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40B1 -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40B1
KR101656040B1 KR1020160025599A KR20160025599A KR101656040B1 KR 101656040 B1 KR101656040 B1 KR 101656040B1 KR 1020160025599 A KR1020160025599 A KR 1020160025599A KR 20160025599 A KR20160025599 A KR 20160025599A KR 101656040 B1 KR101656040 B1 KR 10165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rail frame
support
guide arm
suppor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헌
Original Assignee
서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헌 filed Critical 서정헌
Priority to KR102016002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1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shutter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7Mounting of guiding devices to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구비되는 비닐 또는 보온덮개 등을 자동으로 개방시켜 주거나 덮어주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비닐 또는 보온덮개를 감아주거나 풀어 주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권취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레일프레임, 및 상기 권취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전하는 롤러수단으로 구성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수단이 회전될 때 상기 롤러수단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수단이 비닐을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비닐하우스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Vinyl}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에 구비되는 비닐 또는 보온덮개 등을 자동으로 개방시켜 주거나 덮어주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비닐 또는 보온덮개를 감아주거나 풀어 주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권취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레일프레임, 및 상기 권취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전하는 롤러수단으로 구성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수단이 회전될 때 상기 롤러수단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수단이 비닐을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비닐하우스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부려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에 비닐이나 보온덮개를 씌워 내부의 온도를 외부보다 높게 유지시키면서 작물을 재배하여 출하시기를 앞당기도록 하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밭작물이나 화훼식물 기타 과실수 등의 농작물이 해당 계절에 관계없이 비닐하우스에 의해 재배되어 생산 공급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농촌뿐만 아니라 도회지의 근교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해당 농작물을 경작하여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면 당해 농작물은 원활하게 성장 발육되어 그 결실(열매)을 보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 유지를 위해 비닐하우스를 사용하여 그 내부에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이제는 가장 흔한 농사법 중에 하나가 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비닐의 특성상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일조량이 강한 낮에는 햇빛의 복사열에 의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높은 수준으로 상승하게 되고, 봄 가을 밤에는 주변온도차로 인해 내부온도 역시 급격하게 내려간다. 따라서 야간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하강을 막아주기 위해 보온 덮개 등을 사용하고 있고 대낮에는 햇빛에 의해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게 되면 하우스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여 급격한 온도 상승을 막아 줄 수 있도록 내부공기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는 온도상승으로 인한 작물의 열해 방지를 위해 한낮에는 비닐하우스의 측면 비닐을 감아 올려 환기를 통해 하우스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고, 반대로 야간에는 감아올린 비닐하우스의 측면비닐을 풀어내려 비닐하우스 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어야 한다.
또한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 유지 정도에 따라 보온덮개를 덮어주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비닐이나 보온덮개를 낮에는 걷어올리고 밤에는 다시 내려 덮어주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가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88632호의 '하우스용 개폐기 안내장치'를 개발하였다.
