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725A -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725A
KR20130000725A KR1020110061427A KR20110061427A KR20130000725A KR 20130000725 A KR20130000725 A KR 20130000725A KR 1020110061427 A KR1020110061427 A KR 1020110061427A KR 20110061427 A KR20110061427 A KR 20110061427A KR 20130000725 A KR20130000725 A KR 2013000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uide beam
cover member
vinyl hous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251B1 (ko
Inventor
최관호
최명환
Original Assignee
(주)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유 filed Critical (주)오유
Priority to KR1020110061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2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비닐하우스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상기 비닐하우스의 지지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빔,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빔에 결합된 이송부, 상기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가 권취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봉 형상의 권취봉, 및 회전축이 상기 권취봉의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은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재를 권취(捲取)하거나 권출(捲出)하며, 상기 이송부는 덮개부재가 권취 또는 권출되면 상기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덮개부재의 권취량에 대응하여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암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덮개부재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권취봉 및 이와 연결된 이송부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부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개폐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Material of Vinyl House}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부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외부 기후에 관계없이 내부에서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도록 하는 농업방식에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내부에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 성장조건에 부합하는 온도, 습도 및 일조량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비닐하우스는 외부의 기상변화에 따라 다양한 조치들이 행해지는데, 예를 들어 태양광의 직접 조광이나 통풍이 필요한 경우에는 태양광이나 외기가 비닐하우스 내부에 유입될 수 있도록 비닐이나 보온용 덮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덮개부재'라 한다.)를 개방하게 되고, 비바람을 가리거나 보온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재를 덮어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상기 덮개부재의 개폐작업이 작업자에 의하여 필요시마다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 및 신속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근래 들어 비닐하우스의 크기 및 면적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더욱 가중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별도의 덮개부재 개폐장치를 구비한 개선된 비닐하우스가 개발되고 있는데, 상기 개폐장치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천정과 비닐하우스의 하단에 안내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안내롤러에 덮개부재와 결합된 로프를 건 도르레 형태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된 비닐하우스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직접 로프를 당기거나 풀어줌으로 상기 덮개부재를 개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기상조건, 작물의 성장 상태에 따라 작업자가 매번 계폐작업을 일일이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개폐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직접 개폐장치를 동작시키지 않더라도 필요에 따라 기계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덮개부재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비닐하우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부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덮개부재의 개폐과정에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상기 모터를 일정 방식에 따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오작동 방지모드 수행기능을 구비한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비닐하우스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상기 비닐하우스의 지지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빔,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빔에 결합된 이송부, 상기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가 권취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봉 형상의 권취봉, 및 회전축이 상기 권취봉의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은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재를 권취(捲取)하거나 권출(捲出)하며, 상기 이송부는 덮개부재가 권취 또는 권출되면 상기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덮개부재의 권취량에 대응하여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암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일측 단부는, 가이드빔의 외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가이드빔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브라켓과, 구름면이 상기 가이드빔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결합브라켓의 내부에 개재된 복수의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연결암은, 일단이 이송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제1연결암, 일단은 상기 제1연결암의 타단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2연결암, 및 상기 연결암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제1연결암과 제2연결암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암은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암이 출몰하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빔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암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되, 상기 결합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암의 타단 결합부에 의해 상기 이송부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고정암의 타단 결합부를 수용하는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가 비닐하우스의 양측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 권취봉 및 모터는 가이드빔의 양측에 각각 별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모터의 