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83U - 충전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충전 보호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0383U KR20170000383U KR2020160001147U KR20160001147U KR20170000383U KR 20170000383 U KR20170000383 U KR 20170000383U KR 2020160001147 U KR2020160001147 U KR 2020160001147U KR 20160001147 U KR20160001147 U KR 20160001147U KR 20170000383 U KR20170000383 U KR 2017000038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transfer
- connection port
- electronic device
- connector
- charging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기 보호 케이스로서, 이는 전자장치를 수납하는데 적용된다. 전자장치는 하나의 배면 및 2개의 마주보는 측면을 포함하고, 또한 2개의 마주보는 측면은 각각 배면에 연결된다. 충전 보호케이스는 케이스 몸체, 충전 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을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는 서로 끼움 결합 가능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서로 끼움 결합되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함께 전자장치의 두 마주보는 측면 및 배면을 감싼다. 충전 코일은 케이스 몸체의 제 2 부분에 배치된다. 신호 전달 모듈은 충전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장치는 주로 유선 충전기를 이용하여 고정식 전원(예를 들어 도시전기)이 제공하는 전기에너지를 전자장치에 충전하는 방식이다. 휴대용 전자장치의 경우, USB 연결포트의 규격이 달라, 모델이나 브랜드가 다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동일한 유선 충전기를 함께 사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종종 휴대용 전자장치마다 각각 다른 유선 충전기를 휴대해야 하므로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따른다. 따라서 최근 무선 충전 기술이 점차 중시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충전 기술은 주로 전자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장치를 충전하는 방식으로서, 그 중 무선 충전 기능을 얻기 위하여, 휴대용 전자장치는 별도로 무선 충전 코일 모듈과 연결되어야 한다. 종래의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은 전자장치의 외부에 노출되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탈락되기가 쉽고 미관이 좋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다. 이밖에, 무선 충전 코일 모듈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USB 연결포트를 차지하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장치에 USB 연결포트가 하나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 휴대용 전자장치를 충전 시 다른 전자장치는 연결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적어도 탈락되기 쉽고 미관이 좋지 않은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충전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충전 보호 케이스는 전자장치를 수납하는데 적용되며, 전자장치는 배면 및 2개의 마주보는 측면을 포함하고, 또한 2개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배면이 연결된다. 충전 보호 케이스는 케이스 몸체, 충전 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을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는 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서로 끼움 결합되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함께 전자장치의 두 마주보는 측면 및 배면을 감싸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서로 끼움 결합된다. 충전 코일은 케이스 몸체의 제 2 부분에 배치된다. 신호 전달 모듈은 충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결합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제 2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끼움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부분은 신호 전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홈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장치는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구비한다. 신호 전달 모듈은 회로기판,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포함한다. 회로기판은 충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는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가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충전 코일이 신호 전달 모듈을 통해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가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삽입될 때, 충전 코일은 순차적으로 회로기판,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거쳐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을 더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을 통하여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삽입됨으로써, 신호 전달 모듈을 통해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삽입될 때,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는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 회로기판,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거쳐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는 각각 범용 시리얼 버스 연결포트(UB port)이며, 또한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는 각각 범용 시리얼 버스 커넥터(USB connector)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그 중 제 2 부분은 충전 코일을 수납하고 부분적으로 커버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제 3 부분을 더 포함한다. 제 3 부분은 충전 코일과 전자장치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코일은 제 3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내용에 따르면, 충전 코일이 충전 보호 케이스에 정합되기 때문에, 노출된 충전 코일이 사용자에게 직접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전 코일이 충전 시 외부 충격에 의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충전 보호 케이스는 종래의 탈락되기 쉽고 미관이 좋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전달 모듈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의 설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가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통해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장치를 충전 시 다른 전자장치와 연결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충전 보호케이스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충전 보호 케이스를 조립한 후의 설명도.
도 3은 전자장치와 도 1 중 충전 보호케이스의 충전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을 조립한 후의 설명도.
도 4A는 전자장치와 도 1 중 충전 보호 모듈을 조립 후의 설명도.
도 4B는 충전 보호 케이스가 조립된 전자장치와 기타 전자장치를 연결하기 전의 설명도.
도 5는 도 4A 중 단면선 A-A'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보호케이스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충전 보호 케이스를 조립한 후의 설명도.
도 3은 전자장치와 도 1 중 충전 보호케이스의 충전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을 조립한 후의 설명도.
도 4A는 전자장치와 도 1 중 충전 보호 모듈을 조립 후의 설명도.
