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722A - 퀵 커넥터 - Google Patents

퀵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722A
KR20160149722A KR1020150087258A KR20150087258A KR20160149722A KR 20160149722 A KR20160149722 A KR 20160149722A KR 1020150087258 A KR1020150087258 A KR 1020150087258A KR 20150087258 A KR20150087258 A KR 20150087258A KR 20160149722 A KR20160149722 A KR 20160149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pipe
connection part
coupl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권태우
김지훈
배영진
Original Assignee
(주)동아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금속 filed Critical (주)동아금속
Priority to KR102015008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722A/ko
Publication of KR2016014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결하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호스가 압착되도록 하는 가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호스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가압링이 제1 연결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호스가 압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또한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후크돌기로 형성하여 파이프의 돌출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호스와 파이프가 커넥터에 의하여 신속히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퀵 커넥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퀵 커넥터{QUICK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와 호스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퀵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퀵 커넥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037호(2012.04.12.)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퀵 커넥터는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파이프 등의 유체파이프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유체호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퀵 커넥터는 일측에 유체파이프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유체호스 접속부가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삽입되는 유체파이프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파이프와 하우징 유체파이프 접속부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밀폐링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스링과; 상기 한 쌍의 밀폐링과 스페이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퀵 커넥터는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에 유체파이프를 투입하면 탄성걸림편을 구비하는 록킹부재를 통해 유체파이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록킹부재의 탄성누름편을 일측으로 눌러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유체파이프를 하우징의 유체파이프 접속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번거롭고 원가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록킹부재의 조작부위가 하우징의 선단에 근접되기 때문에 유체파이프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연료탱크 측벽 등의 고정벽면과 간섭을 일으키게 되어 조작성이 매우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8037호(2012.04.1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가압링이 제1 연결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호스가 압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또한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후크돌기로 형성하여 파이프의 돌출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호스와 파이프가 커넥터에 의하여 신속히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연결부에 호스와 파이프가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제1 연결부는 내측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주름과 형태의 호스가 결합되며, 제2 연결부와 파이프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각 연결부에 호스와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합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디에 결합되는 클립을 이용하여 호스를 가압하여 커넥터에 결합된 호스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또한 클립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호스를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것 또한 수월해지며, 클립의 일단부가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클립의 분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링 형태의 판 스프링이나, 탄성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도입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호스를 결합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호스의 탈부착 작업이 쉽고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1 실시례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부를 가압하여 상기 호스가 압착되도록 하는 가압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에 걸리는 후크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의 삽입 시, 탄성 발휘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의 내측부에는 상기 호스를 압착하기 위한 가압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링 내주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링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돌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리방지돌기는 상기 가압링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태의 진입유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에는 상기 파이프의 돌출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단턱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 하부에 장착홈이 배치되고, 상기 장착홈에 안치되어 상기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2 실시례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에 형성된 암 또는 수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수 또는 암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스는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의 주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나선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 단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파이프 투입부는 서로 이격되어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오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3 실시례는 안치홀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안치홀을 통하여 상기 호스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에 장착되어 호스를 가압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립은 'U'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은 일단부가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립은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홀에 삽입되어 상기 호스를 가압하기 위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4 실시례는 삽입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호스에 내장되고, 상기 호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기부가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와 상기 호스 간의 분리 또는 결합 시,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바디의 삽입부로부터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5 실시례는 삽입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호스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호스에 구비되고, 상기 호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탄성볼이 구비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와 상기 호스 간의 분리 또는 결합 시,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탄성볼이 상기 삽입부로부터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호스에 형성된 안착홈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볼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탄성볼 하부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가 걸리되록 상기 안착홈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대응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디에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는 호스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가압링이 제1 연결부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호스가 압착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또한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후크돌기로 형성하여 파이프의 돌출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호스와 파이프가 커넥터에 의하여 신속히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연결부에 호스와 파이프가 끼워지는 형태로 장착되고, 제1 연결부는 내측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주름과 형태의 호스가 결합되며, 제2 연결부와 파이프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각 연결부에 호스와 파이프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결합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디에 결합되는 클립을 이용하여 호스를 가압하여 커넥터에 결합된 호스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또한 클립을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호스를 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것 또한 수월해지며, 클립의 일단부가 바디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클립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링 형태의 판 스프링이나, 탄성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도입하여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넥터와 호스를 결합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호스의 탈부착 작업이 쉽고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1 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퀵 커넥터와 호스 및 파이프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2 실시례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3 실시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4 실시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5 실시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1 실시례는 바디(10)와,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20)와, 바디(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30)와, 제1 연결부(20)에 결합되는 가압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는 도넛 형태로 구성되어 파이프(200)가 삽입되는 중공부(11)가 구비되고, 호스(100)가 삽입되는 제1 연결부(2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20)는 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외측에 외측지지부(21)이 구비되고, 내측에는 내측지지부(22)가 구비되며, 외측지지부(21)과 내측지지부(22) 사이공간에 삽입홈(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20)의 삽입홈(23)는 호스(100)의 단부가 끼워지고, 이 경우 호스(100)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내측지지부(22)에 의하여 확관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억지끼움방식으로 제1 연결부(20)에 결합됨으로써 1차적인 실링이 구현된다.
