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081U - 묘목식재용 봉투 - Google Patents

묘목식재용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081U
KR20170000081U KR2020150004236U KR20150004236U KR20170000081U KR 20170000081 U KR20170000081 U KR 20170000081U KR 2020150004236 U KR2020150004236 U KR 2020150004236U KR 20150004236 U KR20150004236 U KR 20150004236U KR 20170000081 U KR20170000081 U KR 201700000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planting
envelope
seedling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592Y1 (ko
Inventor
김재순
정명일
한승원
유은하
정나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2020150004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59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6Transplanting devices using element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for making a container around the root b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9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including harvesting or planting or other numerous miscellaneous processing ste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묘목식재용 봉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묘목식재용 봉투는 통기가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 복수개가 입구 둘레를 따라 마련된 봉지본체; 및 상기 삽입홀들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상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봉지본체의 형체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묘목식재용 봉투{bag for seeding planting}
본 고안은 묘목의 포장 및 식재시 이용하도록 마련된 묘목식재용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묘목은 뿌리부분을 포함하는 저부가 토양과 함께 묘목식재용 봉투에 담겨지도록 포장된 상태에서 녹화지역으로 이송되어 식재되는 경우가 많다.
묘목식재용 봉투는 통상 천이나 통기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마련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6-335327호는 종래 묘목식재용 봉투의 일례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정해진 형체가 없는 묘목식재용 봉투는 쉽게 구겨지기 때문에, 묘목의 포장시 토양이나 묘목의 뿌리부위를 내부에 수용시키기가 어려웠으며, 묘목의 운반 및 식재 과정에서도 제대로 세우기가 어려워 자주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화분과 같이 형체가 정해져 있는 별도의 용기를 제작하여 묘목의 포장 및 식재시 이용해 볼 수도 있겠으나, 이때는 용기의 소재비용이 증가하게 되면서 묘목 식재에 따른 비용 부담이 커질 우려가 높았다.
또 식재된 묘목은 수분부족으로 착근 전에 고사하거나, 생육부진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산간벽지와 같이 식재 후 관리자를 두어 관수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대부분의 묘목은 제대로 성장하기가 어려웠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6-335327호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형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되면서도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이 적은 묘목식재용 봉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재 후 묘목의 관수관리가 용이한 묘목식재용 봉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기가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 복수개가 입구 둘레를 따라 마련된 봉지본체; 및 상기 삽입홀들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상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봉지본체의 형체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묘목식재용 봉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와 다리부 사이의 각도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중도에는 상기 연결부의 벤딩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벤딩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와 연결부 사이의 고정대에는 상기 봉지본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 중도에는 이웃하는 연결부와 체결되도록 제2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 상기 묘목식재용 봉투는 상기 봉지본체 저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분흡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통기가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된 봉지본체; 상기 봉지본체의 형체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대; 및 상기 봉지본체 저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묘목식재용 봉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유연한 재질의 봉지본체가 복수의 고정대를 통해 펼쳐진 형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봉지본체의 형체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수분흡수부재를 통해 자체적으로 우수 등의 수분을 저장하였다가 서서히 묘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묘목식재용 봉투는 식재 후 묘?遲? 관수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묘목식재용 봉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봉투본체에 고정대가 설치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위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묘목식재용 봉투에 식물이 포장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이 식물이 포장된 묘목식재용 봉투가 지중에 식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묘목식재용 봉투에 있어서 고정대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고안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묘목식재용 봉투(1)는 내부에 묘목(2)의 뿌리(2a) 부위와 토양(3)을 함께 수용하도록 유연한 재질로 마련된 봉지본체(10)를 구비한다.
봉지본체(10)는 토양에 묻힌 상태에서도 미생물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생분해성 비닐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내부로 수용되는 묘목(2)의 뿌리(2a)가 성장과정에서 외부로 인출되기 용이하도록 봉지본체(10)의 저면과, 저부 측면 둘레에는 다수의 뿌리인출공(11)이 마련될 수 있다. 또 원활한 통기가 가능하도록 봉지본체(10)에는 뿌리인출공(11)들 상부영역으로 다수의 통기용 슬롯(12)들이 마련될 수 있다.
