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23A - 승마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승마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23A
KR20170000523A KR1020150089497A KR20150089497A KR20170000523A KR 20170000523 A KR20170000523 A KR 20170000523A KR 1020150089497 A KR1020150089497 A KR 1020150089497A KR 20150089497 A KR20150089497 A KR 20150089497A KR 20170000523 A KR20170000523 A KR 2017000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ddle member
horse
ri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언
최귀현
최정석
서종섭
이길춘
Original Assignee
박중언
서종섭
이길춘
최정석
최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언, 서종섭, 이길춘, 최정석, 최귀현 filed Critical 박중언
Priority to KR1020150089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23A/ko
Publication of KR2017000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말이 달리는 효과 뿐 아니라 실제 말에 탑승한 것처럼 미세한 떨림을 전달받아 실전적인 승마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승마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승마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게 구성된 안장 부재와, 상기 안장 부재를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 부재를 진동시키는 안장 부재 진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승마 운동 기구{DEVICE FOR EXERCISING HORSE-RIDING}
본 발명은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마 훈련자에게 실제적인 연습 시뮬레이션을 수행시키거나 일종의 운동용 또는 오락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마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마치 실제 말을 타는 것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작동하여 승마 연습 효과, 운동 효과, 다이어트 효과, 오락 효과 등을 제공하게 된다.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4972호(2004.03.04)에는 승마용 운동기구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마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지지프레임(10)과, 속도조절수단(50)과, 완충부재(12)와, 고정프레임(11)과, 제1,2 동력전달수단(20,30)과, 실린더(60)와, 연동수단(40) 및 덮개부(13)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10)의 전면 상측에는 고정축을 통해 속도조절수단(50)이 설치되고, 하측 상부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12)가 구비된다. 고정프레임(11)은 완충부재(12)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 동력전달수단(30)이 설치됨과 아울러, 타측에 상하 회전 운동하는 제1 동력전달수단(20)이 장착된다. 상기 제1,2 동력전달수단(20,30) 사이에 지지부재(63)가 구비된다.
실린더(60)는 지지부재(63)에 결합되며, 연동수단(40)은 제1,2 동력전달수단(20,30)과 실린더(60)에 결합되어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덮개부(13)는 승마용 운동기구를 감싸는 말 형상으로 이루어져, 연동수단(40)의 상부에 안착된다. 제1 동력전달수단(20)은 모터(14)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감속기(21)와, 상기 감속기(21)의 회전축(25)에 대칭되게 결합되는 크랭크(23)와, 상기 크랭크(23)에 연결되어 편심회전되는 커넥팅로드(24)로 구성된다. 감속기(21)의 일측 회전축(25)에는 풀리(22)가 결합된다.
제2 동력전달수단(30)은 내측에 베어링(31)이 개재되어 회전전달축(32)을 회전되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양측 크랭크(34) 및 커넥팅로드(35)로 구성되며, 회전전달축(32)의 일측에는 풀리(36)가 장착된다. 연동수단(40)은 커넥팅로드(24,35) 양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회동축(41)을 구비하고, 일측 회동축(41)에는 연동부(42)가 결합되며 타측 회동축(41)에는 받침부재(47)가 결합된다.
