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640A -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640A
KR20180066640A KR1020160167724A KR20160167724A KR20180066640A KR 20180066640 A KR20180066640 A KR 20180066640A KR 1020160167724 A KR1020160167724 A KR 1020160167724A KR 20160167724 A KR20160167724 A KR 20160167724A KR 20180066640 A KR20180066640 A KR 20180066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ocking
main body
ca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련
임근홍
이득희
공기혁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6016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640A/ko
Publication of KR2018006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6Electric connectors, e.g. conductive elastomer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H01M2/10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의 배터리 충전에 사용되는 도킹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도킹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패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접촉패드의 주변에 위치하는 본체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접촉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촉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접촉핀에 전달하는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접촉핀 주변에 위치하는 도킹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마그넷 및 상기 도킹 마그넷은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대향되게 위치하면 상호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착자되고,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서로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이의 배터리 충전에 사용되는 도킹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에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손목시계와 같은 형태로 착용하여 신체의 각종 생체 정보를 취득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밴드 또는 스마트워치가 가장 널리 보급되는 추세이다.
스마트밴드 또는 스마트워치 등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야 하므로 종래의 스마트폰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폼 팩터로 만들어져야 한다. 사용의 편의성으 위해서 작은 폼 팩터 내부에 다양한 부품을 수용하면서 가능한 최대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밴드 또는 스마트워치 등은 케이스 내부의 부품 등의 효율적인 공간설계가 요구된다.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한 전자 장치의 경우, 전원공급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단자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스마트밴드 또는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경우, 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커넥터가 삽입되는 단자를 제거하고, 외부로 노출된 접촉 패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충전 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킹부를 별도로 제공한다. 도킹부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촉 패드에 결합될 수 있는 접촉핀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접촉 패드는 커넥터 삽입용 단자보다 보다 작을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도킹부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접촉 패드 부분에 결합하여, 접촉핀이 접촉패드에 정확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형인 도킹부를 정확하게 결합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또한, 손놀림이 정교하지 못한 영유아 또는 노인들에게는 도킹부를 정확하게 결합하는 것이 상당히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도킹부에 있어서, 도킹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도킹부에 있어서, 도킹부가 본체부에 잘못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도킹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패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접촉패드의 주변에 위치하는 본체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접촉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촉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접촉핀에 전달하는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접촉핀 주변에 위치하는 도킹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마그넷 및 상기 도킹 마그넷은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대향되게 위치하면 상호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착자되고,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서로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 마그넷은 제1 본체 마그넷 및 제2 본체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마그넷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본체 마그넷과 대향되며 결합되는 제1 도킹 마그넷 및 상기 제2 본체 마그넷과 대향되며 결합되는 제2 도킹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마그넷 및 상기 제2 본체 마그넷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마그넷 및 상기 제2 본체 마그넷은 상기 접촉패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 주변의 내부면에 형성된 마그넷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마그넷은 상기 마그넷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 주변의 케이스와 상기 접촉핀 주변의 도킹부의 표면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 주변의 케이스와 상기 접촉핀 주변의 도킹부의 표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접촉패드 주변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접촉핀 주변이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접촉패드 주변의 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두 곡면이 밀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도킹부에 있어서, 도킹부를 본체부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전자 장치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도킹부에 있어서, 도킹부가 본체부에 잘못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도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도킹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와 도킹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와 도킹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가와 도킹부가 반대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전자 장치의 본체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손목밴드 또는 손목시계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목걸이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에 걸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반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워져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클립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옷이나 가방 등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안경 형태 또는 해드 마운트 장치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져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암 밴드 또는 발목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뚝이나 발목 등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사용자의 피부나 의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패치 형태의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손목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예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는 스트랩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의 양단에는 스트랩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각종 부품이 수용된다. 본체부는 배면이 사용자의 손목의 피부와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착용될 수 있다. 본체부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의 배면에는 접촉패드가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체부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각종 생체신호를 취득할 수 있는 센서부가 설치된다. 센서부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 등을 측정할 수 있는 PPG센서가 될 수 있다.
