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88U -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 Google Patents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88U
KR20170000388U KR2020170000192U KR20170000192U KR20170000388U KR 20170000388 U KR20170000388 U KR 20170000388U KR 2020170000192 U KR2020170000192 U KR 2020170000192U KR 20170000192 U KR20170000192 U KR 20170000192U KR 20170000388 U KR20170000388 U KR 20170000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rame member
members
experienc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551Y1 (ko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닷케이알(주) filed Critical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to KR202017000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5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그물 구조물로 체험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그물부재에 이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내려오며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그물부재로 인해 체험활동을 하다 추락하여도 다치지 않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눕거나 독서를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이 제공되어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각각 그물부재의 신축성에 따라 적절한 텐션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THE AIR MOVEMENT EXPERIENTIAL ACTIVITIES FACILITY USING THE SAFETY NE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층을 이루는 안전망을 이용하여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며 층과 층 사이에 걸쳐 쉴 수 있는 휴식공간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안전난간이 형성된 출입구 계단부터 최상부까지 형성된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중간 중간 형성된 넓은 휴식공간에서 휴식 및 독서 등의 각종 레저활동 및 휴식활동이 가능한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망 시설물은 높은 곳에 위치한 모험활동 시설에서 체험자가 불시에 추락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로프 다음으로 2차적인 안전확보를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경사 및 수직으로 설치된 등반망 시설물의 경우 적정 높이를 기어오르기 위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듯 상기 대부분의 안전망 시설물은 메인시설물을 체험자가 사용하다가 추락하게 되었을 경우 이를 보호하기 위한 2차적인 안전확보용으로 사용되며, 기어오르는 형태의 등반망 시설물은 체험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등반망 시설 상부에 2차적인 안전확보장치가 추가로 구비하여 체험자가 지상에서부터 안전확보장치를 자신의 안전장구에 연결한 후에야 등반이 가능하기 때문에 항상 안전확보장치와 개인용 안전장구를 착용해야만 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거나 내려오를 수 있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기의 안전망 시설물은 체험자에게 개인별 안전장구나 안전확보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2차적인 보조수단으로 사용하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며, 체험자의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자유로운 체험활동에 한계에 봉착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체험자에게 안전장구나 안전확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자유로운 체험활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망을 2차적인 안전보조수단으로 사용하지 않고 메인 이동수단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체험자에게 개인별 안전장구나 안전확보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고 자유로운 체험활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 및 수평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망이 층을 형성하며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 및 휴식 공간이 형성되어지는 체험활동 시설물(B)에 있어서,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은 지면(G)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종방향 골조부재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하는 횡방향 골조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골조부재(100);와, 상기 골조부재(100)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와,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그물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그물부재(200);와, 상기 다수개의 층에 형성된 내부 그물부재를 서로 당겨서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접합되어지도록 하는 접합부재(300);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의 양측 단부를 종방향 골조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결속시키는 제 1 장력조정부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지면과 결속시키는 제 2 장력조정부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정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골조부재(100)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는 종방향 골조부재(110)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와 수평 또는 사선으로 형성되어지는 횡방향 골조부재(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는 체험활동 시설물(B)의 각 모서리 지점에 형성되어지는 메인 골조부재(111)와, 상기 메인 골조부재(111)와 메인 골조부재(11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형성되어지는 보조 골조부재(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종방향 골조부재(110) 사이에는 메쉬철망(W)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0)는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내부 골조부재(121)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상측끝단부에 결합되어 형성되어지는 지붕 골조부재(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골조부재(121)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소정에 높이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물부재(20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의 내측 공간부에 형성되어지는 내부 그물부재(210)와, 상기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의 둘레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220)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험자가 위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관통부(23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물부재(200)의 내부 그물부재(210)는 수평으로 상하로 맞추어 여러겹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층별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그물부재(210)는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후 접합부재(300)에 의해 결속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합부재(3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접합부재(32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가 결합되어지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상하 관통되어지는 체결홀(330)과, 상기 체결홀(330)의 크기에 대응되며 상하 체결되어지는 체결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장력조정부(400)는 일측단부가 종방향 메인 골조부재(111)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장력조정부는 일측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내부 그물부재(210)가 하부방향으로 당겨진 후 결속고정되어지는 접합부재(30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케이블(C)과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의 소정의 위치에는 시건장치가 포함되어지는 개폐식 출입부(114)가 추가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은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그물 구조물로 체험자가 오르내릴 수 있도록 그물부재에 이동부를 형성함으로써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내려오며 체험활동을 즐길 수 있으며, 그물부재로 인해 체험활동을 하다 추락하여도 다치지 않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넓은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눕거나 독서를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이 제공되어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험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각각 그물부재의 신축성에 따라 적절한 텐션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그물부재를 제거한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그물부재를 제거한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그물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체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체결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장력조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의 장력조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직 및 수평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망이 층을 형성하며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 및 휴식 공간이 형성되어지는 체험활동 시설물(B)에 있어서,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은 지면(G)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종방향 골조부재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하는 횡방향 골조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골조부재(100)와, 상기 골조부재(100)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와,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그물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그물부재(200)와, 상기 다수개의 층에 형성된 내부 그물부재를 서로 당겨서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접합되어지도록 하는 접합부재(300)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의 양측 단부를 종방향 골조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결속시키는 제 1 장력조정부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지면과 결속시키는 제 2 장력조정부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정부(400)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그물부재(200)를 제외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먼저 골조부재(100)는 체험활동 시설물(B)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원형강관 또는 각관 또는 H빔 등의 스틸 골조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소재의 골조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골조부재(100)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는 종방향 골조부재(110)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와 수평 또는 사선으로 형성되어지는 종방향 골조부재(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는 체험활동 시설물(B)의 각 모서리 지점에 메인 골조부재(11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메인 골조부재(111)와 메인 골조부재(11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는 보조 골조부재(112)가 형성되어진다.
