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064A -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064A
KR20210108064A KR1020200022807A KR20200022807A KR20210108064A KR 20210108064 A KR20210108064 A KR 20210108064A KR 1020200022807 A KR1020200022807 A KR 1020200022807A KR 20200022807 A KR20200022807 A KR 20200022807A KR 20210108064 A KR20210108064 A KR 20210108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air
cover member
body me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061B1 (ko
Inventor
맹주일
Original Assignee
(주)이노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피 filed Critical (주)이노피
Priority to KR102020002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061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2Evacuated cases; Cases filled with gas or liquids; Cases containing substances for absorbing or binding moisture or dust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8Cases for pocket or wrist watches
    • G04B37/20Cases for pocket or wrist watches with hinged covers or b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되는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워치 본체 부재와, 워치 덮개 부재와, 힌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도록 상기 힌지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확장된 형태가 되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닫도록 상기 힌지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이 모두 오프되어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면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Open and shut structure of folding smart watch}
본 발명은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워치(smart watch)는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음악 재생, 에스엔에스(SNS) 등 여러 가지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시계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자체적으로 구동되기도 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구동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스마트 워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 워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에 채워지는 워치 본체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단수 개 존재하는 형태로 대부분 형성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의 동시 표현이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9-0129300호, 공개일자: 2019.11.20., 발명의 명칭: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워치 및 이를 이용한 인식방법
본 발명은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는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성들이 그 내부에 수용되고, 그 상면에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워치 본체 부재;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게 되는 면에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워치 덮개 부재; 및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덮거나,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 수 있도록, 상기 워치 본체 부재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상기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워치 본체 부재와, 워치 덮개 부재와, 힌지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도록 상기 힌지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이라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확장된 형태가 되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닫도록 상기 힌지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이 모두 오프되어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면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적용된 폴더블 스마트 워치가 열린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적용된 폴더블 스마트 워치가 닫힌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분사력 증강부가 닫힌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수용 팽창체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수용 팽창체가 수축되면서 에어가 분사되는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분사력 증강부가 열린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적용된 폴더블 스마트 워치가 열린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적용된 폴더블 스마트 워치가 닫힌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100)는 워치 본체 부재(110)와, 워치 덮개 부재(120)와, 힌지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는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성들이 그 내부에 수용되고, 그 상면에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이 형성된 것으로, 본체 케이스(111)와,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11)는 상기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성들인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배터리, 회로기판 등이 그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원형, 사각 박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목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 케이스(111)에 워치 줄(140)이 연결되어, 상기 워치 줄(140)이 사용자의 손목을 감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체 케이스(111)가 사용자의 손목에 채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은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 워치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또는 동영상, 음악 재생 목록, 에스엔에스(SNS) 내용 등이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LCD, OLED 등 다양한 방식의 패널이 적용될 수 있고, 각종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터치 패널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는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마주보게 되는 면에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 형성된 것으로, 덮개 케이스(121)와,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로 구성된다.
상기 덮개 케이스(121)는 상기 힌지 부재(130)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형태의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 케이스(111)가 원형, 사각 박스 형태 등으로 형성되면, 상기 덮개 케이스(121)도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 형태에 대응되도록 원형, 사각 박스 형태로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은 상기 덮개 케이스(121)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마주보게 되는 면인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 워치에서 구현되는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사진 또는 동영상, 음악 재생 목록, 에스엔에스 내용 등이 표시될 수 있는 것으로, LCD, OLED 등 다양한 방식의 패널이 적용될 수 있고, 각종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터치 패널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에는 서로 다른 컨텐츠가 독립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덮개 케이스(121)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덮게 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 모두 외부에 대해 가려져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한 외부로의 컨텐츠 표현이 중지되고, 상기 덮개 케이스(121)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열게 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 모두 외부에 대해 개방되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 모두를 통한 외부로의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진다.
상기 덮개 케이스(121) 중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 형성된 면(저면)의 다른 면(상면)에는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패널(12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 케이스(121)가 상기 본체 케이스(111)를 덮게 되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 모두 외부에 대해 가려진 상태에서,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패널(125)은 외부에 대해 노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패널(125)을 통해 시계, 알람 등의 특정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진다.
상기 힌지 부재(130)는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덮거나,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열 수 있도록,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 케이스(121)와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각 일 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100)는 밀착 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착 부재(150)는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덮을 때,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를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 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밀착시키는 것으로, 전자석(152)과, 자성체(151)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152)은 서로 마주보게 되는 상기 덮개 케이스(121)의 저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 중 어느 하나(바람직하게는 배터리가 그 내부에 설치된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성체(151)는 서로 마주보게 되는 상기 덮개 케이스(121)의 저면과 상기 본체 케이스(111)의 상면 중 다른 하나(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 케이스(121)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자석(152)과 상기 자성체(151)는 각각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의 일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덮을 때, 상기 전자석(152)이 상기 자성체(151)를 끌어당겨서,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덮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전자석(152)이 켜져서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를 열고자 할 때 상기 덮개 케이스(121)의 외면의 특정 지역(예를 들어, 홈버튼)을 터치하면, 상기 전자석(152)이 꺼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전자석(152)이 지속적으로 켜진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외력으로도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열릴 수 있게 되어, 여성,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를 열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덮도록 상기 힌지 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 부재(150)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한 컨텐츠 표현이 중지되고, 상기 추가 디스플레이 패널(125)을 통해 시계, 알람 등의 특정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진다.