묘목(2)이 담겨진 상태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손으로 잡기 편리하도록 봉지본체(10)에는 손잡이(13)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봉지본체(10) 입구 근처에 봉지본체(10)를 관통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묘목식재용 봉투(1)는 봉지본체(10)의 형체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복수의 고정대(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봉지본체(10)의 펼쳐진 상태란 봉지본체(10)가 내부가 충만된 상태에서 통 형태로 펴진 상태를 가리킨다.
이러한 고정대(20)는 비닐과 같은 저렴한 소재로 구성되는 봉지본체(10)의 형체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묘목식재용 봉투(1)의 제작에 따른 비용부담이 과도하게 증대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묘목(2)의 운반 및 식재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펼쳐진 상태로 형체가 고정된 봉지본체(10)는 구겨질 우려가 없어 묘목(2)의 포장시 토양(3)이나 묘목(2)의 뿌리(2a) 부위를 내부에 수용시키기가 편해지며, 운반이나 식재시 쉽게 세워질 수 있어 묘목(2)의 운반 및 식재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대(2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봉지본체(1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홀(14)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14)은 봉지본체(10)의 내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봉지본체(10)의 입구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홀(14)이 형성되도록 봉지본체(10) 내면에는 홀형성부재(15)가 부착될 수 있으며, 홀형성부재(15)는 봉지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홀형성부재(15)는 봉지본체(10) 내면과의 사이에 삽입홀(14)이 형성되도록 양측이 봉지본체(10) 내면에 부착되는 단순한 천 조각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내부가 삽입홀(14)을 형성하는 슬리브 형태로 마련 되어 한 쪽 외측면을 통해 봉지본체(10) 내면에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삽입홀(14)은 후술하게 될 고정대(20)의 다리부(21)의 삽입고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봉지본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20)는 삽입홀(14)들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다리부(21)와, 다리부(21) 상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본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고정대(20)는 직경이 가는 금속이나 사출물을 통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연결부(22)와 다리부(21) 사이의 각도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다리부(21) 사이가 평행하게 되도록 다리부(21)와 연결부(22) 사이나, 연결부(22) 중도를 구부린 상태에서 각 다리부(21)를 연결부(22) 길이 정도의 거리를 갖는 한 쌍의 삽입홀(14)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고정대(20)에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고정대(20)는 다리부(21)와 연결부(22) 사이가 둔각을 이루고, 연결부(22)가 펼쳐진 본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면서 봉지본체(10)는 한 쌍의 다리부(21)가 삽입된 양쪽의 삽입홀(14) 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때 다리부(21)는 삽입홀(14)에 구속된 상태가 되므로, 삽입홀(14)과 같이 일자형태를 이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복수의 고정대(20)를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봉지본체(10)에 끼워 각 고정대(20)의 연결부(22)가 봉지본체(10) 입구에서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봉지본체(10)는 입체적인 통 형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이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봉지본체(10) 구조가 도시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삽입홀(14)은 고정대(20)들의 다리부(21)들의 숫자에 대응하는 숫자로 마련되지만, 다리부(21)의 삽입위치를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삽입홀(14)은 다리부(21)들보다 더 많은 숫자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고정대(20´)는 설치과정에서 연결부(22)를 용이하게 벤딩시킬 수 있도록 중도에 벤딩안내부(22a)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벤딩안내부(22a)는 상부는 물론 하부로도 벤딩이 용이하도록 다수회에 걸쳐 상하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리부(21)와 연결부(22) 사이의 고정대(20)에는 봉지본체(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23)가 마련되며, 연결부(22) 사이의 교차부 위치에 대응하는 연결부(22) 중도에는 연결부(22)들 사이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체결부(23,24)는 일단부가 해당 부위의 고정대(20)에 감겨진 상태에서 타단이 고정대(20) 외측으로 연장된 철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21)가 삽입홀(14)에 삽입된 상태의 고정대는 제1체결부(23)가 봉지본체(10)에 체결되도록 함에 따라 봉지본체(10)에 대한 체결력이 커지게 되어, 봉지본체(10)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1체결부(23)는 삽입홀(14) 입구 주변의 봉지본체(10)를 관통한 상태에서 다리부(21) 쪽으로 절곡시키는 방식으로 봉지본체(10)에 체결될 수 있다.
