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06U -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06U
KR20170000606U KR2020150005271U KR20150005271U KR20170000606U KR 20170000606 U KR20170000606 U KR 20170000606U KR 2020150005271 U KR2020150005271 U KR 2020150005271U KR 20150005271 U KR20150005271 U KR 20150005271U KR 20170000606 U KR20170000606 U KR 201700006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part
vinyl house
fix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수
Original Assignee
박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수 filed Critical 박만수
Priority to KR2020150005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606U/ko
Publication of KR20170000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2009/1484Glaz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P60/1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하우스에 설치 고정되는 환기창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비닐 하우스의 한번에 많은 양의 공기 순환을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고, 투명 재질의 비닐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로 비치는 햇빛의 일조량을 용이하게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은,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축 체결되고, 외력에 의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부; 일단이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며, 외부공기가 비닐하우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상기 프레임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ventilation equipment for vinyl house}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 하우스에 설치 고정되는 환기창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비닐 하우스의 한번에 많은 양의 공기 순환을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고, 투명 재질의 비닐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로 비치는 햇빛의 일조량을 용이하게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재배 및 동물의 사육을 위해 마련되는 비닐하우스에는 온도 조절 및 환기를 위하여 개폐가 가능한 환기창이 설치된다. 환기창의 개폐는 통상 별도의 개폐기를 통하여 이루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기는 모터 회전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켜 이와 연결되는 환기창의 권취파이프를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림으로써 환기창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었으며, 노브 및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하는 조절기가 마련됨으로써 조절기를 통해 모터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환기창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기는 환기창의 개폐는 가능한 것이었으나 모터축과 회전축의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모터축과 회전축이 연결되는 결합부가 취약하여 기기 수명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기는 조절기가 다수의 기어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워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이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절의 정도가 정확하지 못하여 환기창의 개폐 정도를 세밀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사용중 조절기 내부에 습기에 의한 녹이 발생하므로 습기에 민감한 부품 특히, 리미트스위치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그 수명이 장기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42135호 (2014년09월12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92175호 (2009년08월31일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977571호 (2010년08월17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485146호 (2015년01월15일 등록)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에 설치 고정되는 환기창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비닐 하우스의 한번에 많은 양의 공기 순환을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고, 투명 재질의 비닐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로 비치는 햇빛의 일조량을 용이하게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은,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축 체결되고, 외력에 의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부; 일단이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며, 외부공기가 비닐하우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상기 프레임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비닐 하우스에 설치된 파이프에 고정되도록 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형성된 돌기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구비된 보빈; 상기 보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보빈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은 합성수지 또는 비닐섬유 재질로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찢어지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은 비닐 하우스에 설치 고정되는 환기창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비닐 하우스의 한번에 많은 양의 공기 순환을 짧은 시간 내에 가능하고, 투명 재질의 비닐을 사용하여 비닐 하우스 내부로 비치는 햇빛의 일조량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이 비닐 하우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작동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이 비닐 하우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10)은 프레임(100), 회전부(200), 롤러부(300), 차단막(400) 및 연결끈(5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바를 상하, 좌우 연결시켜 전체적인 직사각 형태의 창틀 형태로 만들고, 중앙에는 통풍이 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비닐 하우스(1)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가 비닐 하우스(1) 내부로 되거나 비닐 하우스(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걸이부(110), 회전롤러(120) 및 고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110)는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비닐 하우스(1)를 지지하는 파이프(2)에 고정되며, 환기창(10)을 비닐 하우스(1)에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걸이부(110)는 제1 고정부(111), 제2 고정부(113) 및 체결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1)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의 파이프를 반원 형태로 절단하여 형성되고, 일단은 프레임(100)의 외측면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며, 타단에는 외부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고정부(111)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부(113)의 일단이 프레임(100) 외측면에 구비된 힌지에 체결되어 힌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며, 타단에는 제1 고정부(111)에 형성된 돌기에 끼움 고정되는 체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113)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제1 고정부(111)가 파이프(2)에 안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 고정부(113)는 제1 고정부(111)와 밀착되도록 회전시켜 파이프(2)를 감싸도록 한다. 이때, 제2 고정부(113)에 구비된 체결부(115)를 제1 고정부(111)에 형성된 돌기에 끼움 고정시켜 제2 고정부(113)가 제1 고정부(111)에 고정 지지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걸이부(110)를 이용하여 비닐 하우스(1)에 설치하게 되면 환기창(10)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보수 및 설치가 쉽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회전롤러(12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고정되고, 연결끈(500)이 경유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롤러(120)는 연결끈(500)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와,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롤러와 축 결합되어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고리(130)는 회전롤러(120)의 반대측에 설치 고정되고, 중앙에는 연결끈(500)이 삽입되어 연결끈(50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롤러(120)와 고리(130) 사이의 연결끈(50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회전부(200)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 고정되고, 롤러부(300)에 연결된 차단막(400)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00)는 보빈(210), 회전축(220) 및 감속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은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설치 고정되고, 롤러부(300)와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롤러부(300)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스파이럴 스프링의 구성 및 원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축(220)은 보빈(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빈(210) 내부에 설치된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며,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회전된 회전력을 롤러부(300)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감속기(230)는 회전축(220)에 삽입되어 보빈(210)에 밀착 고정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회전된 회전축(2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압축 회전된 스파이럴 스프링이 압축이 풀리면서 빠르게 회전되어 차단막(400)이 찢어지거나 프레임(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롤러부(300)는 회전부(200)에 축 결합되어 차단막(400)의 이동 또는 보빈(210)에 의해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길이 방향의 외주면에는 차단막(400)이 고정되며, 연결끈(500)에 의해 이동된 차단막(400)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차단막(400)은 일단이 롤러부(300)에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프레임(100)의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프레임(100)에 형성된 개구부를 밀폐 또는 개방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차단막(400)은 합성수지 또는 비닐섬유 재질로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찢어지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끈(500)은 고리(130)를 통해 회전롤러(120)에 경유되도록 연결되고, 일단이 차단막(400)의 타단에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차단막(400)을 프레임(100)의 타측 방향 즉 회전롤러(120)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끈(500)을 사용하게 되면 차단막(400)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비닐 하우스(1)에 환기창(10)과 동일한 크기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비닐 하우스(1)에 형성된 구멍과 근접한 파이프(2)에 걸이부(110)를 이용하여 환기창(10)이 고정되게 한다.
특히, 비닐 하우스(1)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이 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환기창(10)은 비닐 하우스(1)의 외부 또는 내부 공기가 서로 교환되도록 차단막(400)이 롤러부(30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있는 상태이다.
다음, 비닐 하우스(1)의 내부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개방된 환기창(10)을 밀폐되도록 작업자가 연결끈(500)을 잡은 상태에서 외측 방향으로 당기고, 작업자가 연결끈(500)을 당기면 연결끈(500)에 연결된 차단막(400)이 롤러부(300)의 회전에 의해 풀리면서 프레임(1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연결끈(500)은 회전롤러(120)와 고리(130)에 연결되어 어느 방향에서 당기든 상관없이 차단막(400)이 이동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차단막(400)이 이동되면 보빈(210) 내부에 설치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스파이럴 스프링의 압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결끈(500)을 파이프 등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 다음, 고정된 연결끈(500)을 풀어놓으면 압축된 스파이럴 스프링이 풀리면서 롤러부(300)를 회전시켜 차단막(400)이 자동으로 롤러부(300)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 롤러부(300)의 고속 회전을 감속시키는 감속기(230)를 사용하여 차단막(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비닐 하우스(1)에 설치된 복수개의 환기창(10)을 한번에 컨트롤하기 위해 연결끈(500)을 한곳으로 모은 다음 작업자가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리(130)를 통해 이동되는 연결끈(500)은 어느 방향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으로 복수개의 연결끈(500)을 모아 사용하기 용이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비닐 하우스 2; 파이프
10; 환기창 100; 프레임
110; 걸이부 111; 제1 고정부
113; 제2 고정부 115; 체결부
120; 회전롤러 200; 회전부
210; 보빈 220; 회전축
230; 감속기 300; 롤러부
400; 차단막 500; 연결끈