그러다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열도록 상기 힌지 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해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10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와, 상기 힌지 부재(13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열도록 상기 힌지 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라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확장된 형태가 되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을 통해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 표현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워치 덮개 부재(120)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110)를 닫도록 상기 힌지 부재(13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이 모두 오프되어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으면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112)과 상기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122)에 먼지 등 이물질이 쌓이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가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분사력 증강부가 닫힌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수용 팽창체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수용 팽창체가 수축되면서 에어가 분사되는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구성하는 에어 분사력 증강부가 열린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는 워치 본체 부재, 워치 덮개 부재, 힌지 부재(230) 및 밀착 부재와 함께,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270)는 상기 밀착 부재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가 서로 밀착되는 것에 연동되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의 먼지 등 이물질이 외부로 밀려날 수 있도록,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로 에어를 분사하여 주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270)는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와, 에어 분사 몸체(273)와, 에어 배관(272)과, 에어 수용 팽창체(274)와, 에어 분사 노즐(275)과, 에어 분사력 증강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는 상기 워치 덮개 부재 중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향하는 면인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워치 본체 부재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는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어서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팽창되어 그 내부에 에어가 차오르게 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연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덮개 케이스(221)의 저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이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에 복원력 축적이 없음),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덮게 되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본체 케이스(211)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본체 케이스(211)에 의해 눌리게 되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압착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게 됨으로써,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다시 열게 되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원 형태인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워치 본체 부재의 상면 중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와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압착된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수용될 수 있는 수축체 수용홈(21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가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분사 몸체(273)는 상기 워치 덮개 부재의 상기 덮개 케이스(221)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배관(272)은 상기 에어 분사 몸체(273)의 상면과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관으로, 상기 에어 배관(272)에 의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서로 연통되어 에어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는 에어 공급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 분사 몸체(273)에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상기 에어 분사 몸체(273)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의 내부에 있던 에어가 상기 에어 배관(272)을 통해 공급된 상태에서는 팽창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고무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압착되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의 내부에 있던 에어가 상기 에어 배관(272)을 통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로 유입되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팽창하게 됨과 함께,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에 복원력이 축적되고,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있던 에어가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을 통해 토출되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원 상태인 상기 에어 분사 몸체(273)를 덮는 형태로 복원된다.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팽창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가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로 분사되는 통로가 되는 것으로, 상기 워치 본체 부재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에어 토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 케이스(221)의 저면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분사력 증강부(280)는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와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기 전까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로부터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로의 에어 토출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을 통한 에어 분사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에어 분사력 증강부(280)는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증강 걸림체(282)와,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의 천정에서 상기 증강 걸림체(282)를 향해 돌출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증강 걸림체(282)에 걸릴 수 있는 증강 탄성체(281)를 포함한다.
상기 증강 탄성체(281)는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쪽에서 상기 증강 걸림체(282)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증강 걸림체(282)와 상기 증강 탄성체(281)에 의해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이 막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내부의 에어 유출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기 전까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강 탄성체(281)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쪽에서 상기 증강 걸림체(28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증강 걸림체(282)와 상기 증강 탄성체(281)에 의해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이 막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내부의 에어 유출이 차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의 에어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점진적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증강 탄성체(281)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증강 걸림체(282)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이 개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내부의 에어가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을 통해 분사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27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어서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팽창되면서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의 내부에 에어가 차오른 상태가 된다.
이 때,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는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 형태인 볼록한 형태가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 상기 에어 배관(272),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및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외부 공기의 압력(대기압)에 의해, 상기 증강 탄성체(281)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증강 탄성체(281)와 상기 증강 걸림체(282) 사이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 및 상기 에어 배관(272)을 통해 역류되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팽창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팽창 완료되면, 상기 증강 탄성체(281)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증강 걸림체(282)에 다시 걸린 상태가 된다.