여기서 종래의 '하우스용 개폐기 안내장치'에 대해 간단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스용 개폐기 안내장치'는 구동모터로 권취축(S)을 회전시켜 하우스의 비닐(V) 또는 보온재를 감거나 풀어주는 개폐기(10)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브래킷(1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외측에 밀착되어 회전 이동하는 안내롤러(12) 및 보조롤러(14)와, 상기 개폐기(10)와 안내롤러(12)간을 회동가능하게 링크하는 가이드암(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폐기가 비닐하우스 프레임 또는 가이드레일을 타고 구름 이동하는 안내롤러에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함과 아울러 비닐하우스 내부 공간확보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비닐하우스의 특성상 정밀하지 않은(불규칙한) 하우스 구조에도 원활하게 동작하므로 하우스의 비닐손상이 방지되고, 개폐기의 구동모터 부하가 최소화되어 내구연한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KR 20-0388632 (등록번호) 2005.06.23. KR 20-0324572 (등록번호) 2003.08.14. KR 10-0318813 (등록번호) 2001.12.1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우스용 개폐기 안내장치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가이드되는 안내롤러(12)와 보조롤러(14)를 연결하는 브레킷(15)이 반복적인 하중을 받아 유격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내장치에 있어 상기 안내롤러(12)와 보조롤러(14)를 개폐기(10)의 측면으로 연결하는 가이드아암(20)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회전반경이 일정하지 않아 불규칙적으로 하중을 받게되고 이로 인하여 비닐을 감아주는 권취축의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종래의 안내장치는 하우스 끝단에 설치되어 농기계와의 접촉 및 권취시에 받는 강한 하중 등 다양한 원인으로 가이드레일에 휨이 발생될 경우에 안내롤러(12)와 보조롤로(14)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이 어려워 귄취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비닐 또는 보온덮개를 감아주거나 풀어 주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권취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레일프레임 및 상기 권취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가이드하는 롤러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수단의 축간플레이트가 반복적인 하중에도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해 줌으로써 그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하는 가이드아암에 관절부를 설치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의 원호를 따라 롤러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아암이 받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롤러의 회전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을 권취하는 권취수단의 권취축에 회전이 자유로운 제2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을 따라 가이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닐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축의 회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스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는 지지레일프레임에 발생되는 변형을 흡수하여 권취가 지속적으로 가능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호형상으로 구부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에 비닐을 씌워 형성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레일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씌워진 상기 비닐을 감아주도록 하여 이를 개폐하는 권취축, 상기 권취축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권취축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권취축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을 따라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권취축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여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삽설되어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요홈이 형성된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의 반대측에서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롤러, 상기 메인롤러의 메인회동축과 상기 보조롤러의 보조회동축을 연결 설치하는 축간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메인회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아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아암의 일단부에는
Figure 112016068936856-pat00006
형상으로 절곡하여 된 설치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축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설치요홈에 보조회동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축간플레이트의 회전이 구속되며, 상기 가이드아암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아암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하는 관절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아암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몸체에 연결되는 보조가이드아암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가이드아암과 결합되는 관절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아암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하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그 지지되는 방향을 이단으로 변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는 지지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수단의 축간플레이트가 반복적인 하중에도 유격이 발생되지 않거나 파손되지 않음으로써 그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하는 가이드아암에 관절부를 설치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의 원호를 따라 롤러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아암이 받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롤러의 회전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좋아지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을 권취하는 권취수단의 권취축에 회전이 자유로운 제2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을 따라 가이드하도록 함으로써 비닐을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축의 회전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레일프레임에 발생된 비닐하우스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좌우)으로 발생된 휨은 관절부 및 2번의 이중절곡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과 수직인 방향(상하)으로 발생된 휨은 관절부, 2번의 이중절곡 및 가이드롤러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지지레일프레임의 다양한 휨 및 변형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비닐을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가 비닐하우스에서 분리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가 비닐하우스에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의 요부에 대한 상세도이고,
또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비닐이 권취되면서 비닐하우스가 개방되는 개략적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구부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02)에 비닐(103)을 씌워 형성되는 비닐하우스(101)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10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102)과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레일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2)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2)에 씌워진 상기 비닐(103)을 감아주도록 하여 이를 개폐하는 권취축(120),
상기 권취축(12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권취축(12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권취축(12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130), 및
