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656A -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656A
KR20190053656A KR1020170149758A KR20170149758A KR20190053656A KR 20190053656 A KR20190053656 A KR 20190053656A KR 1020170149758 A KR1020170149758 A KR 1020170149758A KR 20170149758 A KR20170149758 A KR 20170149758A KR 20190053656 A KR20190053656 A KR 2019005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lectrode
electrodes
notc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405B1 (ko
Inventor
문정필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405B1/ko
Priority to PCT/KR2018/010067 priority patent/WO2019093637A1/ko
Priority to US16/756,537 priority patent/US11611224B2/en
Publication of KR2019005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2427Details of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different types
    • A61B2562/06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different types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3Detecting eye twink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3The load being a medical device, a medical implant, or a life support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생체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생체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제 2 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의 다른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 정렬 가능한 충전 모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다.
휴대 목적의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바형, 폴더형, 슬라이딩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 장치가 소형화되어, 손목(wrist)이나 두부(head)와 같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전자 장치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필두로 최근에는 인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가 가세하여, 점차 경박 단소화됨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기능들 중에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하며,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배터리 충전 방식 중 무선 충전 방식은 전극의 단락 및 회로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으나, 전송단의 코일과 수신단의 코일의 위치에 따라 충전 효율이 급격하게 변할 수 있으며, 유선 충전 방식보다 낮은 효율을 갖는다. 유선 충전 방식은 충전기와 전자 장치의 체결이 전용 클립 또는 케이블 등의 체결 단자의 직접적 끼움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선 충전 방식에 비하여 편의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충전 모듈 및 신체 장착용 장치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에 통하여 끼움 체결이 아닌 접촉만으로 정확한 접점 및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중 신체 장착용 장치는 배터리 충전 및/또는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한 자성 재질의 전극을 사용하여 장치의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중 신체 장착용 장치의 복수 개의 전극들은 일부 영역이 돌출되거나 리세스된 노치 구조를 형성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충전 모듈과 전기적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생체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생체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 상기 제 2 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의 다른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의 각각의 적어도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접점을 형성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안착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접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은,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을 포함하는 가상의 라인과 평행 배치되고,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서부;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 및 상기 제 2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의 노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노치가 복수 개의 전극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일면이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안착면에 자기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충전 모듈 및 신체 장착용 장치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에 통하여 끼움 체결이 아닌 접촉만으로 정확한 접점 및 안정적인 충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중 신체 장착용 장치는 배터리 충전 및/또는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한 자성 재질의 전극을 사용하여 장치의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중 충전 모듈은, 내부에 마그넷을 배치하여 신체 장착용 장치와의 자기적 결합을 제공하고, 마그넷 주변에 충전 전극들을 배치하여 신체 장착용 장치의 전극들과 전기적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모듈 시스템의 전자 장치 중 신체 장착용 장치의 복수 개의 전극들은 일부 영역이 돌출되거나 리세스된 노치 구조를 형성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충전 모듈과 전기적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모듈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가 착용부(230)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의 측면 방향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본체부(210)의 전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본체부(210)의 후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본체부(2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영역이 보이도록 배치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영역의 충전 전극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영역을 투영하여 내부 마그넷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충전 모듈 시스템(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제 1 전자 장치(200)를 180도 회전하여 제 2 전자 장치(400) 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충전 모듈 시스템(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제 1 전자 장치(200)를 180도 회전하여 제 2 전자 장치(400) 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조립체(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조립체(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조립체(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조립체(18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조립체(180)는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모듈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충전 모듈 시스템은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신체 장착용 장치일 수 있으며, 제 2 전자 장치(40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예:도 1 의 배터리(189))를 충전시키는 충전 모듈일 수 있다.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400) 각각은 도 1의 전자 장치(101) 및 전자 장치(102)의 구성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일반적인 아날로그 시계나 디지털 시계에서부터, 스마트 와치,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등과 같은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를 통칭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상기 본체부(210)(기능 장치부)와, 착용 부재(밴드 또는 스트랩 포함)들을 구비하는 착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0)는 아날로그 시계나 디지털 시계의 시계 모듈이거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다양한 멀티 기능을 구비한 모듈일 수도 있으며, 생체 신호 감지를 위한 모듈 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각종 모듈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패널이 통합되어 입력 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생체 신호 감지 모듈의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나, 사용자의 심박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와 접촉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의 배터리(예:도 1의 배터리(189))를 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후면 및/또는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면(413)을 포함하는 본체부(410)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케이블(4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430)은 제 2 전자 장치(400)와 결합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413)으로 노출된 충전 전극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내의 배터리(예:도 1의 배터리(189))를 충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가 착용부(230)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의 측면 방향을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X'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의 폭 방향, 'Y'는 상기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 'Z'는 상기 상기 본체부(21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및 제 2 방향(-Z)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및 제 4 방향(-Y)을 의미할 수 있으며, 'X'는 제 5 방향(+X) 및 제 6 방향(-X)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로서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예컨대, 시계나 팔찌처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각종 통신 장치나 보조 의료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곡률이 존재하는 부위에 다양하게 적용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서 