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380A -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380A
KR20160148380A KR1020150085363A KR20150085363A KR20160148380A KR 20160148380 A KR20160148380 A KR 20160148380A KR 1020150085363 A KR1020150085363 A KR 1020150085363A KR 20150085363 A KR20150085363 A KR 20150085363A KR 20160148380 A KR20160148380 A KR 20160148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signal
mirroring
data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레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레칩스
Priority to KR1020150085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380A/ko
Publication of KR2016014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04M1/72522

Abstract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출력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로부터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미러링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추출한 후 출력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출력장치가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인코딩된 데이터가 미러링을 통해 출력장치에서 재생되도록 전송한다.

Description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TV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와 같은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거나, 출력 경로(Path)를 제어할 때는 리모콘을 이용한다. 이러한 리모콘을 이용하여 출력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의 화면을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크린 미러링을 위하여 리모콘을 이용하여 출력 장치의 전원을 켜고, 출력 경로를 스스로 지정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미러링을 통해 출력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제어 신호 추출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추출부가 추출한 제어 신호를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출력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장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상기 출력장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출력장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미러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연동하는 통신부; 상기 출력장치에서 확인할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에 포함하여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가 생성한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로부터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력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미러링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면,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 내에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삽입하여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콘을 이용한 출력 장치의 제어 없이 동글에서 출력 장치를 제어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출력장치 제어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일반적인 출력장치 제어 환경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출력장치 제어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출력장치 제어 환경은 사용자가 리모콘(10)을 이용하여 출력장치(40)의 전원 상태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그리고 역시 사용자가 리모콘(10)을 이용하여 단말(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장치(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출력장치(40)의 출력 경로를 지정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력장치(40)로 TV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리모콘(10)을 통해 출력장치(40)가 제어되면, 단말(20)은 출력장치(40)의 일측에 삽입되는 동글(30)과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로 연결되고, 동글(30)로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동글(30)은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아웃 단자를 통해 출력장치(40)에 연결되어 있다.
동글(30)은 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미러링 데이터를 출력장치(40)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미러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출력장치 제어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10)을 이용하여 출력장치(40)의 전원 상태나 경로를 모두 설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출력장치에 HDMI 아웃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동글(dongle)을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라 지칭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하면 단말(200)은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로 연결되면 미러링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출력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미러링 데이터에 포함하여 함께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리모콘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출력장치(300)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함께 미러링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단말(200)과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의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신호 수신부(120), 제어 신호 추출부(130), 출력장치 연결부(140) 및 출력장치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한 통신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신호 수신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200)과 상호 연동되면,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는 출력장치(300)로 출력하기 위한 인코딩된 데이터 정보와 함께, 출력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출력장치(300)의 전원 상태를 변경하는 신호, HDMI 연결을 위한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각각의 신호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 신호 추출부(130)는 신호 수신부(120)가 수신한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제어 신호는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임의의 위치의 필드에 삽입되어 있으며, 필드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미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이 인지하고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신호에서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출력장치 연결부(140)는 동글 형태로 구현된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이 출력장치(300)에 연결되어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출력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출력장치 연결부(140)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아웃 단자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출력장치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 추출부(130)가 추출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출력장치(30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출력장치(300)의 전원 온/오프 제어 또는 출력장치(300)의 경로(TV/셋탑박스) 제어 중 하나 이상의 신호가 포함되므로, 출력장치 제어부(150)는 제어 신호를 토대로 출력장치(300)의 전원이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한다. 그리고, 출력장치(300)가 제어되면, 미러링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장치(300)로 전달하여, 출력장치(300)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은 통신부(210),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220) 및 신호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미러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연동하도록 한다. 여기서 미러링 선택 신호에는 복수의 출력장치 중 미러링을 통해 데이터를 출력할 출력장치(300)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220)는 단말(2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미러링을 통해 출력장치(3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과 같은 별도의 제어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출력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러링 데이터 신호 내에 제어 신호를 포함하여 생성한다.
즉,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220)는 출력장치(300)에서 확인할 데이터 예를 들어 영상을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인코딩시, 단말(200)에 H.264/AAC(LPCM) 코덱으로 인코딩되어 있는 영상을 TS 방식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인코딩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출력장치(300)의 전원 상태와 출력장치(300)에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를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와 함께 포함하여 미러링 데이터 신호로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인 TS 데이터 내에 임의의 필드에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임의의 필드 위치나 제어 신호의 삽입 방법은 여러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드 위치나 제어 신호의 삽입 방법을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신호 전송부(230)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220)가 생성한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제어 환경에서,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장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200)의 사용자가 미러링을 통해 단말(2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출력장치(300)에서 출력하기를 원하는 경우, 단말(2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미러링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100). 미러링 선택 신호에는 미러링을 통해 출력장치(300)에서 확인할 데이터의 정보도 포함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로 동영상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면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의 통신부(110)는 단말(200)의 통신부(21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여 단말(200)과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이 연결되도록 한다(S110). 여기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시도 방법은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과 단말(200)이 연결되면, 단말(200)의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220)는 미러링 선택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출력장치(300)로 전송할 동영상을 인코딩한다. 그리고 출력장치(300)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도 함께 생성하여 동영상이 인코딩되며 생성된 TS 데이터 내의 임의의 필드에 제어 신호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하여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S120).
여기서 제어 신호는 출력장치(3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는 온(On) 상태로 상태가 변환되도록 하는 전원 제어 신호와, 출력장치(300)가 제1 상태 즉, 일반 TV의 상태인 경우 미러링을 통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제2 상태 즉, 셋탑박스의 상태로 변환하도록 하는 경로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경로를 일반 TV와 셋탑박스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120 단계에서 미러링 데이터 신호가 생성되면, 신호 전송부(230)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으로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전송한다(S130).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가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 추출부(130)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에서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S140). 그리고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있는 출력장치(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S150), 출력장치(300)가 제어 신호를 토대로 전원과 경로를 설정하도록 한다(S160). S150 단계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DMI CEC command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장치(300)가 전원과 경로를 설정하면,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장치(300)를 제어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출력장치(300)에 전달한다(S170). 출력장치(300)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디코딩된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80).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출력장치를 제어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를 이용하여 출력장치(300)를 설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출력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미러링을 통해 출력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제어 신호 추출부; 및
    상기 제어 신호 추출부가 추출한 제어 신호를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연결되어 있는 출력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장치로 전달하는 출력장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상기 출력장치에 연결되도록 하는 출력장치 연결부
    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 연결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아웃 단자로 구현되고,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은 동글(dongle)로 구현되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미러링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을 수행하여 상호 연동하는 통신부;
    상기 출력장치에서 확인할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에 포함하여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 생성부가 생성한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
    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출력장치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신호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에서 미러링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인 제2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경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6.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이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연동하는 단말로부터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추출하고, 상기 출력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력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출력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미러링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면,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 내에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할 제어 신호를 삽입하여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러링 데이터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출력장치의 전원 상태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 신호와, 상기 출력장치의 상태가 제1 상태에서 미러링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인 제2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경로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출력장치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단계는,
    HDMI CEC command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상기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출력장치 제어 방법.
KR1020150085363A 2015-06-16 2015-06-16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8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63A KR20160148380A (ko) 2015-06-16 2015-06-16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63A KR20160148380A (ko) 2015-06-16 2015-06-16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80A true KR20160148380A (ko) 2016-12-26