상기 권취축(12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여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2)에 설치되는 롤러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30)이 구동되면 이에 구비된 구동축(131)과 연결된 상기 권취축(120)이 회동되면서 상기 비닐(103)을 감아(권취)주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권취축(120)은 상기 비닐(103)이 감겨지는 권취력으로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단부측이 지지되면서 그 원호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이때 상기 롤러수단(14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지지되면서 상기 권취축(12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30)이 정회전하면서 상기 권취축(12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상기 권취축(120)에 감겨진 상기 비닐(103)이 감겨져 올라가기 때문에 상기 비닐하우스(101)의 측면부가 개방되면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구동수단(130)이 역회전하면서 상기 권취축(12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 상기 권취축(120)에 감겨진 상기 비닐(103)이 풀어져 내려오기 때문에 상기 비닐하우스(101)의 측면부가 폐쇄되면서 보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수단(140)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삽설되어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요홈(141a)이 형성된 메인롤러(141)와, 상기 메인롤러(141)의 반대측에서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롤러(142), 상기 메인롤러(141)의 메인회동축(141b)과 상기 보조롤러(142)의 보조회동축(142a)을 연결 설치하는 축간플레이트(143), 일단은 상기 메인회동축(141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수단(130)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아암(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아암(144)의 단부에는 상기 축간플레이트(143)의 상기 메인회동축(141b)과 결합되는 위치에서 2번의 이중절곡으로 형성된 설치요홈(144a)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설치요홈(144a)에 상기 축간플레이트(143)의 일단부를 삽설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보조롤러(142)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지지하면서 회전할 때 상기 축간플레이트(143)에 의해 발생되는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축간플레이트(143)가 상기 가이드아암(144)에 안정적으로 삽설됨으로써 그 지지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롤러(142)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반복적으로 지지하면서 발생되는 지지력에 의해 상기 축간플레이트(143)의 고정나사 등이 풀리면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구성요소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아암(144)이 상기 구동수단(130)과 연결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아암(144)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지지하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그 지지되는 방향(각도)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절부(145)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구동수단(130)이 작동되면 상기 권취축(120)과 함께 상기 구동수단(13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비닐(103)을 개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수단(140)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가이드하면서 함께 회전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의 회전반경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아암(144)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회전되는 위치(각도)에 따라 변하게 된다. 따라서 관절부(145)가 상기 가이드아암(144)에 설치 구비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아암(144)에 가해지는 지지력(지지각)이 변하게 되면 상기 관절부(145)가 그 지지각을 변형시키면서 이를 흡수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권취축(120)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은 그 회전반경이 일정하지 않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아암(144)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구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의 회전반경이 변하더라도 상기 가이드아암(144)에 가해지는 지지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아암(144)의 상기 관절부(145)가 굴곡되면서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아암(144)은 상기 메인롤러(141)에 연결되는 메인가이드아암(144b)과 상기 구동수단(130)의 몸체에 연결되는 보조가이드아암(144c)으로 구성되며, 상기 관절부(145)에는 상기 메인가이드아암(144b)과 보조가이드아암(144c)이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축(145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145)는 상기와 같은 구조 이외에 상기 메인가이드아암(144b)과 보조가이드아암(144c)이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권취축(120)에는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롤러수단(150)이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롤러수단(150)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이 지지되면서 회전되도록 요홈(151a)이 형성되는 가이드롤러(151)와, 상기 권취축(120)이 삽입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브라케트(152), 상기 원통브라케트(152)와 상기 가이드롤러(151)의 회동축(151b)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케트(15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권취축(120)이 삽입 설치되는 상기 원통브라케트(152)는 상기 구동수단(130)에 설치되는 상기 구동축(131)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상기 권취축(12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원통브라케트(152)는 그 내경을 상기 권취축(120)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삽입 설치할 수도 있고, 또 상기 권취축(120)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상기 원통브라케트(152)을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롤러수단(150)은 상기 권취축(120)에 상기 비닐(103)을 감아 승하강 할 때 상기 요홈(151a)에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이 지지되면서 가이드 됨으로써 상기 권취축(120)의 승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수단(150)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하 2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상 다수 개 설치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는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이 외부로부터의 하중을 받아 일정 부분 훼손(휨이나 절곡 등)되어도 상기 관절부(145)나 2번의 이중 절곡으로 형성된 상기 설치요홈(144a)에 구비되는 상기 축간플레이트(143) 또는 롤러 등에 의해 그 유동성을 흡수할 수 있어 비닐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이 임의의 외력에 의해 상기 비닐하우스(101)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프레임(102)과 동일한 방향(좌우)으로 휨이나 절곡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관절부(145) 및 2번의 이중절곡에 의해 구비되는 상기 축간플레이트(143)이나 가이드아암(144)으로 그 변형력을 흡수할 수 있고, 또 상기 지지프레임(102)과 수직인 방향(상하)으로 발생되는 휨이나 절곡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절부(145), 2번의 이중절곡 및 롤러수단에 의해 흡수할 수 있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의 다양한 휨 및 변형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으로 비닐 개폐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어 비닐하우스의 운용 및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비닐하우스(101)에 씌워진 상기 비닐(103)이 개폐되는 작동 절차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권취축(120)에는 상기 비닐(103)이 감겨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에 상기 구동수단(1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롤러수단(150)의 상기 롤러(151)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 지지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는 상기 제2롤러수단(150)의 상부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롤러수단(14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130)이 작동되게 되면 상기 권취축(120)이 회전하면서 상기 비닐(103)이 감겨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권취축(120)은 상기 구동수단(130)과 함께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비닐하우스가 개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30)이 상기와 반대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권취축이 하강하면서 상기 비닐하우스가 패쇄된다.
