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791Y1 -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791Y1
KR200372791Y1 KR20-2004-0030697U KR20040030697U KR200372791Y1 KR 200372791 Y1 KR200372791 Y1 KR 200372791Y1 KR 20040030697 U KR20040030697 U KR 20040030697U KR 200372791 Y1 KR200372791 Y1 KR 200372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vehicle
directions
camera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충서
Original Assignee
구충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충서 filed Critical 구충서
Priority to KR20-2004-0030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7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2)에 설치된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기(11)를 통해 저장하면서 모니터(12)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를 카메라지지구(5)의 상측에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6) 내측으로 고정브래킷(7)에 의해 고정하되, 카메라(4) 외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카메라(4)의 렌즈(4a)가 형성된 단부는 카메라지지구(5)의 관통공(6)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카메라지지구(5)는 각각의 관통공(6)과 연통된 송풍공(8)을 하향되게 내측에 형성하고, 카메라지지구(5)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모터(10)와 축 연결된 회전날개(9)를 송풍공(9)을 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카메라지지구(5) 내측 상부에 카메라(4)를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설치하여 차량(2)의 사방을 각각의 카메라(4)에 의해 명확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지지구(5) 내측 하부에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9)를 설치하여 회전하는 회전날개(9)의 바람에 의해 카메라(4) 렌즈(4a)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사방을 주시토록 하며, 차량(2)의 사방을 명확하고 선명하게 주시 가능케 함으로써 운전을 보다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The device of observing all directions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용 사방(四方) 주시(注視)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의 천정(이하 루프(roof)라고 칭함.)외부 중앙에 설치되는 고정구조물의 상부에 전후좌우 네 방향을 향하도록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의 전후방과 좌우를 동시에 주시가능토록 하고, 카메라의 하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설치하여 회전날개에 의해 생성된 바람으로 카메라에 먼지나 눈비 또는 성에가 맺히는 것을 일소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차량의 경우 좌우측으로 설치된 사이드미러와 실내에 장착된 백미러에 의해 측후방과 후방을 주시하면서 차선변경 및 후진 등을 하고 있으나, 상기 사이드미러와 백미러는 거울의 반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직접 눈(目)으로 보는 것과 상이하여 초보운전자의 경우 차선변경 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특히 사이드미러와 백미러의 경우 거울에 반사되는 시야가 좁아 광범위의 사각(死角)발생으로 인하여 사고를 유발시키며, 눈이나 비가 내릴 시 또는 기온이 급하강하면 거울면에 눈, 빗물 및 성에 등이 맺혀 좌우 및 후방의 관찰이 불가능 한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착안하여 사이드미러 및 백미러의 거울면이나 브래킷 상측으로 사각을 없애기 위한 볼록거울로 이루어진 소형의 보조미러를 부착하고, 거울면에 눈이나 비가 맺히지 않도록 보조와이퍼나 히팅 전열선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 역시 운전자가 소형의 볼록거울을 유심히 보지 않는다면 관찰이 어려웠고, 초보운전자의 경우 보조미러를 주시하려다 되레 운전에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여 사고를 유발시키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눈이나 빗물의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으로 전동식의 보조와이퍼나 히팅 전열선 등을 사용하는 것은 설치비가 고가이고, 구조가 복잡하며, 잦은 고장으로 인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사이드미러와 백미러에 의한 사각을 일소코자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나 상당수가 후방만을 주시하는 것으로 사각을 일소토록 한 기술로 보기 어려웠고, 어안렌즈나 볼록거울에 사방을 반사되도록 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상저장장치에 저장하면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이 종래 개발되어 있으나 사방의 영상정보를 모니터상에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하지는 못하고, 화질이 불선명한 등의 단점과 카메라의 렌즈가 먼지, 눈비 및 성에 등에 의해 흐려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상기 문제점들을 일소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사이드미러와 백미러의 문제점인 사각(死角)과 먼지, 눈비 및 성에 등에 의해 렌즈가 흐려지는 문제점을 일소하기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외부 중앙에 장착되는 고정구조물의 상부에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향하도록 내입 고정된 카메라지지구를 설치하고, 카메라지지구 하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를 설치하여 사각을 없애면서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렌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일소토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모니터상의 출력을 보인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2:차량
2a:루프(roof) 2b:대시보드(dashboard)
3:고정구조물 4:카메라
4a:렌즈 5:카메라지지구
6:관통공 7:고정브래킷
8:송풍공 9:회전날개
10:모터 11:제어기
11a:영상저장장치 12:모니터
13:도난경보기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 측면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모니터상의 출력을 보인 개략 구성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1)는 사이드미러와 백미러에 의한 사각을 일소토록 하여 안전운행을 도모코자 하는 것으로 차량(2)의 루프(2a)외부에 설치되는 고정구조물(3) 상부에 차량(2)의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향하는 카메라(4)를 내입 설치한 카메라지지구(5)를 고정하되, 상기 카메라지지구(5) 상측에 방사상으로 네 방향을 향하도록 관통공(6)을 형성하여 관통공(6)상에 고정브래킷(7)으로 카메라(4)를 고정하고, 상기 관통공(6) 하측으로 각각의 관통공(6)과 연통된 송풍공(8)을 형성하며, 상기 카메라지지구(5)의 내측 하부에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9)를 설치하여 회전날개(9)에 의한 바람을 송풍공(8)을 통해 각각의 관통공(6)으로 송풍시켜 카메라(4)의 렌즈(4a)에 먼지나 눈비 또는 성에 등의 각종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구성한다.
