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65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654A
KR20110124654A KR1020100044158A KR20100044158A KR20110124654A KR 20110124654 A KR20110124654 A KR 20110124654A KR 1020100044158 A KR1020100044158 A KR 1020100044158A KR 20100044158 A KR20100044158 A KR 20100044158A KR 20110124654 A KR20110124654 A KR 2011012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bile terminal
input unit
circuit board
switch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222B1 (ko
Inventor
박희남
최항준
권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22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바디와,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바디의 일면에 장착되는 입력유닛, 및 상기 입력유닛과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입력유닛을 마주보며 상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게 상기 스위치를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스위치와 회로기판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게 상기 공기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지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의 개량의 하나로,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는 입력장치를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입력장치의 성능 신뢰도가 높은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다 슬림하게 이루어지는 스위치 조립체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와,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바디의 일면에 장착되는 입력유닛, 및 상기 입력유닛과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입력유닛을 마주보며 상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게 상기 스위치를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스위치와 회로기판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게 상기 공기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지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호막은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ePTFE)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은 베이스 필름 및 접착유닛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재질로 형성되며, 접착유닛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보호막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장착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에는 상기 스위치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절연막에 장착된다. 상기 스위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돔 스위치의 일면에는 상기 공기의 배출을 위한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보호막이 공기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스위치 조립체의 공기 배출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입력장치의 성능 신뢰도가 보다 높아지며, 이동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막의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ePTFE)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스위치 조립체의 방수와 공기 배출을 동시에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사이드측의 스위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및 동작도.
도 6a는 도 5a의 보호막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a의 보호막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메인측의 스위치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위치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모듈(161), 조작부(116,117), 영상 입력부(115,121), 음향 입력부(118),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19), 방송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0), 제어부(160)을 포함한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를 포함한다.
조작부(116,11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17)는 돔 스위치(dome switch)로 구성된다. 조작부는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영상입력부(115,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18)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6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18)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유닛(166)은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9)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19)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19)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64)는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타입의 단말기 바디(110)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2에서 개시된 바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단말기 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폴더(folder)'타입이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slide)' 타입 등 다른 타입이나 폼팩터(form factor)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111a)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111,111a,112)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재질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 페이퍼(e-paper), TOLED(Transparent OLED)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나 제어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윈도우의 내부에 배치되는 투명전극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항막 방식 또는 정전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프론트 케이스(111) 또는 리어 케이스(1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조작부(117), 음향 입력부(118), 인터페이스(119)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117)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거나,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제2 조작부(117)는 제1 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8)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9)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9)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12)의 저면에는 제2 영상입력부(14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영상입력부(121)는 제1 영상입력부(115,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입력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입력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2)와 거울부(123)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2)는 제2 영상입력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3)는 사용자가 제2 영상입력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블루투스 통신 또는 GPS 통신 등을 위한 안테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에는 상기 안테나부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0)가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2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1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16)는 리어 케이스(112)에 인출 또는 인출된 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사이드 회로기판(131)이 단말기 케이스(111,111a,112)의 측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회로기판(131)은 외관을 형성하는 절연부재에 회로 패턴이 인쇄됨에 의하여 제조된다. 회로기판(131)은, 예를 들어 연성회로기판이 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31)에는 스위치 조립체(150)가 형성된다.
스위치 조립체(150)에 대응하는 입력유닛이 스위치 조립체(150)와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입력유닛은, 예를 들어 단말기 케이스(111,111a,112)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키(117a)가 될 수 있다. 사이드키(117a) 및 스위치 조립체(150)는 제2 조작부(117)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110)의 내부에는 메인 회로기판(132)이 장착된다. 스위치 조립체(150)가 상기 사이드키(117a)에 의하여 가압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사이드 회로기판(131)은 메인 회로기판(132)가 연결된다.