또 제2체결부(24)는 봉지본체(10)에 체결되는 고정대(20)들의 고정위치를 감안하여 연결부(22) 사이의 교차되는 부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묘목(2)은 봉지본체(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줄기(2b)가 봉지본체(10)의 입구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뿌리(2a) 부위가 봉지본체(10) 내부로 위치하도록 포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고정대(20)들은 묘목(2)의 줄기(2b)가 봉지본체(10)의 입구 중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연결부(22)들이 봉지본체(10) 입구의 중심부 둘레에서 상호 교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22)들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된 제2체결부(24) 사이를 서로 꼬아 고정시킴에 따라 묘목식재용 봉투(1)는 고정대(20)들 사이도 상호 강력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및 제2체결부(23,24)를 통해 고정대(20)와 봉지본체(10) 사이는 물론 고정대(20)들 사이가 견고하게 체결된 묘목식재용 봉투(1)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펼쳐진 상태의 봉지본체(10)의 형체를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묘목식재용 봉투(1)는 봉지본체(10) 저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분흡수부재(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분흡수부재(30)는 스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묘목(2)의 뿌리(2a)가 위치하게 되는 봉지본체(10)의 저부 내측으로 수분흡수부재(30)를 구비하는 묘목식재용 봉투(1)는 수분흡수부재(30)를 통해 자체적으로 우수 등의 수분을 저장하였다가 서서히 묘목(2)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묘목식재용 봉투(1)에 포장된 상태로 식재된 묘목(2)은 식재 후 관수관리를 별도로 하지 않더라도 수분부족으로 고사할 우려 없이 원활하게 성장할 수 있게 된다. 도 6과 도 7에는 각각 묘목(2)이 포장된 묘목식재용 봉투(1)의 구조와, 이 상태 그대로 녹화지역의 지중에 식재된 묘목(2)의 구조가 도시된다.
또 봉지본체(10) 저부에 삽입되는 수분흡수부재(30)는 고정대(20)가 설치되기 전 상태에서 봉지본체(10) 저부 쪽 윤곽이 미리 잡혀지도록 함으로써, 봉지본체(10)의 형체유지 작용에도 기여하게 됨은 물론, 고정대(20)의 설치작업이 좀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묘목식재용 봉투(1)를 이용하여 묘목(2)을 포장하고자 할 때는 먼저 봉지본체(10) 저부 내측으로 수분흡수부재(30)를 삽입한 상태에서 묘목(2)의 뿌리(2a) 부위를 봉지본체(10) 내부로 수용시키고, 이 상태에서 복수의 고정대(20)를 봉지본체(10)에 설치하여 묘목(2)의 줄기가 고정대(20)의 연결부(22)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게 된다.
물론 묘목(2)을 일부 고정대(20)만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봉지본체(10)에 뿌리(2a) 부위가 수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나머지 고정대(20)를 봉지본체(10)에 설치하는 방식으로도 묘목(20)은 봉지본체(10)에 안전하게 지지된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뿌리(2a) 주의의 봉지본체(10)에는 토양이 채워지게 되며, 이렇게 포장된 묘목(2)은 묘목식재용 봉투(1)에 포장된 상태 그대로 식재처로 옮겨져 바로 식재가 가능하게 된다.