상기 카메라(4)를 차량(2)의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설치할 시 차량(2)의 좌우 카메라(4)는 좌우 측방과 측후방을 동시에 주시할 수 있도록 도 4의 횡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 방향의 카메라(4)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는 CPU와 영상저장장치(11a)와 분할기로 이루어진 제어기(11)로 보내져서 영상저장장치(11a)에 저장되면서 분할기에 의해 차량(2)의 실내 대시보드(2b)의 중앙에 설치된 모니터(12)에 네 등분되어 네 방향의 영상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하고, 차량(2)에 설치되는 통상의 도난경보기(13)와 제어기(11)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하여 차량(2)에 어떤 충격이 가해졌을 시 제어기(11)가 작동되면서 주위를 카메라(4)로 촬영하여 제어기(11)의 영상저장장치(11a)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4)의 렌즈(4a)가 형성된 단부는 카메라지지구(5)의 관통공(6)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관통공(6) 내측의 카메라(4)는 고정브래킷(7)으로 고정하여 카메라(4) 외측으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회전날개(9)에 의한 바람이 외측으로 송풍되도록 하며, 도시(圖示)되지는 않았지만 관통공(6)의 외측 상부에 물받이 창 등을 형성하여 눈비 등이 렌즈(4a)에 직접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면 중의 미 설명부호 14는 카메라(4)와 제어기(11), 제어기(11)와 모니터(12) 상간에 영상정보를 이송해주는 케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차량(2)의 루프(2a)외부로 장착된 고정구조물(3) 상부에 카메라(4)를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향하도록 내입 고정한 카메라지지구(5)를 설치하여 카메라(4)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케이블(14)을 통해 제어기(11)로 이송하여 영상저장장치(11a)에 저장하면서 모니터(12)에 네 등분된 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것으로서, 사이드미러와 백미러에 의한 사각을 일소하고, 별도로 운전자가 시선을 좌우나 상부로 돌릴 필요가 없어 운전을 보다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4)에 촬영된 영상정보를 케이블(14)을 통해 제어기(11)의 영상저장장치(11a)에 저장하는 구성과 제어기(11)에 의해 모니터(12)로 영상정보를 이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은 종래 공지화된 기술로서 제어기(11)의 분할기에 의해 모니터(12)상에 등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고, 대시보드(2b)의 중앙에 모니터(12)가 설치됨으로써 운전자가 굳이 사이드미러나 백미러 측으로 고개를 돌려가면서 주시할 필요 없이 전방을 주시하면서 모니터(12)를 같이 주시해주면 차량(2) 사방의 정보를 득하여 운전에만 전념할 수 있으므로 안전운행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지지구(5)는 내측 하부에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9)를 설치하여 차량(2)의 시동을 걸면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고, 회전날개(9)의 회전 시 발생하는 바람으로 카메라(4)의 렌즈(4a)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선명한 모니터(12)의 화질을 제공토록 한 것으로서, 회전날개(9)에 의한 바람은 먼저 회전날개(9)의 상측으로 형성된 송풍공(8)을 관통하고, 이후 전후좌우네 방향의 카메라(4)가 고정브래킷(7)에 의해 고정된 관통공(6)의 외측으로 송풍되면서 렌즈(4a)상에 끼는 먼지, 눈, 빗물 및 성에 등을 즉시 불어 내어줌으로써 항상 선명한 화면으로 차량(2)의 사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 차량(2)에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한 도난경보기(13)와 제어기(11)를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하여 차량(2)에 충격이 가해질 시 도난경보기(13)가 작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제어기(11)를 작동시켜 카메라(4)로 차량(2) 사방을 촬영하여 영상저장장치(11a)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주차 시나 운전자가 차량(2)의 주위상황을 미처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주위상황을 촬영하여 저장하므로 뺑소니 및 사고의 정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1)는 차량(2)의 루프(2a)외부에 장착된 고정구조물(3) 상부에 카메라(4)가 내입 고정된 카메라지지구(5)를 설치하되, 상기 카메라지지구(5) 내측 상부에 카메라(4)를 전후좌우 네 방향으로 설치하여 차량(2)의 사방을 각각의 카메라(4)에 의해 명확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지지구(5) 내측 하부에 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9)를 설치하여 회전하는 회전날개(9)의 바람에 의해 카메라(4) 렌즈(4a)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사방을 주시토록 하며, 차량(2)의 