곡률이 존재하는 신체 부위의 일 예로, 손목, 팔목, 또는 발목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착용부의 구성에 따라, 사용자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편리하게 착용가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상기 본체부(210)(기능 장치부)와, 착용 부재(밴드 또는 스트랩 포함)들을 구비하는 착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착용부(230)에서 결합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0)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213)(예:도 1의 표시 장치(160))와,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누름 키(예: 사이드 키(K1), 전면 키(K2))나, 생체 센서부(예: 생체신호 감지 센서)(S)나, 복수 개의 전극들(E)이나, 터치 입력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0)는 제 1 방향(+Z)을 향하는 전면(F)과, 착용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제 2 방향(-Z)을 향하는 후면(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는 상기 본체부(210)의 전면(F)에, 상기 생체 센서부(S) 및 복수 개의 전극들(E)은 상기 본체부(210)의 후면(R)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210)는 바타입 형상이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 신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210)는 대체로 길이 방향(+Y,-Y축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이면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0)의 측면에는 상기 착용부(230)와 맞물리는 결속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 홈은 상기 본체부(210)의 측면에 복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본체부(2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210)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기호 및/또는 내부 부품의 배치 관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23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210)를 사용자의 신체에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하게 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210)를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착용부(23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개성이나 취향에 따라 상기 착용부(23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착용부(230)에서 상기 본체부(210)와 결합되는 부분(예: 안착부(231))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사용자의 신체와 밀착하는 착용면 부분(예: 제 1, 제 2 착용 부재(233, 235)의 내측면) 등은 탄성 재질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착용부(23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본체부(210)가 착탈되는 개구부(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31)는 상기 개구부(231a)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230) 중 적어도 상기 안착부(231)가 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0)가 상기 착용부(230)에 결합할 때, 상기 안착부(23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2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결속 홈 내에 끼워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231a)는 상기 본체부(210)가 끼워지는 개방 공간으로서, 상기 안착부(231)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이다. 예를 들어, 개구부(231a)는 대략적으로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31a)는 상부에서 볼 때, 폭 방향(+X,-X 방향)보다 길이 방향(+Y,-Y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용부(230)는 상기 개구부(231a)를 감싸는 선형부(linear portion), 예컨대, 상기 안착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착용 부재(233, 235)는 각각 상기 개구부(231a)의 둘레, 예컨대, 상기 안착부(231)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서로 멀어지게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제 1, 제 2 착용 부재(233, 235)는 상기 안착부(231)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210)의 두께 방향(Z)으로 굴곡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개구부(213a)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본체부의 형상에 대응한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착용부(230)는 상기 제 1, 제 2 착용 부재(233, 235)를 서로 엮어 체결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착용 부재(233)에는 제 1 결속 부재(233a)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착용 부재(235)에는 다수의 결속 홀(235a)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 홀(235a)들은 상기 제 2 착용 부재(235)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 1 결속 부재(233a)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 1 결속 부재(233a)가 상기 결속 홀(235a)들 중 하나에 맞물려 상기 제 1, 제 2 착용 부재(233, 235)를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착용부(230)는 폐곡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결속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불과한 것으로서, 상기 제 1, 제 2 착용 부재(233, 235)의 재질과 구조에 따라 또 다른 다양한 구조(예: 돌기 결합 방식의 결속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상기 본체부(210)의 외면을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211)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211)은 곡률을 가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23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어 탄성 변형을 하기 때문에,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형상, 예컨대, 상기 결속 홈(211a)의 형상에 부합하게 변형되면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230)는 교환 가능한(changeable)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이나 색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착용부(230)는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내는 악세사리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210)가 상기 안착부(231)(또는 상기 개구부(231a))에 상응하는 형상(예: 실질적인 직사각형)으로서, 상기 본체부(210)를 상기 착용부(230)에 결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서로 다른 다양한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 각각의 손목의 크기, 또는 손목 곡률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형상의 전자 장치를 착용했을 때 개개인이 느끼는 착용감도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성보다 여성의 손목이 얇기 때문에, 동일한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를 착용했을 때 모든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는 본체부(210)와 착용부(230)가 착탈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는 적절한 착용부(230)를 선택하여 편안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본체부(2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101)의 본체부(2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X'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부(210)의 폭 방향, 'Y'는 상기 본체부(210)의 길이 방향, 'Z'는 상기 상기 본체부(21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및 제 2 방향(-Z)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및 제 4 방향(-Y)을 의미할 수 있으며, 'X'는 제 5 방향(+X) 및 제 6 방향(-X)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전자 장치의 본체부(210)는 곡률(curvature)을 구비하면서, 길이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바-타입 형상으로서, 본체 하우징(211), 상기 본체 하우징(211)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213), 본체 하우징(211) 내부에 배치된 생체 센서부(330) 및 복수 개의 전극들(340), 배터리(189) 및 회로 기판(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 하우징(211), 디스플레이 장치(213), 생체 센서부(330)는 도 3 내지 도 5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본체 하우징(211), 디스플레이 장치(213), 생체 센서부(S)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211)은 전면(front surface)(F)과, 후면(rear surface)(R)과, 상기 전면(F)/후면(R)을 연결하는 측면(side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F) 및 후면(R)은 각각 곡률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전면(F)은 디스플레이 장치(213)가 장착되는 면이고,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후면(R)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착용면이다. 