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203B1 - 창호 단열장치 - Google Patents

창호 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203B1
KR101283203B1 KR1020100130424A KR20100130424A KR101283203B1 KR 101283203 B1 KR101283203 B1 KR 101283203B1 KR 1020100130424 A KR1020100130424 A KR 1020100130424A KR 20100130424 A KR20100130424 A KR 20100130424A KR 101283203 B1 KR101283203 B1 KR 101283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heat insulating
insulating member
window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053A (ko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이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철 filed Critical 이기철
Priority to KR102010013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2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와 창호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해줌으로써 채광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창호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리가 창틀에 끼워져 이루어지거나, 유리가 끼워진 창틀이 창호틀에 지지되어 이루어진 창호와; 창호의 창틀 또는 창호틀의 외면을 덮어주는 단열부재와; 단열 부재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하는 단열부재 수용수단과;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 부위와 단열부재의 테두리부위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단열부재 수용수단으로부터 인출된 단열부재를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부착시켜주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창호 단열장치{Apparatus to insulate in the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 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와 창호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해줌으로써 채광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각종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창호들은 유리가 창틀에 끼워져 이루어진 창문 및 이러한 창문이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창호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창호들은 외기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는 것을 비롯하여 내구성 및 유리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높은 기계적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급화에 부응하고 기능성을 갖도록 하는 창호로서, 거실의 분합문이나 발코니창 등의 비교적 대형 창호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올림 미닫이 방식의 시스템 창호 그리고 방범기능을 갖는 방범 창호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창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창호시스템은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의 이중창 구조로 구성하거나, 창호에 별도의 단열필름을 부착하여 구성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중창 구조의 창호시스템은 단열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환기를 위해서는 창문을 2번 여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으며, 단열필름이 부착된 창호의 경우에는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 단열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이와 비례하여 불투명성이 커지게 되므로 실내가 전체적으로 어둡고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내공기와 창호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해줌으로써 채광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한 창호 단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리가 창틀에 끼워져 이루어지거나, 유리가 끼워진 창틀이 창호틀에 지지되어 이루어진 창호; 상기 창호의 창틀 또는 창호틀의 외면을 덮어주는 단열부재; 상기 단열 부재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일측에 위치되는 단열부재 수용수단; 및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단열부재 수용수단 위치를 제외한 테두리 부위와 상기 단열부재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상기 단열부재 수용수단으로부터 인출된 단열부재를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부착시켜주는 부착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부재는 합성수지재로 된 단열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필름의 최외측 단부에는 상기 단열필름을 팽팽하게 당겨주면서 손잡이 역할을 하는 봉상의 중량체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단열부재 수용수단 위치를 제외한 테두리부위의 외면에 설치된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과, 상기 단열부재의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대응위치 또는 상기 단열부재 전체면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감응하는 감응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단열부재 수용수단 위치를 제외한 테두리부위 외면과 상기 단열부재의 테두리부위 대응위치 또는 상기 단열부재의 전체면에 각각 구비된 벨크로 파스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단열부재 수용수단 위치를 제외한 테두리부위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단열부재를 상기 창틀, 창호틀, 또는 유리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밀착시켜주는 조임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부재 수용수단은, 원통형 케이스에 상기 단열부재를 권취하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권취봉의 안쪽에는 태엽이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부재 수용수단은, 상기 단열부재를 권취하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권취봉의 일측단부에 당김줄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부재 수용수단은, 원통형 케이스에 상기 단열부재를 권취하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권취봉은 권취모터의 회전축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단열부재의 전자석 대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에 감응하는 감응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취모터와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상기 권취모터와 상기 전자석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단열부재 인출측에는 상기 단열부재를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에 밀착시켜주는 탄성을 갖는 가이드편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는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외부 상부에 고정되거나,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내상부에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이 상기 원통형 케이스 역할을 하며, 상기 원통형 공간에 상기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부재는 단열원단과 디자인원단이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단열원단과 디자인원단 사이의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대응위치 또는 상기 단열원단과 디자인원단 사이의 전체면에는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에 감응하는 감응소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단열필름 등으로 된 단열부재가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이므로 실내공기가 창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단열성이 떨어지는 창호의 단열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열부재를 롤스크린 형식으로 출몰시킬 수 있으므로 기온이 올라가는 낮시간에는 단열부재를 걷어 채광 및 시야확보를 할 수 있고, 기온이 내려가는 밤시간에는 단열부재를 인출하여 단열성을 확보해줌으로써 창문으로서의 기능 및 단열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열부재를 자동으로 인출해주고, 단열부재의 인출 후 단열부재를 창틀 또는 창호틀에 부착시켜주는 부착수단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타임제어를 통해 무인 자동시스템으로 단열장치를 구동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에 자석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에 벨크로 파스너가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에 조임틀이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가 무인 자동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에 적용되는 단열부재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창호의 상태를 유지하여 채광 및 시야 확보 등 창문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기온이 떨어질 때에만 실내공기가 창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호는 창틀(1)에 유리(2)가 끼워져 위치된 고정형 창호나, 창틀(1)에 유리(2)가 끼워진 상태로 창호틀(미도시)에 지지되는 형상의 창호 등 어떠한 구조의 창호이든 모두 적용된다.