사방을 명확하고 선명하게 주시가능케 함으로써 운전을 보다 안전하게 행하도록 하며, 초보운전자의 경우에도 운전에 빠르게 적응 가능케 하는 등의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별도로 차량(2)에 설치된 도난경보기(13)와 상기 제어기(11)를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하여 차량(2)에 충격이 가해질 시 도난경보기(13)가 작동하면서 이와 연결된 제어기(11)를 작동시켜 카메라(4)로 차량(2) 사방을 촬영하여 영상저장장치(11a)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주·정차 시 및 운전자가 차량(2)주위상황을 미처 확인하지 못하더라도 자동으로 주위상황을 촬영하여 저장하므로 뺑소니 차량(2)의 추적 및 사고의 정황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보험사의 사고처리, 경찰의 조서에 참증자료로도 충분히 사용가능한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차량(2)에 설치된 카메라(4)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제어기(11)를 통해 저장하면서 모니터(12)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4)를 카메라지지구(5)의 상측에 전후좌우 네 방향의 방사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6) 내측으로 고정브래킷(7)에 의해 고정하되, 카메라(4) 외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카메라(4)의 렌즈(4a)가 형성된 단부는 카메라지지구(5)의 관통공(6)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카메라지지구(5)의 내측에는 각각의 관통공(6)과 연통된 송풍공(8)을 하향되게 형성하고, 카메라지지구(5)의 내측 하부에는 송풍공(9)을 향하는 회전날개(9)를 축 연결한 모터(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KR20-2004-0030697U 2004-10-29 2004-10-29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KR200372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97U KR200372791Y1 (ko) 2004-10-29 2004-10-29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697U KR200372791Y1 (ko) 2004-10-29 2004-10-29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791Y1 true KR200372791Y1 (ko) 2005-01-14

Family

ID=4944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697U KR200372791Y1 (ko) 2004-10-29 2004-10-29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7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96B1 (ko) * 2006-03-06 2007-05-31 박은영 자동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
WO2016208786A1 (ko) * 2015-06-24 2016-12-29 최영민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96B1 (ko) * 2006-03-06 2007-05-31 박은영 자동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
WO2016208786A1 (ko) * 2015-06-24 2016-12-29 최영민 루프형 주변 모니터링 시스템이 구비된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16247T2 (de) Aussenspiegel
US63847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 mounted view of traffic
US20060232670A1 (en) Vehicle monitoring apparatus
JP2005225250A (ja) 車載用監視装置
CN210139816U (zh) 车辆视野盲区监控系统及车辆
KR100613233B1 (ko) 자동차의 백미러 대체용 측방 및 후방 감지 시스템
KR200442841Y1 (ko) 차량용 전방 사각지대 디스플레이 장치
JP7281794B2 (ja) システム等
US1151830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viewing in blind spots
US20080068455A1 (en) Rear facing viewing system for large vehicles
KR20040033675A (ko) 자동차용 후방 감시 장치
JP2016058025A (ja) 車両用記録装置
CN205706422U (zh) 智能汽车后视镜
WO2018084665A1 (ko) 전기 자동차에서 사각지역 (사각지대)을 해소할 수 있는 핸드폰 카메라용 렌즈, 모니터와 센서 점멸등으로 구성된 기록장치
KR200372791Y1 (ko) 차량용 사방 주시장치
CN112930282A (zh) 用于在盲点中观察的系统和过程
JP2000247265A (ja) 車載用画像記録システム
JP4522419B2 (ja) 固定式ワイパー装置付ビデオカメラ透明保護具をルーフ上に設けた視認カメラ装着車
KR20190091629A (ko) 자동차의 a-필러측 사각지대 관찰장치
JP6429350B1 (ja) 車両
CN201283833Y (zh) 安装在车辆外后视镜上的前视摄像装置
KR102250682B1 (ko) 자동차용 가변형 사이드미러
KR100866774B1 (ko) 운전자 보조용 카메라 장치
KR200291685Y1 (ko) 차량의 사면 모니터링 장치
JP2007131299A (ja) 電動回動式透明保護具をルーフ上に設けた視認カメラ装着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