상기 전면(F)은 제 1 곡률을 가지고, 상기 후면(R)은 제 2 곡률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곡률은, 제품 디자인 및 다양한 사용자의 손목 둘레와 그에 따른 착용감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곡률이 상기 제 2 곡률보다 작은 구성이 예시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211)은 사용자의 신체 형상, 예컨대, 손목의 굵기와 곡률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곡률(예: 제 2 곡률)을 가짐으로써, 사용자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소비자 손목 둘레에 대한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전면(F)에 곡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213)가 구비되고, 후면(R)에 생체 센서부(330), 예컨대, 생체신호 감지 센서가 구비되며, 후면(R)이 사용자의 신체(예: 손목)에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210)에 구비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는 곡률을 가지는 곡면 디자인 구현을 위해서 곡률을 구비한 곡면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곡면 윈도우(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는 곡면 형성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에 따라 평면 디스플레이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정전용량 또는 압력, 온도 등을 감지하는 감지부,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에 감지부가 탑재됨으로써 다양한 UI 활용에 최적화 된 PUI(phys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곡면 윈도우(221)는 경질(rigid) 또는 연질(flexible)의 레이어(lay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곡면 윈도우(221)는 글래스, 세라믹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PET, PC 등의 시트 재질로 표면을 보호하는 레이어 층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210)에 구비되는 상기 생체 센서부(33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후면(R)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후면(R)과 밀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되도록 가까운 위치에서 센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부(330)는 사용자의 광용적맥파(Photo Plethysmo Graph: PPG), 수면구간, 피부 온도, 또는 심박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감지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부(300)는 본체부(210) 내측에 배치된 회로 기판(36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3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센서부(330)는 상기 회로 기판(360) 상에,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생체 센서부(330)는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도록 광을 방출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반사된 광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생체 센서부(330) 주변에는 차폐 구조(미도시)가 배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360) 상에 배치된 다른 전자 부품 및/또는 상기 센서를 차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311) 및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3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311) 및 포토 다이오드(333)는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제 1 전자 장치(200)의 후면(R)을 향하도록 배치된 도면으로, 중심에 광원(311)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311) 주변부에 적어도 하나의 포토 다이오드(333)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311) 및 포토 다이오드(333)는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기판(360)에서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회로 기판(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광원(311)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311)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거리에 복수 개의 포토 다이오드(33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포토 다이오드(333)는 상기 회로 기판(360) 상기 제 1 면(351)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회로 기판(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311)은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후면(R)을 향하는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311)은 LED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광원(311)에서 방출되는 광은 다양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방출되는 광은 약 380nm 부터 800nm까지의 파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광원(311)에서 방출되는 광은 그린(green)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약 492nm 에서 575nm까지의 파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311)은 광을 방출하는 내부 회로 기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회로 기판 주변부를 캡핑(caping)하도록 하고, 상기 캡핑 소재는, 예를 들면, 에폭시(epoxy)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토 다이오드(333)는 상기 광원(311)에서 방출된 광이 사용자의 신체에 반사된 경우, 상기 반사 광을 수신하여 전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 채취를 위하여, 상기 광원(311)에서 방출된 광의 일부가 사용자의 혈관 내 혈류에 반사되어 포토 다이오드(333)로 되돌아오면, 상기 광 신호를 전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포토 다이오드(333)는 상기 반사 광을 충분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하부에 광원 주위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토 다이오드(333)는 상기 광원(331) 주변을 따라, 광원(331) 양측에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포토 다이오드(333)는 상기 광원(331) 주변을 따라, 광원(331)의 제 3,4,5,6 방향(+Y,-Y,+X,-X) 상에 각각 네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포토 다이오드(333)의 배치 구성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반사 광을 효율적으로 수신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수와 배치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부(330)는 상기 회로 기판(360) 및 상기 후면(R)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생체 센서부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생체 신호를 수집하거나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생체 센서부는, 사용자의 혈압, 혈류, 심박수(HRM, HRV), 체온, 호흡수, 산소포화도, 심폐음 검출, 혈당, 허리둘레, 키, 체중, 체지방, 칼로리소비량, 뇌파, 목소리, 피부저항, 근전도, 심전도, 걸음걸이, 초음파영상, 수면상태, 표정(얼굴), 동공확장 또는 눈깜박임 중 한 가지 이상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raw data)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정보(또는 생체 특성 정보라고 함)를 생성할 수 있다. 한 예로, 맥파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광학 방식을 사용하는 PPG(photoplethysmography)센서 또는 전극을 사용하는 ECG(electrocardiography)센서로 통해 획득된 신호가 생체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평균심박수 또는 심박분포도 등과 같은 1차적인 생체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이러한 생체 정보를 가공하여 더 고차원적인 스트레스 상태 또는 혈관노화도와 같은 2차적인 생체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센서부는 수집한 사용자 생체 신호를 단순 출력할 수도 있고, 생체 센서부는 내장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를 통해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생체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생체 센서 모듈를 통해 수집한 생체 신호는 생체 센서 모듈 내 프로세서, 상기 생체 센서 모듈가 내장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외부 장치(예: 도 1의 서버(108) 또는 전자 장치(104))의 프로세서에 전달되어 생체 정보를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상기 생체 센서부(3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후면(R)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상기 생체 센서부(330)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대향 또는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상기 본체부(210) 또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내부의 배터리(189)를 충전하거나, 생체 신호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상기 배터리(189) 충전을 위하여, 제 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400))의 배치된 충전 전극들과 접점 결합에 따른 유선 충전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해 상기 생체 센서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심전도 등의 측정을 위한 패드들(pads)로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상기 생체 센서부(33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 1 전극(341) 및 제 2 전극(34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41) 및 상기 제 2 전극(342)은 상기 생체 센서부(330)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41) 및 제 2 전극(342)은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본체부(210)의 후면(R) 평판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341)은 상기 생체 센서부(330)의 제 3 방향(+Y)을 향하는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41)은 생체 신호 측정 및/또는 충전 모듈(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400))와의 강력한 결합을 위하여 본체 하우징(211) 후면의 가능한 넓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41)은 상기 본체 하우징(211) 후면의 생체 센서부(330)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 3 방향(+Y) 및/또는 제 4 방향(-Y)을 향하는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부(330)가 배치된 상기 제 1 전극(341)의 중심 영역의 길이가 그 주변 영역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도록 중심 영역이 일부 리세스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41)은 중심 영역이 제외된 '[' 형상의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극(342)은 상기 생체 센서부(330)의 제 4 방향(-Y)을 향하는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42)은 제 1 전극(341)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342)은 생체 신호 측정 및/또는 충전 모듈(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400))와의 강력한 결합을 위하여 본체 하우징(211) 후면의 가능한 넓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342)은 상기 본체 하우징(211) 후면의 생체 센서부(330)가 배치된 영역이외의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도록, 제 3 방향(+Y) 및/또는 제 4 방향(-Y)을 향하는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부(330)가 배치된 중심 영역의 길이가 그 주변 영역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도록 중심 영역이 일부 리세스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전극(342)은 중심 영역이 제외된 ']' 형상의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341)과 상기 제 2 전극(34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41)이 (+)극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극(342)은 (-)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극(341)이 (-)극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극(342)은 (+)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341)과 상기 제 2 전극(342)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41)과 상기 제 2 전극(342)은 제 