도 4B는 충전 보호 케이스가 조립된 전자장치와 기타 전자장치를 연결하기 전의 설명도.
도 5는 도 4A 중 단면선 A-A'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보호케이스의 단면도.
본 고안의 상기 특징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보호케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충전 보호 케이스 모듈을 조립한 후의 설명도이며, 그 중 도 2는 도 1 중 케이스 몸체의 제 3부분을 생략하여 케이스 몸체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충전 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 사이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를 명확하게 표시하였다. 도 3은 전자장치와 도 1 중 충전 보호케이스의 충전 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을 조립한 후의 설명도이고, 도 4A는 전자장치와 도 1 중 충전 보호 모듈을 조립한 후의 설명도이며, 도 4B는 충전 보호 케이스가 조립된 전자장치와 기타 전자장치를 연결하기 전의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4A 중 단면선 A-A'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충전 보호케이스(100)는 전자장치(200)를 수납하는데 적용된다. 전자장치(200)는 하나의 배면(SB) 및 2개의 마주보는 측면(제 1 측면(S1) 제 2 측면(S2) 포함)을 포함하고, 또한 2개의 마주보는 측면은 각각 배면SB)에 연결된다. 전자장치(200)는 휴대용 전자장치, 예를 들어 이동전화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충전 보호케이스(100)는 전자장치(200)를 적당히 보호하는(예를 들어 내스크래치, 내충격) 이외에, 무선 충전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 보호케이스(100)는 케이스 몸체(110), 충전 코일(120) 및 신호 전달 모듈(130)을 포함한다. 케이스 몸체(110)는 조립식 케이스 몸체로서,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 1 부분(112) 및 제 2 부분(114)을 포함한다. 서로 끼움 결합되는 제 1 부분(112)과 제 2 부분(114)은 함께 전자장치(200)의 두 마주보는 측면(예를 들어 제 1 측면(S1) 및 제 2 측면(S2)) 및 배면(SB)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몸체(110)는 전자장치(200)의 제 1 측면(S1) 및 제 2 측면(S2)을 커버하는 이외에, 전자장치(200)의 다른 마주보는 측면(예를 들어 제 3 측면(S3) 및 제 4 측면(S4))을 더 커버하며, 또한 케이스 몸체(110)는 개구(O)를 구비한다. 개구(O)는 전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면(DS)을 노출시키며,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면(DS)은 케이스 몸체(111)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전자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면(DS)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빔을 출력하는 표면일 수 있다. 전자장치(200)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면(DS)은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조작면일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분(112)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 결합 부재(1122)를 구비하고, 또한 제 2 부분(11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 결합 부재(1122)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끼움 결합 부재(114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끼움 결합 부재(1122)와 제 2 끼움 결합 부재(1142)는 각각 암, 수 후크일 수 있고, 또한 제 1 끼움 결합 부재(1122)와 제 2 끼움 결합 부재(1142)는 동일한 수량으로 구비된다. 케이스 몸체(110)를 조립할 때, 먼저 제 2 부분(114)을 전자장치(200)의 제 2 측면(S2)에 덮은 다음, 제 1 부분(112)을 전자장치(200)의 제 1 측면(S1)으로부터 제 2 측면(S2)으로 이동시키고, 제 1 끼움 결합 부재(1122)를 제 2 끼움 결합 부재(1142)와 서로 체결한다. 단, 제 1 끼움 결합 부재(1122)와 제 2 끼움 결합 부재(1142)의 구체적인 형태, 수량 및 조립 방식은 상기 내용에 국한되지 않으며, 소속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누구든지,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동을 실시할 수 있다.