연동부(42)와 받침부재(47)에는 베어링(43)이 개재되며, 연동부(42)에는 고정브라켓(44)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44)의 일단에 치구(45)가 설치된다. 치구(45)의 저면에는 받침부재(47)의 상부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롤러(46)가 결합된다. 실린더(60)의 일단에는 지지부재(63)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는 실린더로드(62)가 결합된다. 미설명된 부호 51은 고삐를 도시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승마용 운동기구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구동되어 탑승자에게 실제 승마감을 제공하고 있으나, 말에 안착한 상태에서 구동 시 미세 떨림을 주는 기능은 구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말의 떨림은 탑승자에게 진동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말의 움직임 이외의 근육의 미세한 떨림과 같은 현상으로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44972호(2004.03.0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말이 달리는 효과 뿐 아니라 실제 말에 탑승한 것처럼 미세한 떨림을 전달받아 실전적인 승마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승마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게 구성된 안장 부재와, 상기 안장 부재를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 부재를 진동시키는 안장 부재 진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는 탑승자로 하여금 실제 말에 탑승한 것처럼 미세한 떨림을 전달받아 실전적인 승마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승마 운동 기구의 좌우 진동 구동을 구현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무거운 사용자의 탑승시에도 안정적인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마용 운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의 안장 부재 진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의 안장 부재 진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의 안장 부재 진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승마 운동 기구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의 안장 부재 진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의 안장 부재 진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의 안장 부재 진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상하 방향은 승마 운동 기구의 승강 방향이고, 좌우 방향은 승마 운동 기구의 전후 방향이다. 아울러, 도 5의 상하 방향이 승마 운동 기구의 좌우 방향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는 안장 부재(80)와, 본체(72)와, 제1 프레임(76)과, 제1 크랭크와, 제1 로드(745)와, 제2 프레임(79)과, 제2 크랭크와, 제2 로드(782) 및 안장 부재 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프레임(76)은 본체(72)의 상부에 배치되고, 본체(72)에 제1 링크(755)를 통해 연결된다. 제1 프레임(76)은 본체(72)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링크(755)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고, 일 측이 본체(72)에 회동부(725)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 측이 제1 프레임(7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프레임(76)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크랭크는 제1 모터(7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제1 모터(73)는 본체(72)에 설치된다. 제1 모터(73)에는 감속기가 연결되며, 감속기에는 구동축이 연결되어 제1 모터(73)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된다. 구동축의 양측에 제1 크랭크가 설치되어, 제1 모터(73)의 회전에 의해 제1 크랭크는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 로드(745)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또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측이 제1 크랭크에 편심 연결되고 타 측이 제1 프레임(76)에 연결되어, 제1 프레임(76)을 본체(72)에 대해 승강시킨다. 이 경우, 제1 로드(745)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구동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완화하기 위한 탄성 부재(75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프레임(79)은 제1 프레임(76)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프레임(76)에 제2 링크(783)를 통해 연결된다. 제2 프레임(79)은 제1 프레임(76)에 대해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크랭크(781)는 제2 모터(77)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제2 모터(77)는 제2 프레임(79)에 설치된다. 제2 모터(77)에는 감속기(78)가 연결되며, 감속기(78)에는 제2 크랭크(781)가 연결되어 제2 모터(77)의 회전에 의해 제2 크랭크(781)가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 로드(782)는 일 측이 제2 크랭크(781)에 편심 연결되며, 타 측이 제2 프레임(79)에 연결된다. 제2 로드(782)는 제2 프레임(79)을 제1 프레임(76)에 대해 전후진시킨다.
안장 부재(80)는 사용자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2 프레임(79)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체(72)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안장 부재(80)를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76)과, 제1 크랭크와, 제1 로드(745)와, 제2 프레임(79)과, 제2 크랭크와, 제2 로드(78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72)의 하부에는 베이스(71)가 결합된다. 베이스(71)의 하부에는 받침부(712)가 결합된다. 받침부(712)에는 체결 브라켓(713)이 체결되고, 베이스(71)와 체결 브라켓(713)은 댐퍼(714)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712)는 베이스(71)의 전방 좌우에 각각 하나씩, 후방 좌우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안장 부재 진동부는 상기 안장 부재(80)를 진동시킨다. 안장 부재 진동부는 탑승자로 하여금 실제 말에 탑승한 것처럼 미세한 떨림을 전달받아 실전적인 승마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장 부재 진동부는 안장 부재(80)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킨다. 안장 부재 진동부의 좌우 방향 진동에 의해 실제 승마시 말이 미세하게 움직이는 효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받게 된다. 