1: 묘목식재용 봉투 10: 봉지본체
14: 삽입홀 20: 고정대
21: 다리부 22: 연결부
23: 제1체결부 24: 제2체결부
30: 수분흡수부재

Claims (7)

  1. 통기가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 복수개가 입구 둘레를 따라 마련된 봉지본체; 및
    상기 삽입홀들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한 쌍의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 상부 사이를 지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상기 봉지본체의 형체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대;를 포함하는 묘목식재용 봉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와 다리부 사이의 각도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둔각을 이루도록 마련된 묘목식재용 봉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중도에는 상기 연결부의 벤딩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벤딩안내부가 마련된 묘목식재용 봉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와 연결부 사이의 고정대에는 상기 봉지본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체결부가 마련된 묘목식재용 봉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중도에는 이웃하는 연결부와 체결되도록 제2체결부가 마련된 묘목식재용 봉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본체 저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분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묘목식재용 봉투.
  7. 통기가 가능하고 유연한 재질로 마련된 봉지본체;
    상기 봉지본체의 형체를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대; 및
    상기 봉지본체 저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수분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묘목식재용 봉투.




KR2020150004236U 2015-06-25 2015-06-25 묘목식재용 봉투 KR200485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36U KR200485592Y1 (ko) 2015-06-25 2015-06-25 묘목식재용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236U KR200485592Y1 (ko) 2015-06-25 2015-06-25 묘목식재용 봉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81U true KR20170000081U (ko) 2017-01-05
KR200485592Y1 KR200485592Y1 (ko) 2018-02-01

Family

ID=5779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236U KR200485592Y1 (ko) 2015-06-25 2015-06-25 묘목식재용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149A (zh) * 2018-09-29 2018-12-18 山西东创林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苗木起苗及运输效率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631A (ko) * 1986-04-23 1987-11-30 원종운 물과수분의 비축및 여과장치가된 화분
JPH06335327A (ja) 1993-05-31 1994-12-06 Toray Ind Inc 苗木の移植用袋
JP2004248515A (ja) * 2003-02-18 2004-09-09 Konishi Shigyo Kk 袋体及びこれを用いた培養土入り園芸容器
JP2009284910A (ja) * 2009-09-07 2009-12-10 Green Tec:Kk 栽培用袋及び栽培用袋支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631A (ko) * 1986-04-23 1987-11-30 원종운 물과수분의 비축및 여과장치가된 화분
JPH06335327A (ja) 1993-05-31 1994-12-06 Toray Ind Inc 苗木の移植用袋
JP2004248515A (ja) * 2003-02-18 2004-09-09 Konishi Shigyo Kk 袋体及びこれを用いた培養土入り園芸容器
JP2009284910A (ja) * 2009-09-07 2009-12-10 Green Tec:Kk 栽培用袋及び栽培用袋支持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6149A (zh) * 2018-09-29 2018-12-18 山西东创林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苗木起苗及运输效率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592Y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7622B (zh) 水耕栽培器
KR200485592Y1 (ko) 묘목식재용 봉투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102153235B1 (ko) 화분유닛
JP2018191560A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JP6170291B2 (ja) 自動水遣り装置
JP6296515B2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US20170265407A1 (en) Wicking and Hydration Systems for Potted Plants and Flowers
JP3796578B2 (ja) 植物栽培容器、植物栽培方法
EP2018804A1 (en) Jardinière
KR200454293Y1 (ko) 화분 물공급구
KR20150141217A (ko) 식물 액자
KR200457473Y1 (ko) 화분
JP7418879B1 (ja) 除菌装置
CN212589148U (zh) 一种运用在挡墙中的嵌入式垂直绿化装置
KR101686951B1 (ko) 수분이동 모듈
JP2014207868A (ja) 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KR101387117B1 (ko) 식물 재배기
US20220110268A1 (en) Effective and beneficial vessels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to manipulate root growth
KR102645809B1 (ko)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KR102045705B1 (ko) 생육활성화가 가능한 이식용 식물재배관리기
JP4740361B2 (ja) かん水装置
KR20220080943A (ko) 수직 정원장치
JP2007244265A (ja) 苗木ポ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植栽方法
JP3206283U (ja) 植物保持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