또한 제1 연결부(20)의 외주면, 즉 외측지지부(21)은 후술할 가압링(40)이 끼워지는 경우 탄성 발휘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부(21a)가 구비되고, 이 절개부(21a)들에 의하여 외측지지부(21)은 분절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30)는 제1 연결부(20)의 폐쇄단면부에 연결되어 파이프(200)의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후크돌기(31)로 구성되고, 파이프(200)의 삽입단부 측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돌출부(210)가 구비되어 제2 연결부(30)의 후크돌기(31)와 결합된다.
즉 파이프(200)는 삽입단부가 바디(10)의 중공부(11)에 끼워지면서 제2 연결부(30)의 후크돌기(31)가 파이프(200)의 돌출부(210) 외측면을 타고 파이프(200)의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돌기(31) 끝단에 절곡된 돌기가 돌출부(210) 일측면에 걸려 결합된다.
이 경우 제2 연결부(30)의 후크돌기(31)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동일한 간격으로 세 개소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서 후크돌기(31)의 설치 개수는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30)의 연결부위에는 단턱부(13)가 형성되는데, 이 단턱부(13)는 파이프(200)가 바디(10)의 중공부(11)에 삽입되는 경우 파이프(200)의 돌출부(210) 타측면이 걸려 파이프(2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200)의 삽입 시,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파이프(200)의 삽입 깊이가 결정됨으로써 파이프(200)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압링(40)은 호스(100)를 제1 연결부(20)의 삽입홈(23)에 끼운 상태에서 제1 연결부(20)의 외측면에 장착하여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을 가압하여 호스(100)를 압착하여 제1 연결부(20)와 호스(100) 간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호스(100)가 제1 연결부(20)에 결합된 후, 커넥터가 적용되는 기기, 예컨대 차량의 경우 주행 중 차량 자체의 진동이나, 노면 상태에 따른 굴곡에 의하여 차량에 진동일 발생하는 경우 호스(100)가 제1 연결부(20)에 빠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가압링(40)을 제1 연결부(20)에 장착되어 호스(100)를 가압하여 제1 연결부(2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또한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 또는 내측지지부(22), 또는 각 지지부(73a)의 내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돌기(24)가 다수 형성되는 경우 가압링(40)을 제1 연결부(20)에 장착 시, 가압돌기(24)가 호스(100)를 압착하여 호스(100)와 제1 연결부(20)와의 결합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압돌기(24)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외측지지부(2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지지부(22)의 내측면이나, 또는 각 지지부(73a)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압링(40)이 제1 연결부(20)와의 결합 시, 가압링(40)이 보다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외측지지부(21)의 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분리방지돌기(21b)가 형성된다.
이 분리방지돌기(21b)는 가압링(40)이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에 결합된 후, 가압링(40)의 측면부를 지지함으로써 가압링(40)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외측지지부(21)은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분절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가압링(40)의 진입이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분리방지돌기(21b)에는 가압링(40)의 결합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진입유도부(21c)가 형성된다.
즉 가압링(40)이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로 진입하는 경우 진입유도부(21c)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진입이 용이해져 가압링(40)의 결합작업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압링(40)에 의하여 외측지지부(21)의 가압 시, 호스(100)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24)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연결부(20)에 내측에 형성된 가압돌기(24)와 외측지지부(21)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돌기(24)에 의하여 호스(100)의 여러 지점을 압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호스(100)의 가압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20)의 외주면과 가압링(40)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경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사부는 제1 연결부(20)의 외주면, 즉 외측지지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호스(100)의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부(21d)와, 가압링(4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1 경사부(21d)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제2 경사부(41)로 구성된다.
이는 가압링(40)이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에 장착된 후, 진동이나,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분리방지돌기(21b)에 의하여 가압링(40)은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가압링(40)이 결합방향으로 빠질 염려가 있다.
