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686A -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686A
KR20150068686A KR1020130154638A KR20130154638A KR20150068686A KR 20150068686 A KR20150068686 A KR 20150068686A KR 1020130154638 A KR1020130154638 A KR 1020130154638A KR 20130154638 A KR20130154638 A KR 20130154638A KR 20150068686 A KR20150068686 A KR 20150068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ist
broadcast program
source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3015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686A/ko
Publication of KR2015006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선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c)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ference content}
본 발명은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 단말 및 방송 수신 단말의 페어링 상태에서 이용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트래픽, 특히 동영상 및 게임용 트래픽이 증가한 것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컨텐츠를 이용하는가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근래에 사용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Wi-Fi 지원 장치를 보유하고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TV 및 게임 콘솔 등이 이러한 Wi-Fi 지원 장치들로, 가정에서건 혹은 모바일 환경에서건, 사용자들은 다양한 Wi-Fi 장치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 가운데 일부는 컨텐츠를 저장하는데 활용되기도 하고 일부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데 적합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태블릿으로 영화를 스트리밍 받되, 이를 거실에 있는 TV에 디스플레이하고 싶어하기도 한다.
Wi-Fi Alliance가 새롭게 도입하는 인증 프로그램인 Wi-Fi CERTIFIED Miracast™는 Wi-Fi 장치 간에 그래픽 동영상 및 오디오 컨텐츠 등 화면의 공유가 끊김 없이 이루어지도록 칩, 모바일 장치 및 전자제품 제조업체를 아우르는 폭넓은 업계의 지원을 바탕으로 개발된 것이다.
두 개의 Wi-Fi 장치 간 초기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나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스트리밍 하거나 또는 하나의 장치(소스 장치)에서 다른 장치(디스플레이 장치)로 디스플레이를 미러링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Miracast를 통해 사용자는 두 장치 간에 직접적인 Wi-Fi 연결을 형성할 수 있어,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Miracast는 Wi-Fi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자신이 원하는 장치 상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사용 편의성, 제조사 간 상호운용성 및 모든 Wi-Fi CERTIFIED 제품이 공유하고 있는 보안성을 유지하고 있다.
Miracast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코덱 및 동영상 포맷을 지원하고 있어,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장치에서 원하는 오디오 및 동영상 컨텐츠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Miracast는 Wi-Fi CERTIFIED n (스루풋 및 커버리지 향상), Wi-Fi Direct™ (장치간 연결), Wi-Fi Protected Access® 2 (WPA2™) (보안), Wi-Fi Multimedia™ (WMM®) (트래픽 관리) 및 Wi-Fi Protected Setup™ 등 지난 몇 년 간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고 Wi-Fi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요소들 가운데 대부분을 활용하고 있다. 일부 Miracast 장치는 또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이 가능한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를 지원할 예정이다. TDLS의 경우,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장치 간 연결이 레거시 인프라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더 발전된 Wi-Fi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Miracast는 TV, 셋톱박스, 카메라, 프로젝터, 스마트폰, 태블릿 및 노트북 등 동영상 기능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위한 선택형 인증 프로그램이다. Miracast를 활용하려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소스 장치 모두 Miracast 인증을 받아야 한다. Wi-Fi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장치 상에서도 HDMI 또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Miracast 인증 어댑터를 사용함으로써 Miracast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Miracast의 활용을 통해 페어링된 장치간 컨텐츠의 전달이 가능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소스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를 전달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페어링과 연관되어 부가적인 서비스의 제공까지 확장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소스 단말과 방송 수신 단말 간 연결이 설정된 상황에서 소스 단말에서 방송 수신 단말로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양한 서비스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선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c)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선호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호 리스트 및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를 상기 소스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목, 관련 태그, 인물, 장소, 속성, 장르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는 상기 소스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연관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 이후, 소정 방향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연관 검색 정보,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되며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되며 방송 사업자 외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관 검색 정보,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향 키에 상응하는 방향에 미리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면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와의 관련도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선호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선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로서,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선호 리스트 등록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 장치로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연관 서비스 정보 추출부-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스 단말와 방송 수신 단말 간 페어링 상태에서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방송 수신 단말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컨텐츠 제공 과정의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방송 수신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와 방송 수신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은 근거리 페어링(pairing)으로 연결되며, 이와 같은 페어링은 Wi-Fi를 기반으로 Miracast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2)은 방송 사업자가 송출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셋탑박스 또는 TV일 수 있다.
