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55A -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55A
KR20170000355A KR1020160078119A KR20160078119A KR20170000355A KR 20170000355 A KR20170000355 A KR 20170000355A KR 1020160078119 A KR1020160078119 A KR 1020160078119A KR 20160078119 A KR20160078119 A KR 20160078119A KR 20170000355 A KR20170000355 A KR 20170000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hthalmic lens
coaxial
refractive power
lens
lensl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936B1 (ko
Inventor
만와이 카리스 라우
노엘 브레넌
칼레드 쉐하브
쉬 청
마이클 콜린스
브렛 데이비스
에릭 알. 리치
팬 이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2Simultaneou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4Myopia progres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렌즈의 광학 구역 내에 비-동축 근시성 탈초점을 생성하는 추가 굴절력(add power)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가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양의 비-동축 렌즐릿은 중심 동공 영역의 약 20 내지 80%를 덮어서 망막의 전방에 광의 양의 초점들을 제공하여 근시 진행의 속도를 늦춘다.

Description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본 발명은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 예를 들어, 단초점(single vision) 렌즈 및/또는 난시용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도록 설계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과용 렌즈는 선명한 중심 시력을 유지하면서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해 망막의 중심, 근거리 및 원거리 주변부 전체를 통하여 근시 진행 정지 신호를, 임의의 이향운동 거리(vergence distance)에서, 제공하는 양의(positive) 비-동축 렌즐릿(lenslet)을 포함한다.
저하된 시력을 초래하는 흔한 질환은 근시(myopia) 및 원시(hyperopia)이며, 이에 대해 안경, 또는 강성 또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형태의 교정 렌즈가 처방된다. 이들 질환은 일반적으로 눈의 길이와 눈의 광학 요소들의 초점 사이의 불균형으로서 설명되는데, 근시안은 망막면 전방에 초점이 맺히고, 원시안은 망막면 후방에 초점이 맺힌다. 근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안축장(axial length)이 눈의 광학적 구성요소들의 초점 길이(focal length)보다 더 길게 생장하기 때문에, 즉 눈이 너무 길게 생장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원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안축장이 눈의 광학적 구성요소들의 초점 길이와 비교하여 너무 짧기 때문에, 즉 눈이 충분히 생장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다.
근시는 전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높은 유병률(prevalence rate)을 가진다. 이러한 질환에 있어서 가장 큰 염려는 예를 들어 5 디옵터(diopter) 초과의 고도 근시로의 그의 가능한 진행인데, 이는 광학 보조 기구 없이 기능하는 눈의 능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고도 근시는 또한 망막 질병, 백내장 및 녹내장의 증가된 위험과 연관된다.
초점을 각각 근시를 교정하기 위해 망막면의 전방으로부터 또는 원시를 교정하기 위해 망막면의 후방으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망막면에서 더 선명한 이미지로 되게 하도록 눈의 육안 초점(gross focus)을 변경하기 위해 교정 렌즈가 사용된다. 그러나, 질환에 대한 교정 접근법은 질환의 원인을 해소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보철적(prosthetic)이거나 또는 질환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대부분의 눈은 단순 근시 또는 단순 원시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근시성 난시 또는 원시성 난시와 같은 더 복잡한 광학적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초점의 난시성 오차는 점 광원의 이미지가 2개의 주 자오선을 따라 상이한 초점 거리들에서 2개의 상호 수직한 선들로서 형성되게 한다. 전술한 논의에서, 근시 및 원시라는 용어는 각각 단순 근시 또는 근시성 난시와 단순 원시 및 원시성 난시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정시안은 수정체가 이완된 상태에서 광학적 무한대에 있는 물체가 비교적 또렷하게 초점을 맺는 선명한 시력의 상태를 설명한다. 정상 또는 정시안인 성인 눈에서, 멀리 있는 물체와 가까이 있는 물체 둘 모두로부터의 그리고 개구(aperture) 또는 입사 동공(entrance pupil)의 중심 또는 근축(paraxial) 영역을 통과하는 광은 눈 내측의 각막 및 수정체에 의해, 반전된 이미지가 감지되는 망막면에 가깝게 초점이 맞춰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상 눈은 일반적으로 5 mm 개구에 대해 약 +0.50 디옵터(D)의 영역에서 양의 종방향 구면 수차(positive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는데, 이는 눈이 광학적 무한대에 초점을 맞출 때 개구 또는 동공의 가장자리를 통과하는 광선이 망막면의 전방에서 +0.50 D에 초점이 맞춰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측정치 D는 광학 축을 따라서, 미터 단위의, 렌즈 또는 광학 시스템의 초점 거리의 역수로서 정의되는 굴절력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이용되는 바와 같이, "추가"라는 용어는 근거리에서 더욱 선명하게 보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추가의 플러스 굴절력(additional plus power)으로서 정의될 것이다.
정상 눈의 구면 수차는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조절(accommodation), 즉 주로 내부 수정체에 대한 변화를 통해 유래되는 눈의 광학 굴절력의 변화는 구면 수차가 양으로부터 음(negative)으로 변화되게 한다.
근시는 전형적으로 눈의 과도한 축방향 생장(axial growth) 또는 길어짐(elongation)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제는 축방향 눈의 생장이 망막 이미지의 품질 및 초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주로 동물 연구로부터 일반적으로 인정된다. 다수의 상이한 경험적 패러다임들을 이용하여 일정 범위의 상이한 동물 종들에 대해 수행된 실험들은 망막 이미지 품질의 변경이 눈 생장에서의 일관되고 예측가능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양의 렌즈(근시성 탈초점) 또는 음의 렌즈(원시성 탈초점)를 통해 조류 및 영장류 동물 모델들 둘 모두에서의 망막 이미지를 탈초점화하는 것은, 도입된 탈초점을 보상하기 위해 생장하는 눈과 일관되는, 방향 및 크기 둘 모두의 측면에서의, 예측가능한 눈 생장의 변화로 이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정시화(emmetropisation)는 눈 생장이 광학계와 눈의 축방향 길이 사이의 최적 정합을 달성하기 위해 자가-조정되는(self-regulated) 과정이다. 광학적 블러(blur)와 연관된 눈 길이의 변화는 공막(scleral) 생장에서의 변화에 의해 바뀌는 것으로 증명되어 왔다 근시성 블러 및 공막 생장 속도의 감소로 이어지는 양의 렌즈에 의한 블러는 원시성 굴절 오차의 발생을 초래한다. 원시성 블러 및 공막 생장 속도의 증가로 이어지는 음의 렌즈에 의한 블러는 근시성 굴절 오차의 발생을 초래한다. 망막 이미지 탈초점에 응답한 이러한 눈 생장 변화들은, 시신경이 손상되었을 때에 눈의 길이 변화가 여전히 발생하기 때문에 국부 망막 메커니즘을 통해 큰 영향을 받는 것이 입증되어 왔으며, 국부 망막 영역 상에 탈초점을 부여하는 것은 그 특정 망막 영역으로 국한되는 변경된 눈 생장을 초래하는 것으로 증명되어 왔다.