이 경우 가압링(40)이 제1 연결부(20)의 외측지지부(21)에 장착된 후, 제1 경사부(21d)에 의하여 가압링(40)의 결합방향을 따라 외측지지부(21)의 단면 두께가 증가되고, 제2 경사부(41)는 가압링(40)이 결합방향으로 반대방향을 따라 가압링(40)의 단면 두께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링(40)이 외측지지부(21)로부터 결합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오링(50)이 구비되는 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데,
이 오링(50)을 장착하기 위해 제1 연결부(20)의 내측지지부(22) 내측면에는 환형의 장착홈(22a)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22a)에 오링(50)이 안치된다.
따라서 파이프(200)가 바디의 중공부(11)에 삽입되는 경우 오링(50)이 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특히 장착홈(22a)은 제1 연결부(20)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바람직한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링(40)이 제1 연결부(20)에 장착되는 경우 오링(50) 역시 제1 연결부(20)의 내측지지부(22)에 의하여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200)와 오링(50)의 밀착력을 높여 보다 확신한 실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2 실시례는 바디(10)와,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0)와,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와, 제2 연결부(30)와 파이프(2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암수 형태의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는 중공부(11)를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 경우 중공부(11)는 파이프(200)가 삽입되는 제2 연결부(3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20)는 호스(100)가 삽입되는데, 이 호스(100)는 연질의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연결부(20)는 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의 삽입홈(23)을 구성되며, 이 삽입홈(23)의 내측면에는 나선부(25)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100)를 일정한 힘을 주어 제1 연결부(20)의 삽입홈(23)에 끼워 밀어 넣거나, 또는 커넥터를 회전시키게 되면 호스(100)의 주름부(110)가 제1 연결부(20)의 나선부(25)에 결합되어 호스(100)와 제1 연결부(20)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연결부(20)와 호스(100)와의 결합 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제1 연결부(20)의 나선부(25)와 호스(100)의 주름부(110)의 결합 개수를 다수로 하는 경우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기밀 유지에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30)는 파이프(200)가 삽입되는데, 제2 연결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10)의 중공부(11)로 구성되고, 제1 연결부(20)에 의하여 감싸여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연결부(30)에 단순히 파이프(200)가 삽입되면 진동이나, 외력에 의하여 빠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제2 연결부(30)와 파이프(20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연결부(30)의 내주면과 파이프(200)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는데,
이들 걸림부는 암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파이프(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는 암 또는 수걸림부인데, 도 4의 도시에는 파이프(200)에 암걸림부, 즉 걸림홈(220)이 구비되고, 제2 연결부(3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는 수걸림부, 즉 걸림돌기(32)로 도시되어 있다.
즉 파이프(200)에는 걸림홈(220), 제2 연결부(30)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파이프(200)를 제2 연결부(30)에 삽입하는 경우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가 파이프(200)의 걸림홈(220)에 끼워짐으로써 파이프(200)가 제2 연결부(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이프(200)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30)에는 걸림홈(22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파이프(200)와 제2 연결부(30)간의 결합방식이 파이프(200)가 제2 연결부(30)로 삽입되는 형태라는 점에서 후술할 제2 연결부(30)의 파이프 투입구(33) 쪽에 배치되는 오링(50) 등을 감안할 때, 파이프(200)에 걸림돌기(32)가 형성되는 경우 오링(50)과 파이프(200)의 걸림돌기(32)간의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이프(200)에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걸림홈(220)으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30)에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는 파이프(200)의 결합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파이프(200)가 삽입되는 경우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의 경사면을 타고 파이프(200)가 원활히 결합방향으로의 이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는 4열로 배치되고, 각 열상에 다수로 구비되고, 파이프(200)의 걸리홈은 걸림돌기(32)의 각 열에 대응하는 개수로 걸림홈(220)이 형성되거나, 또는 파이프(200)의 외주면 상에 환형으로 형성되어 각 열상의 다수의 걸림돌기(3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200)에 형성되는 걸림홈(220)이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의 각 열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와 파이프(200)의 걸림홈(220)를 결합위치를 정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파이프(200)의 외주면 상에 환형의 형태로 걸림홈(220)이 형성되면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의 배치위치에 상관없이 파이프(200)를 삽입하여도 제2 연결부(30)의 걸림돌기(32)가 파이프(200)의 걸림홈(220)에 삽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결합작업을 보다 쉽고 원활히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결부(20)의 폐쇄면이 위치하는 단부와 파이프(200)가 투입되는 제2 연결부(30)의 파이프 투입구(33)는 서로 이격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12)에 오링(50)이 장착된다.
