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4446A -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4446A
KR20150074446A KR1020130162239A KR20130162239A KR20150074446A KR 20150074446 A KR20150074446 A KR 20150074446A KR 1020130162239 A KR1020130162239 A KR 1020130162239A KR 20130162239 A KR20130162239 A KR 20130162239A KR 20150074446 A KR20150074446 A KR 20150074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external
source terminals
gam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485B1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3016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4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복수의 소스 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외장형 동글(Dongle)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복수의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user contents service using external dongle}
본 발명은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소스 단말과 디스플레이 단말 간 페어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을 통해 복수의 소스 단말의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트래픽, 특히 동영상 및 게임용 트래픽이 증가한 것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컨텐츠를 이용하는가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근래에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Wi-Fi 지원 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TV 및 게임 콘솔 등이 이러한 Wi-Fi 지원 장치들로, 가정에서건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건, 사용자들은 다양한 Wi-Fi 장치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 가운데 일부는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활용되기도 하고 일부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적합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태블릿으로 영화를 스트리밍 받되, 이를 거실에 있는 TV에 디스플레이하고 싶어하기도 한다.
Wi-Fi Alliance가 새롭게 도입하는 인증 프로그램인 Wi-Fi CERTIFIED Miracast™는 Wi-Fi 장치 간에 그래픽 동영상 및 오디오 컨텐츠 등 화면의 공유가 끊김 없이 이루어지도록 칩, 모바일 장치 및 전자제품 제조업체를 아우르는 폭넓은 업계의 지원을 바탕으로 개발된 것이다.
두 개의 Wi-Fi 장치 간 초기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나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소스 장치)에서 다른 장치(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를 미러링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Miracast를 통해 사용자는 두 장치 간에 직접적인 Wi-Fi 연결을 형성할 수 있어,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Miracast는 Wi-Fi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자신이 원하는 장치 상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용 편의성, 제조사 간 상호운용성 및 모든 Wi-Fi CERTIFIED 제품이 공유하고 있는 보안성을 유지하고 있다.
Miracast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코덱 및 동영상 포맷을 지원하고 있어,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장치에서 원하는 오디오 및 동영상 컨텐츠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Miracast는 Wi-Fi CERTIFIED n (스루풋 및 커버리지 향상), Wi-Fi Direct™ (장치간 연결), Wi-Fi Protected Access® 2 (WPA2™) (보안), Wi-Fi Multimedia™ (WMM®) (트래픽 관리) 및 Wi-Fi Protected Setup™ 등 지난 몇 년 간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Wi-Fi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요소들 가운데 대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일부 Miracast 장치는 또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이 가능한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를 지원할 예정이다. TDLS의 경우,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장치 간 연결이 레거시 인프라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더 발전된 Wi-Fi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Miracast는 TV, 셋톱박스, 카메라, 프로젝터, 스마트폰, 태블릿 및 노트북 등 동영상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위한 선택형 인증 프로그램이다. Miracast를 활용하려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 모두 Miracast 인증을 받아야 한다. Wi-Fi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장치 상에서도 HDMI 또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Miracast 인증 어댑터를 사용함으로써 Miracast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Miracast의 활용을 통해 페어링 된 장치간 컨텐츠의 전달이 가능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소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를 전달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페어링과 연관되어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까지 확장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Miracast를 활용한 컨텐츠 전달 서비스에서 하나의 소스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간 1:1 통신만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과 같은 소스 장치를 통해 다자간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을 공유하면서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소스 단말과 디스플레이 단말 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복수의 소스 단말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외장형 동글(Dongle)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복수의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외장형 동글 각각은 대응되는 소스 단말의 고유 주소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대응되는 소스 단말이 미러링 또는 스트리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에서 페어링(pairing)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은 연결 가능한 복수의 외장형 동글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장형 동글과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에서 페어링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장형 동글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외장형 동글과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라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제1 키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화면의 미리 분할된 영역에 동일한 사이즈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순위가 결정되는 게임 데이터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게임 순위에 따라 화면의 소정 위치에 게임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은 게임 순위 정보를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게임 순위가 높은 순으로 복수의 게임 데이터가 큰 사이즈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방향 키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소스 장치로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외장형 동글 중 하나와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인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연결 설정된 외장형 동글로 전송하는 페어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외장형 동글을 통해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소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복수의 소스 단말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결합된 복수의 외장형 동글(dongle)을 통해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외장형 동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중 하나에 대응됨-;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소스 단말과 디스플레이 단말 간 페어링 상태에서 컨텐츠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자간 게임 서비스 등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출력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과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디스플레이 단말(102) 및 복수의 소스 단말(104-n, 이하 ‘104’로 통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와 소스 단말(104)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소스 단말(104)로 게임 컨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서버일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소스 단말(104)이 게임 서버(100)로부터 제공되어 실행되는 게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단말(102)로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은 근거리 페어링(pairing)으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페어링은 Wi-Fi를 기반으로 Miracast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방송 사업자가 송출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셋탑박스 또는 TV일 수 있다.