Claims (4)

  1.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축 체결되고, 외력에 의해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부;
    일단이 상기 롤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며, 외부공기가 비닐하우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 및
    상기 차단막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차단막을 상기 프레임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비닐 하우스에 설치된 파이프에 고정되도록 걸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프레임에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에 형성된 돌기에 끼움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구비된 보빈;
    상기 보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보빈의 회전에 의해 상기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4. 제 1항에 있어서,
    차단막은 합성수지 또는 비닐섬유 재질로 투명하게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찢어지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KR2020150005271U 2015-08-07 2015-08-07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KR201700006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71U KR20170000606U (ko) 2015-08-07 2015-08-07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71U KR20170000606U (ko) 2015-08-07 2015-08-07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06U true KR20170000606U (ko) 2017-02-15

Family

ID=5840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271U KR20170000606U (ko) 2015-08-07 2015-08-07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606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175A (ko) 2008-02-26 2009-08-31 (주) 일진온실설비 비닐하우스용 환기 장치
KR100977571B1 (ko) 2003-08-07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KR101442135B1 (ko) 2012-05-23 2014-11-03 신성기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KR101485146B1 (ko) 2013-09-23 2015-01-23 정영훈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71B1 (ko) 2003-08-07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KR20090092175A (ko) 2008-02-26 2009-08-31 (주) 일진온실설비 비닐하우스용 환기 장치
KR101442135B1 (ko) 2012-05-23 2014-11-03 신성기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KR101485146B1 (ko) 2013-09-23 2015-01-23 정영훈 비닐하우스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7425B (zh) 机动幕帘的分组控制方法
US8770257B2 (en) Slat rotation, slat winding and unwinding control device of window blind
KR101466549B1 (ko) 에어비닐하우스에 설치된 덮개 개폐장치
KR101639028B1 (ko) 수동 작동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JP2012233348A (ja) 自動すだれ
KR101708204B1 (ko) 외부 환경에 반응하여 비닐을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의 비닐 개폐장치
JP2016021932A (ja) 温室用カーテン開閉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07282546A (ja) ビニールハウス用換気装置
KR20170000606U (ko)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
JP2003301678A (ja) 開閉体のレール装置
KR101283203B1 (ko) 창호 단열장치
KR101230010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환기시스템
KR101382190B1 (ko) 비닐하우스의 환기구 개폐장치
KR20120130867A (ko) 비닐 하우스용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20130000725A (ko)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1529719B1 (ko) 비닐하우스
CN104389502B (zh) 无绳可控遮阳系统
KR101298268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커텐 개폐장치
CN208380464U (zh) 一种蜂巢帘装置
JP7250194B2 (ja) 開閉装置
JP3142989U (ja) ハウス換気装置
JP2005023577A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KR20100031255A (ko) 비닐하우스용 덮개 자동개폐 장치
JP2003102289A (ja) 温室用シート巻取装置
KR20120069224A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셔텨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