성하게 되는 카메라는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는 이미지 안정기능(image stabilizing)과 자동 포커싱 기능이 소프트웨어적으로 내장되거나 별도의 하드웨어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서포트암(110)을 신축 구동하는 구동부(111)와; 서포트암(110)의 신축 길이(높이)에 따라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112)와; 구동모터(121)에 의해 구동이 이루어져 360ㅀ 전방위에 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122)로 구성된 카메라모듈(120)과; 카메라(122)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처리하고 구동모터(121)의 구동을 제어하며, 엔코더(11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구동부(111)의 구동을 제어하여 서포트암(11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 제어부(140)와; 제어부(140)에서 처리된 정보가 출력되는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모듈(120)은 구동모터(121)에 의해 회전 조작이 가능한 단일 카메라(122)에 의해 차량 주변의 전방위에 대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축 가능한 서포트암(110)은 구동부(111)에 의해 상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며, 구동부(111)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서포트암(110)은 신축 변화에 따라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112)가 마련되며, 엔코더(112)의 신호는 제어부(140)로 전달되어 제어부는 서포트암(110)의 실시간 높이를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카메라(122)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영상 인식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가공하여 출력이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일례로는, 전방 차선 정보를 인식하여 차선 이탈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거나, 서포트암(110)이 신장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 중에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 장애물의 높이와 서포트암(110)의 높이를 비교 판정하여 서포트암(110)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 장애물로 인식되는 경우에는 구동부(111)를 제어하여 서포트암(110)을 하강시켜 서포트암(110)이 장애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주행 중인 차선을 인식하여 구동모터(121)를 제어함으로써 카메라(122)는 항시 전방 주행 차선을 추적하여 차선 방향을 따라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의 차속 정보가 입력되어 차량이 고속 주행 중인 상황에서는 서포트암(110)의 신장 높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인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높이를 일정 높이 이하가 되도록 높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영상 인식 처리 프로세스는 별도의 영상 인식 처리용 이미지연산 모듈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메모리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40)에서 출력된 영상 또는 가공 처리된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영상출력부(131)와, 음성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음성출력부(132)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서포트암(110) 또는 카메라모듈(120)의 동작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입력수단으로써, 출력부(130)와 인접하여 마련되거나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어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입력부(150)는 출력부(130)와 별도로 마련된 수단일 수 있으며, 또는 주지의 터치식 패널을 이용하여 입력과 출력이 하나의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입력부(150)는 통해 서포트암(110)의 높이를 직접 조작하거나 카메라(122)의 촬영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로써, 앞서의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카메라모듈(220)은 복수의 카메라(222)(223)(224)로 구성되며, 이때 카메라(222)(223)(224)는 차량 주변의 360ㅀ 전방위에 대한 영상을 획득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복수 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222)(223)(224)는 화각에 따라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222)(223)(224)에서 촬영된 다채널 영상 신호는 제어부(140)로 전달되며, 제어부(140)는 각 카메라(222)(223)(224)에서 전달된 각 영상 정보를 영상 인식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360ㅀ 전방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31a)에는 3분할 방식으로 각 카메라의 영상 정보가 동시에 출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특정 하나의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메인화면으로 출력하고 다른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PIP(Picture In Picture) 방식의 팝업화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서포트암 111 : 구동부
112 : 엔코더 120, 220: 카메라모듈
121 : 구동모터 122, 222, 223, 224 : 카메라
130 : 출력부 131 : 영상출력부
132 : 음성출력부 140 : 제어부
141 : 메모리부 150 : 입력부

Claims (6)

  1. 루프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서포트암과;
    상기 서포트암 선단에 고정되는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차실 내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전달된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암은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출력된 영상 정보를 인식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서포트암을 신축 구동하는 구동부와;
    서포트암의 신축 길이에 따라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 이루어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이 이루어져 전방위에 대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차량 주변의 전방위에 대한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KR1020150090001A 2015-06-24 2015-06-24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KR20170000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001A KR20170000704A (ko) 2015-06-24 2015-06-24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PCT/KR2015/006489 WO2016208786A1 (ko) 2015-06-24 2015-06-25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001A KR20170000704A (ko) 2015-06-24 2015-06-24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04A true KR20170000704A (ko) 2017-01-03

Family

ID=5758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001A KR20170000704A (ko) 2015-06-24 2015-06-24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0704A (ko)
WO (1) WO2016208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1904B2 (en) * 2016-08-08 2019-11-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ensors of an automated vehicle
CN111605483A (zh) * 2019-02-23 2020-09-01 河南卓安伟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防撞装置无盲区传感器组合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497A (ko) 1995-11-30 1997-06-24 한승준 자동차 주변상황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37411Y1 (ko) 2003-10-14 2004-01-03 전성근 자동차용 카메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2722U (ko) * 1996-08-28 1998-06-05 양재신 전방 차량의 진행상황을 관찰하기 위한 관측 장치
KR19990007582A (ko) * 1998-10-09 1999-01-25 이인애 교통감시용 차량
KR200372791Y1 (ko) * 2004-10-29 2005-01-14 구충서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KR100722496B1 (ko) * 2006-03-06 2007-05-31 박은영 자동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
US8137008B1 (en) * 2008-04-29 2012-03-20 Donato Mallano Mobile camera mou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497A (ko) 1995-11-30 1997-06-24 한승준 자동차 주변상황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37411Y1 (ko) 2003-10-14 2004-01-03 전성근 자동차용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786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1079B (zh) 成像装置和电子设备
KR101896715B1 (ko) 주변차량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JP6948360B2 (ja) スクーター
JP2006131166A (ja) 運転支援装置
US20130208118A1 (en) Vehicular infrared night assistant driving system
KR102245516B1 (ko) 스쿠터
US20210331680A1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288950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2369186A (ja) 車両後方画像表示装置、車両周囲画像表示方法
CN108068697A (zh) 基于汽车的摄像系统、方法及汽车
KR100593594B1 (ko) 파노라마 카메라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보조 장치
JP3486116B2 (ja) 車載用撮像装置
KR20170000704A (ko)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JP4889360B2 (ja) 車載用画像表示装置
JP4062145B2 (ja) 撮像装置
US11220213B2 (en) Rear display device
US20200180509A1 (en) Vehicular Camera System for Improving a Driver's Visibility
JP2005039547A (ja) 車両用前方視界支援装置
JP2006178652A (ja) 車両周辺認識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7299047A (ja) 運転支援装置
WO2012066867A1 (ja) 車両周辺撮影装置
KR102552490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4051063A (ja) 車両周辺視認装置
KR100866774B1 (ko) 운전자 보조용 카메라 장치
JP2006303985A (ja) 予測進路表示装置および予測進路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