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386A -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 Google Patents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386A
KR20170078386A KR1020150188853A KR20150188853A KR20170078386A KR 20170078386 A KR20170078386 A KR 20170078386A KR 1020150188853 A KR1020150188853 A KR 1020150188853A KR 20150188853 A KR20150188853 A KR 20150188853A KR 20170078386 A KR20170078386 A KR 20170078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electrodes
electrodes
body composition
strap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준
남궁각
이열호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8386A/ko
Priority to US15/211,642 priority patent/US20170181702A1/en
Priority to US15/636,244 priority patent/US11166674B2/en
Publication of KR2017007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8Artificial waveform generation or derivation, e.g. synthesising signals from measured sign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가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는 본체, 스트랩, 제1 및 제2 이면전극, 제1 및 제2 표면전극을 포함하며, 본체는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인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WRIST TYPE BODY COMPOSITION ANALYZER}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체성분 측정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에는 체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았고, 주로 병원에서 건강 검진 목적으로 체성분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 및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일상에서 체성분을 측정하고 이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체성분 측정이라고 하는 것은 인체를 이루는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 등의 개별 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체성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한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은 인체 내로 약한 전류를 보내어 인체의 전기 저항, 즉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한 값과 사용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체액의 양, 근육량, 체지방량 등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는 본체, 스트랩, 제1 및 제2 이면전극, 제1 및 제2 표면전극을 포함한다. 본체는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인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은 본체에 연결되며, 플랙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면전극은 본체의 이면에 배치되어 피검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표면전극은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체성분 측정 시 피검자에 접촉되되, 피검자가 한 손가락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서로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측정부는 제1 이면전극과 제1 표면전극을 통해 전류를 인가한 후, 제2 이면전극과 제2 표면전극으로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표면전극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표면전극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표면전극은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표면전극은 서로 같은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이면전극의 배열 방향 및 제1, 제2 표면전극의 배열 방향은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이면전극의 배열 방향 및 제1, 제2 표면전극의 배열 방향은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이면전극의 배열 방향과 제1, 제2 표면전극의 배열 방향 중 어느 하나는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같고, 다른 하나는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표면전극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제2 표면전극은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눌림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에 의하면,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에 의하면, 전극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에 의하면, 한 손가락만을 이용하거나 손바닥 일부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를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를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의 일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생체 전기 임피던스법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체성분 측정장치는 양손(12,14)으로 전극(81, 82, 83, 84)을 잡아 체성분을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장치는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도 2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를 뒤집어서 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는 본체(110), 스트랩(120),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 그리고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을 포함한다.
본체(110)에는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부(111)와, 측정부(111)에서 측정된 인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분석부(112)가 내장된다. 측정부(111)는 인체에 접촉된 전극들 사이에 교류 전류를 인가한 후, 그 전극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 교류 전류는 50㎑의 주파수를 갖는 약 500미크론의 정전류일 수 있다. 분석부(112)는 이렇게 측정된 임피던스와 피검자의 신장, 체중, 나이 및 성별로부터 체수분양(Total body water: TBW), 체지방(FAT), 체지방율(% FAT)을 계산할 수 있다. 임피던스와 피검자의 신장, 체중, 나이 및 성별로부터 체수분양, 체지방, 체지방율을 구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라 할 것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트랩(120)은 본체(110)에 연결된다. 스트랩(120)은 플렉시블하게 구성된다. 스트랩(120)은 구부려져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거나, 펴져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다. 스트랩(120)은 우레탄, 실리콘, 고무, 가죽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은 본체(110)의 이면에 배치되어 피검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게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은 피검자의 손목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정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직사각형, 마름모, 원형, 삼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랩(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랩(120)의 길이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은 본체(1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체성분 측정 시 피검자에 접촉되되 피검자가 한 손가락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서로 가까이 배치된다.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은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과 마찬가지로 스트랩(1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스트랩(120)의 길이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피검자가 전술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를 손목에 찬 후, 한 손가락이나 손바닥 일부를 제1 표면전극(141)과 제2 표면전극(142)에 대면, 측정부(111)가 교류 전류를 인가한 후,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분석부가 측정부(111)에서 산출된 인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는 체성분 측정 시 피검자에 접촉되는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이 스트랩(120)이 아닌 본체(11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트랩(120)의 자유로운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전극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이 피검자가 한 손가락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서로 가까이 배치되므로, 한 손가락만을 이용하거나 손바닥 일부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간편하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정부(111)는 제1 이면전극(131)과 제1 표면전극(141)을 통해 전류를 인가한 후, 제2 이면전극(132)과 제2 표면전극(142)으로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이면전극(131, 132)이 손목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에 한 손가락이나 손바닥 일부가 접촉되어 제1 표면전극(141)과 제1 이면전극(131)이 폐회로를 구성하면, 정현파 교류전류를 인가하고 제2 표면전극(142)과 제2 이면전극(132)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인가된 전류값과 측정된 전압값으로부터 인체의 임피던스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 개의 이면전극과 2개의 표면전극을 이용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경우, 즉 4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경우 2개의 전극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인체 임피던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의 사시도이다.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전극(141)이 다른 전극(142)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표면전극(141)이 제2 표면전극(142)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그 반대라도 무방하다. 또한, 두 표면전극(141, 142)은 서로 같은 중심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7에 도시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와 같이 하나의 전극(141)이 다른 전극(142)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두 표면전극(141, 142)은 서로 갖은 중심을 갖도록 형성되되, 내측의 전극은 사각형으로, 외측의 전극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내측의 전극이 원형이고 외측의 전극이 사각형일 수도 있으며, 사각형과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와 같이 제1 및 제2 표면전극(141, 142)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스트랩(1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대칭 전극이 도시되어 있으나, 2개의 대칭 전극이 스트랩(12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직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10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제2 표면전극(141, 142)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손가락이나 손바닥 일부를 제1, 제2 표면전극(141, 142)에 접촉시킬 때 접촉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제2 표면전극(141, 142)이 본체(1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일 뿐이므로, 제1, 제2 표면전극은 본체(110)의 상부, 본체(1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표면전극은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눌림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제2표면전극을 누르면 숫자가 입력된다거나 화면이 좌우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특징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10)의 내부에는 무선 통신부가 내장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또는 RF(Radio Frequency)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분석부에서 분석된 체성분 정보를 스마트폰 등과 같은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을 통해 체성분 정보를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체(110)는 디스플레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5)는 기기 본체(110)에 외부로 화면이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디스플레이부(115)는 분석부(112)에 의해 분석된 체성분 정보를 숫자나 문자 등으로 표시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110: 본체
111: 측정부 112: 분석부
115: 디스플레이부 120: 스트랩
131: 제1 이면단자 132: 제2 이면단자
141: 제1 표면단자 142: 제2 표면단자