사람들에서, 망막 이미지 품질이 눈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지지하는 간접적인 증거 및 직접적인 증거 둘 모두가 존재한다. 모두가 안검하수, 선천성 백내장, 각막 혼탁, 초자체 출혈(vitreous hemorrhage) 및 다른 안구 질병과 같은 형태시(form vision)의 붕괴로 이어지는 여러가지 상이한 안구 질환들은 젊은 사람에서의 비정상적인 눈 생장과 연관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는 망막 이미지 품질에서의 비교적 큰 변화가 사람 대상에서의 눈 생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사람에서의 눈 생장에 대한 보다 미묘한 망막 이미지 변화의 영향이 또한, 눈 생장에 대한 자극 및 사람의 근시 발달을 제공할 수 있는 근접 작업 동안의 사람의 초점맞춤 시스템에서의 광학적 오차에 기초하여 제기되어 왔다.
근시 진행을 늦추기 위한 모든 공개된 접근법은 렌즈의 주 원거리 교정 영역(primary distance correction region)과 경합하여 원거리 시력과 대비 민감도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는, 이중초점 및/또는 다중초점과 같은, 동축의 양의 굴절력 영역의 도입에 좌우된다.
따라서, 중심와의 이미지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근시성 블러의 영향을 향상시키는 근시 진행을 감소시키고/시키거나 늦추는 데 더 큰 치료 효능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양의 탈초점 비-동축 렌즐릿을 갖는 콘택트 렌즈는 시력과 대비 민감도를 손상시키지 않고서 더 나은 원거리 시력 교정을 보장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이다. 안과용 렌즈는 볼록한 전방 표면, 오목한 후방 표면, 주 베이스 구면 원거리 교정 구역(primary base sphere distance correction zone)들 및 추가 굴절력(add power)을 갖는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을 포함하고, 비-동축 렌즐릿들 및 주 원거리 교정 구역들의 조합이 선명한 시력 및 근시성 탈초점을 망막의 모든 영역들에 제공하도록 배열된, 광학 구역, 및 광학 구역을 둘러싸는 주변 구역을 포함한다.
동축 또는 공통 축 광학 요소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 굴절력은, 통상의 방식으로, 전체 렌즈의 광학 축을 따른 초점 길이의 역수로서 정의된다. 비-동축 또는 개별 축 광학 요소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 굴절력은 개별 광학 요소의 광학 축을 따른 초점 길이의 역수로서 정의되고 "국부 굴절력"으로도 또한 지칭된다. 탈초점은, 동축이든 비-동축이든, 광학 요소의 초점 길이와 이상적인 초점 길이 사이의 굴절력 차이다.
개선된 치료 효능을 달성하기 위한 한 가지 방식은 중심와의 이미지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눈 생장을 조정할 때 근시성 블러의 영향을 향상시키는 비-동축 광학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그러한 설계에 의하면, 근시성 탈초점의 각각의 디옵터에 대해, 망막 이미지 품질은 중심와에서 덜 저하되고, 시상 굴절력(sagittal power) 및 접선 굴절력 둘 모두의 초점은 망막의 전방에 있다. 평면의 또는 음의 원거리 굴절력을 갖는 안과용 렌즈 설계는 최적 패턴으로 배열되고 광학 구역 및/또는 중심 동공 영역의 약 20 내지 80%를 덮어서 망막의 전방에 광의 양의 초점들을 제공하는, 국부 굴절력이 +1.00 내지 +30.00D 범위에 있는 양의 탈초점 비-동축 렌즐릿들의 작은 섬(island)들(근시성 탈초점 구역)과 함께, 근시 진행의 속도를 늦추면서 중심와의 이미지 품질에 대한 영향을 낮추면서, 최적의 굴절 교정을 제공한다. 최적의 패턴은 원형 또는 6각형 배열, 방사상 배열, 등간격 또는 등간격이 아닌 배열, 또는 상기 배열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동공 직경과 관계없이 그리고 시각적 성능에 대한 영향이 전혀 또는 거의 없이 근시성 생장, 즉, 근시성 블러에 대한 정지 신호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를 포함하는 추가의 플러스 굴절력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은 근시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추가 굴절력을 갖는 단초점 렌즈 및/또는 난시용 렌즈보다 더 우수하거나 유사한 원거리 시력 교정을 보장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다.
본 발명은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를 포함한다. 안과용 렌즈는, 그의 주 광학 구역 내에, 다수의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은 원거리 교정 구역에 인접한다. 이러한 배열은 적어도 원거리 교정 구역 및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이 임의의 개구/동공 크기 및 관찰 조건에서 존재하는 것을 보장한다. 비-동축 구역들은 기본 굴절 오차를 교정하는 베이스 구면 동축 굴절력 및/또는 원주 굴절력과 상이한 국부 렌즈 굴절력(dioptric power)을 갖는다. 원거리 구역 대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의 전체 영역의 비는 80:20 내지 20:80 및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이다.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의 크기는 직경이 0.45 내지 1 mm로 가변한다. 전체 광학 구역이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동공의 관찰 영역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소아의 경우, 전형적인 동공 크기는 중등도 조명 상태에서 4 mm 내지 8 mm 범위이다. 또한, 최적의 시력을 위해, 렌즈 광학 구역의 중심 영역에는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이 없이, 주 원거리 교정을 남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주 광학 구역 내에 일련의 환형 동심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들을 갖는 안과용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역들은 주 원거리 동축 교정 동심 구역들과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동심 구역들이 교호한다. 비-동축 원형 구역은 동축 원거리 시력 동심 구역과 상이한 국부 렌즈 굴절력을 갖는다. 원거리 구역 대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원형 구역의 전체 영역의 비는 약 80:20 내지 20:80의 범위이다.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들 또는 렌즐릿들 사이의 공간은 평면 초점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상자에게 최적의 교정을 제공하도록 주문맞춤될 수 있다.
