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44A -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44A
KR20170000144A KR1020150088961A KR20150088961A KR20170000144A KR 20170000144 A KR20170000144 A KR 20170000144A KR 1020150088961 A KR1020150088961 A KR 1020150088961A KR 20150088961 A KR20150088961 A KR 20150088961A KR 20170000144 A KR20170000144 A KR 2017000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motin
peptide
osmotin peptide
composition
amino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옥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144A/ko
Priority to PCT/KR2016/006404 priority patent/WO2016208908A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모델쥐에 대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처리하여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함으로써,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Description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osmotin peptid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9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 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된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이전에 '소아당뇨병'이라고 불렸었으며, 인슐린을 전혀 생산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제2형 당뇨병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2형 당뇨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외에 특정 유전자의 결함에 의해서도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췌장의 수술, 감염, 약제에 의해서도 발병할 수 있다.
낮은 고혈당에서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증상을 느끼지 못하거나 모호해서 당뇨병이라고 생각하기 어렵다. 혈당이 많이 올라가면 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게 되고, 소변량이 늘어 화장실을 자주 가게 된다. 또한 체중이 빠지게 된다. 오랜 기간 고혈당 상태가 유지되면 신체에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하는데, 대표적인 합병으로는 망막병증, 신기능장애, 신경병증(저림, 통증)이 있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당뇨병의 진단은 증상이 없는 경우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경구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라 한다. 물을 많이 마시거나 소변이 많아지고 체중이 감소하는 동시에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일 때도 당뇨병으로 진단하며, 공복 혈당검사는 적어도 8시간 동안 금식한 후 행해져야 한다. 경구 당부하 검사는 75g의 포도당 용액을 마신 후 2시간 후에 채혈하여 포도당을 측정하며, 금식 상태에서 포도당 용액을 복용하게 된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에는 생활 습관 교정을 기본으로 하며 추가로 약물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먹는 약의 경우 하루 1~3회 복용하며 약의 작용 시간에 따라 먹는 시간이라든지 부작용 등이 조금씩 다르다. 먹는 혈당강하제는 크게 인슐린 분비 촉진제와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로 나뉜다. 인슐린 분비 촉진제는 설폰요소제(sulfonylurea)와 메글리티나이드(meglitinide)계가 있다. 설폰요소제는 흔히 처방되는 약으로, 저혈당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큰 부작용이 없는 편이며, 아마릴(성분: 글리메프라이드 glimepiride), 디아미크롱(성분명: 글리클라자이드 gliclazide), 다오닐(성분명: 글리벤클라마이드 glibenclamide) 등이 이에 속한다. 인슐린 분비 촉진제의 일종인 메글리티나이드계는 약효가 매우 빠른 제제로 식전에 복용하며, 노보넘(성분명: 레파글리나이드 repaglinide), 파스틱(성분명: 나테글리나이드 nateglinide), 글루패스트(성분명: 미티글리나이드 mitiglinide) 등이 있다.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는 단독으로 복용 시 저혈당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며, 바이구아나이드(biguanide) 계열 약물인 메트포르민(metformin)과, 치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 계열의 아반디아(성분명: 로지글리타존 rosiglitazone), 액토스(성분명: 피오글리타존 pioglitazone) 등이 있다. 그 외에 소장에서 탄수화물 흡수를 지연시키는 글루코바이(성분명: 아카보즈 acarbose), 베이슨(성분명: 보글리보스 voglibose) 등이 있고, 최근 신약으로는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인 GLP-1(glucagon-like peptide-1;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의 작용을 이용하여 개발된 GLP-1 작용제(agonist)가 있으며, 익스에나티드(exenatide)와 리라글루티드(liraglutide)가 여기에 해당된다. 또한 GLP-1을 신속하게 불활성화시키는 효소인 DPP-4(dipeptidyl peptidase-4; 디펩티딜 펩티데이즈-4)의 작용을 억제하는 DPP-4 억제제(inhibitor)도 최근 개발된 신약이며, 자누비아(성분명: 시타글립틴 sitagliptin), 가브스(성분명: 빌다글립틴 vildagliptin), 삭사글립틴(saxagliptin)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각각이 가지고 있는 부작용, 독성 또는 낮은 치료효과로 인해 증진되거나 지속적인 치료효과 및 인체 내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 유래의 당뇨병 치료제는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식물에서 유래된 오스모틴은 지방산 산화 조절, 글루코오스 수득, 인산화(AMP 키나아제) 및 신호 변환 경로에 관여한다. 오스모틴(24kDa)은 당분-측정 단백질 타우마틴(sweet-testing protein thaumatin)과 상동성을 가지는 PR-5 패밀리에 포함되는 안정한 단백질이고, 효모에서 세포 내 신호 전달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스모틴은 열, 산성 및 효소에 저항성을 가지므로 소화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신체를 순환할 수 있다. 