따라서 공간부(12)에 장착되는 오링(50)은 파이프(20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제2 연결부(30)의 파이프 투입구(33)의 내주면 상에 환형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파이프 투입구(33)에 형성되는 환형의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파이프(200)의 걸림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3 실시례는
바디(10)와,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와,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와, 바디(10)에 결합되어 호스(100)를 가압하기 위한 클립(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는 중공부(11) 상에 형성되어 바디(10)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호스(100)가 결합되고, 제2 연결부 역시 중공부(11) 상에 형성되어 바디(10)의 타측에서 삽입되는 파이프가 결합된다.
또한 바디(10)의 양측에는 대칭되도록 안치홀(14)이 형성되어, 후술할 클립(60)에 안치홀(14)을 통하여 호스(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40)에 삽입되어 호스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호스(100)의 경우에는 후술할 클립(60)에 의하여 고정되지만, 파이프 결합 고정을 위해 전술한바 있는 제1 실시례와 같이 제2 연결부의 파이프 투입구 측 단면에 후크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는 후크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60)은 'U'자 형태로 이루어져 바디(10)의 결합되는데, 먼저 클립(60)은 바디(10)로부터 분리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클립(60)의 일단부가 바디(10)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클립(60)이 바디(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클립(60)의 양단에 절곡부(61)가 형성되고, 바디(10)에는 안치홀(14) 하부에 클립(60)의 절곡부(6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홈(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호스에는 외주면 상에 환형의 결합홈(140)이 형성되는데, 이 결합홈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호스의 외주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돌출된 환형 테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클립(60)을 바디(10)에 체결하는 경우 클립(60)의 절곡부(61)는 수용홈(15)에 안치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동시에 클립(60)의 양측부는 안치홀(14)을 통하여 호스(100)의 결합홈(140)에 삽입되어 호스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호스(100)가 제1 연결부(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클립(60)의 바디(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클립(60)의 양단에 절곡부(61)가 형성되고, 바디(10)의 일측에는 안치홀(14) 하부에 힌지결합부(16)가 구비되어 일측 절곡부(61)가 힌지결합부(16)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바디(10)의 타측에는 안치홀(14) 하부에 수용홈(15)이 형성되어 클립(60)이 선회되어 바디(10)에 결합되는 경우 바디(10)의 타측 절곡부(61)가 수용홈(15)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역시 클립(60)이 선회하여 바디(10)에 완전히 장착되는 경우 클립(60)의 양측부가 안치홀(14)을 통하여 호스(100)의 결합홈(140)에 삽입되어 호스를 가압함으로써 호스(100)가 제1 연결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클립(60)이 바지에 힌지 결합되어 장착되는 경우 클립(60)은 바디(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클립(60)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동작만으로 클립(60)의 체결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클립(60)을 바디(10)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엔 작업 중 커넥터로부터 분리된 클립(60)을 분실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클립(60)을 떨어뜨려 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불편함으로 고려할 때, 클립(60)의 바디(10)에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측을 내측방향으로 절곡하여 돌출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결합돌기는 호스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클립이 바디로부터 선회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클립이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반대쪽에 돌출된 파지부를 두어 이 파지부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클립을 손쉽게 분리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퀵 커넥터의 제4 및 제5 실시례는 탄성부재(70)를 도입하여 호스(100)를 커넥터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례에 관하여 순차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례는
바디(10)와,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와,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와, 호스(10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를 갖고, 제1 연결부는 중공부 상에 형성되어 바디(10)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호스(100)가 결합되며, 제2 연결부 역시 중공부 상에 형성되어 바디(10)의 타측에서 삽입되는 파이프가 결합된다.
또한 바디(10)에는 삽입부(17)가 형성되고, 이 삽입부(17)는 제1 연결부의 내측면, 즉 바디의 내주면에 홈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70)는 링 형태의 부재를 절단하여 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탄성부재(70)의 복수 지점이 절곡되어 돌기부(71)가 형성된다.