상기의 종방향 골조부재(110)는 복수개로 형성되어지며, 각각의 종방향 골조부재(110) 사이에는 메쉬철망(W)이 형성되어있어,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서 체험활동을 하는 체험자가 외부로 추락하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0)는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지면과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내부 골조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골조부재(121)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소정의 높이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지며, 체험자가 상층 또는 하층에서 체험활동 및 휴식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0)는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상측 끝단과 결합되어지며 지붕을 형성하기 위한 지붕 골조부재(122)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골조부재(100)의 일반적인 형상의 설치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설치 장소의 지역 여건에 따라 수평, 수직, 경사 등의 다양한 형상의 조합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그물부재(200)와 접합부재(300)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그물부재(20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의 형성된 내측 공간부에 내부 그물부재(21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는 수평으로 상하로 맞추어 여러겹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그물부재(200)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의 둘레부분을 감싸도록 외부 그물부재(220)가 형성되어지는데, 상기 외부 그물부재(220)로 인해 체험자는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을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부(230)가 형성되어 체험자가 위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체험활동 시설물(B)을 즐길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230)가 형성되어지는 위치에 따라 체험자는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된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를 지그재그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하는 등의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각 층별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그물부재(210)는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후 접합부재(300)에 의해 결속고정되어 안전인장력을 유지시켜주며, 다수개의 복합적인 동로 모양을 형성하며 중간중간에는 넓은 그물망 공간을 추가로 형성하여 휴식, 독서 등의 여가 활동이 추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접합부재(3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300)는 그물부재(200)와 접합하게 될 때 한쪽이 밀리거나 체결부위가 훼손되지 않도록 모서리 부분에 라운드 홈이 추가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접합부재(3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의 형상과 모양에 대응되는 하부 접합부재(320)가 포함되어지며,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가 결합되어지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체결홀(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330)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며 상하로 체결되어지는 체결부재(340)가 추가로 포함되어진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의 각 골조부재(100) 및 그물부재(200)에 소정의 장력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장력조정부와 제 2 장력조정부가 추가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제 1 장력조정부(400)는 일측단부가 종방향 메인 골조부재(111)의 소정의 높이에 결합되어지며, 타측단부는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와 결합되어진다.
또한 제 2 장력조정부(400)는 일측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내부 그물부재(210)가 하부방향으로 당겨진 후 결속고정되어지는 접합부재(30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케이블(C)과 결속됨에 따라, 그물부재(200)의 신축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수준의 장력이 유지되어지도록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2 장력조정부(400)는 상기 골조부재(100)의 최상부 골조와 최하부 골조에 각각 체결되어 케이블로 연결되어지며, 그물부재(200)의 균형이 유지되며 소정의 장력이 형성되어지도록 안전장치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B)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험자가 내부 시설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입출입이 가능한 개폐식 출입부(114)가 추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개폐식 출입부(114)는 시건장치가 추가로 포함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험활동 시설물(B)을 이용하는 체험자는 그물부재(200)로 인해 불시에 추락하여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개인용 안전장구 착용이 없어도 언제나 안전한 체험활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직으로 형성된 그물부재(200)로 인해 등반체험 및 다양한 놀이활동이 가능하며, 접합부재(300)로 인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독서 및 휴식 등 다양한 여가활동 체험이 가능하여 다목적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B : 체험활동 시설물 W : 철망부재
100 : 골조부재 200 : 그물부재
300 : 접합부재 400 : 장력조정부

Claims (10)

  1. 수직 및 수평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망이 층을 형성하며 체험자가 기어오르거나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 및 휴식 공간이 형성되어지는 체험활동 시설물(B)에 있어서, 상기 체험활동 시설물은
    지면(G)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종방향 골조부재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하는 횡방향 골조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골조부재(100);와,
    상기 골조부재(100)의 외부에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와, 체험자의 체험활동 및 휴식공간이 제공되어지도록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다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그물부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그물부재(200);와,