또한, 소스 단말(104)은 디스플레이 단말(102)과 페어링될 수 있는 단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패드,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간 인증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처리 과정은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처리 과정은 동일 댁내에 있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디스플레이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간 페어링 이후 컨텐츠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컨텐츠 전달은 컨텐츠 미러링 또는 스트리밍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은 소스 단말(104)의 화면 데이터를 그대로 디스플레이 단말(102)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 모두에서 페어링 모듈(예를 들어, Miracast 모듈)을 활성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의 고유 주소 정보가 공유되면서 페어링이 완료된다.
여기서, 단말의 고유 주소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102)과 복수의 소스 단말(104)이 페어링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단말(102)에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n, 이하 ‘106’으로 통칭함)이 결합된다.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은 디스플레이 단말(102)에 형성된 USB 포트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소스 단말(104)은 하나의 외장형 동글(106)에 대응되어 연결이 설정되며, 소스 단말(104)의 페어링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106)과 소스 단말(104)은 서로의 고유 주소 정보를 공유하면서 연결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과 연결되어 복수의 소스 단말(104)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복수의 디코더를 통해 각 소스 단말(104)로부터 전달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화면상에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명의 사용자(A,B,C,D)가 동시에 소스 단말(104)을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외장형 동글(106)을 통해 각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게임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게임 컨텐츠를 4분할된 화면상에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즉, 동시 출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화면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각 소스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게임 컨텐츠를 동시에 출력한다.
이에 한정됨이 없이, 순위가 정해지는 게임에서 상위 순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게임 컨텐츠만 출력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1위에 해당하는 사용자(A)의 게임 컨텐츠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상위 순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게임 컨텐츠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게임 서비스의 경우 순위를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게임 순위에 따라 각 소스 단말(104)로부터 전달된 게임 컨텐츠를 서로 다른 사이즈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게임 순위 정보를 각 소스 단말(104) 또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게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데이터의 동시 출력 또는 선택 출력은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한 키 신호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 디스플레이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통신 인터페이스(500), 복수의 디코더(502-n), 키 신호 수신부(504), 컨트롤러(506) 및 출력부(50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00)는 복수의 소스 단말(104)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로부터 복수의 소스 단말(104) 각각이 전달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동글(106)은 하나의 소스 단말(104)에 대응되며, 소스 단말(104)에서 페어링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소스 단말(104)의 고유 주소 정보를 등록하고, 소스 단말(104)이 미러링 또는 스트리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소스 단말(104)은 Miracast 프로토콜을 통해 하나의 외장형 동글(106)과 연결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소스 단말(104)에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106)은 미리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됨이 없이 사용자가 소스 단말(104)에서 검색된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소스 단말(104)과 외장형 동글(106)이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처럼 외장형 동글(106)이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500)를 통해 디코더(502)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원 가능한 외장형 동글(106)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디코더(502-n)가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디코더(502)는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 중 하나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키 신호 수신부(504)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디코딩된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 방식을 위한 키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는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506)는 수신된 키 신호에 따라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출력부(508)는 컨트롤러(506)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506)는 동시 출력의 경우, 미리 설정된 분할 영역에 컨텐츠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분할 영역은 동일한 사이즈일 수 있다.
