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463U - 도금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463U
KR20170000463U KR2020160006082U KR20160006082U KR20170000463U KR 20170000463 U KR20170000463 U KR 20170000463U KR 2020160006082 U KR2020160006082 U KR 2020160006082U KR 20160006082 U KR20160006082 U KR 20160006082U KR 20170000463 U KR20170000463 U KR 201700004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housing
rotating shaft
plat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257Y1 (ko
Inventor
홍승환
Original Assignee
홍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환 filed Critical 홍승환
Priority to KR202016000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5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4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4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23C2/024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by cleaning or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금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는, 레일,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 호이스트장치에 연결된 하우징, 일단부가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부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축부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및 내주면이 회전축부재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회전축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회전축부재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되, 제1베어링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베어링이고, 하우징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가 중앙을 관통하는 열차단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처리장치{Apparatus for plating process}
본 고안은 도금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율적으로 도금 및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금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체 또는 비금속체의 표면 상태를 개선할 목적으로 도금 작업이 수행된다. 도금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표면 미관이 향상됨과 동시에 부식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밖에, 전기적 또는 전자적 마모 방지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금의 종류로는 크게 용융 아연도금, 전기도금, 용사분무도금, 증착도금, 및 음극분무도금 등이 있다. 용융 아연도금은, 입힐 금속을 녹여놓은 도금조에 도금할 금속을 넣고 이 녹인 액체를 금속에 잘 묻힌 뒤 집어내어 굳혀서 도금하는 방법이다. 전기도금은, 입힐 금속을 음극, 주가 되는 제품의 금속을 양극으로 하고, 양극 금속의 이온을 가진 전해액에서 전기를 흘려주어 금속 이온이 양극에 전해 석출되어 전착시켜 도금하는 방법이다. 용사분무도금은, 입힐 금속을 분무시켜 제품을 감싸 도금하는 방법이다. 증착도금은, 진공 상태에서 입힐 금속과 주가 되는 금속을 넣고 금속에 열을 가하여 휘산시켜 도금하는 방법이다. 음극분무도금은, 진공 상태에서 입힐 금속을 전극으로 하여, 방전시켜서 휘발시켜 도금하는 방법이다.
한편, 종래에는 용융 아연도금을 하는 경우, 입힐 금속이 녹여진 도금조에 도금할 금속을 넣은 후, 낱개로 꺼내어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도금된 금속을 꺼내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로 인한 비용도 증가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9799호 (2012. 01. 18.)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효율적으로 도금 및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도금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는, 레일, 상기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 상기 호이스트장치에 연결된 하우징,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및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축부재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베어링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베어링이고,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가 중앙을 관통하는 열차단판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다공망캐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는 하단부에 제1 고리부가 형성되고,상기 회전축부재와 동일축 상의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제2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공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피도금물을 다공망캐리어에 넣은 채로 도금조에 넣어 도금하므로, 도금이 완료된 후 다공망캐리어 채로 도금조에서 꺼내면 된다. 따라서, 피도금물을 도금조로부터 꺼내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금처리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금처리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도금처리장치의 도금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 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는 피도금물(도 7의 P 참조)이 수용된 다공망캐리어(도 7의 100 참조)를 도금조(도 7의 T1 참조) 또는 건조탱크(도 7의 T2 참조)에 넣거나 뺄 때 사용되는 장치로, 금속체 또는 비금속체로 이루어진 피도금물(P)의 도금 및 건조 작업 시 레일(도 7의 R 참조)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도 7의 H 참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공망캐리어(100)라 함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일 측이 개폐 가능하여 내부에 피도금물(P)을 삽입하거나 외부로 빼낼 수 있다. 다공망캐리어(100)의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관통공을 통해 도금액이 유동하여 피도금물(P)의 표면에 묻혀지거나 표면으로부터 탈리될 수 있다.