도시에 의하면, 메인 회로기판(132)에는 디스플레이(113a), 스피커(114a) 및 카메라(115a)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13a)를 보호할 수 있도록 투광성 영역을 갖는 윈도우(113b)가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113a)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113c)이 결합된다. 브라켓(113c)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13a)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 띠 형상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14a) 및 카메라(115a)는 디스플레이(113a)의 일측에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스피커(114a) 및 카메라(115a)에 각각 대응하는 음향토출홀(114b) 및 카메라 윈도우(115b)가 형성된다. 스피커(114a) 및 음향토출홀(114b)이 음향 출력부(114, 도 2 참조)로 분류되고, 카메라(115a) 및 카메라 윈도우(115b)가 영상 입력부(115, 도 2 참조)로 분류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11,111a,112)의 일측 구석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14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회로기판(132)의 하단 후면 쪽에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안테나(140)의 급전부(141)는 회로기판(132)에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게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132)에는 스위치 조립체(160)가 형성되고, 스위치 조립체(160)에 대응하도록 키패드(116a)가 프론트 케이스(111)에 장착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키패드(116a)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키패드 설치홀(116b)이 형성된다. 키패드(116a), 키패드 설치홀(116b) 및 스위치 조립체(160)는 제1 조작부(116)로 분류될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160)는 스위치(161)와 상기 스위치(161)의 하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부가 스위치(161)와 접촉되면 접점부와 스위치(161)가 통전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들(150, 160)은 키패드(116a) 및 사이드 키(117a)와 함께 사용자 입력부(140, 도 1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스위치 조립체들(150, 16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사이드측의 스위치 조립체(150)에 대한 단면도 및 동작도이며, 도 6a는 도 5a의 보호막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위치 조립체(150)는 스위치(151), 절연막(152) 및 보호막(153)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51)는 회로기판(131)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이드키(117a)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사이드키(117a)를 마주보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도록 사이드키(117a)의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된다. 이러한 스위치(151)의 예로서, 상기 스위치(151)는 가압에 의하여 탄성변형되는 돔 스위치가 될 수 있다. 돔 스위치는 탄성변형에 의하여 접점부와 접촉되며, 이를 통하여 접점부와 돔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에 의하면, 절연막(152)은 상기 회로기판(131)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회로기판(131)의 일면에는 상기 스위치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가 패턴되며, 절연막(152)은 회로기판(131)의 접점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에 대하여 절연시킨다.
절연막(152)에는 스위치(151)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스위치(151)가 사이드키(117a)를 향하여 회로기판(131)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보호막(153)은 절연막(152)에 장착되며,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게 상기 스위치(151)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즉, 보호막(153)은 스위치(151)를 주변으로부터 밀봉 또는 밀폐시키도록 형성된다.
보호막(153)은 스위치(151)가 가압되면 상기 스위치(151)와 회로기판(131)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막(153)은 공기가 보호막(153)의 주면을 관통하도록 미세 구멍을 가지는 분자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돔 스위치의 일면에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통기공(15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이드키(117a)가 스위치(151)를 가압하면, 스위치(151)와 회로기판(131) 사이의 공기가 통기공(151a) 및 보호막(153)의 주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보호막(153)은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ePTFE)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적절한 조건하에서 급속히 팽창시킴에 의하여 제조되며, 미소 구멍 구조를 갖는 재질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호막(153)은 베이스 필름(153a) 및 접착유닛(153b)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53a)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재질로 형성되며, 얇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접착유닛(153b)은 베이스 필름(153a)의 일면에서 베이스 필름(153a)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도 5a와 같이, 접착유닛(153b)이 절연막(152)과 보호막(153)을 서로 접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필름(153a)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재질로 형성되고 스위치(151)를 덮도록 배치되며, 스위치 조립체(150)에 별도의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스위치 조립체(150)의 방수와 공기 배출 매커니즘은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스위치 조립체의 성능 신뢰도가 보다 높아지며, 이동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한 스위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b는 도 5a의 보호막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보호막은 베이스 필름(253a), 접착유닛(253b) 및 지지 필름(253c)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필름(253a) 및 접착유닛(253b)은 상기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지지 필름(253c)은 베이스 필름(253a)의 타면, 즉 접착유닛(253b)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에 장착된다. 지지 필름(253c)이 베이스 필름(253a)을 지지함에 따라 보다 견고한 스위치 조립체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지지 필름(253c)의 중앙에는 관통홀(253d)이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위치(151)와 회로기판(131, 이상 도 5a 참조) 사이의 공기는 베이스 필름(253a)의 주면과 관통홀(253d)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메인측의 스위치 조립체(160)에 대한 단면도이며, 스위치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메인 회로기판(132)에는 스위치들(161, 도 4 참조)이 복수로 구비되며, 키패드(116a)는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키톱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가장자리에 제1 스위치(161a)가 배치되고, 중앙에 제2 스위치(161b)가 배치된다.
