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388B1 -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 Google Patents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388B1
KR101393388B1 KR1020130136954A KR20130136954A KR101393388B1 KR 101393388 B1 KR101393388 B1 KR 101393388B1 KR 1020130136954 A KR1020130136954 A KR 1020130136954A KR 20130136954 A KR20130136954 A KR 20130136954A KR 101393388 B1 KR101393388 B1 KR 10139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gnetic force
contact terminal
coupling member
g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범
Original Assignee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특수금속 filed Critical (주)대한특수금속
Priority to KR102013013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시계줄을 연결하는 시계줄연결부; 및 상기 본체와 시계줄연결부 사이에 위치된 본체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본체와 시계줄연결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감춰지거나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노출시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Smart watch and connecting gender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워치 및 젠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워치의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시계줄이 연결되는 스마트워치의 본체 측면부에 구성되어 본체와 시계줄연결부의 회동을 통한 자력 결합 여부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의 노출시 이에 접속되는 소형의 젠더를 통하여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일종으로 원거리 및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성이 매우 우수하다.
더불어, 최근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연동되어 스마트 기기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도 스마트 기기를 대신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갤럭시 기어' 등과 같은 스마트워치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워치는 시계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시계줄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본체는 해당 구성부들을 통하여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고 시계줄에는 카메라 등의 주변기기가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워치는, 상기 본체를 충전함에 있어서, 본체의 바닥면 즉,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 손목에 접촉되는 부위에 외부의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충전용 컨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용 포트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가 노출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부 즉, 충전용 접촉단자가 사용자의 손목 등에 접촉 가능한 상태로 노출되어 접촉부위의 땀 등과 액체에 접촉되는 경우, 접촉단자의 부식 및 쇼트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워치가 오동작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워치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별도의 케이스부재와, 상기 케이스부재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시 충전용 포트의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점되는 충전용 접촉단자와, 상기 충전용 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가지며 외부의 충전기 등과 같은 충전용 컨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용 삽입포트를 가지는 젠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젠더가 스마트워치의 본체를 강제 수용하는 케이스 형상을 가지게 됨에 따라 그 부피가 증가하여 휴대성이 크게 저하되고 충전 과정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워치의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시계줄이 연결되는 스마트워치의 본체 측면부에 구성되어 본체와 시계줄 연결부의 회동을 통한 자력 결합 여부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도록 하여 땀 등과 같은 액체와의 접촉에 따른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부 노출시 이에 간편하게 접속되는 소형의 젠더를 통하여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시계줄을 연결하는 시계줄연결부; 및 상기 본체와 시계줄연결부 사이에 위치된 본체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본체와 시계줄연결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감춰지거나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노출시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 본체의 일측면 하단과 시계줄연결부의 하단부는,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계줄연결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구성된 본체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방수용 와셔가 일체 또는 장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젠더의 접촉단자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일측에 구성되어 젠더의 자력결합부재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케이스와 후면케이스가 상호간 연결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블록; 상기 장착블록의 전면에 구성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스마트워치의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 상기 장착블록의 전면에 구성되어 스마트워치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 상기 장착블록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의 자력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플레이트; 및 상기 장착블록의 배면에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접촉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마이크로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PCB를 포함하는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케이스는, 상기 접촉단자가 구성되는 접촉면의 상하측면이 소정길이와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곡률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장착블록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PCB에 접속 실장되고 하우징의 전면케이스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 상태를 가지는 비삽입 접점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워치에 있어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상호간 회동 가능하게 자력 결합 및 해제되는 본체와 시계줄연결부 사이의 본체 일측면에 구성되어 노출되거나 숨겨짐으로써, 노출시에는 젠더나 충전용 컨넥터를 통한 전기적 접속을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숨김시에는 사용자와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땀 등과 같은 액체에 의해 쇼트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에 있어서, 소형의 하우징 일측면이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노출된 상태의 스마트워치의 인터페이스부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상기 스마트워치의 본체를 강제 수용하는 케이스 형상을 가지지 않아도 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고 충전 과정도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워치에 있어서 본체와 시계줄 연결부의 회동 및 자력 결합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도면;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이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워치에 있어서 본체와 시계줄 연결부의 회동 및 자력 결합에 따라 노출 또는 감춰지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스마트워치에 이에 연결되는 젠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100)는,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시계줄(120)을 연결하는 시계줄연결부(130) 및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 사이에 위치된 본체(110)의 일측면에 구성되고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200)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 하단과 시계줄연결부(130)의 하단부는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120)의 경우, 갤럭시 기어 등과 같이, 이미 공지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시계줄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10)의 상하측면에 각각 구성되어 시계줄(12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되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계줄연결부(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되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자력 결합될 수 있도록 자력결합부재(13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상기 자력부재(131)에 자력결합을 위한 자력결합부재(142)가 구성되어 자력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시계줄연결부(130)의 자력결합부재(131)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본체(110)의 자력결합부재(142)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나 피자성부재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본체(110)의 자력결합부재(142)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과 시계줄연결부(130)가 회동수단을 통하여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됨으로써, 자력결합시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도록 하여 손목 등의 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땀이나 액체 등으로 인한 쇼트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고, 자력결합 해제시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노출되도록 하여 후술된 젠더(200)나 보조기기의 충전용 컨넥터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여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계줄연결부(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방수용 와셔(133)가 일체 또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방수용 와셔(133)에 의해 실링되는 경우 방수 기능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 사이에 위치된 본체(110)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200)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여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후술된 젠더(200)의 접촉단자(23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어 상호간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촉단자(141)와, 상기 접촉단자(141)의 일측에 구성되어 젠더(200)의 자력결합부재(24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어 상기 접촉단자들의 전기적 비삽입 접점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자력결합부재(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141)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도금 공법에 의해 기판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핀의 형상을 통하여 실장된 상태에서 본체(110)의 일측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진다.