도금처리장치(1)는 피도금물(P)을 다공망캐리어(100)에 넣은 채로 도금조(T1)에 넣어 도금하므로, 도금이 완료된 후 다공망캐리어(100) 채로 도금조(T1)에서 꺼내면 된다. 따라서, 피도금물(P)을 도금조(T1)로부터 꺼내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다공망캐리어(10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피도금물(P)에 표면에 묻은 도금액을 털어내므로, 도금 및 건조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도금처리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도금처리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도금처리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는 하우징(10)과, 회전축부재(20)와, 구동부(30), 및 제1 베어링(4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통 형상의 부재로,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H)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 하우징(10)은 일 측에 호이스트장치(H)와 연결을 위한 제2 고리부(10a)가 형성되어, 일단이 호이스트장치(H)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고리부(10a)에 연결된 권양장치(도 7의 W 참조)에 의해 호이스트장치(H)와 연결된다. 도면 상에는 하우징(1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고리부(10a)가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의 형상, 및 제2 고리부(10a)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회전축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회전축부재(20)는 하우징(10)과 다공망캐리어(100)를 연결하되 필요에 따라 하우징(10)으로부터 다공망캐리어(1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20)는 일단부가 하우징(10)의 하방으로 돌출되며, 타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10)의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부재(20)의 하단부에는 갈고리 형태의 제1 고리부(20a)가 형성되어, 다공망캐리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다공망캐리어(100)는 회전축부재(20)의 하부, 특히, 제1 고리부(20a)에 고정되며, 전술한 제2 고리부(10a)는 회전축부재(20)와 동일축 상의 하우징(10)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20)는 하우징(10)의 종 방향으로 삽입되며, 후술할 구동부(30)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부재(20)가 하우징(10)의 종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회전축부재(20)는 하우징(10)에 횡 방향으로 삽입되어 회전할 수도 있다.
구동부(30)는 회전축부재(20)를 회전구동하는 것으로,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구동부(30)는 AC 모터 또는 공압 모터 등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축부재(20)는 구동부(3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30)는 브러시나 정류자와 같은 기계 소모부가 없고 구조가 간단한 AC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AC 모터는 고속에서 순간 최대 토크를 출력할 수 있어 응답특성이 빠르며, 무게 당 토크가 커 소형 경량화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AC 모터는 하우징(10)에 수용되어 회전축부재(2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3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구동부(30)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공압 모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공압 모터는 과부하에 대해 안전하며, 속도 제어와 정, 역회전 변환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압모터는 회전축부재(2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피도금물(P)의 표면에 묻은 도금액을 탈리시키는 구동부(3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공압모터는 별도의 공급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압축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공급관은 일 측이 공압모터에 연결되고 타 측이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공급관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타 측이 제1 고리부(20a)를 향해 배치되어, 도금액의 탈리 시 피도금물을 향해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동부(30)의 일 측에는 제1 베어링(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베어링(40)은 회전축부재(20)와 하우징(10)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회전축부재(20)가 하우징(1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내주면이 회전축부재(20)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회전축부재(20)는 하우징(10)에 결합된 제1 베어링(4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제1 베어링(40)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베어링(taper bea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어링(40)이 테이퍼 베어링으로 형성됨으로써, 회전축부재(20)에 작용하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구동부(30) 및 기타 구성요소들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어링(40)은 구동부(30)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50)는 제1 베어링(40)과 접하는 내주면이 경사면을 형성하여 제1 베어링(40)을 지지하되, 일 측이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지지부(50)는 제1 베어링(40)과 접하는 면이 원추 형상으로 만입되어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1 베어링(40)은 지지부(50)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며 회전축부재(20)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회전축부재(20)는 제1 베어링(40)와 지지부(50), 및 제2 베어링(6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어링(60)은 지지부(50)와 회전축부재(20)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 또는 지지부(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베어링(60)은 제1 베어링(40)보다 제1 고리부(20a)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볼 베어링(ball bea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부재(20)가 제1 베어링(40)과 제2 베어링(60)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회전축부재(20)의 요동, 및 마찰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회전축부재(20)는 구동부(30)로부터 제공된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용이하게 고속으로 회전구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의 일 측에는 제동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동부(70)는 회전축부재(2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판 상의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로 형성될 수 있다. 제동부(70)는 복수 개가 회전축부재(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첩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동부(70)가 구동부(30)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제동부(70)에 구동부(30) 및 기타 구성요소 등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아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축부재(20)에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제동부(70)가 구동부(3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동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와 제1 베어링(4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동부(70)가 구동부(30)와 제1 베어링(40)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동부(70)가 회전축부재(20)의 중간에 배치되므로, 회전축부재(20)를 제동하는 데 필요한 제동력의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a)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a)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80)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a)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하우징(10)의 일 측, 특히,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열차단판(80)이 결합될 수 있다. 열차단판(80)은 하우징(1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과 제1 고리부(20a) 사이에 위치하되 회전축부재(20)가 중앙을 관통할 수 있다.