복수의 스위치들(161a, 161b)의 사이에는 절연막(162)이 회로기판(132)을 덮도록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보호막(163)은 복수의 스위치들(161)을 함께 덮도록 이루어진다.
스위치들(161a, 161b)과 회로기판(132)의 사이에 공기 배출구(164)가 형성되도록, 스위치들(161a, 161b)의 적어도 일부는 회로기판(132)의 일면에 대하여 이격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61a)의 공기 배출구(164a)는 회로기판의 중앙에 치우치는 제1 스위치(161a)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스위치(161b)의 공기 배출구(164b)는 제2 스위치(161b)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스위치들(161a, 161b)의 몸체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지 않으며, 키패드(116a)가, 예를 들어 제2 스위치(161b)를 가압하면, 제2 스위치(161b)와 회로기판(132) 사이의 공기가 공기 배출구(164b) 및 보호막(163)의 주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 조립체(160)의 공기 배출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구현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바디; 제어 명령을 입력받도록 상기 바디의 일면에 장착되는 입력유닛; 및 상기 입력유닛과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입력유닛을 마주보며, 상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게 상기 스위치를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스위치와 회로기판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게 상기 공기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지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적어도 일부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ePTFE)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확장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접착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타면에 장착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 필름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막에는 상기 스위치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막은 상기 절연막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돔 스위치의 일면에는 상기 공기의 배출을 위한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이동 단말기의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어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유닛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상기 입력유닛을 마주보며, 상기 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가압에 의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치; 및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게 상기 스위치를 덮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가 가압되면 상기 스위치와 회로기판 사이의 공기를 배출하게 상기 공기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지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스위치 조립체.
KR1020100044158A 2010-05-11 2010-05-11 이동 단말기 KR101726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158A KR101726222B1 (ko) 2010-05-11 2010-05-11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158A KR101726222B1 (ko) 2010-05-11 2010-05-1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54A true KR20110124654A (ko) 2011-11-17
KR101726222B1 KR101726222B1 (ko) 2017-04-12

Family

ID=4539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158A KR101726222B1 (ko) 2010-05-11 2010-05-1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064A (ko) * 2020-02-25 2021-09-02 (주)이노피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263A (ja) * 2004-07-21 2006-02-02 Fujitsu Ltd ドームスイッチ付き基板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20060098196A (ko) * 2005-03-10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메탈돔 시트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2263A (ja) * 2004-07-21 2006-02-02 Fujitsu Ltd ドームスイッチ付き基板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KR20060098196A (ko) * 2005-03-10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메탈돔 시트 및 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064A (ko) * 2020-02-25 2021-09-02 (주)이노피 폴더블 스마트 워치의 개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222B1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7882B2 (en) Mobile terminal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969801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03761A (ko)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20110022387A (ko) 이동 단말기
KR101688941B1 (ko)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818111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31750A (ko) 이동 단말기
KR101726222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27514A (ko) 안테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안테나 설정방법
KR101441922B1 (ko) 터치 센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6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42B1 (ko) 휴대 단말기
KR101504213B1 (ko)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02000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21477A (ko) 이동 단말기
KR101594437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921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53951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80039A (ko) 휴대 단말기
KR20150071496A (ko)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20090079467A (ko) 휴대 단말기
KR20120020663A (ko) 이동 단말기
KR20100135595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