상기 접촉단자(141)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즉, 후술된 젠더(200)나 충전기의 충전용 컨넥터가 접촉되는 접촉면에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그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와 그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반동 삽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인쇄회로기판측으로 휘어지는 탄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평면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일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접촉단자(141)는,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230)가 평면단자인 경우에는 탄력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230)가 탄력단자인 경우에는 평면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결합부재(142)는, 상기 접촉단자(141)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 즉, 접촉면에 다양한 형상과 면적을 가지면서 위치될 수 있고,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단극 또는 다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력결합부재(142)는,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240)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이거나 피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240)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력결합부재(142)가 자석인 경우에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금속체가 해당 자석의 배면부 또는 좌우측부 또는 상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력의 직진성 확보를 통한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자석들간의 자력 결합시 해당 극성끼리만 결합되도록 하여 역방향 접점을 방지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젠더(200)(또는, 충전용 컨넥터)와 본체(110)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의하면,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의 자력결합 해제를 통한 노출시 후술된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가 자력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로 비삽입 접점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142)는, 상기 시계줄연결부(130)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131)와 자력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구성되는 자력결합부재의 구성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워치(100)에 의하면,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40)가 상호간 회동 가능하게 자력 결합 및 해제되는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 사이의 본체(110) 일측면에 구성되어 노출되거나 숨겨짐으로써, 노출시에는 후술된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를 통한 전기적 접속을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숨김시에는 사용자와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땀 등과 같은 액체에 의해 쇼트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100)에 연결되는 소형의 젠더(200)는, 상기와 같이 스마트워치(110)의 인터페이스부(140)가 삽입식 포트가 아닌 비삽입식 포트의 구성을 가지고 충전용 컨넥터가 삽입식 컨넥터의 구성일 때 상호간 전기적 접점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재로, 전면케이스(211)와 후면케이스(212)가 상호간 연결 결합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블록(22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스마트워치(100) 본체(110)의 접촉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23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자력결합부재(142)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240),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240)의 자력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플레이트(250) 및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접촉단자(230)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외부의 충전용 컨넥터의 삽입식 접촉단자가 삽입 접속되도록 하는 마이크로단자(260)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PCB(27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는, 접촉면의 상하측면이 소정길이와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곡률부(211a)를 통하여, 충전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접촉면 상호간 접촉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스마트워치(110)의 접촉면을 감싸도록 하여 소정 크기의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상호간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블록(220)은,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부재로, 상기 접촉단자(230)와 자력결합부재(240) 및 백플레이트(250)가 해당 위치에 수용 및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210)이 소형의 공간을 가지더라도 상기 구성부들이 하우징(210)에 용이하게 구성 및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230)는, 상기 장착블록(220)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PCB(270)에 접속 실장되고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 상태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접촉단자(230)는, 상기 본체(110)의 접촉면에 구성된 인터페이스부(140)의 접촉단자(141)에 대응되는 개수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그 단부가 평면 또는 요홈을 가지는 평면단자와 그 단부가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가지면서 PCB(270)측으로 반동 삽입되거나 또는 단부만이 탄력을 가지면서 PCB(270)측으로 휘어지는 탄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평면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내부에 단자가 함몰된 구조 또는 통공의 평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탄력단자는 접촉면에 형성되는 통공의 외측으로 단자가 일부 돌출된 구조로 구성된다.