이러한 진동 방향은 말의 움직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한바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장 부재 진동부의 더욱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승마 운동 기구는 액추에이터(110)와, 지지 브라켓(121)(122)과, 지지축(130)과, 고정 부재(140) 및 시소 부재(15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10)는 안장 부재(8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안장 부재(80)의 양측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액추에이터(110)는 동력원으로서 후술할 시소 부재(150)를 상부로 밀거나 하부로 당기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액추에이터(110)는 한 쌍이 구비되며, 제2 프레임(79)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지지 브라켓(121)(122)은 한 쌍이 구비되며, 제2 프레임(79)의 상부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지지 브라켓(121)(122)은 제2 프레임(79)의 전후 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지지 브라켓(121)(122)에는 후술할 지지축(130)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시키는 홀이 형성되며,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축(130)은 지지 브라켓(121)(122)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축(130)의 상부에는 안장 부재(80)가 고정되며, 지지축(130)은 안장 부재(80)를 지지 브라켓(121)(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정 부재(140)는 지지축(130)에 안장 부재(80)를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140)는 안장 부재(80)의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 부재(140)는 지지축(130)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시소 부재(15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지지축(130)을 중심으로 시소(Seesaw)와 같은 동작을 한다. 시소 부재(150)는 지지축(130)에 고정된다. 즉, 시소 부재(150)는 제2 프레임(7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지지축(130)과 연결된다. 액추에이터(110)의 작동에 의해 시소 부재(150)는 좌우 방향으로 번갈아 상승 하강되어 안장 부재(80)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승마 운동 기구의 좌우 진동 구동을 구현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 안정되어 무거운 사용자의 탑승시에도 안정적인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승마 운동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71 : 베이스 72 : 본체
73 : 제1 모터
75 : 제1 프레임 76 : 제2 프레임
755 : 제1 링크 783 : 제2 링크
745 : 제1 로드 782 : 제2 로드
743 : 제1 크랭크 781 : 제2 크랭크
77 : 제2 모터
80 : 안장 부재 756 : 탄성 부재
110 : 액추에이터 121,122 : 지지 브라켓
130 : 지지축 140 : 고정 부재
150 : 시소 부재

Claims (5)

  1.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게 구성된 안장 부재(80)와, 상기 안장 부재(80)를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 중 적어도 일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갖는 본체(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장 부재(80)를 진동시키는 안장 부재 진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부재 진동부는 안장 부재(80)를 좌우 방향으로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 기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부재 진동부는 안장 부재(8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안장 부재(80)의 양측을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 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72)의 상부에 배치되고, 본체(72)에 제1 링크(755)를 통해 연결되어 본체(72)에 대해 승강 가능한 제1 프레임(76);
    제1 모터(7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크랭크에 일 측이 편심 연결되고 타 측이 제1 프레임(76)에 연결되어, 제1 프레임(76)을 본체(72)에 대해 승강시키는 제1 로드(745);
    상기 제1 프레임(76)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프레임(76)에 제2 링크(783)를 통해 연결되어 제1 프레임(76)에 대해 전후진 가능한 제2 프레임(79); 및
    제2 모터(77)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크랭크(781)에 일 측이 편심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프레임(79)에 연결되어, 제2 프레임(79)을 제1 프레임(76)에 대해 전후진시키는 제2 로드(7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 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79)의 전후 방향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 브라켓(121)(122);
    상기 지지 브라켓(121)(122)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축(130);
    상기 지지축(130)에 안장 부재(80)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40); 및
    상기 제2 프레임(7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지지축(130)과 연결되는 시소 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 운동 기구.
KR1020150089497A 2015-06-24 2015-06-24 승마 운동 기구 KR20170000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97A KR20170000523A (ko) 2015-06-24 2015-06-24 승마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97A KR20170000523A (ko) 2015-06-24 2015-06-24 승마 운동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23A true KR20170000523A (ko) 2017-01-03

Family

ID=5779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497A KR20170000523A (ko) 2015-06-24 2015-06-24 승마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972B1 (ko) 2000-01-05 2002-07-20 이현상 전자장비 함체의 수동공조시스템 설계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972B1 (ko) 2000-01-05 2002-07-20 이현상 전자장비 함체의 수동공조시스템 설계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4266B1 (en) Balance practicing machine
CN101347668B (zh) 椭圆机构
JP38854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CN101036833A (zh) 攀登器械
KR101485011B1 (ko) 승마 운동 기구
KR101992667B1 (ko) 왕복 진동형 운동장치
KR20170000523A (ko) 승마 운동 기구
JP2017538558A (ja) フィットネス型乗馬自転車
KR101310647B1 (ko) 점프 기능을 가지는 승마 운동 기구
JP3885819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JP3983267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180002530U (ko) 왕복 진동형 운동장치
KR20150039280A (ko) 승마 운동 기구
CN202623996U (zh) 一种用于工程机械的座椅及应用该座椅的工程机械
KR101711076B1 (ko) 승마 운동 기구
JP2004144989A (ja) 起震装置
KR20120021586A (ko) 진동 헬스 자전거
KR20100022641A (ko) 승마형 기구의 안장장치
JP459586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JP3140879U (ja) 騎馬の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101589052B1 (ko) 박동 기능을 갖는 승마 운동 기구
JP3885820B2 (ja) バランス訓練装置
KR101754895B1 (ko) 승마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