용융 아연도금을 하는 경우, 도금조에 수용된 도금액은 고온에서 용융된 상태이므로, 피도금물(P)이 수용된 다공망캐리어(100)를 도금조(T1)에 넣을 때 고온의 열이 하우징(10)에 전달되어 하우징(10) 및 하우징(10)에 수용된 각종 구성요소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과 제1 고리부(20a) 사이에 고온에 잘 견디는 열차단판(80)을 설치함으로써, 하우징(10) 및 하우징(10)에 수용된 각종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차단판(80)은 내열성이 강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b)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b)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블로어(90)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1b)는 하우징(10)의 일 측에 블로어(9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블로어(90)는 회전하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로어(90)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 개의 날개부를 포함하며, 하우징(10)은 블로어(9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관통구(10b)가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0)에 블로어(90)가 구비됨으로써, 공기는 제1 관통구(10b)를 통해 원활하게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거나 하우징(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 내부에서 발열하는 구동부(30)와 같은 구성요소가 냉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일 측에는 복수 개의 제2 관통구(10c)가 관통 형성되어 제1 관통구(10b)와 함께 공기의 유동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일 측에는 구동부(30)의 동작을 수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1)는 구동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통상의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31)와 구동부(30)를 연결하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관(10d)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부(31)가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용이하게 구동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향상됨과 동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도금처리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도금처리장치의 도금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금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피도금물(P)의 표면을 도금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처리 작업이 수행될 수있다. 전처리 작업은 산처리 작업과, 수세 작업, 및 중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산처리 작업은 피도금물(P)의 표면에 있는 각종 금속산화층, 즉, 스케일을 산용액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산처리 작업을 함으로써, 스케일이 제거됨과 동시에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산처리 작업 후에는 수세 작업을 진행한다.
수세 작업은 산처리 작업으로 피도금물(P)의 표면에 잔류하는 산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온의 물에 침수시켜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세 작업은 다단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수세 작업 후에는 중화 작업을 진행한다.
중화 작업은 산처리 작업으로 산성화된 피도금물(P)의 표면을 중성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알칼리계 용액에 침수시킨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건조시키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중화 작업 후에는 도금 작업을 진행한다.
도금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다공망캐리어(100)에 전처리 작업을 마친 피도금물(P)을 삽입한다(S100). 다공망캐리어(100)는 일 측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내부에 피도금물(P)을 삽입할 수 있다. 다공망캐리어(100)에 피도금물(P)을 삽입한 후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망캐리어(100)를 도금처리장치(1)에 매달아 도금조(T1)에 삽입하여 피도금물(P)의 표면을 도금한다(S200). 이 때, 도금처리장치(1)는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H)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호이스장치(H)에 연결된 권양장치(W)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금조(T1) 내부에는 용융된 도금액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다공망캐리어(100)의 관통공을 통해 도금액이 유동하여 피도금물(P)의 표면에 묻혀질 수 있다. 이 때, 도금처리장치(1), 특히, 회전축부재(20)는 도금조(T1) 내에서 저속으로 회전하여 도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피도금물(P)의 표면에 도금이 완료되면, 다공망캐리어(100)를 도금조(T1)에서 꺼내 건조탱크(T2)로 이동한다(S300). 전술한 바와 같이, 도금처리장치(1)는 호이스트 장치(H) 및 권양장치(W)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도금처리장치(1)에 연결된 다공망캐리어(100)는 도금조(T1)로부터 건조탱크(T2)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망캐리어(100)가 건조탱크(T2) 내부에 수용되면, 도금처리장치(1)로 다공망캐리어(100)를 회전시켜 피도금물(P)의 표면에 묻은 도금액을 털어낸다(S400). 이 때, 도금처리장치(1), 특히, 회전축부재(20)는 건조탱크(T2) 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여 도금액이 신속하게 털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피도금물(P)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된 도금액은 다공망캐리어(100)의 관통공을 통해 다공망캐리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피도금물(P)의 도금 및 건조 작업이 끝난 후에는 후처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후처리 작업은 냉각 작업, 및 포장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작업은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물(P)의 표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온의 물에 침수시켜 냉각시킬 수 있다. 냉각 작업이 완료된 피도금물(P)은 포장 작업을 거쳐 필요처에 공급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1b: 도금처리장치 10: 하우징
20: 회전축부재 20a: 제1 고리부
30: 구동부 31: 제어부
40: 제1 베어링 50: 지지부
60: 제2 베어링 70: 제동부
80: 열차단판 90: 블로어

Claims (5)

  1. 레일;
    상기 레일에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장치;
    상기 호이스트장치에 연결된 하우징;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하방으로 돌출된 회전축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부; 및
    내주면이 상기 회전축부재에 고정되고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 부재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축부재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베어링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베어링이고,
    상기 하우징은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부재가 중앙을 관통하는 열차단판을 포함하는 도금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다공망캐리어를 더 포함하는 도금처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는 하단부에 제1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재와 동일축 상의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제2 고리부가 형성되는 도금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도금처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 측에 결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도금처리장치.