이때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에는 상기 제2롤러수단(150)의 가이드롤러(151)와 상기 롤러수단(140)의 메인롤러(141)가 각각 지지되면서 가이드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수단(140)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아암(144)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110)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관절부(145)가 회전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롤러수단(140)에 구비되는 상기 축간플레이트(143)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상기 축간플레이트(143)가 상기 요홈(141a)에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그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는 비닐하우스의 비닐 또는 보온덮개를 감아주거나 풀어 주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권취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레일프레임, 및 상기 권취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전하는 롤러수단으로 구성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권취수단이 회전될 때 상기 롤러수단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가이드되면서 회전됨으로써 상기 권취수단이 비닐을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여 비닐하우스를 자동으로 개폐하게 된다.
100: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101:비닐하우스 102:지지프레임 103:비닐
110:지지레일프레임
120:권취축 130:구동수단 131:구동축
140:롤러수단
141:메인롤러 141a:요홈 141b:메인회동축
142:보조롤러 142a:보조회동축 143:축간플레이트
144:가이드아암 144a:설치요홈 144b:메인가이드아암
144c:보조가이드아암 145:관절부 145a:회동축
150:제2롤러수단
151:가이드롤러 151a:요홈 151b:회동축
152:원통브라케트 153:연결브라케트

Claims (5)

  1. 원호형상으로 구부려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에 비닐을 씌워 형성되는 비닐하우스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지지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레일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씌워진 상기 비닐을 감아주도록 하여 이를 개폐하는 권취축,
    상기 권취축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권취축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권취축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을 따라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권취축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지지하여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롤러수단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삽설되어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요홈이 형성된 메인롤러와, 상기 메인롤러의 반대측에서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보조롤러, 상기 메인롤러의 메인회동축과 상기 보조롤러의 보조회동축을 연결 설치하는 축간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메인회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수단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아암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아암의 일단부에는
    Figure 112016068936856-pat00007
    형상으로 절곡하여 된 설치요홈이 형성되되, 상기 축간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설치요홈에 보조회동축으로 고정되어 상기 축간플레이트의 회전이 구속되며,
    상기 가이드아암이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타단부에는 상기 구동수단의 몸체에 연결되는 보조가이드아암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가이드아암과 결합되는 관절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아암이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하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그 지지되는 방향을 이단으로 변형시키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아암의 관절부는 상기 메인롤러에 연결되는 메인가이드아암과 상기 보조가이드아암이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회동축이 구비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에는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에 지지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2롤러수단이 더 설치 구비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수단은 상기 지지레일프레임이 지지되면서 회전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권취축이 삽입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브라케트, 상기 원통브라케트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동축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케트로 구성되는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KR1020160025599A 2016-03-03 2016-03-03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KR10165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599A KR101656040B1 (ko) 2016-03-03 2016-03-03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599A KR101656040B1 (ko) 2016-03-03 2016-03-03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40B1 true KR101656040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599A KR101656040B1 (ko) 2016-03-03 2016-03-03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50Y1 (ko) * 2016-10-31 2017-05-02 노재국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장치