부하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모터의 부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모터를 미리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상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작동 방지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모터입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부하는 모터입력 검출부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오작동 방지모드를 수행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터를 정지시키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덮개부재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는 권취봉 및 이와 연결된 이송부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부재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개폐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덮개부재의 권취량에 따라 연결암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상기 덮개부재의 개폐과정에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상기 모터를 일정 방식에 따라 정역회전시키는 오작동 방지모드 수행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부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a와 도2b는 각각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에 포함된 이송부 및 모터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전개사시도,
도3은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이송부 및 모터가 비닐하우스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및
도6은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가 적용된 비닐하우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a와 도2b는 각각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에 포함된 이송부 및 모터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전개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이송부 및 모터가 비닐하우스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5는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6은 도1에 도시한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는 비닐하우스(1)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빔(10),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빔(10)에 결합된 이송부(20), 상기 비닐하우스(1)의 덮개부재(3)가 권취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2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봉 형상의 권취봉(30), 및 상기 이송부(20)의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모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빔(10)은 비닐하우스(1)의 지지프레임(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비닐하우스(1)의 입구측(즉, 전면 출입구(2c) 방향)과 출구측(즉, 후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송부(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송부(20)의 길이만큼 지지프레임(2)보다 작게 구성되거나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지지프레임(2)보다 작게 구성한 경우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빔(10)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빔(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암(50)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b)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재(3)의 개폐를 위하여 이송부(20)가 이동하는 경우에 가이드빔(10)이 흔들려서 이송부(20)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암(50)의 일단은 지지프레임(2b)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의 브라켓(51)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b)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빔(10)과 가이드빔의 내부에 수용된 관형상의 와셔부재(51)를 관통하는 체결부재(52)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빔(1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20)는 각각 가이드빔(10)에 결합된 일측 단부, 상기 권취봉(30)의 단부에 결합된 타측 단부 및 상기 양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봉 형상의 연결암(2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20)의 일측 단부는, 가이드빔(10)의 외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가이드빔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브라켓(21a,21b)과, 구름면이 상기 가이드빔(10)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결합브라켓(21a,21b)의 내부에 개재된 복수의 롤러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롤러부재(22)는 체결부재(B)에 의하여 상기 결합브라켓(21a,21b)에 결합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송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체결부재(B)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브라켓(21a)의 일측(본 실시예의 경우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암(50)의 타단 결합부의 체결부재(52)에 의해 상기 이송부(20)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고정암(50)의 타단 결합부의 체결부재(52)를 수용하는 피난홈(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20)의 연결암(23)은, 일단이 이송부(2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제1연결암(23a), 일단은 상기 제1연결암(23a)의 타단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부(2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2연결암(23c), 및 상기 연결암(23)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제1연결암(23a)과 제2연결암(23c)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시키는 탄성부재(일예로서, 스프링)(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연결암(2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재(23b)의 신장에 의해 제2연결암(23c)이 제1연결암(23a)의 내부에서 빠져나오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변화(즉, 증가)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증가된 길이는 외력이 제거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23b)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2연결암(23b)이 제1연결암(23a)의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다시 원래의 길이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권취봉(30)은 본체 부분에 덮개부재(3)의 단부가 결합된 장대파이프와 같은 봉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덮개부재(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권취봉(3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권취되고 