KR2020160006082U 2016-10-20 2016-10-20 도금처리장치 KR200483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82U KR200483257Y1 (ko) 2016-10-20 2016-10-20 도금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082U KR200483257Y1 (ko) 2016-10-20 2016-10-20 도금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908 Division 2015-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463U true KR20170000463U (ko) 2017-02-02
KR200483257Y1 KR200483257Y1 (ko) 2017-04-19

Family

ID=5840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082U KR200483257Y1 (ko) 2016-10-20 2016-10-20 도금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6948A (zh) * 2022-09-19 2022-12-13 山东富海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型镀锌板加工用钝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414A (ko) * 2004-12-28 2006-07-04 (주)삼원피씨비 소형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방법 및 도금장치
KR101109799B1 (ko) 2011-07-19 2012-02-24 최진영 도금 방법
KR20120059180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재 투입장치
KR20140070902A (ko) * 2012-11-29 2014-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의 회전축 결합모듈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414A (ko) * 2004-12-28 2006-07-04 (주)삼원피씨비 소형 인쇄회로기판의 도금방법 및 도금장치
KR20120059180A (ko) * 2010-11-30 2012-06-0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재 투입장치
KR101109799B1 (ko) 2011-07-19 2012-02-24 최진영 도금 방법
KR20140070902A (ko) * 2012-11-29 2014-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모터의 회전축 결합모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6948A (zh) * 2022-09-19 2022-12-13 山东富海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型镀锌板加工用钝化装置
CN115466948B (zh) * 2022-09-19 2023-09-26 山东富海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型镀锌板加工用钝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57Y1 (ko)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1825B2 (ja) コーティング除去設備およびそれを動作させる方法
CN111519233A (zh) 一种镀镍产线及其电镀工艺
KR200483257Y1 (ko) 도금처리장치
CN109722689A (zh) 一种铝合金法兰盘窄深槽镀铜层均匀性控制方法
JP2013066901A (ja) 潤滑被膜形成方法及び潤滑処理方法
CN103290348B (zh) 自动镀锌工艺
CN110670007A (zh) 一种便于镀后处理钢材热浸镀锌
CN208037532U (zh) 一种内外循环移动且工件自动旋转的前处理装置
CN207727167U (zh) 一种铝合金条形边框阳极氧化装置
CN113020098A (zh) 一种磁性金属加工用除污装置
JP4807621B2 (ja) 塗装処理装置及び塗装処理方法
KR20160053669A (ko) 진동장치를 구비한 도금조
US3699918A (en) Galvanizing apparatus
JP5267526B2 (ja) 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方法
JP2015120952A (ja) めっき装置
CN216514122U (zh) 一种化学镍钯金生产线
JP2001158997A (ja) 電気化学処理の実施方法及び装置
CN211814613U (zh) 一种热镀锌处理装置
CN111139462B (zh) 一种电镀锡处理工艺
CN114059121A (zh) 一种可快速干燥的液压机械生产用电镀装置
JP2773102B2 (ja) めっき用回転バレル装置とその使用方法
TWI640652B (zh) 由第一金屬製成且具有由第二金屬製成之外鞘層之線的製造方法
CN205774754U (zh) 一种热浸镀锌打灰一体吊具
TWI565574B (zh) 晶圓切割線材的製造方法及其電鍍處理設備
WO2008153536A2 (en) Torque compensator system for spin glavan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