충전 코일(120)은 케이스 몸체(110)의 제 2 부분(114)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코일(120)은 예를 들어 제 2 부분(114)에 배치되며, 또한 충전 코일(120)은 제 1 부분(112)을 덮지 않으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 몸체(110)는 제 3 부분(116)을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부분(116)은 제 2 부분(114)에 배치되며, 또한 충전 코일(120)은 제 3 부분(116)과 제 2 부분(114)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 3 부분(116)은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개구(O)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 위치하는 충전 코일(120)을 차폐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는 제 3 부분(116)의 설치를 통해 충전 코일(120)을 제 3 부분(116)과 제 2 부분(114) 사이에 설치한 다음, 전자장치(200)를 제 3 부분(116)에 설치하며, 즉 제 3 부분(116)은 전자장치(200)와 충전 코일(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케이스 몸체(110)의 시각적인 일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코일(120)을 적당히 보호해줄 수도 있다. 그러나, 제 3 부분(116)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설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3 부분(116)이 제 1 부분(112) 및 제 2 부분(114)을 동시에 커버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 3 부분(116)은 조립의 편의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동(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보호케이스(110)는 제 3 부분(116)을 생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전 보호케이스(100)의 케이스 몸체(110A)는 제 1 부분(112) 및 제 2 부분(114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제 2 부분(114A)은 충전 코일(120)을 수납하면서 일부를 커버하여 사용자가 충전 코일(120)을 육안으로 직접 볼 수 없게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전달 모듈(130)은 충전 코일(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장치(200)에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호 전달 모듈(130)은 케이스 몸체(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114)은 오목홈(G)을 구비할 수 있다. 오목홈(G)은 신호 전달 모듈(130)을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신호 전달 모듈(130)은 실체 구성부재(예를 들어 전자선로)를 통해 전자장치(20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200)는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를 구비한다. 신호 전달 모듈(130)은 회로기판(132),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134)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를 포함하며, 그 중 회로기판(132)은 충전 코일(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호 전달 모듈(130)은 실체 구성부재(예를 들어 전자선로)를 통해 충전 코일(12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전달 모듈(130)은 신호 전달 선로(138)를 더 포함하고, 또한 신호 전달 선로(138)는 회로기판(132)에 설치되어 신호 전달 모듈(130)과 충전 코일(1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신호 전달 선로(138)는 연성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134)는 회로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134)는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충전 코일(120)이 신호 전달 모듈(130)을 통해 전자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134)가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에 삽입될 때, 충전 코일(120)은 순차적으로 회로기판(132),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134) 및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를 통해 전자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는 USB 연결포트일 수 있고,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134)는 USB 커넥터일 수 있으며, 그 중 USB 연결포트 및 USB 커넥터의 종류는 설계의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SB 연결포트는 USB Type-C 연결포트일 수 있고, USB 커넥터는 USB Type-C 커넥터일 수 있으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는 회로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기판(13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114)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H)을 더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31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H)을 통해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에 삽입됨으로써, 신호 전달 모듈(130)을 통해 전자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310)가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에 삽입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310)가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 회로기판(132), 제1 신호 전달 커넥터(134) 및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를 통해 전자장치(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310)를 통해 기타 전자장치(300)(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용 하드 디스크 등)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종래의 전자장치를 충전 시 유일한 신호 전달 포트가 이미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전자장치를 다른 전자장치에 동시에 더 연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의 종류는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210)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는 USB 연결포트일 수도 있으며, 그 중 USB 연결포트의 종류는 설계의 필요에 따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는 USB Tpye-C 연결포트일 수 있으나, 단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의 수량은 하나이며, 또한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는 제 2측 전자장치(200)의 제 2 측변(S2)에 위치하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136)의 수량 및 그 배치 위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신호 전달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1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139)는 회로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회로기판(132)에 배치되며, 이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기타 능동소자 또는 수동소자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충전 코일 및 신호 전달 모듈이 충전 보호케이스에 정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충전 코일을 직접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충전 코일이 충전 시 외부 충격으로 인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충전 보호케이스는 종래의 쉽게 탈락되고 미관이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전달 모듈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의 설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를 구비한 기타 전자장치는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통해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종래의 전자장치에 충전 코일이 연결되었을 때 기타 전자장치를 동시에 연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은 이미 위와 같이 실시예를 통해 공개되었으나, 이는 결코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소속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누구든지,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동과 수식을 실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뒤에 첨부하는 특허 출원범위로 한정된 것을 기준으로 간주한다.