본체부에서 접촉패드가 노출되는 부분과 그 주변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면, 본체부가 사용자의 피부에 더욱 밀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는 케이스 내부에 각종 부품이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부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배터리, 진동모터, 회로 기판, 제어부, 신호처리부, 센서부, 접촉패드 및 본체 마그넷 등이 수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는 본체부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본체부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전원이 충전된 배터리는 디스플레이 장치, 진동모터, 제어부, 신호처리부 및 센서부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는 접촉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진동모터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모터는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인쇄회로 기판(PCB)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에는 본체부의 각종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에는 제어부, 신호처리부, 센서부 및 접촉패드 등이 실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회로 기판에는 수동 전기소자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일면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향되고, 타면에 본체부의 배면의 내부면과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서부 및 접촉패드는 회로 기판의 타면에 실장되어 본체부의 케이스의 배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접촉패드는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접촉패드는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받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접촉패드는 복수의 전도성 패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도성 패드는 서로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본체 마그넷은 케이스 내부에서 접촉패드의 주변에 위치한다. 케이스에는 배면의 접촉패드 노출용 개구 주변에 마그넷 결합부가 형성된다. 마그넷 결합부는 마그넷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가 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체 마그넷은 케이스의 내부면과 대향되는 제1 면을 포함한다.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은 케이스의 내부면과 밀착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제1 면은 N극과 S극 중 어느 하나로 착자된다. 제1 면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케이스 부근에서 케이스에 대략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본체 마그넷이 대향되는 케이스의 내부면은 배면 케이스의 내부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마그넷은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본체 마그넷은 접촉패드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마그넷은 제1 본체 마그넷 및 제2 본체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 마그넷과 제2 본체 마그넷은 접촉패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본체 마그넷과 제2 본체 마그넷은 각각 제1 면을 가진다. 제1 본체 마그넷과 제2 본체 마그넷 각각의 제1 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은 N극으로 착자되고, 제2 본체 마그넷의 제2 면은 S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스의 외부에서는 접촉패드를 기준으로 제1 본체 마그넷이 형성된 부분에는 N극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제2 본체 마그넷이 형성된 부분에는 S극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도킹부의 사시도이다.
도킹부는 본체부의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입력받은 전원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도킹부는 접촉패드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촉핀을 포함한다. 접촉핀은 도킹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도킹부의 접촉핀 주변은 본체부의 접촉패드 부분과 그 주변 부분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킹부는 본체부의 접촉패드에 정상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본체부와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도킹부의 단면도이다.
도킹부는 접촉핀, 전원입력단자, 연결부 및 도킹 마그넷을 포함한다.
접촉핀은 도킹부의 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접촉핀의 하단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접촉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접촉핀이 내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움직일 수 있다.
접촉핀은 접촉패드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접촉핀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복수의 핀은 접촉패드의 전도성 패드에 각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핀은 접촉패드의 복수의 전도성 패드가 위치한 것에 대응되어 위치한다. 접촉핀은 연결부를 통해 전원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입력단자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는 접촉핀의 복수의 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입력단자는 전원공급 커넥터가 삽입될 수 있는 암단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입력단자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5핀 USB 커넥터, 라이트닝 포트 커넥터 등이 삽입되는 암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도킹 마그넷은 도킹부의 케이스 내부에서 접촉핀 주변에 위치한다. 도킹부의 케이스에는 접촉핀이 설치된 부분 주변에 마그넷 결합부가 형성된다. 마그넷 결합부는 마그넷의 크기에 대응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 마그넷의 적어도 일부가 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킹 마그넷은 도킹부의 케이스의 내부면과 대향되는 제1 면을 포함한다. 도킹 마그넷의 제1 면은 도킹부의 케이스의 내부면과 밀착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제1 면은 N극과 S극 중 어느 하나로 착자된다. 제1 면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도킹부의 케이스 부근에서 도킹부의 케이스에 대략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킹 마그넷의 제1 면의 극성은 도킹부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경우 대향되어 결합되는 본체 마그넷의 제1 면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킹부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경우, 본체 마그넷과 도킹 마그넷 사이에서는 인력이 발생한다.
도킹 마그넷은 복수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도킹 마그넷은 접촉패드를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마그넷은 제1 도킹 마그넷 및 제2 도킹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킹 마그넷과 제2 도킹 마그넷은 접촉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도킹 마그넷과 제2 도킹 마그넷은 각각 제1 면을 가진다.
도킹부가 본체부에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1 도킹 마그넷은 제1 본체 마그넷과 대향되어 결합될 수 있고, 제2 도킹 마그넷은 제2 본체 마그넷과 대향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킹 마그넷의 제1 면과 제1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이 서로 대향되고, 제2 도킹 마그넷의 제1 면과 제2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면, 접촉핀이 접촉패드에 결합되게 된다.