이러한 창호의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외면을 덮어주도록 단열부재(10)가 구비되며, 이러한 단열부재(10)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하는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이 구비된다.
단열부재(10)는 일반적인 합성수지재 단열필름으로 된 단열원단(11) 자체만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외관상 미려함을 높일 수 있도록 단열원단(11)과 디자인원단(12)을 서로 접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열원단(11)은 단열에 적용가능한 단열필름이면 어떠한 것이든 모두 적용가능하며, 디자인원단(12)은 다양한 문양과 채색이 가능하면서 단열원단(11)과 접합할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은 단열부재(10)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이든 모두 적용가능한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케이스(21)에 단열부재(10)를 권취하는 권취봉(22)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권취봉(22)의 안쪽에는 태엽(23)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롤스크린 형태로 제작하며 이를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으며,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제작시 그 내부에 원통형 공간(21')을 형성하여 이러한 원통형 공간(21')이 원통형 케이스와 동등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권취봉(22)의 일측 단부에 당김줄을 연결하여 당김줄의 당겨지는 방향에 따라 단열부재(10)가 권취봉(11)에 권취되거나 권취봉으로부터 풀려 내려오는 구조 등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21)의 단열부재 인출구측에는 단열부재(10)를 인출할 때 단열부재(10)가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가이드편(26)을 형성하게 되고,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을 창틀(1) 또는 창호틀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창틀(1) 또는 창호틀이 미닫이창에 적용되었을 때 인접한 다른 창틀(1) 또는 창호틀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해줌이 바람직하며,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열부재(10)과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을 포함하는 별도의 키트를 구성하여 창틀(1) 또는 창호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조 역시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은 중력을 감안하여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에 고정해주며,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이 창틀(1) 또는 창호틀에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단열부재(10)의 하단부에는 단열부재(10)를 팽팽하게 당겨줌은 물론 단열부재(10)가 원통형 케이스(21)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아주면서 단열부재(10)를 인출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봉상의 중량체(13)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단열부재(10)를 인출한 후 창틀(1) 또는 창호틀에 부착시켜 줄 수 있도록 부착수단(30)이 구비되는바, 이러한 부착수단(30) 역시 인출된 단열부재(10)를 창틀(1) 또는 창호틀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부착수단(30)으로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영구자석(31) 또는 전자석(32)을 설치하고, 단열부재(10)의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대응위치에는 영구자석(31) 또는 전자석(32)에 감응하는 철가루, 철편, 유연한 자석과 같은 감응소재(33)를 부착해주면 된다.