KR200486736Y1 (ko) * 2017-04-25 2018-06-26 김홍민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용 가이드롤러유닛
KR101913656B1 (ko) 2018-06-01 2018-11-01 임태권 디스크골프 난이도 전환장치
KR101922033B1 (ko) 2018-06-13 2018-11-26 송욱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US20220030780A1 (en) * 2020-07-30 2022-02-03 Nicholas Scott Peiffer Garden Protection System
KR20220042874A (ko) 2020-09-28 2022-04-05 정수덕 와이어센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개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62U (ja) * 1982-06-30 1984-01-12 誠和化学株式会社 温室カ−テン開閉用の巻取軸駆動装置
KR20000023240A (ko) 1998-09-18 2000-04-2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모터 차량의 객실에서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200324572Y1 (ko) 2003-05-19 2003-08-25 (주)현대금속농공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구동축
KR200388632Y1 (ko) 2005-04-19 2005-06-29 서정헌 하우스용 개폐기 안내장치
KR101310251B1 (ko) * 2011-06-24 2013-09-23 (주)오유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1408386B1 (ko) * 2013-01-28 2014-06-20 김원운 비닐하우스 개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262U (ja) * 1982-06-30 1984-01-12 誠和化学株式会社 温室カ−テン開閉用の巻取軸駆動装置
KR20000023240A (ko) 1998-09-18 2000-04-25 요한 요트너,헤르베르트 코네감프 모터 차량의 객실에서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KR200324572Y1 (ko) 2003-05-19 2003-08-25 (주)현대금속농공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구동축
KR200388632Y1 (ko) 2005-04-19 2005-06-29 서정헌 하우스용 개폐기 안내장치
KR101310251B1 (ko) * 2011-06-24 2013-09-23 (주)오유 비닐하우스의 덮개부재 개폐장치
KR101408386B1 (ko) * 2013-01-28 2014-06-20 김원운 비닐하우스 개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350Y1 (ko) * 2016-10-31 2017-05-02 노재국 비닐하우스용 비닐개폐장치
KR200486736Y1 (ko) * 2017-04-25 2018-06-26 김홍민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용 가이드롤러유닛
KR101913656B1 (ko) 2018-06-01 2018-11-01 임태권 디스크골프 난이도 전환장치
KR101922033B1 (ko) 2018-06-13 2018-11-26 송욱 비닐하우스 측창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형 이중 비닐하우스 고정장치
US20220030780A1 (en) * 2020-07-30 2022-02-03 Nicholas Scott Peiffer Garden Protection System
KR20220042874A (ko) 2020-09-28 2022-04-05 정수덕 와이어센서를 이용한 비닐하우스용 비닐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040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자동 개폐장치
KR101375310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NO321285B1 (no) Anordning for tettende a dekke og avdekke en portal, som for eksempel et vindu.
KR20150003779U (ko) 시설재배용 덮개 개폐장치
KR101044833B1 (ko) 무차광 온실 보온커텐 종형 개폐장치
KR101442135B1 (ko)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환기 시스템
JP2001299110A (ja) 温室用保温カーテンの開閉及び昇降装置
KR101455113B1 (ko) 비닐하우스용 보온커튼의 개폐시스템
KR20160039750A (ko)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486736Y1 (ko) 비닐하우스 자동개폐기용 가이드롤러유닛
JP2008263905A (ja) 短日装置
KR101851164B1 (ko) 비닐하우스 측창 개폐기의 바람막이
CN212786850U (zh) 一种用于遮阳网的开合装置
KR20210067397A (ko)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KR100776578B1 (ko) 비닐하우스 내의 복수의 터널용 덮개 안내장치
KR20140081252A (ko) 비닐하우스 환기를 위한 천장 개폐장치
KR100638185B1 (ko) 롤 타입 블라인드지의 다림 건조 및 컷팅장치
JP4620080B2 (ja) ビニールハウスの開閉機構
KR100378548B1 (ko) 온실용 보온커튼의 승강장치
KR101408883B1 (ko) 비닐하우스의 상층 환기를 위해 지붕에서 일측으로 절첩되며 개폐되어지는 절첩환기창을 갖는 비닐하우스.
KR20160079258A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권취장치
CN220733709U (zh) 一种透光性能好的盆栽花种植大棚
CN220965780U (zh) 一种温室保温装置
CN211020266U (zh) 一种智慧农业种植大棚棚布收放装置
KR100689230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개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