이 상태로 탄성부재(70)는 호스(100)에 내장되고, 이 경우 탄성부재(70)의 돌기부(71)가 수용되어 호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호스(100)에는 돌기부(7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노출공(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100)를 제1 연결부(20)에 삽입되는 경우 탄성부재(70)의 돌기부(71)가 제1 연결부(20)의 내주면에 맞닿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70)는 탄성을 발휘하여 내측방향으로 오므려짐과 동시에, 돌기부(71)는 호스(100)의 노출공(120)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탄성부재(70)의 돌기부(71)는 제1 연결부(20)의 내주면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호승의 노출공(120)에 유입되어 있다가 바디(10)의 삽입부(17) 위치에서 오므려진 탄성부재(70)가 벌어지면서 노출공(120)을 밖으로 돌출되는 돌기부(71)가 삽입부(17)에 안치된다. 스프링(72)이 인장되면서 탄성볼(73)은 삽입부(17)에 안치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례는
바디(10)와,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와, 파이프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와, 호스(100)에 구비되는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중공부를 갖고, 제1 연결부는 중공부 상에 형성되어 바디(10)의 일측에서 삽입되는 호스(100)가 결합되며, 제2 연결부 역시 중공부 상에 형성되어 바디(10)의 타측에서 삽입되는 파이프가 결합된다.
또한 바디(10)에는 삽입부(17)가 형성되는 이 삽입부(17)는 제1 연결부(20)의 내측면, 즉 바디의 내주면에 홈 형태로 구성되어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70)는 호스(100)에 형성되는 안착홈(130)에 수용되는 스프링(72)과, 이 스프링(72) 단부에 배치되어 호스(100)의 안착홈(130)으로 노출되는 탄성볼(7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탄성볼(73)은 구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반구형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안착홈(130)으로부터 탄성볼(73)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구형의 탄성볼(73)의 경우에는 하부에 링 형태의 지지부(73a)가 외측으로 돌출되록 형성되며, 안착홈(130)에는 가장자리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대응지지부(131a)가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볼(73)이 안착홈(130)에 수용된 후, 각 지지부(73a)에 의하여 탄성볼(73)이 안착홈(1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볼(73)이 구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대응지지부(131a)의 내경이 탄성볼(73)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볼(73)이 안착홈(130)에 수용된 후, 일정 부분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탄성부재(70)는 호스(100)를 제1 연결부(20)에 삽입하게 되면 스프링(72)이 압축되어 탄성볼(73)은 안착홈(130) 내부로 유입된 상태로 제1 연결부의 내측면을 타고 이동하다가 삽입부(17) 위치에서 압축된 스프링(72)이 인장되면서 탄성볼(73)은 삽입부(17)에 안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및 제5 실시례는 탄성부재(70)를 이용하여 호스(100)을 제1 연결부, 즉 바디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경우 커넥터로부터 호스(100)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게 위해 바디(10)에는 삽입부(17)와 연통되는 관통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18)은 호스(100)가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부(17)에 수용된 탄성부재(70)의 돌기부(71)(제4 실시례)나, 탄성볼(73)(제5 실시례)을 삽입부(17)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용 공구가 투입될 수 있고, 이렇게 관통홀(18)을 통하여 투입된 분리용 공구를 이용하여 돌기부(71)나 탄성볼(73)을 밀어 넣으면서 호스(100)를 분리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돌기부(71)나 탄성볼(73)이 자연스럽게 삽입부(17)로부터 배출되어 호스(100)의 분리 작업이 쉽고 용이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4 및 제5 실시례의 경우 호스(100)는 탄성부재(70)에 의하여 고정되지만, 파이프의 결합 고정을 위해 전술한바 있는 제3 실시례와 같이 제2 연결부의 파이프 투입구 측 단면에 후크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의 외주면 상에는 후크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퀵 커넥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중공부 12 : 공간부
13 : 단턱부 14 : 안치홀
15 : 수용홈 16 : 힌지결합부
17 : 삽입부 18 : 관통홀
20 : 제1 연결부
21 : 외측지지부 21a : 절개부
21b : 분리방지돌기 21c : 진입유도부
21d : 제1 경사부 22 : 내측지지부
22a : 장착홈 23 : 삽입홈
24 : 가압돌기 25 : 나선부
30 : 제2 연결부
31 : 후크돌기 32 : 걸림돌기
33 : 파이프 투입구
40 : 가압링
41 : 제2 경사부
50 : 오링
60 : 클립
61 : 절곡부
70 : 탄성부재
71 : 돌기부 72 : 스프링
73 : 탄성볼 73a : 지지부
100 : 호스
110 : 주름부 120 : 노출공
130 : 안착홈 131a : 대응지지부
140 : 결합홈
200 : 파이프
210 : 돌출부 220 : 걸림홈

Claims (20)

  1.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 및
    상기 바디(10)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부(20)를 가압하여 상기 호스(100)가 압착되도록 하는 가압링(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퀵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0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돌출부(210)에 걸리는 후크돌기(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압링(40)의 삽입 시, 탄성 발휘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부(21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내측부에는 상기 호스(100)를 압착하기 위한 가압돌기(2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외주면과 상기 가압링(40) 내주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 경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링(40)의 분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돌기(21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돌기(21b)는 상기 가압링(4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태의 진입유도부(21c)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파이프(200)의 돌출부(21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단턱부(1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20) 하부에 장착홈(22a)이 배치되고,