상기 권취봉(30)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권출되도록 상기 권취봉(3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터(40)는 회전축(41)이 상기 권취봉(30)의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이송부(20)에 결합되어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권취봉(3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부재(3)가 권취봉(30)에 권취되거나 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통상의 직류 모터나 교류 모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상용전원이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덮개부재(3)가 비닐하우스(1)의 양측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20), 권취봉(30) 및 모터(40)는 가이드빔(10)의 양측에 각각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일측 편의 이송부(20)는 지면과 평행한 하사점(즉, 지면방향)에서부터 약 90도 각도의 상사점(즉, 비닐하우스의 꼭지점 방향)까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재(3)는 비닐하우스 상부 중앙의 지지프레임(2a)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양측의 작동부(즉, 이송부, 권취봉 및 모터)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부재(3)가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권취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제어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구성된 입력부(110)를 통하여 덮개부재(3)의 개방 또는 폐쇄를 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부(110)에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부(130)에 미리 저장된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모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14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110)는 비닐하우스(1)의 일측에 컨트롤 패널 형식으로 설치되거나 유선 또는 무선(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 리모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외부 상용 전원이나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모터 구동부(140)를 통해 모터(4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모터(40)의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모터입력 검출부(150)의 출력값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40)를 정역회전 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 구동부(14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모터입력 검출부(150)의 출력값이 비정상이라고 판단되어 모터(40)를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발생부(160)를 통해 경고음이나 경고표시와 같은 경보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경보발생부(160)는 일예로서 상기 입력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로부터 덮개부재(3)를 개방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모터(40)를 정방향(일예로서)으로 회전시켜 권취봉(30)에 상기 덮개부재(3)가 권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3)가 권취되면 상기 덮개부재(3)의 장력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20)는 비닐하우스(1)의 상부 방향으로의 인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이송부(20)는 롤러부재(22)의 구름면이 가이드빔(10)의 외면을 따라 구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빔(1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덮개부재(3)의 권취량이 증가하게 되면 모터의 회전축(41)과 동축인 권취봉(30)의 반경이 점차로 증가하기 때문에 권취봉(30)이 하사점(즉, 덮개부재가 권취되기 전)에 위치하는 경우와 대비할 때 가이드빔(10)에 결합된 이송부(20)의 일측 단부와 권취봉(30)에 결합된 이송부(20)의 타측 단부와의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암(23)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에는 권취량의 증가로 인한 상기 이송부 양측 단부의 거리 증가를 보상할 수 없기 때문에 이송부(2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상기 모터(40)에 과부하가 걸리고, 이로 인하여 종국에는 상기 모터(40)가 손상되어 정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암(23)의 길이가 외력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덮개부재(3)를 폐쇄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모터(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봉(30)에 권취된 상기 덮개부재(3)가 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덮개부재(3)가 권출되면 상기 모터(40) 및 권취봉(30)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20)는 비닐하우스(1)의 하부 방향(즉, 지면 방향)으로의 인력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이송부(20)는 롤러부재(22)의 구름면이 가이드빔(10)의 외면을 따라 구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빔(1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덮개부재(3)의 권취량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2)의 복원력에 의하여 연결암(23)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암(23)은 이송부(20)의 이동을 위한 적절한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덮개부재 개폐장치의 특징적인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덮개부재(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면 이를 수신하고(S10),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향으로 모터(40)를 구동시키고 후술하는 오작동 방지모드의 수행 횟수를 0으로 세팅한다(S20).
상기 S2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모터(40)의 부하를 검출하여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S4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00)가 전술한 모터입력 검출부(150)의 출력을 이용하여 모터(40)의 부하를 판단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즉, 모터 과부하 여부의 판단)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공지된 여러 가지 기술을 이용하여 모터의 부하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40 단계의 판단결과 설정값 이상인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40)를 미리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상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작동 방지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오작동 방지모드의 수행 횟수를 증가시킨다(S50, S60).
상기 S60 단계가 완료되면, 제어부(100)는 오작동 방지모드의 수행 횟수가 미리 정해진 횟수(본 실시예에서는 3회)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0), 초과하지 않은 경우이면 S30 단계를 수행한다.
반면에, 상기 S70 단계의 판단결과 미리 정해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이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시키고 모터(40)를 보호하기 위하여 모터정지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80,S90).