고도 근시를 비롯한 근시의 유병은 전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는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설계는, 고도 근시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이며 효능이 있는 수단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렌즈는 동일한 제조 공정을 이용하여 현재 제조되는 렌즈와 동일한 렌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단지 금형 표면만이 렌즐릿에 대한 추가의 굴절력을 포함하도록 변경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하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더욱 특정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눈을 통하여 망막을 향해 이동하는 0 디옵터 파면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눈을 통하여 망막을 향해 이동하는 +10.00 디옵터 파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눈을 통하여 망막을 향해 이동하는 +10.00 디옵터 동축 파면의 섹션들을 갖는 0 디옵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눈을 통하여 이동하고 망막의 전방에 중심와를 향하여 초점이 맞춰진 +10.00 디옵터 비-동축 파면의 섹션들을 갖는 0 디옵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눈을 통하여 이동하고 망막의 전방에 그러나 중심와로부터 떨어져 대칭으로 초점이 맞춰진 +10.00 디옵터 비-동축 파면의 섹션들을 갖는 0 디옵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눈을 통하여 이동하고 망막의 전방에 그러나 중심와로부터 떨어져 비대칭으로 초점이 맞춰진 +10.00 디옵터 비-동축 파면의 섹션들을 갖는 0 디옵터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동축 주 광학 축을 가로지르지 않고서 눈을 통하여 이동하고 망막의 전방에 그러나 중심와로부터 떨어져 대칭으로 초점이 맞춰진 +10.00 디옵터 비-동축 파면의 섹션들을 갖는 0 디옵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동축 주 광학 축을 가로지르지 않고서 눈을 통하여 이동하고 망막의 전방에 그러나 중심와로부터 떨어져 비대칭으로 초점이 맞춰진 +10.00 디옵터 비-동축 파면의 섹션들을 갖는 0 디옵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세트의 예시적인 비-동축 렌즐릿 설계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세트의 예시적인 비-동축 렌즐릿 설계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렌즐릿 크기 및 추가 굴절력의 함수로서 이미지 품질 및 시각적 성능에 대한 회절 제한된 모델 눈에서의 시뮬레이션된 망막 이미지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개략 측면도이다.
실험들은 눈이 축방향 길어짐으로 이어지는 원시성 탈초점에 대응하는 것을 보여 주었고, 그에 따라서 더 높은 플러스 굴절력을 중심 망막에 제공함으로써 근시 진행을 늦추게 할 것이다. 그러나, 더 높은 플러스 굴절력을 중심 망막에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시력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망막의 전방에 광의 양의 초점을 제공하도록 특정 패턴으로 배열된 양의 굴절력 작은 영역 또는 섬(렌즐릿)과 조합하여 원거리에 대한 최적의 굴절 교정을 제공하는 음의 베이스 굴절력을 갖는 콘택트 렌즈는 시력 및 대비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근시 진행을 억제하도록 근시성 탈초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를 포함한다. 안과용 렌즈는, 그의 주 광학 구역 내에, 다수의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을 포함한다. 각각의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은 원거리 교정 구역에 인접한다. 이러한 배열은 적어도 원거리 및 플러스 굴절력 비-동축 구역이 임의의 관찰 조건에서 존재하는 것을 보장한다. 비-동축 구역들은 베이스 구면 굴절력 및/또는 원주 굴절력과 상이한 국부 렌즈 굴절력을 갖는다. 원거리 구역 대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의 전체 영역의 비는 80:20 내지 20:80 및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이다.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의 크기는 직경이 0.45 내지 1 mm로 가변한다. 전체 광학 구역이 비-동축 플러스 굴절력 구역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동공의 관찰 영역으로 제한될 필요가 없다. 소아의 경우, 전형적인 동공 크기는 중등도 조명 상태에서 4 mm 내지 8 mm 범위이다. 또한, 최적의 시력을 위해, 렌즈 광학 구역의 중심의 2 mm에는 비-동축 근시성 탈초점 구역이 없이, 주 원거리 교정을 남길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평면(0 디옵터 탈초점) 파면(101)이 눈(100)을 통하여 눈(100)의 망막(1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이 제로(0) 파면 수차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면, 평면 파면은 광학 축(106)을 따라서 단일 점(1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104)은 망막(102)의 황반의 중심에 위치되는 중심와 상에 있다. 중심와는 또렷한 중심 시력의 원인인 망막의 영역이다. 그에 반하여, 도 2에서, +10.00 디옵터 파면(201)이 눈(200)을 통하여 눈(200)의 망막(2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면은 +10.00 디옵터 탈초점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광학 축(206)을 따른 망막(202) 전방의 단일 점(2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둘 모두의 경우에, 그리고 종래의 구면 광학계와 유사하게, 렌즈의 광학계는 주 광학 축 - 이를 통하여 광선들이 단일 점, 즉 초점을 향하여 수렴함 - 을 갖도록 설계된다. 구면 파면 오차의 양은, 예들이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망막의 중심와 상의 또는 그의 전방의, 초점의 위치에 영향을 준다. 이들 두 도면은 본 발명의 설명의 기초가 되는 기본 매개변수/원리를 설정하는 데 이용되지만, 단지 구면 굴절 오차만이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시되고 설명되면서, 본 발명이 특정 축에서의 원주 굴절력을 포함하는 원환체 렌즈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더욱이,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렌즐릿들은 원주 굴절력 및 축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고위 수차와 같은 더 복잡한 광학 설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평면(0 디옵터 탈초점) 파면(301) 및 +10.00 디옵터 탈초점을 갖는 동축 렌즐릿 파면(303)이 눈(300)을 통하여 눈(300)의 망막(3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0 디옵터 베이스 구면 파면은 주 광학 축(306)을 따른 단일 점(3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304)은 망막(302)의 중심와 상에 있다. +10.00 디옵터 동축 렌즐릿으로부터의 파면(303) 각각은 +10.00 디옵터 오차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망막(302) 전방의 단일 점(308)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렌즐릿은 도 2에 도시된 +10.00 디옵터 파면의 작은 섹션이고 따라서 각각의 렌즐릿으로부터의 광선(303)은 여전히 완전 +10.00 디옵터 파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동심 또는 비구면 다중초점 렌즈 설계는 또한 공통 축을 갖는 주 원거리 및 추가 굴절력 둘 모두를 통상 갖는다. 전형적으로, 최적의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이들 응용에서, 추가 굴절력은 +1.00 내지 +3.00 디옵터의 범위로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필요한 높은 추가 굴절력은 렌즐릿들의 이러한 배열이 아니라 오히려 비-동축 배열과 함께 작동할 것이고, 이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다.