그러다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닫으면서 상기 밀착 부재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가 서로 밀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에 닿아 눌리면서 수축되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에어가 상기 에어 배관(272)을 통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팽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증강 탄성체(281)는 상기 증강 걸림체(282)에 걸려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로 유입되는 에어는 임의 유출되지 아니하여,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다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어, 상기 에어 분사력 증강부(280)가 열리게 되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가 수축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27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에어가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271)에 수용되어 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을 통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로 분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에어 분사 노즐(275)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의 이물질이 외부로 밀려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상기 워치 덮개 부재, 상기 힌지 부재(230) 및 상기 밀착 부재와 함께, 상기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27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상기 밀착 부재에 의한 상기 워치 본체 부재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밀려나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110 : 워치 본체 부재
120 : 워치 덮개 부재
130 : 힌지 부재

Claims (4)

  1. 스마트 워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구성들이 그 내부에 수용되고, 그 상면에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워치 본체 부재;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본체측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보게 되는 면에 덮개측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워치 덮개 부재; 및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덮거나,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 수 있도록, 상기 워치 본체 부재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는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덮을 때, 상기 워치 덮개 부재를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서로 밀착시키는 밀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는
    상기 밀착 부재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가 서로 밀착되는 것에 연동되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의 이물질이 외부로 밀려날 수 있도록,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로 에어를 분사하여 주는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연동 에어 분사 부재는
    상기 워치 덮개 부재 중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워치 본체 부재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는 압축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고,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어서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팽창되어 그 내부에 에어가 차오르게 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 피가압 수축체와,
    상기 워치 덮개 부재의 덮개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에어 분사 몸체와,
    상기 에어 분사 몸체의 상면과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에어 배관과,
    상기 에어 분사 몸체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의 내부에 있던 에어가 상기 에어 배관을 통해 공급된 상태에서는 팽창되면서 복원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에어 수용 팽창체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가 팽창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가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로 분사되는 통로가 되는 에어 분사 노즐과,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와 상기 에어 분사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기 전까지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로부터 상기 에어 분사 노즐로의 에어 토출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에어 분사 노즐을 통한 에어 분사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에어 분사력 증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열어서 상기 워치 본체 부재가 상기 워치 덮개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가 팽창되면서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의 내부에 에어가 차오른 상태에서, 상기 워치 덮개 부재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를 닫으면서 상기 밀착 부재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가 서로 밀착되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가 상기 워치 본체 부재에 닿아 눌리면서 수축되어,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에어가 상기 에어 배관을 통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가 팽창하게 되고,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의 압력이 상기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어, 상기 에어 분사력 증강부가 열리게 되면, 상기 에어 수용 팽창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에어가 상기 탄성 피가압 수축체에 수용되어 있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상기 에어 분사 노즐을 통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로 분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에어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상기 워치 덮개 부재와 상기 워치 본체 부재 사이의 이물질이 외부로 밀려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KR1020200022807A 2020-02-25 2020-02-25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KR10230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07A KR102302061B1 (ko) 2020-02-25 2020-02-25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807A KR102302061B1 (ko) 2020-02-25 2020-02-25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064A true KR20210108064A (ko) 2021-09-02
KR102302061B1 KR102302061B1 (ko) 2021-09-15

Family

ID=7779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807A KR102302061B1 (ko) 2020-02-25 2020-02-25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0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277A (ja) * 1999-01-22 2000-08-04 Citizen Watch Co Ltd 情報端末機能付き腕時計
KR200347177Y1 (ko) * 2004-01-13 2004-04-09 박인수 휴대용 렌즈 표면 세정기구
KR20110124654A (ko) * 2010-05-11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93388B1 (ko) * 2013-11-12 2014-05-13 (주)대한특수금속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CN107024859A (zh) * 2017-06-02 2017-08-08 山东英才学院 一种儿童安全定位跟踪手表
KR20190129300A (ko) 2018-05-10 2019-11-20 (주)에스피에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워치 및 이를 이용한 인식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4277A (ja) * 1999-01-22 2000-08-04 Citizen Watch Co Ltd 情報端末機能付き腕時計
KR200347177Y1 (ko) * 2004-01-13 2004-04-09 박인수 휴대용 렌즈 표면 세정기구
KR20110124654A (ko) * 2010-05-11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393388B1 (ko) * 2013-11-12 2014-05-13 (주)대한특수금속 스마트워치 및 그에 연결되는 젠더
CN107024859A (zh) * 2017-06-02 2017-08-08 山东英才学院 一种儿童安全定位跟踪手表
KR20190129300A (ko) 2018-05-10 2019-11-20 (주)에스피에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워치 및 이를 이용한 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061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5197B2 (en) Exterior cover
US10299554B2 (en)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7584841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nd positioning a portable object
US9380723B2 (en) Housing for encas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90345747A1 (en) Camera housing
US8960421B1 (en) Foldable front cover for electronic tablet
US9801442B2 (en) Pouch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ceived therein
US20150141096A1 (en) Protective cases for mobi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CN107594821A (zh) 带支架的智能电话携带套
US20190222249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KR102302061B1 (ko)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US8830677B2 (en) Engaging structure between a housing and an inflatable element
CN114499567B (zh) 卡托及移动终端
KR101985180B1 (ko) 모바일기기 장착이 가능한 미용 케이스
KR20140005600U (ko) 휴대기기용 케이스
US10499131B1 (en) Internal input control
US9926183B2 (en) Dispenser with an integral control switch for discharging water and ice on refrigerator
US20020179468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200335149Y1 (ko) 비닐봉투 보관 케이스
CN114025271A (zh) 收纳盒
CN117806039A (zh) 一种虚拟现实设备
JP2001037516A (ja) フリッパ型携帯電話機等の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