즉, 접촉단자(230)는, 상기 본체(110)의 접촉단자(141)가 평면단자인 경우에는 탄력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110)의 접촉단자(141)가 탄력단자인 경우에는 평면단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결합부재(240)는, 상기 접촉단자(230)가 구성된 장착블록(220)에 본체(110)의 자력결합부재(142)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데, 자성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자석 또는 전자석, 영구자석, 단극 또는 다극착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상기 자성부재에 자력 결합이 가능한 금속이나 강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력결합부재(240)는, 본체(110)의 자력결합부재(142)가 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이거나 피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110) 자력결합부재(142)가 피자성부재인 경우에는 자성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력결합부재(240)가 자석인 경우에는 자석을 물리적으로 나누지 않고 착자요크라는 설비를 통해 상하단극, 2극 및 4극착자로 제조하여 다양한 개수의 극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백플레이트(250)가 해당 자석의 배면부 또는 좌우측부 또는 상하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되어 자력의 직진성 확보를 통한 자력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자석들간의 자력 결합시 해당 극성끼리만 결합되도록 하여 역방향 접점을 방지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110)와 젠더(200)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접점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단자(260)는, 상기 젠더(200)에 전원 및 통신장치의 삽입형 컨넥터가 삽입 접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형 컨넥터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구성과 동작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젠더(200)는, 상기 PCB(270)에 쇼트방지부가 더 구성되는데, 상기 쇼트방지부는, 상기 비삽입 방식의 접촉단자(230)가 외부의 도체성 물질에 의해 단락되어 V-BUS와 GND의 전원공급라인에 쇼트 발생시 본체(110)에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전압쇼트방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마트워치(100)의 접촉면과 젠더(200)의 접촉면에는, 상기 자력결합부재들의 자력 결합에 따른 접촉단자들의 비삽입 접점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수단(미도시)이 각각 더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역방향 삽입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접촉면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돌출 형성되는 양각가이드와 함몰 형성되는 음각가이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워치(100)의 가이드수단이 양각가이드인 경우에는 젠더(200)의 가이드수단이 음각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젠더(200)의 가이드수단이 양각가이드인 경우 스마트워치(100)의 가이드수단이 음각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젠더(200)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워치(110)의 인터페이스부(140)가 노출된 상태에서 자력결합부재(142,240)들의 자력 결합시 접촉단자(141,230)들이 상호간 비삽입 접점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단자(230)에 마이크로단자(260)에 접속된 충전용 컨넥터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전원 및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부들이 소형의 하우징(210) 내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일측면이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노출된 상태의 스마트워치(100)의 인터페이스부(140)에 자력을 이용하여 비삽입 접점되어 전기적으로 도통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상기 스마트워치(100)의 본체(110)를 강제 수용하는 케이스 형상을 가지지 않아도 되어 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휴대성이 크게 향상되고 충전 과정도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워치(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 사이에 위치된 본체(110)의 일측면에 본체(110)의 측면 즉, 시계줄(120)을 향하여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 하단과 시계줄연결부(130)의 하단부가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시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요홈 형상의 안착용 플랜지(111)를 가지면서 구성되고, 상기 안착용 플랜지(111)에 인터페이스부(140)가 본체(110)의 상측부를 향하여 구성되며, 시계줄연결부(130)에 상기 안착용 플랜지(111)를 커버하는 마감용 플랜지(132)가 구성되고, 상기 마감용 플랜지(132)에 상기 인터페이스부(140)에 자력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131)가 구성된다.
이에,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 하단과 시계줄연결부(130)의 하단부가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시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통하여, 노출시에는 젠더(200)나 충전용 컨넥터가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전기적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편리한 접속 동작을 통한 충전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숨김시에는 사용자와의 신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땀 등과 같은 액체에 의해 쇼트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스마트 기기에 연동되어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에 시계줄(120)을 연결하는 시계줄연결부(130); 및
    상기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 사이에 위치된 본체(110)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본체(110)와 시계줄연결부(130)의 결합 여부에 따라 감춰지거나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노출시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젠더(200)의 인터페이스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시계줄연결부(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에 방수용 와셔(133)가 일체 또는 장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된 본체(110)의 일측면 하단과 시계줄연결부(130)의 하단부는, 상호간 소정각도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간 자력 결합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감춰지고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줄연결부(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되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부위는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동수단을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줄연결부(1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40)가 구성되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자력 결합될 수 있도록 자력결합부재(13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본체(110)의 일측면에 상기 자력결합부재(131)에 자력결합을 위한 자력결합부재(14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젠더(200)의 접촉단자(230)나 충전용 컨넥터의 접촉단자에 비삽입 접점되는 접촉단자(141)와;
    상기 접촉단자(141)의 일측에 구성되어 젠더(200)의 자력결합부재(240)나 충전용 컨넥터의 자력결합부재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
  8. 전면케이스(211)와 후면케이스(212)가 상호간 연결 결합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장착 구성되는 장착블록(22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며 스마트워치의 접촉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단자(230);
    상기 장착블록(220)의 전면에 구성되어 스마트워치에 자력 결합되는 자력결합부재(240);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자력결합부재(240)의 자력 직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백플레이트(250); 및
    상기 장착블록(220)의 배면에 구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접촉단자(230)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마이크로단자(260)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PCB(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는,
    상기 접촉단자(230)가 노출되는 접촉면의 상하측면이 소정길이와 곡률로 연장 형성되는 곡률부(211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230)는,
    상기 장착블록(220)의 일측면 내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PCB(270)에 접속 실장되고 하우징(210)의 전면케이스(211)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 상태를 가지는 비삽입 접점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워치에 연결되는 젠더.