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400))와 기기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을 위해 전도성이 좋고 자력이 강하며, 내부식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적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41)과 상기 제 2 전극(342)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틸(ferritic stainless steel)을 포함한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후면을 따라 돌출되거나 리세스된 노치(notch)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341)은 상기 제 3 방향(+Y)을 향하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을 향하여 리세스된 형상의 제 1 노치(34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노치(341a)는 제 1 전극(341)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전극(342)은 상기 제 4 방향(-Y)을 향하는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을 향하여 리세스된 형상의 제 2 노치(34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노치(342a)는 제 2 전극(342)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치 구조은 제 2 전자 장치와 기기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341)의 제 1 노치(341a)와 상기 제 2 전극(342)의 제 2 노치(342a)는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341)의 제 1 노치(341a)와 상기 제 2 전극(342)의 제 2 노치(342a)의 배치 구조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2 전자 장치(400))에 배치된 충전 전극들의 배향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도 12a 내지 도 13b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9)는 본체 하우징(211) 내부 실장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과 회로 기판(36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9)는 곡면 형상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 중앙을 기준으로 실장하되, 곡형으로 구현되어 상기 본체부(210)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의 실장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189)의 양단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내부에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실장 구조는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중앙에 비해, 양 단부에서의 두께 감소 효과를 가져와, 미려한 디자인 구현하면서,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후면(R)이 사용자의 신체에 충분히 밀착하는 형상을 구현하고, 하드웨어 부품 실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189)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360)에 접속하여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와, 곡형의 상기 배터리(189)과, 복수의 각종 전자 부품들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360)은 서로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189)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3)와 회로 기판(360) 사이의 중간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189)의 손상, 발열에 의한 저온 화상 방지 등 사용자 피해를 억제할 수 있는 안전 장치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211)의 내부 공간에 회로 기판(3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360)은 복수의 기판들(361a, 361b, 361c)이 분절(관절) 구조로 배열되어 전자 부품의 실장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분절 구조로 배열된 회로 기판(360)은 필요 구간에서 경질 기판들과 연질 기판들 구간을 적절히 제공하여, 곡면 디자인에 부합하게 배열 또는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분절 구간에 전자 부품의 작동 환경 등을 고려하여 배치함으로서,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이즈에 취약한 부품과 노이즈 발생 부품을 각각 서로 다른 기판에 분리 배치하고, 충격에 약한 부품과 충격 유발 부품 등을 각각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판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 부품의 내부 배치는 노이즈 발생 구간과 노이즈 민감 구간을 자연스럽게 이격할 수 있고, 경질 기판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충격을 연질 기판 구간에서 차단하여, 전자 장치의 전기적 성능 및 내구성을 최적화하는 설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절 구조의 회로 기판(360)은 기본적인 통신, 입출력 관련 부품 외에 자이로, 가속도, 기타 광센서 등 비접촉식 센서 등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360)은 복수의 기판들(361a, 361b, 361c)이 서로 분절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2, 3 회로 기판들(361a, 361b, 361c)에 실장되는 전자 부품들 중, 노이즈에 취약한 부품(예: PAM(power amplifier module))과, 노이즈 발생 부품(예: AP(application processor),CP(communication processor))를 각각 제 1, 2 회로 기판(361a, 361b)에 분리 배치하고, 충격에 약한 부품(예: AP, CP 등의 BGA(ball grid array) 부품)과, 충격 유발 부품(예: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진동자) 등을 각각 제 2, 3 회로 기판(361b, 361c) 구간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부품의 내부 배치는 노이즈 발생 구간과 노이즈 민감 구간을 자연스럽게 이격할 수 있고, 경질 기판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충격을 연질 기판 구간에서 차단함으로서, 전자 장치의 전기적 성능 및 내구성을 최적화하는 설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 하우징(211) 후면(R)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2, 3 회로 기판(361a, 361b, 361c)들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하게 배치되거나,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로 기판(361a)은 중앙에 배치된 기판으로서, 생체 센서부(330), 예를 들어, 생체신호 감지 센서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생체 센서부(330)와 함께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센서부(330)는 본체 하우징(211) 후면(R)에 노출되게 배치되는데, 사용자의 신체 피부와 가장 밀착될 수 있는 위치, 즉 대략 본체 하우징(211) 후면(R)의 중앙 영역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영역이 보이도록 배치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영역의 충전 전극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영역을 투영하여 내부 마그넷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투영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는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410) 내부에 배치된 마그넷(450) 및 상기 마그넷(450)과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접촉을 통해 제 1 전자 장치(200)의 배터리(189)를 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모듈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제 2 전자 장치(400)는 도 2의 제 2 전자 장치(400)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2축 직교 좌표계의 ' Z'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하우징(410)의 안착면(413)의 폭 방향, 'Y'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하우징(410)의 안착면(413)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및 제 2 방향(-Z)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및 제 4 방향(-Y)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410)은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411) 및 제 1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접점을 포함하는 안착면(4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410)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및/또는 비금속(예: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411)은 제 1 방향(+Z)을 향하는 면을 제공하여, 제 1 전자 장치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면(413)은 상기 지지면(411)으로부터 연장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Z)과 수직 방향을 향하는 면을 제공하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후면(예: 도 2의 후면(R))과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의 외면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케이블(430)이 노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430)은 제 2 전자 장치(400)와 결합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450)은 상기 하우징(410) 내측에 배치되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제 1 전자 장치를 상기 하우징(410)의 안착면(413)에 부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45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안착면(413) 내측에서 상기 안착면(413)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그넷(450)은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생체 센서부와 대면하지 않도록 안착면(413) 중심 영역을 사이에 두고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넷(450)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복수 개의 전극(예: 도 5의 복수 개의 전극(E))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 및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들(450)은 제 1 마그넷(451) 및 상기 제 1 마그넷(451)과 이격 배치된 제 2 마그넷(4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상기 안착면(413)의 중심 영역(413a)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안착면(4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강력한 결합을 위하여 가능한 넓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상기 안착면(413)의 중심 영역(413a)과 대면하는 길이가 그 주변 영역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중심 영역(413a)이 제외된 '[' 형상의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마그넷(453)은 상기 안착면(413)의 중심 영역(413a)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그넷(453)의 안착면(4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마그넷(453)은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의 강력한 결합을 위하여 가능한 넓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그넷(453)은 상기 안착면(413)의 중심 영역(413a)과 