상기 오작동 방지모드는 덮개부재(3)의 권취 또는 권출 과정에서 이물질의 개입이나 변형 등에 의하여 작동부(연결암, 모터, 권취봉 등)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과부하에 의한 작동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으로서, 오작동의 사유가 단순 이물질의 개입과 같이 수 차례의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는 경우이면 불필요하게 S10 단계에서 수신된 작업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S50 및 S60 단계를 수행하고 오작동의 사유가 심각한 기계적 손상에 따른 것일 경우에는 S80 및 S90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S40 단계의 판단결과 모터(40)의 부하가 설정값 미만인 경우이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모터(40)를 정지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5), 입력되지 않은 경우이면 S30 단계를 수행하고 입력된 경우이면 S90 단계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동작시간 동안 오작동 방지모드의 수행 횟수가 누적하여 3회를 초과하면 모터(40)를 정지시키는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오작동 방지모드의 수행 횟수가 연속하여 3회를 초과하는 경우에 모터(40)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0)는 S45 단계의 판단결과 모터 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S20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Claims (8)

  1. 비닐하우스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상기 비닐하우스의 지지프레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빔;
    일측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빔에 결합된 이송부;
    상기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가 권취되고, 양측 단부가 각각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봉 형상의 권취봉; 및
    회전축이 상기 권취봉의 축과 일치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봉은 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덮개부재를 권취(捲取)하거나 권출(捲出)하며,
    상기 이송부는 덮개부재가 권취 또는 권출되면 상기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덮개부재의 권취량에 대응하여 양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암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일측 단부는, 가이드빔의 외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가이드빔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브라켓과, 구름면이 상기 가이드빔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결합브라켓의 내부에 개재된 복수의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연결암은, 일단이 이송부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제1연결암, 일단은 상기 제1연결암의 타단 내부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타단은 상기 이송부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2연결암, 및 상기 연결암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제1연결암과 제2연결암이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암은, 외력의 작용여부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의 신축에 의하여 상기 제2연결암이 출몰하는 것에 의하여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빔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빔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암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되,
    상기 결합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암의 타단 결합부에 의해 상기 이송부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고정암의 타단 결합부를 수용하는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가 비닐하우스의 양측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 권취봉 및 모터는 가이드빔의 양측에 각각 별도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모터의 부하를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모터의 부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모터를 미리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상기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작동 방지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모터입력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부하는 모터입력 검출부의 출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작동 방지모드를 수행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터를 정지시키고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20110061427A 2011-06-24 2011-06-24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1310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27A KR101310251B1 (ko) 2011-06-24 2011-06-24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27A KR101310251B1 (ko) 2011-06-24 2011-06-24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25A true KR20130000725A (ko) 2013-01-03
KR101310251B1 KR101310251B1 (ko) 2013-09-23

Family

ID=4783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27A KR101310251B1 (ko) 2011-06-24 2011-06-24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2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60A (ko) * 2018-08-31 2020-03-10 권의정 비닐하우스단지 자동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40B1 (ko) * 2016-03-03 2016-09-09 서정헌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249Y1 (ko) * 1988-09-03 1991-04-06 윤무원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930000882Y1 (ko) * 1990-11-15 1993-02-27 심재문 비닐하우스 보온 덮개 개폐장치
KR200423970Y1 (ko) 2006-04-24 2006-08-14 김석호 비닐하우스에서의 터널 보온덮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60A (ko) * 2018-08-31 2020-03-10 권의정 비닐하우스단지 자동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251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8377B1 (en) Skylight assembly with head rail-mounted actuator
US20140027069A1 (en) Photovoltaic Blind
KR101310251B1 (ko)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1363258B1 (ko) 바람막이그물 자유개폐형 전동식 방풍펜스
KR20150003779U (ko) 시설재배용 덮개 개폐장치
FR2668195A1 (fr)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abri de piscine, par relevage de film par un tambour enrouleur mobile mu electriquement.
KR101306764B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JP2009225827A (ja) 遮光部材制御装置
JPH0870710A (ja) ビニールハウスにおける換気窓開閉装置及びその開閉制御方法
KR20200070924A (ko) 원격제어가능한 모터 제어시스템을 구비한 스마트팜
JP2003018923A (ja) ハウス開閉装置
JP2009273389A (ja) ビニールハウスの換気装置
KR101912621B1 (ko) 비닐하우스 차광제어장치 및 차광제어방법
JP5807211B2 (ja) 農業用ハウス、開閉装置
KR102481550B1 (ko) 온실의 에너지절감 보온차광장치
KR102116884B1 (ko) 비닐하우스단지 자동개폐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30570B1 (ko) 접이식 대면적 차광 장치
KR20100129530A (ko) 비닐 하우스
JP5713497B2 (ja) オーニング装置兼用開閉装置
KR102510241B1 (ko) 비닐하우스 개폐시스템과 모니터링 방법
KR200418388Y1 (ko) 터널형 하우스의 보온덮개 권취식 자동개폐장치
KR101385092B1 (ko) 온실용 커버 개폐장치
KR200398369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장치
KR102422623B1 (ko) 다수 비닐하우스의 자연환기 제어장치
KR20220123800A (ko) 스마트팜 측창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