제1 도킹 마그넷과 제2 도킹 마그넷 각각의 제1 면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킹 마그넷의 제1 면은 S극으로 착자되고, 제2 도킹 마그넷의 제2 면은 N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킹부 케이스의 외부에서는 접촉핀을 기준으로 제1 도킹 마그넷이 형성된 부분에는 S극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제2 도킹 마그넷이 형성된 부분에는 N극에 의한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도킹부가 본체부에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1 도킹 마그넷과 제1 본체 마그넷 사이 및 제2 도킹 마그넷과 제2 본체 마그넷 사이에서는 인력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제1 도킹 마그넷의 제1 면과 제1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은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진다. 또한, 제2 도킹 마그넷의 제1 면과 제2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은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은 N극으로 착자되고, 제1 도킹 마그넷의 제1 면은 S극으로 착자되고, 제2 본체 마그넷의 제1 면은 S극으로 착자되고, 제1 도킹 마그넷의 제1 면은 N극으로 착자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와 도킹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부와 도킹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킹부는 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킹부가 본체부에 결합되면, 접촉핀이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입력단자를 통해 도킹부에 입력된 전원이 접촉핀을 통해 접촉패드로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도킹부가 본체부에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 본체 마그넷과 도킹 마그넷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고, 상기 인력에 의해 도킹부와 본체부가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 마그넷을 덮는 본체부의 케이스와 도킹 마그넷을 덮는 도킹부의 케이스와 서로 대향되고 밀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킹부가 본체부에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면, 접촉핀이 접촉패드에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도킹부가 본체부에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면, 접촉패드 주변의 본체부의 곡면 케이스 부분과 접촉핀 주변의 도킹부의 곡면 케이스 부분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본체가와 도킹부가 반대 방향으로 결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에 의해 도킹부가 본체부에 반대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본체 마그넷과 제2 도킹 마그넷이 대향되게 되고, 제2 본체 마그넷과 제1 도킹 마그넷이 대향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에 따른 반발이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그넷 사이의 척력을 무시하고 도킹부를 본체부에 반대 방향으로 근접시킨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의 접촉패드 주변의 곡면과 도킹부의 접촉핀 주변의 곡면을 서로 모양이 맞지 않게 되어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접촉핀이 반대 방향으로 접촉패드에 결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는 도킹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상기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고, 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패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접촉패드의 주변에 위치하는 본체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접촉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접촉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접촉핀에 전달하는 전원입력단자; 및
    상기 접촉핀 주변에 위치하는 도킹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마그넷 및 상기 도킹 마그넷은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대향되게 위치하면 상호간에 인력이 발생하도록 착자되고,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서로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마그넷은 제1 본체 마그넷 및 제2 본체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도킹 마그넷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제1 본체 마그넷과 대향되며 결합되는 제1 도킹 마그넷 및 상기 제2 본체 마그넷과 대향되며 결합되는 제2 도킹 마그넷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마그넷 및 상기 제2 본체 마그넷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향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는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 마그넷 및 상기 제2 본체 마그넷은 상기 접촉패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개구 주변의 내부면에 형성된 마그넷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마그넷은 상기 마그넷 결합부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정상 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 주변의 케이스와 상기 접촉핀 주변의 도킹부의 표면은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접촉패드와 상기 접촉핀이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면, 상기 접촉패드 주변의 케이스와 상기 접촉핀 주변의 도킹부의 표면은 서로 이격되게 되는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접촉패드 주변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접촉핀 주변이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접촉패드 주변의 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도킹부가 결합되면 상기 두 곡면이 밀착되게 위치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167724A 2016-12-09 2016-12-09 전자 장치 KR20180066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724A KR20180066640A (ko) 2016-12-09 2016-12-09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724A KR20180066640A (ko) 2016-12-09 2016-12-09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640A true KR20180066640A (ko) 2018-06-19

Family

ID=6279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724A KR20180066640A (ko) 2016-12-09 2016-12-09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1814A (zh) * 2020-06-12 2020-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1814A (zh) * 2020-06-12 2020-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9181B2 (en) Auxiliary electronic device attachable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6463852B (zh) 数据和电能连接器
US9579022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11936953B (zh) 具有充电和存储系统的电子手指设备
EP2736127B1 (e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port and a cable connector device
US20180337542A1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73448A (ko)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 손목시계
EP3751384B1 (en) Connector, assistive device and wearable device
US10069317B2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CN111712191A (zh) 包括可拆卸的测量模块和附接垫的电子设备
US20180188694A1 (en) Wearable article
TW201632136A (zh) 可穿戴電子裝置
JP2013143997A (ja) 身体装着装置
KR20190053656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TW201715340A (zh) 穿戴式電子裝置
US20170031326A1 (en) Electronic device
CN205104960U (zh) 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辅助电子设备
US20180004984A1 (en) Wearable apparatuses compatible with multiple smartcards
KR20180066640A (ko) 전자 장치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N111671211B (zh) 智能穿戴设备佩戴组件和智能穿戴设备
CN112330939B (zh) 一种穿戴式设备及信息提醒方法
CN112839572A (zh) 可穿戴在人体上的可穿戴测量装置
CN211559005U (zh) 可穿戴式设备
CN211633263U (zh) 心电检测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