    상기 장착홈(22a)에 안치되어 상기 파이프(200) 외주면에 밀착되는 오링(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0.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 및
    상기 제2 연결부(30)에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00)에 형성된 암 또는 수걸림부에 대응되도록 수 또는 암걸림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퀵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100)는 주름관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호스(100)의 주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나선부(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제2 연결부(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20) 단부와 상기 제2 연결부(30)의 파이프(200) 투입부는 서로 이격되어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2)에는 오링(5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4. 안치홀(14)을 갖는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 및
    상기 바디(10)에 결합되고, 상기 안치홀(14)을 통하여 상기 호스(10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결합홈(140)에 장착되어 호스(100)를 가압하는 클립(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퀵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60)은 'U'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60)은 일단부가 상기 바디(10)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60)은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안치홀(14)에 삽입되어 상기 호스(100)를 가압하기 위한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7. 삽입부(17)가 형성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 및
    상기 호스(100)에 내장되고, 상기 호스(100) 외측으로 노출되는 돌기부(71)가 구비된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바디(10)와 상기 호스(100) 간의 분리 또는 결합 시,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돌기부(71)가 상기 바디(10)의 삽입부(17)로부터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8. 삽입부(17)가 형성된 바디(1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호스(100)가 결합되는 제1 연결부(20);
    상기 바디(10)에 구비되고, 파이프(200)가 결합되는 제2 연결부(30); 및
    상기 호스(100)에 구비되고, 상기 호스(100) 외측으로 노출되는 탄성볼(73)이 구비된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바디(10)와 상기 호스(100) 간의 분리 또는 결합 시,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탄성볼(73)이 상기 삽입부(17)로부터 분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호스(100)에 형성된 안착홈(130)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볼(73)을 지지하는 스프링(72)과,
    상기 탄성볼(73) 하부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부(73a)와,
    상기 지지부(73a)가 걸리되록 상기 안착홈(130)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대응지지부(13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에는 상기 삽입부(17)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1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KR1020150087258A 2015-06-19 2015-06-19 퀵 커넥터 KR20160149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258A KR20160149722A (ko) 2015-06-19 2015-06-19 퀵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258A KR20160149722A (ko) 2015-06-19 2015-06-19 퀵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22A true KR20160149722A (ko) 2016-12-28

Family

ID=5772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258A KR20160149722A (ko) 2015-06-19 2015-06-19 퀵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9247A (zh) * 2018-10-10 2018-12-28 浙江伟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带保护装置的快速接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37B1 (ko) 2010-06-29 2012-04-2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37B1 (ko) 2010-06-29 2012-04-2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유체통로용 퀵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9247A (zh) * 2018-10-10 2018-12-28 浙江伟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带保护装置的快速接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52B2 (en) Insert coupling
KR101328375B1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KR101594621B1 (ko)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JP4020122B2 (ja) パイプに流体管を結合するプラグインカップリング
KR20190089954A (ko) 완전 삽입형 보증 캡 분리 도구가 있는 유체 커넥터
JP3436370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CN110220056A (zh)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KR20180001632U (ko) 고압호스 연결용 연결구
US20130221665A1 (en) Pipe connecting connector
KR20160149722A (ko) 퀵 커넥터
CN208331520U (zh) 具有双锁定机构的快速连接装置
US20020125717A1 (en) Separable rapid-action coupling with safety lock
JP3590843B2 (ja) 配管着脱装置
JP4926566B2 (ja) 水道蛇口と給水ホースとの連結用ホルダー装置
JPH051084U (ja) 取付保持具
RU2597727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снащен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проверки качества соединения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CN113431826B (zh) 车辆的地板地毯安装用卡夹
JP2007154969A (ja) 接続支管
JP2002039472A (ja) 管継手の抜止め具及び抜止め具を備えた管継手
JP4727077B2 (ja) 差込式管継手
KR20080006395U (ko) 램프홀더
RU20916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JP3492549B2 (ja) 配管用継手装置
KR200399786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