물론, 단열부재(10)로 단열원단(11)과 디자인원단(12)이 서로 접합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감응소재(3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단열원단(10)과 디자인원단(12)의 사이에 철가루, 철편, 유연한 자석 등의 감응소재(33)를 부착해줄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부착수단(30)을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과 단열부재(10)의 테두리부위 대응위치에 각각 구비된 벨크로 파스너(34)로 구성할 수도 있고,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단열부재(10)를 창틀(1), 창호틀, 또는 유리(2)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밀착시켜주는 조임틀(35)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단열부재(10)의 테두리 부위측에만 감응소재(33) 또는 벨크로 파스너(34)를 구비하게 되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제조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단열부재(10) 전체에 감응소재(33) 또는 벨크로 파스너(34)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를 무인 자동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작동시간을 설정해주면 그 작동시간에 맞게 단열부재(10)를 자동으로 인출하여 자동으로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에 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은 원통형 케이스(21)에 단열부재(10)를 권취하는 권취봉(22)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원통형 케이스(21)와 별도로 권취모터(25)를 구비하여 이 권취모터(25)의 회전축과 권취봉(22)을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단열부재(10)를 완전히 인출한 후 창틀(1) 또는 창호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는 전자석(32)을 설치하고, 단열부재(10)의 전자석 대응위치에는 전자석(32)에 감응하는 철가루, 철편, 유연한 자석 등의 감응소재(33)를 구비하며, 권취모터(25)와 전자석(32)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40)를 구비하여 여기에 권취모터(25)와 전자석(32)을 통전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는 원통형 케이스(21)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권취봉(22)이 태엽(23)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발휘하고 있어 단열부재(10)를 말아주는 방향으로 상시 당겨주게 되므로 단열부재(10)를 원통형 케이스(21)에 수용한 상태에 있게 되며, 단열부재(10)의 하단부에는 봉상의 중량체(13)가 고정되어 있어 단열부재(10)가 원통형 케이스(21) 내부로 말려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원통형 케이스(21)는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열부재(10)가 원통형 케이스(21)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창호와 동일하게 채광 및 시야확보가 가능해지게 된다.
외부 온도가 낮아져 단열이 필요하게 되면 사용자는 봉상의 중량체(13)를 하방향으로 당겨주어 단열부재(10)를 원통형 케이스(21)로부터 인출해주게 되는데, 원통형 케이스(21)의 단열부재 인출부측에는 탄성을 갖는 가이드편(26)이 형성되어 있어 인출되는 단열부재(10)를 창틀(1) 또는 창호틀과 밀착시켜주게 되며,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를 제외한 테두리부위에는 영구자석(31), 전자석(32), 벨크로 파스너(34) 등이 설치되어 있고 단열부재(10)의 대응위치 또는 전체면에는 감응소재(33) 또는 벨크로 파스너(34) 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단열부재(10)를 완전히 인출한 후 단열부재(10)를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에 밀착시켜 상기한 부착수단(30)에 의해 단열부재(10)를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에 부착되게 하면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하좌우 테두리부위 전체에 단열부재(10)가 밀착됨으로써 실내공기가 창호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막아주게 되므로 단열부재(10) 자체의 단열성과 단열부재(10)와 창호 사이의 공기층에 의해 실내와 실외 사이의 열교환을 차단해주게 되어 단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부착수단(30)으로 조임틀(35)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단열부재(10)를 완전히 인출한 후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상부면을 제외한 나머지 테두리부위측에 각각 구비된 조임틀(35)을 하나씩 조여 단열부재(35)가 창틀(1), 창호틀, 또는 유리(2)에 밀착되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창호에 적용할 경우에는 독립적으로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을 구성하여 이를 창틀(1) 또는 창호틀 상부에 고정시켜줄 수 있으며, 새로이 창호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창틀(1) 또는 창호틀의 제작시 그 내부에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을 이루는 원통형 공간(21')을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일반적인 창호와 새로이 구성하는 창호에 모두 적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물론, 단열부재(10)와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을 별도의 키트로 제작하여 창틀(1) 또는 창호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단열부재 수용수단(20)은 수동식으로 단열부재(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는 권취모터(25)를 구비하여 컨트롤러(25)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단열부재(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당김줄의 당기는 방향에 따라 단열부재(10)를 인출하거나 감아줄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기호, 설치 장소의 여건 등에 따라 선택적인 설치가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게 되며, 대규모의 창호를 갖는 건축물의 경우 권취모터(25)를 구비하여 컨트롤러(25)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단열부재(10)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또 단열부재(10)가 모두 인출된 이후에 자력이 발생되면서 자동으로 단열부재(10)가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40)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석(32)을 창틀(1)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에 설치해주면 무인 자동화가 가능해지게 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면상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 단열장치가 창틀(1)에 적용되는 경우만 예시하였지만 창틀(1)이 창호틀에 지지되는 구조 역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 : 창틀 2 : 유리 10 : 단열부재