대면하는 길이가 그 주변 영역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중심 영역(413a)이 제외된 ']' 형상의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들(451,453)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리세스된 노치(notch)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마그넷(451)은 제 4 방향(-Y)을 향하는 외측 모서리 일부 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들어간 오목 형상의 노치(45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치(451a)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노치(451a)가 형성된 인접 영역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충전 전극들(471,472)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마그넷(453)은 제 3 방향(+Y)을 향하는 외측 모서리 일부 영역이 내측 방향으로 들어간 오목 형상의 노치(45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치(453a)는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노치(453a)가 형성된 인접 영역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충전 전극들(473,47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노치들(451a,453a) 및 노치 상에 배치된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은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마그넷(451)의 제 1 노치(451a)와 상기 제 2 마그넷(453)의 제 2 노치(453a)는 안착면(4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그넷(451)의 제 1 노치(451a)와 상기 제 2 마그넷(453)의 제 2 노치(453a)의 배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에 배치된 전극의 배향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0)은 상기 하우징(410) 내측에 배치되며, 제 1 전자 장치(예: 도 2의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과 접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0)은 두 쌍의 (+)극 및 (-)극을 가진 충전 전극들을 포함하여, 총 4 개의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극 전극들 및 (-)극 전극들은 제 1 마그넷(451)에 형성된 제 1 노치(451a)와 제 2 마그넷(453)에 형성된 제 2 노치(453a)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충전 전극(471,472)은 상기 제 1 마그넷(451)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 1 노치(451a)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제 1 노치(451a) 중 하나의 제 1 노치(451a) 주변에는 (+) 극을 가진 충전 전극(47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 1 노치(451a) 주변에는 (-) 극을 가진 충전 전극(4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른 한 쌍의 충전 전극(473,474)은 상기 제 2 마그넷(453)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 2 노치(453a)와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제 2 노치(453a) 중 하나의 제 2 노치(453a) 주변에는 (+) 극을 가진 충전 전극(474)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 2 노치(453a) 주변에는 (-) 극을 가진 충전 전극(473)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0)은 안착면(413)의 모서리 영역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노치(451a) 주변의 한 쌍의 충전 전극(471,472)의 배치와 상기 제 2 노치(453a)의 한 쌍의 충전 전극(473,474)의 배치는 상기 안착면(413) 상에 대칭 또는 비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마그넷(451)의 상단에 배치된 충전 전극(471)은 (+) 극일 수 있으며, 하단에 배치된 충전 전극(472)은 (-) 극일 수 있다. 제 2 마그넷(453)의 상단에 배치된 충전 전극(473)은 (-) 극일 수 있으며, 하단에 배치된 충전 전극(474)은 (+) 극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노치(451a)의 (+) 극과 상기 제 2 노치(453a)의 (+) 극을 연결한 제 1 의 가상선(L1)과 상기 제 1 노치(451a)의 (-) 극과 상기 제 2 노치(453a)의 (-) 극을 연결한 제 2 의 가상선(L2)은 서로 교차하여 접점(O)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a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충전 모듈 시스템(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제 1 전자 장치(200)를 180도 회전하여 제 2 전자 장치(400) 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400)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전면에서 후면을 투영하여 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의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400)의 구조는 도 2 및 도 3 내지 8의 제 1 전자 장치(200) 및 도 2 및 도 10 내지 11의 제 2 전자 장치(4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모듈 시스템은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는 자기 정렬(self-alignment)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복수 개의 전극들(54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540)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복수 개의 마그넷들(예: 도 11의 마그넷들(450))과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도 12a는 동일한 배치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540)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내부의 배터리(189)를 충전하거나, 생체 신호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541)과 상기 제 2 전극(54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541)이 (+)극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극(542)은 (-)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541)은 본체부(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예를 들어, +Y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542)은 상기 본체부(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예를 들어, -Y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541)과 제 2 전극(542)은 서로 이격 되어 배치되고, 중심 영역에 형성된 생체 센서부(미도시)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541)과 상기 제 2 전극(542)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541)과 상기 제 2 전극(542)은 제 2 전자 장치(400)와 기기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을 위해 전도성이 좋고 자력이 강하며, 내부식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적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541)과 상기 제 2 전극(542)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틸(ferritic stainless steel)을 포함한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54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따라 돌출되거나 리세스된 노치(notch)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541)은 상기 외측 모서리 부분이 돌출된 제 1 노치(54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전극(542)은 외측 모서리 부분이 돌출된 제 2 노치(54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400)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은 전술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1 전극(541) 및 제 2 전극(542)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은 두 쌍의 (+)극 및 (-)극, 총 4개의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극 및 (-)극은 제1 전자 장치(200)가 제2 전자 장치(400)의 안착면(413)에 안착될 때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에 포함된 노치들(예: 제1 노치(541a) 및 제2 노치(542a)과 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는 제 1 영역(S1)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S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S1)에는 한 쌍의 충전 전극들(471,472)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S2)에는 다른 한 쌍의 충전 전극들(473,47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a를 다시 참조하여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을 위한 자기 정렬(self-alignment) 배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541)의 제 1 노치(541a)는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1 전극(541)은 상기 상단 방향(예: +X 방향), 좌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좌상단 방향으로 제 1 노치(541a)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노치(541a)가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1 영역(S1)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1)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2 전극(542)의 제 2 노치(542a)는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2 전극(542)은 상기 상단 방향(예: +X 방향), 우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우상단 방향으로 제 2 노치(542a)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노치(542a)가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 제 2 영역(S2)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3)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2a의 자기 배열 상태에서 제 2 전자 장치(400)의 다른 충전 단자들(472,474)은 직접적으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54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가 도 12a에 비하여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에 의해 충전되기 위한 자기 정렬 배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541)의 제 1 노치(541a)는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1 전극(541)은 상기 하단 방향(예: -X 방향), 우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우하단 방향으로 제 1 노치(541a)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노치(541a)가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2 영역(S2)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4)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2 전극(542)의 제 2 노치(542a)는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2 전극(542)은 상기 하단 방향(예: -X 방향), 