Family

ID=5773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363A KR20160148380A (ko) 2015-06-16 2015-06-16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3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62A (ko) 2019-06-18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로봇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62A (ko) 2019-06-18 2020-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뮤니케이션 로봇 및 그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44060B (zh) 一种收看高清有线电视节目的方法及装置
TW200910094A (en) High-speed digital interface transceiver and method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on high-speed digital interface device
JP5284494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CN102811377B (zh) 云端遥控器的实现方法及遥控系统
CN102202420A (zh) 一种在显示设备上显示移动终端数据的装置、系统和方法
CN202178832U (zh) 电视机、数字电视接收终端及遥控装置
CN104184983A (zh) 一种会议终端及其业务处理方法
CN101763875B (zh) 一种通过蓝牙控制字幕切换的系统及方法
JP6467822B2 (ja) 表示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6013204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74446A (ko)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0098378A (ja) 無線伝送システム
JP5296229B2 (ja)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20160148380A (ko) 출력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82801B1 (ko) Hdmi 동글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12007B1 (ko) 싱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싱크 컴퓨팅 장치
CN110557346A (zh) 一种无线影音传输系统及方法
CN104581306A (zh) 一种遥控数据处理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20140000026A (ko)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KR20120128348A (ko) 원격 영상 전송 및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624643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電子機器の通信システム
WO2016082348A1 (zh) 一种实现电视节目无线传输的方法和机顶盒
JP6197400B2 (ja) 映像機器及び映像機器の制御方法
CN105472467A (zh) 界面显示方法及系统
JP2013005409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