11 : 단열원단 12 : 디자인원단 13 : 중량체
20 : 단열부재 수용수단 21 : 원통형 케이스 21' : 원통형 공간
22 : 권취봉 23 : 태엽 25 : 권취모터
26 : 가이드편 30 : 부착수단 31 : 영구자석
32 : 전자석 33 : 감응소재 34 : 벨크로 파스너
35 : 조임틀 40 : 컨트롤러

Claims (11)

  1. 유리가 창틀에 끼워져 이루어지거나, 유리가 끼워진 창틀이 창호틀에 지지되어 이루어진 창호; 상기 창호의 창틀 또는 창호틀의 외면을 덮어주는 단열부재; 상기 단열 부재를 출몰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일측에 위치되는 단열부재 수용수단;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단열부재 수용수단 위치를 제외한 테두리 부위와 상기 단열부재에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비되어 상기 단열부재 수용수단으로부터 인출된 단열부재를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부착시켜주는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창호 단열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단열원단과 디자인원단이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부재 수용수단은, 원통형 케이스에 상기 단열부재를 권취하는 권취봉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권취봉은 권취모터의 회전축과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창틀 또는 창호틀의 테두리부위 외면에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단열부재의 전자석 대응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석에 감응하는 감응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취모터와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상기 권취모터와 상기 전자석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단열원단과 디자인원단 사이의 전자석 대응위치 또는 상기 단열원단과 디자인원단 사이의 전체면에는 상기 전자석에 감응하는 감응소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원단의 최외측 단부에는 상기 단열원단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봉상의 중량체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단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30424A 2010-12-20 2010-12-20 창호 단열장치 KR101283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24A KR101283203B1 (ko) 2010-12-20 2010-12-20 창호 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24A KR101283203B1 (ko) 2010-12-20 2010-12-20 창호 단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53A KR20120069053A (ko) 2012-06-28
KR101283203B1 true KR101283203B1 (ko) 2013-07-05

Family

ID=4668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424A KR101283203B1 (ko) 2010-12-20 2010-12-20 창호 단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9257A (zh) * 2016-08-03 2018-04-20 安徽美沃门窗科技有限公司 一种隔音窗的隔音帘
KR101972844B1 (ko) * 2017-08-17 2019-04-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에어캡을 이용한 단열장치
KR102017666B1 (ko) * 2017-10-17 2019-09-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KR102184498B1 (ko) * 2019-05-28 2020-1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량 저비용 emp 방호 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334B1 (ko) * 1993-07-02 1999-04-15 김광호 보호회로를 갖춘 자동조도조절 절전형 안정기
KR200353784Y1 (ko) * 2004-03-29 2004-06-22 동양토탈 주식회사 도어
JP2004257071A (ja) 2003-02-25 2004-09-16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JP3120581U (ja) * 2006-01-19 2006-04-13 有限会社アイエンジ 省エネ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334B1 (ko) * 1993-07-02 1999-04-15 김광호 보호회로를 갖춘 자동조도조절 절전형 안정기
JP2004257071A (ja) 2003-02-25 2004-09-16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KR200353784Y1 (ko) * 2004-03-29 2004-06-22 동양토탈 주식회사 도어
JP3120581U (ja) * 2006-01-19 2006-04-13 有限会社アイエンジ 省エネ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53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1528U (ja) 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省エネ補助装置
US6338377B1 (en) Skylight assembly with head rail-mounted actuator
US20170022758A1 (en) Window shade system and housing-guide assembly
KR101283203B1 (ko) 창호 단열장치
US10227822B2 (en) Home-automation equipment for closure or solar protection and method for recharging a battery for such equipment
KR101367913B1 (ko) 커튼박스 일체형 창호구조
KR0122375Y1 (ko) 승용차 커버
KR101308759B1 (ko)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0905803B1 (ko) 발코니용 창호시스템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KR101825384B1 (ko) 환기창호
US11639632B2 (en) Window treatment with outdoor temperature indication arrangement
KR100578742B1 (ko)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CN205936349U (zh) 一种内置式多功能卷帘门窗
CN214196106U (zh) 自供电电动磁驱动的中空玻璃内置百叶窗
CN212105685U (zh) 一种风雨有阻自动纱窗
CN113062685A (zh) 节能环保塑钢门窗及其安装方法
CN201175247Y (zh) 磁性门帘
KR102146965B1 (ko) 자동, 수동, 반자동 개폐가 가능한 전동 창호
CN218644196U (zh) 一种智能窗帘
CN217176322U (zh) 一种设有隔热保温装置的双层或多层玻璃
CN214196104U (zh) 电动磁驱动的中空玻璃内置百叶窗
CN211342517U (zh) 一种双层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磁吸式摩擦翻转轮结构
JP3235200U (ja) 換気装置
CN213820921U (zh) 一种高遮光性的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