좌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좌하단 방향으로 제 2 노치(542a)가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노치(542a)가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1 영역(S1)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2)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2b의 자기 배열 상태에서 제 2 전자 장치(400)의 다른 충전 단자들(471,473)은 직접적으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54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전자 장치(200)의 노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오목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노치 구조의 형태 및 배치에 따라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들의 배치도 대응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단자 전극들의 배치 및 노치 구조를 포함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의 배치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200)의 충전 위치에 다양성을 제공하면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내측에 배치된 마그넷(도 11의 마그넷(450))은 자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과 자기적 결합으로 충전시 안전한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3a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른 충전 모듈 시스템(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제 1 전자 장치(200)를 180도 회전하여 제 2 전자 장치(400) 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 1 전자 장치(200)가 제 2 전자 장치(400)와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전면에서 후면을 투영하여 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의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400)의 구조는 도 2 및 도 3 내지 8의 제 1 전자 장치(200) 및 도 2 및 도 10 내지 11의 제 2 전자 장치(4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 도 13a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충전 모듈 시스템은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와 제 2 전자 장치(400)는 자기 정렬(self-alignment)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는 복수 개의 전극들(64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640)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복수 개의 마그넷들(도 11의 마그넷들(450))과 자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와 도 13b는 동일한 배치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640)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 내부의 배터리(예: 도 8의 배터리(189))를 충전하거나, 생체 신호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641)과 상기 제 2 전극(642)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641)이 (+)극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극(642)은 (-)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641)은 본체부(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단측(예를 들어, +X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극(642)은 상기 본체부(6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단측(예를 들어, -X 방향)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641)과 제 2 전극(642)은 서로 이격 되어 배치되고, 중심 영역에 형성된 생체 센서부(미도시)의 주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641)과 상기 제 2 전극(642)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641)과 상기 제 2 전극(642)은 제 2 전자 장치(400)와 기기간의 자기 정렬(self-alignment)을 위해 전도성이 좋고 자력이 강하며, 내부식성이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하기 때문에 피부 자극이 적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641)과 상기 제 2 전극(642)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틸(ferritic stainless steel)을 포함한 물질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34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후면을 따라 돌출되거나 리세스된 노치(notch)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극(641)은 상기 외측 모서리 부분이 리세스된 제 1 노치(641a)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전극(642)은 외측 모서리 부분이 리세스된 제 2 노치(64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전자 장치(400)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은 전술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1 전극(641) 및 제 2 전극(642)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1,472,473,474)은 두 쌍의 (+)극 및 (-)극, 총 4개의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쌍을 이루는 (+)극 및 (-)극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노치들(641a,642a) 또는 노치들과 대향되는 모서리 부분과 인접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는 제 1 영역(S1)과 상기 제 2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S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S1)에는 한 쌍의 충전 전극들(471,472)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S2)에는 다른 한 쌍의 충전 전극들(473,47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a를 다시 참조하여 제 1 전자 장치(200) 및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을 위한 자기 정렬(self-alignment) 배치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641)의 제 1 노치(641a)는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노치(641a)와 대향하는 제 1 전극(641)의 제 1 모서리 영역(641b)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1 전극(641)은 상기 상단 방향(예: +X 방향), 좌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좌상단 방향으로 제 1 모서리 영역(641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모서리(641b)가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1 영역(S1)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1)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2 전극(642)의 제 2 노치(642a)와 대향하는 제 2 모서리 영역(642b)은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2 전극(642)은 상기 하단 방향(예: -X 방향), 좌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좌하단 방향으로 제 2 모서리 영역(642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모서리 영역(642b)이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된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2 영역(S2)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3)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3a의 자기 배열 상태에서 제 2 전자 장치(400)의 다른 충전 단자들(472,474)은 직접적으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64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가 도 13a에 비하여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에 의해 충전되기 위한 자기 정렬 배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1 전극(641)의 제 1 모서리 영역(641b)는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1 전극(641)은 상기 하단 방향(예: -X 방향), 우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우하단 방향으로 제 1 모서리 영역(641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모서리 영역(641b)가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2 영역(S2)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4)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상기 제 2 전극(642)의 제 2 모서리 영역(642b)은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 중 하나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제 2 전극(642)은 상기 상단 방향(예: +X 방향), 우측면 방향(예: -Y 방향) 또는 우상단 방향으로 제 2 모서리 영역(642b)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모서리 영역(642b)이 배치된 영역과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전자 장치(400)의 제 1 영역(S1)에 배치된 (-) 극 충전 단자(472)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 13b의 자기 배열 상태에서 제 2 전자 장치(400)의 다른 충전 단자들(471,473)은 직접적으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64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1 전자 장치(200)의 노치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볼록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노치 구조의 형태 및 배치에 따라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전극들의 배치도 대응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충전 단자 전극들의 배치 및 노치 구조를 포함한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의 배치에 따라, 제 1 전자 장치(200)의 충전 위치에 다양성을 제공하면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자 장치(400)의 내측에 배치된 마그넷(도 11의 마그넷(450))은 자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제 1 전자 장치(200)의 전극들과 자기적 결합으로 충전시 안전한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211); 상기 제 1 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213); 및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생체 센서부(33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생체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189); 상기 제 2 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의 다른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들(34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 각각의 적어도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341a 또는 342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전극(341) 