또한, 순위가 정해지는 게임 서비스의 경우, 컨트롤러(506)는 게임 순위에 따라 소정 소스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게임 컨텐츠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화면 전체에 1위에 해당하는 게임 컨텐츠만이 출력되도록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컨트롤러(506)는 게임 순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1위에 해당하는 소스 단말(104)로부터 수신된 게임 컨텐츠가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모트 컨트롤러의 방향 키에 따라 화면상에 출력되는 게임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및 D 사용자가 동시에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방향 키를 통해 4명의 사용자의 게임 컨텐츠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시 출력의 경우 게임 순위에 따라 배치 순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컨트롤러(506)는 게임 순위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게임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배치 순서뿐만 아니라 높은 순위를 가질수록 더 큰 사이즈를 갖도록 게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게임 순위에 따라 게임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각 소스 단말(104)로부터 게임 순위 정보를 외장형 동글(106)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이 설정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단말(102)과 페어링된 소스 단말(104) 사용자의 게임 순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통신부(600), 컨텐츠 데이터 생성부(602) 및 인증 처리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00)는 소스 단말(104)과 연결이 설정되며, 소스 단말(104)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컨텐츠 데이터 생성부(602)는 소스 단말(104)에서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게임 서비스의 경우, 컨텐츠 데이터 생성부(602)는 게임 참여를 위한 채널을 개설하고, 채널에 입장한 사용자가 소스 단말(104)을 통한 조작 요청을 수신하여 조작에 따른 게임 컨텐츠를 생성한다.
생성된 게임 컨텐츠는 통신부(600)를 통해 소스 단말(104)로 전송된다.
게임 서비스의 경우, 컨텐츠 데이터 생성부(702)는 게임 순위 정보를 소스 단말(104)로 전송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게임 순위 정보를 디스플레이 단말(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인증 처리부(604)는 페어링 이후, 디스플레이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간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처리는 동일한 댁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간에 페어링 이후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OTP 방식 또는 서비스 서버(1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단말(104)은 컨텐츠 실행부(700), 인코딩부(702), 페어링부(704), 출력부(706) 및 제어부(708)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실행부(70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되는 컨텐츠를 실행한다.
게임 서비스의 경우, 컨텐츠 실행부(700)는 서비스 서버(100)가 전송한 게임 컨텐츠를 실행하고,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한 조작이 게임 컨텐츠에 반영되도록 한다.
인코딩부(702)는 소스 단말(104)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페어링부(704)는 페어링이 설정된 외장형 동글(106)로 인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은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706)는 컨텐츠 실행부(70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한다.
한편, 초기 페어링 과정에서 소스 단말(104)에서 페어링 모듈을 실행시키는 경우, 출력부(706)는 근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 리스트를 출력한다.
출력된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페어링부(704)는 선택된 외장형 동글(106)의 고유 주소 정보를 등록하고, 선택된 외장형 동글(106)로 현재 실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단말(104)과 전용으로 통신하는 외장형 동글(106)이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소스 단말(104)에서 페어링 모듈을 실행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 행위 없이 자동적으로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106)과 연결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708)는 컨텐츠 실행, 인코딩, 페어링 과정 전반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2개의 소스 단말이 제공되어 다자간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단말(102)에 복수의 외장형 동글(106, 제1 및 제2 외장형 동글)이 결합된다(단계 800).
주변에 위치한 제1 소스 단말(104-1) 및 제2 소스 단말(104-2)이 페어링 모듈을 실행시키는 경우(단계 802), 각 소스 단말(104-1,104-2)과 이에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106-1,106-2)간 연결이 설정된다(단계 804).
상기와 같은 페어링이 완료된 이후, 각 소스 단말(104-1,104-2)은 실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106-1,106-2)을 통해 디스플레이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806).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인코딩되어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의 디코더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며(단계 808),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키 신호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810).