도 4는 평면 베이스 구면 렌즈로부터의 평면 파면(401) 및 +10.00 디옵터 비-동축 렌즐릿으로부터의 파면(403)이 눈(400)을 통하여 눈(400)의 망막(4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파면(401)은 주 광학 축(406)을 따른 단일 점(4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디옵터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404)은 망막(402)의 중심와 상에 있다. +10.00 디옵터 탈초점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 파면(403) 각각은 +10.00 디옵터 렌즈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그러나 중심와를 향하는 방향으로 망막(402) 전방의 단일 점(408, 410)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렌즐릿은 이제, 원래의 공통 광학 축(406)과 일치하지 않고 그에 따라서 비-동축인 초점(408, 410)을 갖는다. 구면 파면 렌즐릿들이 그들 자신의 축을 따른 망막(402) 전방의 +10.00 디옵터에 초점이 맞춰지고, 각각의 렌즐릿의 중심이 0 파면 오차를 갖고, 그의 중심점의 어느 일 측이 반대의 기울기를 갖고 따라서 기준 구면 중심, 즉 중심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여전히 향하는 것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도 5는 평면 베이스 구면 렌즈로부터의 평면 파면(501) 및 +10.00 디옵터 비-동축 렌즐릿으로부터의 파면(503)이 눈(500)을 통하여 눈(500)의 망막(5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파면은 주 광학 축(506)을 따른 단일 점(5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디옵터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504)은 망막(502)의 중심와 상에 있다. +10.00 디옵터 탈초점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 파면(503) 각각은 +10.00 디옵터 렌즈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그러나 중심와로부터 멀리 대칭으로 망막(502) 전방의 단일 점(508, 510)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또 다시, 렌즐릿은 이제, 원래의 공통 광학 축(506)과 일치하지 않고 그에 따라서 비-동축인 초점(508, 510)을 갖는다. 구면 파면 렌즐릿들이 그들 자신의 축을 따라 초점이 맞춰지고 도 4의 렌즐릿들과 상이한 기울기를 가져서 중심와로부터 멀리 대칭으로 중심을 향하지만 망막(502) 전방에 +10.00 디옵터의 국부 점 초점을 여전히 갖는 것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렌즐릿 축들은 중심 베이스 구면 파면 축(506)을 향하여 대칭으로 수렴한다. 다시 말하면, 렌즐릿(512)은 원래의 공통 광학 축(506)을 가로질러 중심와로부터 등거리인 대칭 배열인 망막(502)의 주변 섹션들을 향하여 광선을 지향시킨다.
도 6은 평면 베이스 구면 렌즈로부터의 평면 파면(601) 및 +10.00 디옵터 비-동축 렌즐릿으로부터의 파면(603)이 눈(600)을 통하여 눈(600)의 망막(6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파면은 주 광학 축(606)을 따른 단일 점(6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디옵터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604)은 망막(602)의 중심와 상에 있다. +10.00 디옵터 탈초점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 파면(603) 각각은 +10.00 디옵터 렌즈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그러나 중심와로부터 멀리 비대칭으로 망막(602) 전방의 단일 점(608, 610)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또 다시, 렌즐릿은 이제, 원래의 공통 축(606)과 일치하지 않고 그에 따라서 비-동축인 초점(608, 610)을 갖는다. 구면 파면 렌즐릿들이 그들 자신의 축을 따라 초점이 맞춰지고 도 4의 렌즐릿들과 상이한 기울기를 가져서 중심와로부터 멀리 비대칭으로 중심을 향하지만 망막(602) 전방에 +10.00 디옵터의 국부 점 초점을 여전히 갖는 것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렌즐릿 축들은 중심 베이스 구면 파면 초점 전방에 비대칭으로 수렴한다. 다시 말하면, 렌즐릿은 원래의 공통 광학 축을 가로질러 중심와로부터 상이한 거리들에 있는 비대칭 배열인 망막(602)의 주변 섹션들을 향하여 광선을 지향시킨다.
도 7은 평면 베이스 구면 렌즈로부터의 평면 파면(701) 및 +10.00 디옵터 비-동축 렌즐릿으로부터의 파면(703)이 눈(700)을 통하여 눈(700)의 망막(7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파면은 주 광학 축(706)을 따른 단일 점(7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디옵터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704)은 망막(702)의 중심와 상에 있다. +10.00 디옵터 탈초점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 파면(703) 각각은 +10.00 디옵터 렌즈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그러나 주 광학 축(706)을 가로지르지 않고서 중심와로부터 멀리 대칭으로 망막(702) 전방의 단일 점(708, 710)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또 다시, 렌즐릿은 이제, 원래의 공통 축(706)과 일치하지 않고 그에 따라서 비-동축인 초점(708, 710)을 갖는다. 구면 파면 렌즐릿들이 그들 자신의 축을 따라 초점이 맞춰지고 도 4의 렌즐릿들과 상이한 기울기를 가져서 중심와로부터 멀리 대칭으로 중심을 향하지만 망막(702) 전방에 +10.00 디옵터의 국부 점 초점을 여전히 갖는 것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렌즐릿 축들은 중심 베이스 구면 파면 초점(704) 후방에 대칭으로 수렴한다. 다시 말하면, 렌즐릿은 원래의 공통 광학 축(706)을 가로지르지 않고 여전히 중심와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대칭 배열인 망막(702)의 주변 섹션들을 향하여 지향되는 광선을 지향시킨다.
도 8은 평면 베이스 구면 렌즈로부터의 평면 파면(801) 및 +10.00 디옵터 비-동축 렌즐릿으로부터의 파면(803)이 눈(800)을 통하여 눈(800)의 망막(802)을 향하여 이동하는 그대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파면은 주 광학 축(806)을 따른 단일 점(804)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이것이 0 디옵터 파면 오차 표현인 것을 고려하면, 초점(804)은 망막(802)의 중심와 상에 있다. +10.00 디옵터 탈초점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 파면(803) 각각은 +10.00 디옵터 렌즈에 의해 예상되는 바와 같이, 그러나 주 광학 축(806)을 가로지르지 않고서 중심와로부터 멀리 비대칭으로 망막(802) 전방의 단일 점(808, 810)에서 초점이 맞춰진다. 또 다시, 렌즐릿은 이제, 원래의 공통 축(806)과 일치하지 않고 그에 따라서 비-동축인 초점(808, 810)을 갖는다. 구면 파면 렌즐릿들이 그들 자신의 축을 따라 초점이 맞춰지고 도 4의 렌즐릿들과 상이한 기울기를 가져서 중심와로부터 멀리 비대칭으로 중심을 향하지만 망막(802) 전방에 +10.00 디옵터의 국부 점 초점을 여전히 갖는 것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렌즐릿 축들은 중심 베이스 구면 파면 축(806) 후방에 비대칭으로 수렴한다. 다시 말하면, 렌즐릿은 눈 내부의 원래의 공통 광학 축(806)을 가로지르지 않고 여전히 중심와로부터 상이한 거리들에 있는 비대칭 배열인 망막(802)의 주변 섹션들을 향하여 지향되는 광선을 지향시킨다.