이러한 오스모틴은 동물에 존재하는 아디포넥틴과 상동체로 알려져 있는데, 아디포넥틴의 경우 일부 항-염증, 항-당뇨, 항-죽상경화 능력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바 있고, 오스모틴의 경우, 한국등록특허 제1308232호에 오스모틴을 함유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9-256264호에 오스모틴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알려져 있고, 비만이나 당뇨병과 관련된 효과가 있다는 것(Molecular Cell, 2005; 17: 171-180)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스모틴 단백질 서열 중에서 선택된 일부의 서열로 이루어진 특정 펩타이드가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알려진 바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이 오스모틴 펩타이드의 투여에 의해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2달간 고칼로리 식이요법으로 비만을 유도한 후,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함량이 비투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보다 현저하게 낮아진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은 2개월 동안 고칼로리 식이 섭취하여 과체중 상태의 모델쥐에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0일간 복강 내 주사한 후, 혈중 글루코오스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고, 실험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이다.
도 2는 OB/OB 마우스에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0일간 복강 내 주사한 후, 혈중 글루코오스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고, 실험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이다.
도 3은 DB/DB 마우스에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0일간 복강 내 주사한 후, 혈중 글루코오스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고, 실험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이다.
도 4는 OB/OB 마우스에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0일간 복강 내 주사한 후, 혈중 당화혈색소(HbA1c)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고, 실험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이다.
도 5는 DB/DB 마우스에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0일간 복강 내 주사한 후, 혈중 당화혈색소(HbA1c) 함유량을 측정한 결과로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군이고, 실험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이다.
본 발명은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이거나,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고, 당뇨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a)로부터 유도된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혈중 글루코오스 및 당화혈색소(HbA1c)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의 소스(source)인 오스모틴은 식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개체에 따라 약 150 내지 25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백질로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아미노산의 구성은 상이하다. 상기 오스모틴 단백질은 식물체의 숙성한 과일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포도 등의 과일, 재배 담배(Nicotiana tabacum), 오렌지(Citrus sinensis), 중국 해당화(Rosa roxburghii), 감자(Solanum tuberosum), 후추과(Piper colubrinum), 피마자(Ricinus communis),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스모틴 단백질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오스모틴 단백질은 그 기원에 제한이 없으며,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유래된 오스모틴 단백질이 사용될 수 있고, 공지된 유전공학적 방법에 따라 인위적으로 합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조성물은 음료, 환, 정제(tablet), 캡슐제(capsule), 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카라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킨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이거나,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고, 당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a)로부터 유도된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오스모틴 펩타이드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시료]
본 발명에 사용된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담배(Nicotiana Tabacum) 종자로부터 유래한 오스모틴 단백질(DOI:10.2210/pdb1pcv/pdb)의 아미노산 서열 중에서 157번째 부터 165번째의 서열인 -CTQGPCGPT-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모델]
고칼로리 식이를 2달간 실시하여 과체중으로 만든 모델쥐, 렙틴(leptin) 결함이 있는 동물모델인 OB/OB 마우스와 렙틴 수용체(leptin receptor)에 결함이 있는 동물모델인 DB/DB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고칼로리 식이를 2달간 실시하여 과체중으로 만든 모델쥐 5마리, OB/OB 마우스 5마리와 DB/DB 마우스 5마리를 사용하였으며, 5㎍/g의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주사하여 실험하였다. 대조군은 오스모틴 펩타이드 대신에 염수(Saline)를 주사하였다.
[환경설정]
대조군(오스모틴 펩타이드 비투여군)과 실험군(오스모틴 펩타이드 투여군)은 동일하게 일일 사료량을 측정하여 일일 기본 식이량이 초과하지 않도록 제공하였다.