및 제 2 전극(342)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외측 모서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외부 전자 장치(예: 제 2 전자 장치(400))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돌출된 제 1 노치(541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돌출된 제 2 노치(542a)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치 및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노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충전 전극(471 또는 474)과 접점을 이루고,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 2 충전 전극(472 또는 473)과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리세스된 제 1 노치(341a)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리세스된 제 2 노치(342a)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치 및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상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하며, 외부 전자 장치의 마그넷(450)과 자기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틸(ferritic 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센서부는,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331); 및 상기 광원 주변 영역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광원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을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3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부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19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지원하는 복수의 서비스들 중에서 상기 생체 정보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접점을 형성하는 안착면(413)을 포함하는 하우징(410);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450);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안착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접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은,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471 및 472);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을 포함하는 가상의 라인과 평행 배치되고,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전극(473 및 47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충전 전극의 (+) 극과 상기 제 2 충전 전극의 (+) 극이 배치된 가상의 제 1 라인(L1)과 상기 제 1 충전 전극의 (-) 극과 상기 제 2 충전 전극의 (-) 극이 배치된 가상의 제 2 라인(L2)은 서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은, 상기 안착면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1 마그넷(451) 및 상기 제 1 마그넷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안착면의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에 형성된 제 2 마그넷(453)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의 중심 영역을 향하는 상기 제 1 마그넷 및 상기 제 2 마그넷의 일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의 양 모서리 영역은 내측으로 리세스된 노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마그넷의 리세스된 노치(451a)와 인접 영역에 상기 한 쌍의 제 1 충전 단자(471 및 472)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마그넷의 리세스된 노치(453a)와 인접 영역에 상기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단자(473 및 47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200) 및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배터리(189)를 충전하는 제 2 전자 장치(400)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211);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서부(330);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배터리(189); 및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극들(34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413)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복수 개의 전극들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450); 및 상기 제 2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의 노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47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일면이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안착면과 자기 정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전극(341) 및 제 2 전극(34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영역(S1)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S2)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2 영역(S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영역(S1)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영역에는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471 및 472)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는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전극(473 및 47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들과 복수 개의 배치 관계가 가능한 자기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제 1 전극 단부에 돌출된 제 1 노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 (-) 극의 상기 제 1 충전 전극 중 하나의 극과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제 2 전극의 단부에 돌출된 제 2 노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된 (+), (-) 극의 상기 제 2 충전 전극 중 하나의 극과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이 접점을 이루는 상기 제 1 충전 전극의 극성과 상기 제 2 전극이 접점을 이루는 상기 제 2 충전 전극의 극성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노치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측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제 1 노치와 상기 제 2 전극의 외측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제 2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치 및 제 2 노치는 동일 형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제 1 전자 장치: 200
제 2 전자 장치: 400
본체부: 210
본체 하우징: 211
디스플레이 장치: 213
생체 센서부: 330
복수 개의 전극들: 340
배터리: 189
회로 기판: 360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1 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생체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생체 센서부 사이에 배치된 배터리; 및
    상기 제 2 면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의 다른(another) 적어도 일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 각각의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외측 모서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이 형성된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돌출된 제 1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돌출된 제 2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치 및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상에 나란하게 배치된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충전 전극과 접점을 이루고,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 2 충전 전극과 접점을 이루는 전자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리세스된 제 1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과 대향하는 일단의 모서리 영역에 리세스된 제 2 노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노치 및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상에 나란하게 배치된 전자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하며, 외부 전자 장치의 마그넷과 자기적 결합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페라이트 스테인레스 스틸(ferritic stainless steel)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센서부는,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및
    상기 광원 주변 영역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광원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응하는 반사광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광을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생체 센서부 또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지원하는 복수의 서비스들 중에서 상기 생체 정보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접점을 형성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면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안착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접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은,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을 포함하는 가상의 라인과 평행 배치되고,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충전 전극의 (+) 극과 상기 제 2 충전 전극의 (+) 극이 배치된 가상의 제 1 라인과 상기 제 1 충전 전극의 (-) 극과 상기 제 2 충전 전극의 (-) 극이 배치된 가상의 제 2 라인은 서로 접점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그넷은, 상기 안착면의 제 1 영역에 형성된 제 1 마그넷 및 상기 제 1 마그넷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안착면의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에 형성된 제 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의 중심 영역을 향하는 상기 제 1 마그넷 및 상기 제 2 마그넷의 일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의 양 모서리 영역은 내측으로 리세스된 노치 구조가 형성된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넷의 리세스된 노치와 인접 영역에 상기 한 쌍의 제 1 충전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마그넷의 리세스된 노치와 인접 영역에 상기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단자가 배치된 전자 장치.