Claims (11)

  1.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인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며, 플랙서블하게 형성된 스트랩;
    상기 본체의 이면에 배치되어 피검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이면전극; 및
    상기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어 체성분 측정 시 피검자에 접촉되되, 피검자가 한 손가락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서로 가까이 배치된 제1 및 제2 표면전극;
    를 포함하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1 이면전극과 제1 표면전극을 통해 전류를 인가한 후, 제2 이면전극과 제2 표면전극으로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전극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전극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전극은 하나가 다른 하나를 감싸도록 형성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전극은 서로 같은 중심을 갖도록 형성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이면전극의 배열 방향 및 제1, 제2 표면전극의 배열 방향은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이면전극의 배열 방향 및 제1, 제2 표면전극의 배열 방향은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같은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이면전극의 배열 방향과 제1, 제2 표면전극의 배열 방향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같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전극의 상면은 동일 평면에 형성된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전극은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눌림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으로 동작하는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KR1020150188853A 2015-12-29 2015-12-29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KR20170078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53A KR20170078386A (ko) 2015-12-29 2015-12-29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US15/211,642 US20170181702A1 (en) 2015-12-29 2016-07-15 Wrist-type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US15/636,244 US11166674B2 (en) 2015-12-29 2017-06-28 Wrist-type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853A KR20170078386A (ko) 2015-12-29 2015-12-29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386A true KR20170078386A (ko) 2017-07-07

Family

ID=5908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853A KR20170078386A (ko) 2015-12-29 2015-12-29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81702A1 (ko)
KR (1) KR201700783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1224B2 (en) 2017-11-10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329A (ja) * 1999-11-25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体脂肪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4763179B2 (ja) * 2001-09-06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脈拍計
US10092203B2 (en) * 2015-08-21 2018-10-09 Verily Life Sciences Llc Using skin resistance measurements to determine timing of bio-telemetry measur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1224B2 (en) 2017-11-10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1702A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027B1 (ko)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US9204814B2 (en) Hand-held heart monitor
EP3505050B1 (en) Bio-impedance measurement of half of upper body for body composition analysis
KR102335769B1 (ko)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CN104902813A (zh) 个人生物传感器配件附属物
JP6317721B2 (ja) 携帯型心電計装置
CN106037737A (zh) 用于获得生物信息的装置
CN102631190B (zh) 心血管监测装置
KR101324560B1 (ko) 다채널 임피던스 측정방법 및 측정기
KR100330746B1 (ko) 체지방 측정용 손목시계
KR20030091052A (ko) 신체의 자세균형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체중계
CN102894976B (zh) 一种圆形阵列脑部电阻抗断层成像用电极
JP2008284354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の測定装置
JP3714831B2 (ja)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用のハンドグリップ
KR20170078386A (ko) 손목형 체성분 측정 기기
TWM502449U (zh) 穿戴式肌力量測裝置
KR101206610B1 (ko) 탈착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체성분 측정 장치
KR20090107873A (ko) 생체복합센서
US11166674B2 (en) Wrist-type body composition measuring apparatus
CN204192615U (zh) 一种卧床患者的人体成分检测仪
JP2003169784A (ja) 体脂肪測定装置
US10362968B2 (en) Bioimpedance circumference measurement
KR20180038149A (ko) 클램프 전극을 이용한 체성분 측정
KR101927609B1 (ko) 휴대용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체성분 측정 시스템
US20210290098A1 (en) Wearable body composition analy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