KR1020130136954A 2013-11-12 2013-11-12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10139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954A KR101393388B1 (ko) 2013-11-12 2013-11-12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954A KR101393388B1 (ko) 2013-11-12 2013-11-12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3388B1 true KR101393388B1 (ko) 2014-05-13

Family

ID=5089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954A KR101393388B1 (ko) 2013-11-12 2013-11-12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38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74B1 (ko) 2013-12-11 2015-09-02 (주)대한특수금속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20160093475A (ko) * 2015-01-2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CN109687555A (zh) * 2019-01-30 2019-04-26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运动手环充电装置和运动手环
KR102191983B1 (ko) 2020-06-03 2020-12-16 주식회사 베스트바이 무선 이어폰 보관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워치
KR20210108064A (ko) * 2020-02-25 2021-09-02 (주)이노피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KR102312161B1 (ko) 2021-02-26 2021-10-13 주식회사 액센코리아 스마트 워치
CN113546888A (zh) * 2021-07-08 2021-10-26 深圳市新科盈数码有限公司 一种带有屏幕擦拭功能的智能手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100A (ko) * 2005-01-22 2006-07-26 (주)대한특수금속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JP2006262052A (ja) 2005-03-17 2006-09-28 Nec Corp 電子機器への端子カバー取り付け構造及び携帯電話機
JP2007085821A (ja) * 2005-09-21 2007-04-05 Citizen Watch Co Ltd 腕時計型機器
KR20130117081A (ko) * 2012-04-17 2013-10-25 (주)대한특수금속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100A (ko) * 2005-01-22 2006-07-26 (주)대한특수금속 마그네트를 이용한 비삽입 접촉식 커넥터와 이 커넥터가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휴대폰용 충전기
JP2006262052A (ja) 2005-03-17 2006-09-28 Nec Corp 電子機器への端子カバー取り付け構造及び携帯電話機
JP2007085821A (ja) * 2005-09-21 2007-04-05 Citizen Watch Co Ltd 腕時計型機器
KR20130117081A (ko) * 2012-04-17 2013-10-25 (주)대한특수금속 비삽입형 컨넥터를 가지는 유에스비 메모리 및 이에 연결되는 젠더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074B1 (ko) 2013-12-11 2015-09-02 (주)대한특수금속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20160093475A (ko) * 2015-01-2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KR102329820B1 (ko) * 2015-01-29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장착형 장치
CN109687555A (zh) * 2019-01-30 2019-04-26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运动手环充电装置和运动手环
KR20210108064A (ko) * 2020-02-25 2021-09-02 (주)이노피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KR102302061B1 (ko) * 2020-02-25 2021-09-15 (주)이노피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KR102191983B1 (ko) 2020-06-03 2020-12-16 주식회사 베스트바이 무선 이어폰 보관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워치
KR102312161B1 (ko) 2021-02-26 2021-10-13 주식회사 액센코리아 스마트 워치
CN113546888A (zh) * 2021-07-08 2021-10-26 深圳市新科盈数码有限公司 一种带有屏幕擦拭功能的智能手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388B1 (ko)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KR101549074B1 (ko) 스마트안경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EP2736127B1 (e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port and a cable connector device
US8976628B2 (en) Wristwatch provided with an electrical connector
TWI491117B (zh) 電連接器、托座及電連接器組件
KR101548465B1 (ko) 스마트 워치용 배터리 장치
KR200484059Y1 (ko) 휴대용기기용 결합팁을 이용하는 보호케이스
US914796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non-insertion type interface
WO2017008546A1 (zh) 一种腕表充电组件及腕表
KR10087954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모듈
JP2008171652A (ja) 小型マグネットコネクター
US10439326B2 (en) Button structure and terminal applying same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WM481432U (zh) 搭載有行動電源的穿戴式電子裝置
EP3719937B1 (en) Charg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M540419U (zh) 轉接模組
KR20170000383U (ko) 충전 보호케이스
KR20180066640A (ko) 전자 장치
CN205122830U (zh) 一种辅助充电装置
CN216929608U (zh) 充电装置以及智能穿戴组件
CN218273122U (zh) 一种腕带设备及腕带设备充电器
CN219456740U (zh) 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CN220137558U (zh) 一种带双蓝牙耳机收纳与充电的智能手表
CN217087542U (zh) 可穿戴设备主体、可穿戴设备和充电装置
CN218783593U (zh) 一种充电装置及移动电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