단계 810에서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입력된 키 신호에 따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각 소스 단말(104-1,104-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의 경우, 소스 단말(104)이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에는 게임 실행 화면 데이터 외에, 게임 순위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으며, 단계 810에서 디스플레이 단말(102)은 게임 순위를 반영하여 배치 순서, 크기를 변경하면서 컨텐츠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복수의 소스 단말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외장형 동글(Dongle)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복수의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동글 각각은 대응되는 소스 단말의 고유 주소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대응되는 소스 단말이 미러링 또는 스트리밍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에서 페어링(pairing)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은 연결 가능한 복수의 외장형 동글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외장형 동글과 연결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에서 페어링 모듈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외장형 동글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외장형 동글과 연결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라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 방식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제1 키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화면의 미리 분할된 영역에 동일한 사이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순위가 결정되는 게임 데이터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게임 순위에 따라 화면의 소정 위치에 게임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은 게임 순위 정보를 대응되는 외장형 동글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게임 순위가 높은 순으로 복수의 게임 데이터가 큰 사이즈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방향 키에 따라 상기 화면상에 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소스 장치로서,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실행하는 컨텐츠 실행부;
    상기 실행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외장형 동글 중 하나와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인코딩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연결 설정된 외장형 동글로 전송하는 페어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외장형 동글을 통해 복수의 소스 장치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소스 장치.
  12. 근거리 페어링(pairing)을 통해 복수의 소스 단말과 통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미리 결합된 복수의 외장형 동글(dongle)을 통해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각각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외장형 동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소스 단말 중 하나에 대응됨-;
    상기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복수의 컨텐츠 데이터가 선택적 또는 동시에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162239A 2013-12-24 2013-12-24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07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39A KR102307485B1 (ko) 2013-12-24 2013-12-24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39A KR102307485B1 (ko) 2013-12-24 2013-12-24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46A true KR20150074446A (ko) 2015-07-02
KR102307485B1 KR102307485B1 (ko) 2021-09-30

Family

ID=5378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239A KR102307485B1 (ko) 2013-12-24 2013-12-24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4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747A (ko) * 2016-04-0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90109823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더한 하나의 동글을 이용하여 디지타이저들을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5057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
WO202026292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6299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4083B2 (en) 2019-06-26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60B1 (ko) * 2005-08-24 2007-10-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용 컴퓨터의 다자간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5519A (ko) * 2009-06-17 2010-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460B1 (ko) * 2005-08-24 2007-10-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개인용 컴퓨터의 다자간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35519A (ko) * 2009-06-17 2010-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747A (ko) * 2016-04-0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90109823A (ko)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더한 하나의 동글을 이용하여 디지타이저들을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200050578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케이티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화면 공유 시스템 및 장치
WO202026292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262990A1 (en) * 2019-06-26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02282B2 (en) 2019-06-26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1544083B2 (en) 2019-06-26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485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7894B2 (en) Real-time placeshifting of media content to paired devices
CN10530893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控制设备之间共享的内容的方法和装置
US9525998B2 (en) Wireless display with multiscreen service
US108056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50074446A (ko)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4254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he rendering of multimedia content
US10264038B2 (en) Discovery and management of synchronous audio or video streaming service to multiple sinks in wireless display system
US9491210B2 (en) Sink device, sourc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ink device
CN104219551A (zh) 一种智能设备屏幕共享与远程控制的方法
US9357215B2 (en) Audio output distribution
CN105573609A (zh) 内容分享方法与装置
US9992805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mobile termi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607284B2 (en) Method of outputting video content from a digital media server to a digital media renderer and related media sharing system
CN105718227A (zh) 一种传屏方法及相关设备
CN103858406A (zh) 媒体数据传输方法及设备
US9473940B2 (en) Authenticating a browser-less data streaming device to a network with an external browser
US1143597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1720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sharing and playing device thereof
US9137553B2 (en) Content server and content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KR20150068686A (ko)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104422B2 (en) Multimedia playing control method, apparatus for the same and system
KR102157398B1 (ko) 컨텐츠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5122822A (zh) 用于音视频的无线对接系统
KR20150059279A (ko)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2731B1 (ko) 페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