100: 충전 보호케이스 110: 케이스 몸체
112: 제 1 부분 114: 제 2 부분
116: 제 3 부분 120: 충전 코일
130: 신호 전달 모듈 132: 회로기판
134: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136: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
138: 신호 전달 선로 139: 전자소자
200: 전자장치 210: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
300: 기타 전자장치 310: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
1122: 제 1 끼움결합부재 1142: 제 2 끼움결합부재
DS: 디스플레이면 G: 오목홈
H: 개방홀 O: 개구
S1: 제 1 측면 S2: 제 2 측면
S3: 제 3 측면 S4: 제 4 측면
SB: 배면 A-A': 단면선
112: 제 1 부분 114: 제 2 부분
116: 제 3 부분 120: 충전 코일
130: 신호 전달 모듈 132: 회로기판
134: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136: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
138: 신호 전달 선로 139: 전자소자
200: 전자장치 210: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
300: 기타 전자장치 310: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
1122: 제 1 끼움결합부재 1142: 제 2 끼움결합부재
DS: 디스플레이면 G: 오목홈
H: 개방홀 O: 개구
S1: 제 1 측면 S2: 제 2 측면
S3: 제 3 측면 S4: 제 4 측면
SB: 배면 A-A': 단면선
Claims (10)
- 배면 및 2개의 마주보는 측면을 포함하고, 또한 2개의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배면이 연결되는 전자장치를 수납하는데 적용되며,
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서로 끼움 결합되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이 함께 상기 전자장치의 상기 두 마주보는 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케이스 몸체;
상기 케이스 몸체의 제 2 부분에 배치되는 충전 코일; 및
상기 충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자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결합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끼움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신호 전달 모듈을 수납하기 위한 오목홈을 더 구비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은 회로기판,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충전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가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충전 코일이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가 상기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충전 코일은 순차적으로 상기 회로기판, 상기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상기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거쳐 상기 전자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을 더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을 통하여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신호 전달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에 삽입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는 순차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 상기 회로기판, 상기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상기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를 거쳐 상기 전자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전달 연결포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연결포트는 각각 범용 시리얼 버스 연결포트이며, 또한 상기 제 1 신호 전달 커넥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신호 전달 커넥터는 각각 범용 시리얼 버스 커넥터인 충전 보호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이 상기 충전 코일을 수납하면서 일부를 감싸는 충전 보호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는 제 3 부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충전 코일과 상기 전자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충전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4211432U TWM509994U (zh) | 2015-07-16 | 2015-07-16 | 充電保護殼 |
TW104211432 | 2015-07-16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383U true KR20170000383U (ko) | 2017-01-25 |
Family
ID=5485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1147U KR20170000383U (ko) | 2015-07-16 | 2016-03-03 | 충전 보호케이스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204992U (ko) |
KR (1) | KR20170000383U (ko) |
CN (1) | CN205407361U (ko) |
TW (1) | TWM509994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99066B (zh) * | 2018-11-07 | 2020-07-11 | 台灣立訊精密有限公司 | 無線充電轉換裝置以及具有無線充電轉換裝置的保護殼 |
JP7117265B2 (ja) * | 2019-04-23 | 2022-08-12 | 矢継 正信 | 別基板を格納して利用可能なスマートホンケース |
-
2015
- 2015-07-16 TW TW104211432U patent/TWM509994U/zh unknown
-
2016
- 2016-03-03 KR KR2020160001147U patent/KR20170000383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3-14 CN CN201620193582.4U patent/CN205407361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4-13 JP JP2016001709U patent/JP3204992U/ja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204992U (ja) | 2016-06-30 |
CN205407361U (zh) | 2016-07-27 |
TWM509994U (zh) | 2015-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976628B2 (en) | Wristwatch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 |
EP2693591A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TWM481636U (zh) | 手機防水、防塵之保護裝置 | |
KR101393388B1 (ko) |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 |
TW201442663A (zh) | 平板電腦保護套及應用該保護套的平板電腦保護系統 | |
KR101668461B1 (ko) |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 |
TWI525951B (zh) | 通用串列匯流排應用裝置以及通用串列匯流排應用裝置之組裝方法 | |
KR20170000383U (ko) | 충전 보호케이스 | |
WO2019033788A1 (zh) | 数据线 | |
WO2019000844A1 (zh) | 一种转接器、转接装置及充电设备 | |
US8912755B2 (en) | Charging device used in handheld devices | |
WO2019014986A1 (zh) | 电子设备保护壳组件 | |
KR20210008619A (ko) | 전자담배용 커버 | |
TWI504330B (zh) | 保護殼 | |
CN215119384U (zh) | 一种具有插头弯折保护结构的手机数据线 | |
TWM519847U (zh) | 改良式連接器(一) | |
JP2016534533A (ja) |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に対する改良 | |
TWM541650U (zh) | 充電組件 | |
CN206164650U (zh) | 一种无线充电手机壳 | |
TWM576773U (zh) | Cap structure | |
KR101505887B1 (ko) | 방수형 접속 커넥터 커버 | |
CN113852165B (zh) | 电子设备、充电连接线以及无线充电设备组件 | |
CN219717316U (zh) | 一种连接器、连接组件及电子设备 | |
CN113966117B (zh) | 电子设备、充电连接线以及电子设备组件 | |
CN210576847U (zh) | 一种带热敏电阻的USB-A to USB-C数据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