    상기 다수개의 층에 형성된 내부 그물부재를 서로 당겨서 소정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접합되어지도록 하는 접합부재(300);와,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의 양측 단부를 종방향 골조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결속시키는 제 1 장력조정부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지면과 결속시키는 제 2 장력조정부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정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부재(100)는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어지는 종방향 골조부재(110)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와 수평 또는 사선으로 형성되어지는 횡방향 골조부재(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는 체험활동 시설물(B)의 각 모서리 지점에 형성되어지는 메인 골조부재(111)와, 상기 메인 골조부재(111)와 메인 골조부재(111)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형성되어지는 보조 골조부재(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종방향 골조부재(110) 사이에는 메쉬철망(W)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골조부재(120)는 체험활동 시설물(B) 내부에 형성되어지며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수평 또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내부 골조부재(121)와, 상기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상측끝단부에 결합되어 형성되어지는 지붕 골조부재(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골조부재(121)는 사각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되어지도록 종방향 골조부재(110)의 소정에 높이에서 지그재그식으로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부재(200)는 사각 프레임 형상의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의 내측 공간부에 형성되어지는 내부 그물부재(210)와, 상기 횡방향 내부 골조부재(121)의 둘레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지는 외부 그물부재(220)와, 상기 내부 그물부재(210)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험자가 위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되어지는 관통부(23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부재(200)의 내부 그물부재(210)는 수평으로 상하로 맞추어 여러겹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9. 제 8 항에 있어서,
    각 층별로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 그물부재(210)는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당겨진 후 접합부재(300)에 의해 결속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30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접합부재(31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하부 접합부재(320)와, 상기 상부 접합부재(310)와 하부 접합부재(320)가 결합되어지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상하 관통되어지는 체결홀(330)과, 상기 체결홀(330)의 크기에 대응되며 상하 체결되어지는 체결부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KR2020170000192U 2017-01-10 2017-01-10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KR200493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92U KR200493551Y1 (ko) 2017-01-10 2017-01-10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192U KR200493551Y1 (ko) 2017-01-10 2017-01-10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807A Division KR20170007512A (ko) 2017-01-10 2017-01-10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88U true KR20170000388U (ko) 2017-01-25
KR200493551Y1 KR200493551Y1 (ko) 2021-04-20

Family

ID=5796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192U KR200493551Y1 (ko) 2017-01-10 2017-01-10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792U (ja) * 1998-06-09 1998-12-18 東 間 掬 子 遊戯用ネット
JP2003172321A (ja) * 2001-12-10 2003-06-20 Daifuku Co Ltd 連結構造物
KR20120075735A (ko) * 2010-12-29 2012-07-09 강다정 그물형 운동놀이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792B2 (ja) * 1993-07-12 2000-06-19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駐車設備のパレット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4792U (ja) * 1998-06-09 1998-12-18 東 間 掬 子 遊戯用ネット
JP2003172321A (ja) * 2001-12-10 2003-06-20 Daifuku Co Ltd 連結構造物
KR20120075735A (ko) * 2010-12-29 2012-07-09 강다정 그물형 운동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51Y1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937B2 (en) Elevated adventure course with fall arrest system
US20130017895A1 (en) Hybrid fighting cage/boxing ring
KR20170007512A (ko)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KR101376703B1 (ko) 타워형 익스트림 레저 스포츠 구조물
KR20170000388U (ko) 안전망을 이용한 공중 이동 체험활동 시설물
JP3169231U (ja) 津波避難用建造物
JP3169231U7 (ko)
US20180296931A1 (en) Adventure Park
KR101161562B1 (ko) 베란다에 설치되는 보호용 뒷면 커버가 있는 접이식 구난 사다리
JP4844913B2 (ja) 津波からの避難装置
CN213654150U (zh) 一种便捷的桥梁桩基施工操作平台
CN205554608U (zh) 多层小型急救降落伞
CN210313252U (zh) 一种塔吊
CN206571184U (zh) 一种高层电梯井施工安全防护装置
KR102154094B1 (ko) 복합 네트어드벤처 구조체
KR102579624B1 (ko) 클라이밍 구조물
CN206158239U (zh) 户外旅游驿站
CN205252413U (zh) 一种高空横拉平衡木
US10226682B2 (en) Ball safety netting systems having gate access/egress
CN216169636U (zh) 一种拓展训练用悬浮桥
CN207307163U (zh) 一种用于空中大冒险游戏设施的攀爬梯
KR102372270B1 (ko) 교량 교각 안전 점검 통로
AU2015101705A4 (en) Climber Component of a Children's Play Apparatus
CN202322097U (zh) 塔机标准节平台上的栏杆和塔机
KR102376316B1 (ko)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