전술된 구성들, 예를 들어, 제로 파면 오차를 갖는 베이스 구면을 포함하는 광학 설계, 주 광학 축을 가로질러 광선을 지향시키는 렌즐릿들, 및 주 광학 축의 동일한 측으로 광선을 지향시키는 렌즐릿들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에 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더욱이, 렌즐릿들은 비구면인 형상으로 용이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는 렌즐릿으로부터 비롯되어 망막에 도달하는 광선들의 분포를 미세 조정하고 조작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하나의 예는 렌즐릿들을, 국부 난시가 그들의 각 위치와 매칭한 채로, 생성할 것이다. 난시의 양은 중심와 둘레의 '링' 패턴으로 망막 블러의 폭을 변화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또는 콘택츠(contacts)는 간단히 눈 상에 배치되는 렌즈이다. 콘택트 렌즈는 의료 장치로 여겨지고 시력을 교정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미용이나 다른 치료상의 이유로 착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1950년대 이래로 시력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업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경질 재료로부터 만들어지거나 제조된 초기 콘택트 렌즈는 비교적 고가이며 부서지기 쉬웠다. 또한, 이들 초기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를 통한 결막 및 각막으로의 충분한 산소 투과를 허용하지 않는 재료로부터 제조되었고, 이로 인해 잠재적으로 많은 불리한 임상 효과를 초래할 수 있었다. 이들 콘택트 렌즈가 여전히 이용되지만, 이들은 그들의 부족한 초기 편안함으로 인해 모든 환자에게 적합하지는 않다. 해당 분야의 이후의 개발에 의해 하이드로겔에 기반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가 생겼으며, 이는 매우 인기가 있고 현재 널리 이용된다. 오늘날 이용가능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매우 높은 산소 투과성을 갖는 실리콘의 이점을, 하이드로겔의 입증된 편안함 및 임상 성능과 조합한다. 본질적으로, 이들 실리콘 하이드로겔 기반의 콘택트 렌즈는 보다 높은 산소 투과도 값을 갖고, 일반적으로 초기의 경질 재료로 만들어진 콘택트 렌즈보다 착용하기에 더욱 편안하다. 한편, 강성의 기체 투과성 하드 콘택트 렌즈는 실록산-함유 중합체로부터 제조되지만, 소프트 콘택트 렌즈보다 강성이고, 따라서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고 더욱 내구성이 있다.
현재 이용가능한 콘택트 렌즈는 여전히 시력 교정을 위한 비용 효과적인 수단이다. 얇은 플라스틱 렌즈는 근시 또는 근시안, 원시 또는 원시안, 난시, 즉 각막의 원환성(toricity), 및 노안, 즉 수정체의 원근 조절 능력의 상실을 비롯한 시력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 눈의 각막 위에 피팅된다. 콘택트 렌즈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가능하고, 상이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로 제조된다. 매일 착용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전형적으로 산소 투과성을 위해 물과 조합된 연질 중합체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매일 착용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일일 착용 일회용(daily disposable) 또는 연속 착용 일회용(extended wear disposable)일 수 있다. 일일 착용 일회용 콘택트 렌즈는 보통 하루 동안 착용되고 그 후 버려지는 반면, 연속 착용 일회용 콘택트 렌즈는 보통 최대 30일의 기간 동안 연속으로 착용된다. 컬러 소프트 콘택트 렌즈는 상이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재료들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가시성 색조(visibility tint) 콘택트 렌즈는 떨어뜨린 콘택트 렌즈를 찾을 때에 착용자를 돕도록 가벼운 색조를 사용하고, 강화 색조(enhancement tint)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본래 눈 색상을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투명 또는 반투명 색조를 갖고, 컬러 색조 콘택트 렌즈는 착용자의 눈 색상을 변경시키도록 의도된 불투명 색조를 포함하고, 광 여과 색조(light filtering tint) 콘택트 렌즈는 다른 색상을 약화시키면서 소정의 색상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중초점 및 다초점 콘택트 렌즈는 특히 노안을 가진 환자를 위해 설계되고, 소프트 및 강성 종류 둘 모두로 이용가능하다. 원환체 콘택트 렌즈는 난시를 가진 환자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또한 소프트 종류 및 강성 종류 둘 모두로 이용가능하다. 상기의 다양한 양태들을 조합하는 조합 렌즈,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hybrid) 콘택트 렌즈가 또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즐릿 설계는, 중심와의 시력 교정을 제공하고 주 시력에 대한 영향이 최소이거나 전혀 없이 눈 생장 신호를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근거리 및 원거리 망막 주변부에서 근시성 블러를 갖는 안과용 렌즈를 위해 개발된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는 구면 렌즈 또는 원환체 렌즈일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1200)를 도시한다. 도 12a는 렌즈(1200)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렌즈(1200)의 측면도이다. 콘택트 렌즈(1200)는 볼록한 전방 표면(1202) 및 오목한 후방 표면(1204)을 포함한다. 광학 구역(1206)은 주 원거리 교정 광학계(1208) 및 높은 추가 굴절력을 갖는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1210)을 포함하여 근시 진행의 치료를 위해 근시성 탈초점을 생성한다. 주 원거리 교정 광학계(1208) 대 비-동축 렌즐릿(1210)들의 전체 영역의 비는 20:80 내지 80:20의 범위일 수 있다. 렌즐릿(1210)은 볼록한 전방 표면(1202) 또는 오목한 후방 표면(120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즐릿(1210)은 볼록한 전방 표면(1202) 상에 형성된다. 콘택트 렌즈(1200)는 또한 주변 구역(1212)을 포함한다.
도 9는 5.5 mm 동공 개구에 대한 비-동축 렌즐릿 설계의 6개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원거리 대 플러스 굴절력 영역의 비의 변화 또는 충전율(filling factor)은 20 내지 60% 범위에 있고, 플러스 굴절력 값은 +2.50 디옵터 내지 +20.0 디옵터이다. 이들 예에서, 렌즐릿(900)의 크기는 20%, 40%, 및 60% 충전율에 대해 각각 0.45 mm, 0.62 mm 및 0.77 mm이다. 렌즐릿 중심으로부터 렌즐릿 중심까지의 거리는 0.88 mm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선명한 중심 직경은 또한 2.00 mm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렌즐릿(900)들의 임의의 적합한 배열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크기, 예를 들어, 0.5 내지 1.1 mm 범위의 크기와 함께 원형, 육각형, 동심 링 또는 심지어 방사상 구역이 렌즐릿(900)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아래에 주어진 표 1에는 상기 예들에 대한 설계 매개변수들이 요약되어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최상의 구면 교정에 대한 그리고 종래의 +3.00 디옵터 구면 렌즈, +3.00 디옵터 추가 굴절력을 갖는 2개 구역 이중초점 렌즈, 또는 +2.00 디옵터 추가 굴절력을 갖는 종래의 동심 링 이중초점 렌즈와 비교한 상기 비-동축 렌즐릿 설계에 대한 시각적 성능 및 베버(Weber) 대비 민감도가 아래 주어진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모든 경우에, 비-동축 광학 렌즐릿을 갖는 렌즐릿 설계는, 2개 구역 및 동심 이중초점 렌즈와 같은 종래의 동축 광학 접근법과 비교하여, 적은 시력 손실 및 베버 대비 민감도 손실을 가져왔다. 대비는 본질적으로 시야 내의 물체 또는 물체들을 구별가능하게 하는 휘도/밝기의 차이이고, 베버 대비 민감도는 기본적으로 물체 휘도와 배경 휘도 사이의 눈의 감지 한계치이다.