  15.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는 생체 센서부;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되고, 적어도 일단부는 돌출되거나 오목한 형상을 가진 노치(notch)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과 대면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마그넷들; 및
    상기 제 2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의 노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접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충전 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들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일면이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안착면에 자기 정렬이 가능한 충전 모듈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생체 센서부를 중심으로 대향 배치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충전 모듈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에는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충전 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는 (+) 극 및 (-) 극을 포함하는 다른 한 쌍의 제 2 충전 전극이 형성된 충전 모듈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자성을 가진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전극들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넷들과 복수 개의 배치 관계가 가능한 자기적 결합을 형성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전극의 단부에 돌출된 제 1 노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 (-) 극의 상기 제 1 충전 전극 중 하나의 극과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제 2 전극의 단부에 돌출된 제 2 노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영역에 형성된 (+), (-) 극의 상기 제 2 충전 전극 중 하나의 극과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이 접점을 이루는 상기 제 1 충전 전극의 극성과 상기 제 2 전극이 접점을 이루는 상기 제 2 충전 전극의 극성은 서로 다른 충전 모듈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제 1 전극의 외측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제 1 노치와 상기 제 2 전극의 외측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제 2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치 및 제 2 노치는 동일 형상인 충전 모듈 시스템.
KR1020170149758A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KR10250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58A KR102502405B1 (ko)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PCT/KR2018/010067 WO2019093637A1 (ko) 2017-11-10 2018-08-30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US16/756,537 US11611224B2 (en) 2017-11-10 2018-08-30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58A KR102502405B1 (ko)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656A true KR20190053656A (ko) 2019-05-20
KR102502405B1 KR102502405B1 (ko) 2023-02-23

Family

ID=6643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758A KR102502405B1 (ko) 2017-11-10 2017-11-10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11224B2 (ko)
KR (1) KR102502405B1 (ko)
WO (1) WO20190936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5482A (zh) * 2019-09-05 2021-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可穿戴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2429S1 (en) * 2019-12-12 2021-10-05 Snap Inc. Charging dock
JP2022073188A (ja) * 2020-10-30 2022-05-17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表示装置
EP4276546A1 (en) 2023-03-23 2023-11-15 Withings A wearable device comprising a rechargeable battery and associated electrical charger
EP4277077A1 (en) 2023-03-23 2023-11-15 Withings An electrical charger to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of a wearable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450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충전 장치
US9295403B1 (en) * 2013-12-19 2016-03-29 Verily Life Sciences Llc Multipurpose wearable electrical contact
US20160172890A1 (en) * 2014-12-12 2016-06-16 Qualcomm Incorporated Wearable device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mmunication
US20160192856A1 (en) * 2015-01-05 2016-07-07 Salutron, Inc. Physiological sensor pod and charging unit
KR20160095535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142716A (ko) * 2015-06-03 2016-12-13 김종호 액세서리, 지문인식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전자기기
KR20170025069A (ko) * 2015-08-27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취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7624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961A (ja) * 2002-07-31 2004-02-26 Denso Corp 充電システム、携帯器及び充電装置
JP6105968B2 (ja) * 2013-02-20 2017-03-29 株式会社日本デジタル研究所 ヘッドセット送受話器
KR102232279B1 (ko) 2014-08-25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위한 크래들
JP6178815B2 (ja) * 2015-03-30 2017-08-09 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の充電装置および充電システム
CH711364A2 (de) * 2015-07-30 2017-01-31 Signode Ind Group Llc Halteeinrichtung mit integrierter Ladestation für eine Umreifungsvorrichtung.
KR20170078386A (ko) 2015-12-29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US20190038224A1 (en) * 2017-08-03 2019-02-07 Intel Corporation Wearable devices having pressure activated biometric monitor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450A (ko) * 2011-02-11 2012-08-21 (주)에스피에스 마그네트를 이용한 충전 장치
US9295403B1 (en) * 2013-12-19 2016-03-29 Verily Life Sciences Llc Multipurpose wearable electrical contact
US20160172890A1 (en) * 2014-12-12 2016-06-16 Qualcomm Incorporated Wearable device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and communication
US20160192856A1 (en) * 2015-01-05 2016-07-07 Salutron, Inc. Physiological sensor pod and charging unit
KR20160095535A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60142716A (ko) * 2015-06-03 2016-12-13 김종호 액세서리, 지문인식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전자기기
KR20170025069A (ko) * 2015-08-27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취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27624A (ko) * 2015-09-02 2017-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35482A (zh) * 2019-09-05 2021-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可穿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405B1 (ko) 2023-02-23
US11611224B2 (en) 2023-03-21
WO2019093637A1 (ko) 2019-05-16
US20210399563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3489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KR102502405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모듈 시스템
US11540736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KR102408028B1 (ko) 착용 상태에 기반한 생체 정보 획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118439A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를 충전하는 장치
CN114207552B (zh) 可穿戴电子装置及组装方法
US2019023976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etachable measurement module and attachment pad
US2020022529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conductive exterior member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 current regarding same
JP6742380B2 (ja) 電子装置
US20210169420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ntact of living body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TW201701825A (zh) 將壓力轉換到非侵入式脈搏感測器
US11883172B2 (en)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health information on basis of plurality of biosignal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14072046B (zh) 包括导电连接构件的电子装置
KR20220015835A (ko) 수면 질을 평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210048930A (ko) 심전도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EP4295759A1 (en)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0916658B (zh) 生物试纸模组以及电子设备
KR20210010080A (ko) 센싱 영역을 확장하는 전자 장치
KR20210071607A (ko)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EP3863509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biometric sensor module
US20220175311A1 (en) Method for detecting sleep apnea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2300745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remor in electronic device
US2021019613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blood pressure
KR20220124394A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33010A (ko)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