식이 제한 기준은 고지방 식이 동물모델을 만드는 기준으로 일주일 간의 평균 식이량(케이지당 일주일 간 감소하는 평균 사료량 12.8g)의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13g의 사료를 제공하였다. 사료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는 일반적인 실험동물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수분보충에는 제한을 하지 않았고, 12시간 주기로 낮과 밤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약물의 투여량은 대조군은 150㎕의 염수(Saline)를 복강 내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P.) 투여하였고, 실험군은 150㎕의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복강 내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P.) 투여하였다.
약물의 투여기간은 OB/OB 마우스의 경우, 2주간 총 4회 투여하였고, DB/DB 마우스는 3주간 총 6회 투여하였다.
실시예 1. 혈중 글루코오스 함량의 분석
오스모틴 펩타이드의 투여에 따른 혈중 글루코오스 함량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칼로리 식이를 2달간 실시하여 과체중으로 만든 모델쥐, OB/OB 마우스 및 DB/DB 마우스에 5㎍/g의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50㎕의 양으로 10일간 복강 내 주사로 투여한 후, 채혈하였다. 서울 중앙의학연구소에서 상기 채혈한 혈액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1 내지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고칼로리 식이를 통한 과체중의 모델쥐 뿐만 아니라 비만쥐인 OB/OB 마우스 및 DB/DB 마우스 모두에서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오스모틴 펩타이드 투여군의 혈중 글루코오스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오스모틴 펩타이드가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혈중 당화혈색소 ( HbA1c ) 함량의 분석
오스모틴 펩타이드의 투여에 따른 혈중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OB/OB 마우스 및 DB/DB 마우스에 5㎍/g의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150㎕의 양으로 10일간 복강 내 주사로 투여한 후, 채혈하였다. 서울 중앙의학연구소에서 상기 채혈한 혈액에 함유된 글루코오스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서울 중앙의학연구소에서 상기 채혈한 혈액에 함유된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4 및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오스모틴 투여군의 혈중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함으로써, 오스모틴 펩타이드가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osmotin peptide as effective component <130> PN15119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Cys Thr Gln Gly Pro Cys Gly Pro Thr 1 5

Claims (8)

  1.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이거나,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고, 당뇨를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a)로부터 유도된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혈중 글루코오스 및 당화혈색소(HbA1c)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 환, 정제(tablet), 캡슐제(capsule), 산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오스모틴 펩타이드이거나, (b)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내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되고, 당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a)로부터 유도된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모틴 펩타이드는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50088961A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61A KR20170000144A (ko)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6/006404 WO2016208908A1 (ko) 2015-06-23 2016-06-16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61A KR20170000144A (ko)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930A Division KR20170061656A (ko) 2017-05-29 2017-05-29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44A true KR20170000144A (ko) 2017-01-02

Family

ID=5758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61A KR20170000144A (ko) 2015-06-23 2015-06-23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000144A (ko)
WO (1) WO201620890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232B1 (ko) * 2010-01-19 2013-11-0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64423A (ko) * 2013-12-03 2015-06-1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오스모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908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22103B (zh) 增肌组合物和保健食品
TWI331019B (en) Therapeutic compositions
TW200939975A (en) Dietary compositions for promoting weight loss
JP6445686B2 (ja) ジペノサイド75の抗糖尿病効果
KR102483300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35057B1 (ko)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6253451B2 (ja) 満腹感持続剤および満足感を維持する方法
KR101883096B1 (ko) 쿠퍼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급성 폐 손상 또는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60834B1 (ko)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KR101684735B1 (ko) Gpr119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에스키난투스 아쿠미나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4040B1 (ko) 누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조절용 약학 조성물, 천연물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KR20170000144A (ko)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61656A (ko)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9974B1 (ko) 진세노사이드 Rf, 진세노사이드 Rf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89149B1 (ko) 용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전증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7482A (ko) 용담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전증 또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7502B1 (ko) 메틸설포닐메탄을 함유하는 비만, 지방간 및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355830B1 (ko) 알릴이소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US10961176B2 (en) Compound hexadecaphlorethol isolated from Ishige okamurae and use thereof
KR20240069025A (ko) 인슐린 분비 촉진 및 알파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저해 효능을 갖는 혈당 조절 조성물
Fukuda et al. Aspartame-acesulfame K-containing low-energy erythritol sweetener markedly suppress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mild and borderline diabetics
WO2016208903A1 (ko)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4436A (ko) 근기능 개선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1161070A (ja) Glp−1分泌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