[표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10은, % 충전율, 추가 굴절력 및 렌즐릿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선명한 중심 구역을 갖는 그리고 갖지 않는 광학 설계의 변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명한 중심 구역(1000)을 갖는 광학 설계는 그 내부에 렌즐릿(1002)을 갖지 않는다. 설계 예들의 각각에 대한 설계의 매개변수 및 계산된 시각적 성능(VSOTF)이 아래 주어진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광학 전달 함수에 기초한 시각적 스트렐(Strehl) 비(VSOTF)는 파면 수차로부터 직접 유도될 수 있는 시각적 성능의 통상 사용되는 서술자(descriptor)이다. 이는 망막 이미지 품질이 상이한 형태의 추가적인 시력 보조장치(예컨대, 안경 또는 콘택트 렌즈, 등)에 의해 유도되는 다른 수차 및 눈의 광학계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나타낸다. 증강된 VSOTF는 하기 식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pat00003
,
여기서 OTF DL (f x ,f y )는 회절 제한된 광학 전달 함수를 나타내고, CSF N (f x ,f y )는 신경 대비 민감도 함수이고, (f x ,f y )는 공간 주파수 좌표이다.
[표 3]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11은 렌즐릿(1100) 크기 및 추가 굴절력의 함수로서 이미지 품질 및 시각적 성능에 대한 회절 제한된 모델 눈에서의 시뮬레이션된 망막 이미지를 도시한다. 아래에 주어진 표 4에는 설계의 각각에 대한 설계 매개변수 및 계산된 시각적 성능이 요약되어 있다. 렌즐릿 크기보다는 추가 굴절력이 VSOTF에 영향을 적게 미친다는 것을 표 4의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설계 매개변수는 개선된 치료 효능을 위한 높은 추가 굴절력, 작은 렌즐릿 크기 및 선명한 중심을 포함할 수 있다.
[표 4]
Figure pat00005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1.00D이든 또는 +30.00D이든 동일한 국부 굴절력을 갖는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지만 상이한 굴절력의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는 국부 굴절력이 하나의 영역에서 +2.00D이고 다른 영역에서 +10.00D 또는 +20.00D인 렌즐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국부 굴절력은 이웃하는 렌즐릿들과 교호하는 방식으로 변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국부 굴절력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가 근시 진행을 늦추기 위한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라는 데 주의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렌즈는 원거리 교정을 위한 평면 또는 음의 베이스 구면 굴절력, 및 근시성 블러를 유도하도록 양의 추가 굴절력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한다. 역전된 극성을 갖는 원시 대상자를 위한 콘택트 렌즈를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렌즈에서, 베이스 구면 교정이 플러스 굴절력 굴절 교정이고, 비-동축 렌즐릿이 정시안으로 이끄는 원시성 블러를 유도하도록 음의 굴절력을 갖는다.
가장 실현가능하고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여겨지는 것이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설계 및 방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기술되고 예시된 특정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변형과 합쳐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Claims (20)

  1. 근시 진행을 늦추거나, 지연시키거나, 예방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안과용 렌즈(ophthalmic lens)로서,
    볼록한 전방 표면;
    오목한 후방 표면;
    주 베이스 구면 원거리 교정 구역(primary base sphere distance correction zone)들 및 추가 굴절력(add power)을 갖는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lenslet)들을 포함하고, 비-동축 렌즐릿들 및 주 원거리 교정 구역들의 조합이 선명한 시력 및 근시성 탈초점(myopic defocus)을 망막의 모든 영역들에 제공하도록 배열된, 광학 구역; 및
    상기 광학 구역을 둘러싸는 주변 구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1.00 내지 +30.00 디옵터 범위의 추가 굴절력을 제공하는, 안과용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상기 광학 구역의 20 내지 80%를 차지하는, 안과용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의 각각은 크기가 약 0.45 mm 내지 약 1.00 mm 범위인, 안과용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구역은 중심 영역을 포함하는, 안과용 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추가 굴절력을 갖는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지 않는, 안과용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상기 렌즈의 주 광학 축을 가로질러 광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상기 렌즈의 주 광학 축의 일 측으로 광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9.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환자의 중심와(fovea)로부터 떨어져 대칭으로 광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환자의 중심와로부터 떨어져 비대칭으로 광을 지향시키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11.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환자의 중심와 둘레에 근시성 블러(myopic blur)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안과용 렌즈.
  12.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상기 볼록한 전방 표면 상에 형성된, 안과용 렌즈.
  13.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상기 오목한 후방 표면 상에 형성된, 안과용 렌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단초점(single vision) 구면 렌즈인, 안과용 렌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원환체 렌즈(toric lens)인, 안과용 렌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용 렌즈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인, 안과용 렌즈.
  17.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구면인, 안과용 렌즈.
  18.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비구면인, 안과용 렌즈.
  19. 제1항에 있어서, 추가 굴절력을 갖는 상기 복수의 비-동축 렌즐릿들은 원환체인, 안과용 렌즈.
  20. 제1항에 있어서, 굴절력이 양(positive)이고 상기 비-동축 렌즐릿들이 음의 굴절력을 갖도록 극성이 역전된, 안과용 렌즈.
KR1020160078119A 2015-06-23 2016-06-22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KR102573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47,166 US10877294B2 (en) 2015-06-23 2015-06-23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14/747,166 201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55A true KR20170000355A (ko) 2017-01-02
KR102573936B1 KR102573936B1 (ko) 2023-09-05

Family

ID=5620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119A KR102573936B1 (ko) 2015-06-23 2016-06-22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877294B2 (ko)
EP (1) EP3112925B1 (ko)
JP (2) JP6953115B2 (ko)
KR (1) KR102573936B1 (ko)
CN (1) CN106291978B (ko)
AU (1) AU2016203870B2 (ko)
BR (1) BR102016014697A8 (ko)
CA (1) CA2933459C (ko)
HK (1) HK1232305A1 (ko)
IL (1) IL246149B (ko)
MX (1) MX361506B (ko)
RU (1) RU2724357C2 (ko)
SG (1) SG10201605184XA (ko)
TW (1) TWI6887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80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인터로조 근시 억제 콘택트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8572B (zh) * 2013-11-29 2018-04-27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片
SG10201400920RA (en) * 2014-03-24 2015-10-29 Menicon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xial growth with an ocular lens
US10877294B2 (en) 2015-06-23 2020-12-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11061255B2 (en) * 2015-06-23 2021-07-1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comprising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10268050B2 (en) 2015-11-06 2019-04-23 Hoya Lens Thailand Ltd. Spectacle lens
CN107306493B (zh) * 2016-02-22 2022-02-18 依视路国际公司 用于确定包括至少一个光学镜片的光学器件的参数的方法
TW202244570A (zh) 2016-08-01 2022-11-16 華盛頓大學 用於治療近視的眼用鏡片
KR102619407B1 (ko) 2016-10-25 2024-01-02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CN106773121A (zh) * 2017-03-17 2017-05-31 施伯彦 一种硬性角膜接触镜
CN110914743B (zh) * 2017-05-08 2021-08-13 视窗视觉公司 用于降低近视的接触镜片及用于制造该接触镜片的方法
JP6485888B1 (ja) * 2017-10-24 2019-03-20 小松貿易株式会社 老眼鏡用レンズ及び老眼鏡
WO2019124352A1 (ja) * 2017-12-19 2019-06-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製造方法および眼鏡レンズ
US11789292B2 (en) * 2018-01-22 2023-10-17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with an optically non-coaxial zone for myopia control
US11768386B2 (en) * 2018-01-22 2023-09-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with an optically non-coaxial zone for myopia control
US10901237B2 (en) * 2018-01-22 2021-01-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with an optically non-coaxial zone for myopia control
US10884264B2 (en) 2018-01-30 2021-01-05 Sightglass Vision, Inc. Ophthalmic lenses with light scattering for treating myopia
CN110221454A (zh) * 2018-03-01 2019-09-10 依视路国际公司 镜片元件
CN113960808A (zh) 2018-03-01 2022-01-21 依视路国际公司 镜片元件
US11378818B2 (en) 2018-03-01 2022-07-05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US20210048690A1 (en) * 2018-03-01 2021-02-18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EP3561578A1 (en) * 2018-04-26 2019-10-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Lens element
US11681161B2 (en) 2018-03-29 2023-06-20 Reopia Optics, In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921612B2 (en) 2018-03-29 2021-02-16 Reopia Optics, Llc.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sbyopia treatment and myopia progression control
JP7117877B2 (ja) * 2018-03-29 2022-08-15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製造精度の評価方法
ES2934252T3 (es) * 2018-04-11 2023-02-20 Essilor Int Elemento de lente
US20210080750A1 (en) * 2018-04-26 2021-03-18 Essilor International Lens element
EP3817808A4 (en) 2018-07-07 2022-04-06 Acucela Inc. RETINAL HYPOXIA PREVENTION DEVICE
CA3107824A1 (en) 2018-07-30 2020-02-06 Acucela Inc. Optical designs of electronic contact lens to decrease myopia progression
CN109031696B (zh) * 2018-08-20 2020-06-05 赵佩韬 基于周边微透镜的视力控制镜片及眼镜
WO2020069232A1 (en) * 2018-09-27 2020-04-02 Reopia Optics, LLC Anti-myopia-progression spectacles and associated methods
CN113260901B (zh) * 2018-12-28 2023-08-04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镜片
JP7213090B2 (ja) * 2018-12-28 2023-01-26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
WO2020202081A1 (en) * 2019-04-04 2020-10-08 Myopiaok Gmbh Contact lens and method to prevent myopia progression
JP7217676B2 (ja) * 2019-06-25 2023-02-0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EP3761104A1 (en) * 2019-07-04 2021-01-06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system
WO2021022193A1 (en) 2019-07-31 2021-02-04 Acucela Inc. Device for projecting images on the retina
CN110275317A (zh) * 2019-08-02 2019-09-24 上海伟星光学有限公司 一种GovernMyo聚氨酯镜片的制造方法
CN110376758A (zh) * 2019-08-02 2019-10-25 上海伟星光学有限公司 一种新优学pro多焦点聚氨酯镜片的制造方法
CN110426860A (zh) * 2019-08-02 2019-11-08 上海伟星光学有限公司 一种新优学多焦点聚氨酯镜片的制造方法
WO2021038405A1 (en) * 2019-08-23 2021-03-04 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Limited Ophthalmic lenses for reducing, minimizing, and/or eliminating interference on in-focus images by out-of-focus light
US11733545B2 (en) 2019-09-16 2023-08-22 Acucela Inc. Assembly process for an electronic soft contact lens designed to inhibit progression of myopia
JP2022549907A (ja) * 2019-09-25 2022-11-29 エヌサルミック ホールディング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近視用のフリーフォームコンタクトレンズソリューション
JP7402675B2 (ja) * 2019-12-23 2023-12-21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TWI765227B (zh) * 2020-02-14 2022-05-21 亨泰光學股份有限公司 利用視網膜競爭控制眼軸成長速度的非球面鏡片
TW202203521A (zh) 2020-02-21 2022-01-16 美商艾尤席拉有限公司 電子隱形眼鏡之充電盒
EP4120007A4 (en) * 2020-03-09 2024-04-03 Hoya Lens Thailand Ltd LENSES
JP2021157126A (ja) * 2020-03-30 2021-10-0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HOYA Lens Thailand Ltd 眼鏡レンズ
WO2021186873A1 (ja) * 2020-03-17 2021-09-23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TWI736212B (zh) * 2020-04-08 2021-08-11 晶碩光學股份有限公司 隱形眼鏡及其光學減壓區
KR20220163933A (ko) * 2020-04-14 2022-12-12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원시성 주변부 디포커스 감소를 위한 복합 마이크로렌즈 설계
US11754858B2 (en) 2020-04-30 2023-09-12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ultifocal ophthalmic lens and related methods
US11934043B2 (en) 2020-04-30 2024-03-19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yopia control lens and related methods
US11762220B2 (en) 2020-04-30 2023-09-19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and related methods
CN115668038A (zh) 2020-05-13 2023-01-31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近视治疗的电可切换眼镜
KR20230020951A (ko) 2020-06-08 2023-02-13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굴절 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주변 망막에 대한 디포커스된 이미지의 투영
AU2021287803A1 (en) * 2020-06-08 2022-10-27 Acucela Inc. Stick on devices using peripheral defocus to treat progressive refractive error
CN115698832A (zh) * 2020-06-08 2023-02-03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治疗散光的非对称投影透镜
US11281022B2 (en) 2020-06-10 2022-03-22 Acuce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 using active stimulation
US11209672B1 (en) 2021-04-06 2021-12-28 Acucela Inc. Supporting pillars for encapsulating a flexible PCB within a soft hydrogel contact lens
CN115236877A (zh) * 2021-04-22 2022-10-25 亮点光学股份有限公司 近视控制隐形眼镜
US11366341B1 (en) 2021-05-04 2022-06-21 Acucela Inc. Electronic case for electronic spectacles
EP4334776A1 (en) * 2021-05-06 2024-03-13 Ohio State Innovation Foundation Myopia control contact lens
CN117500460A (zh) * 2021-07-07 2024-02-02 沈阳康恩德医疗科技有限公司 通过周边畸变的调制来调节屈光不正发展的系统、装置和方法
USD1019728S1 (en) * 2021-09-10 2024-03-26 Aperture In Motion, LLC Contact lens
USD1006086S1 (en) * 2021-09-10 2023-11-28 Aperture In Motion, LLC Contact lens
USD1006087S1 (en) * 2021-09-10 2023-11-28 Aperture In Motion, LLC Contact lens
WO2023203244A1 (en) * 2022-04-21 2023-10-26 Essilor International Lens with improved visual performance
WO2023213669A1 (en) * 2022-05-03 2023-11-09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lens intended to be worn by a wear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9527A (ja) * 2013-01-30 2014-08-2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近視進行の防止及び/又は遅延のための非対称レンズ設計及び方法
CN104678572A (zh) * 2013-11-29 2015-06-03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9155B (en) 1982-10-13 1987-05-20 Ng Trustees & Nominees Ltd Bifocal contact lenses
US5024517A (en) 1989-12-07 1991-06-18 Leonard Seidner Monovision corneal contact lenses
JP3286133B2 (ja) 1995-11-09 2002-05-27 シャープ株式会社 拡大用レンズとディスプレイ装置
EP1173790A2 (en) * 1999-03-01 2002-01-23 Boston Innovative Op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depth of focus of the human eye
US7803153B2 (en) 1999-12-29 2010-09-28 New England College Of Optometry Method for preventing myopia progression through identification and correction of optical aberrations
ZA200604246B (en) * 2003-11-19 2007-10-31 Vision Crc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relative curvature of field and positions of peripheral, off-axis focal positions
US7766478B2 (en) 2004-07-01 2010-08-03 Auckland Uniservices Limited Contact lens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myopia progression
NZ570209A (en) 2006-01-12 2011-08-26 Holden Brien Vision Inst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device for inhibiting myopia progression by manipulating the curvature of a visual image and controlling off axis aberrations
AU2007258008B2 (en) * 2006-06-08 2011-05-12 Vision Crc Limited Means for controll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EP2279445A1 (en) * 2008-04-18 2011-02-02 Novartis AG Myopia control means
MX2011011796A (es) * 2009-05-04 2012-02-13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Lentes de contacto de pequeña zona optica y metodos.
KR20120035159A (ko) * 2009-10-22 2012-04-13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근시 또는 원시의 진행을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콘택트 렌즈 세트 및 방법
JP5984263B2 (ja) * 2010-03-03 2016-09-06 ブライアン・ホールデン・ビジョン・インスティチュートBrien Holden Vision Institute 近視の眼のための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近視を処置する方法
US8950860B2 (en) 2010-09-09 2015-02-10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retarding the progression of myopia
WO2013113798A1 (en) 2012-01-31 2013-08-08 Carl Zeiss Meditec Ag Anti myopia lens
TWI516830B (zh) 2012-05-07 2016-01-11 星歐光學股份有限公司 視力控制隱形眼鏡
CN102692730B (zh) 2012-06-15 2013-12-04 戴明华 控制离焦及眼屈光度的多元镜片及其应用
AU2014222770B2 (en) * 2013-03-01 2017-12-07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a myopia control product
TWI493241B (zh) * 2013-05-24 2015-07-21 Hiline Optical Co Ltd 鏡片裝置及視力控制方法
GB201401619D0 (en) * 2014-01-30 2014-03-19 Sauflon Cl Ltd Method of making contact lenses
SG10201400920RA (en) 2014-03-24 2015-10-29 Menicon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xial growth with an ocular lens
CA2981888A1 (en) 2015-04-15 2016-10-20 Vision Ease, Lp Ophthalmic lens with graded microlenses
US10877294B2 (en) 2015-06-23 2020-12-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 comprising non-coaxial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KR102619407B1 (ko) 2016-10-25 2024-01-02 브리엔 홀덴 비전 인스티튜트 리미티드 근시 제어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또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9527A (ja) * 2013-01-30 2014-08-2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近視進行の防止及び/又は遅延のための非対称レンズ設計及び方法
CN104678572A (zh) * 2013-11-29 2015-06-03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眼镜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580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인터로조 근시 억제 콘택트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24357C2 (ru) 2020-06-23
CN106291978A (zh) 2017-01-04
BR102016014697A8 (pt) 2018-02-27
IL246149A0 (en) 2016-08-31
EP3112925A1 (en) 2017-01-04
US20160377884A1 (en) 2016-12-29
SG10201605184XA (en) 2017-01-27
JP2017010031A (ja) 2017-01-12
US10877294B2 (en) 2020-12-29
IL246149B (en) 2022-02-01
RU2016124805A (ru) 2017-12-27
TW201725426A (zh) 2017-07-16
MX361506B (es) 2018-12-06
CN106291978B (zh) 2021-04-27
MX2016008388A (es) 2017-01-09
TWI688797B (zh) 2020-03-21
AU2016203870B2 (en) 2021-02-04
EP3112925B1 (en) 2019-07-24
JP2021009422A (ja) 2021-01-28
CA2933459C (en) 2023-09-19
JP6953115B2 (ja) 2021-10-27
AU2016203870A1 (en) 2017-01-19
HK1232305A1 (zh) 2018-01-05
CA2933459A1 (en) 2016-12-23
KR102573936B1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936B1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비-동축 렌즐릿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US11061255B2 (en) Ophthalmic lens comprising lenslets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TWI817981B (zh) 具有光學非同軸區的眼用鏡片
KR102341449B1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다초점 렌즈 설계 및 방법
US10012848B2 (en) Mask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US8998408B2 (en) Asymmetric lens design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or slowing myopia progression
KR102453441B1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동공 크기-무관형 렌즈 설계 및 방법
KR20160026725A (ko) 근시 진행을 예방하고/하거나 늦추기 위한 자유 형태 렌즈 설계 및 방법
US20240004221A1 (en) Ophthalmic lens with an optically non-coaxial zone for myopia control
US11789292B2 (en) Ophthalmic lens with an optically non-coaxial zone for myopia control
RU2792078C2 (ru)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ие линзы, содержащие элементарные линзы,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или замедления прогрессирования миоп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