또한, 소스 단말(104)은 방송 수신 단말(102)과 페어링될 수 있는 단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패드,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는 페어링된 방송 수신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간 인증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처리 과정은 원 타임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처리 과정은 동일 댁내에 있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방송 수신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간 페어링 이후 컨텐츠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컨텐츠 전달은 컨텐츠 미러링 또는 스트리밍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미러링은 소스 단말(104)의 화면 데이터를 그대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방송 수신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 모두에서 페어링 모듈(예를 들어, Miracast 모듈)을 활성화하고, 방송 수신 단말(102)의 UI상에서 페어링을 원하는 다른 소스 단말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단말 간에 고유 주소 정보가 공유되면서 페어링이 완료된다.
또한, 소스 단말(104)의 UI상에서 페어링을 원하는 방송 수신 단말(102)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고유 주소 정보가 공유되면서 페어링이 완료된다.
여기서, 단말의 고유 주소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일 수 있다.
소스 단말(104)에서 실행되는 컨텐츠가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달되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2)은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연관 서비스의 제공은 소스 단말(104)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한 연관 서비스 요청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서비스는 소스 단말(104)에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달되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검색 서비스,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제공 서비스, 추천 컨텐츠 리스트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연관 서비스 요청 시, 서비스 서버(100)는 방송 수신 단말(102)로부터 현재 전달되고 있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와 독립된 분석 서버(미도시)가 제공되고, 분석 서버가 방송 수신 단말(102)로부터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서버로부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한 방송 수신 단말(102)은 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100)가 컨텐츠 관련 정보로서, 컨텐츠 캡쳐 이미지 및 오디오를 수신하고, 이미지 분석 및 오디오 분석을 통해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가 어떠한 컨텐츠인지를 식별하고 이에 상응하는 연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됨이 없이, 소스 단말(104)은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관련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2)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관련 정보는 전달되는 컨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제목, 주인공, 줄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 영상(예를 들어, 결혼 동영상, 게임 영상, 여행 사진 등)인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영상에 대한 태그 정보(영상 주제, 장소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이미지/오디오 분석 결과 또는 소스 단말(104)이 전송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통해 추출된 키워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연관 컨텐츠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연관 서비스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관 서비스 제공을 위해 방송 수신 단말이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2)은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소정의 방향 키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방향 키에 상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단말(104)에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서비스뿐만 아니라 선호 컨텐츠가 함께 제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소스 단말(104)에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달되는 컨텐츠가 뮤직 비디오인 경우의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단말(102)은 소스 단말(104)에서 전달되는 컨텐츠의 컨텐츠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달하여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관 서비스 정보는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현재 페어링을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 및 추천 컨텐츠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2)은 상기와 같이 수신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된 추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선호 컨텐츠로서 선호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서비스 서버(100)는 연관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관련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여기서 관련도는 페어링을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와의 관련성을 수치화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련도 계산은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의 관련 정보 및 연관 방송 프로그램의 주인공, 장르, 키워드 일치 여부, 방송 시점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02)은 관련도가 높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가 도 3과 같은 인터페이스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02)은 관련도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개수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2)은 사용자 별로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를 생성 및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 편집 요청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2)은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 및 상기와 같이 페어링과 관련된 선호 리스트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에 포함된 선호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페어링을 통해 소스 단말(104)로부터 방송 수신 단말(102)로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은 사용자가 전달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관심도가 높은 컨텐츠와 연관된 다른 컨텐츠 역시 해당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과정 없이 페어링을 통해 전달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고, 선호 리스트에 포함된 것 중 일부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의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102)에서 선호 리스트 중 일부를 선택하고 이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방송 수신 단말(102)은 페어링된 소스 단말(104)로 선호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단말(104)은 수신된 선호 리스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에서 선택한 컨텐츠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한다.
컨텐츠 선택 정보가 전송된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2)은 이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호 리스트는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갱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가장 최근 관심사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사용자의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는 방송 수신 단말(102)에 저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되어 서비스 서버(100)가 저장 및 관리하며,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 중 선택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반영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 방송 수신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102)은 페어링부(400), 디코딩부(402), 서버 통신부(404), 키 신호 수신부(406), 인터페이스 출력부(408), 선호 리스트 등록부(410) 및 제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부(400)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소스 단말(104)과 연결을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은 Miracast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이 설정되며, 페어링부(400)는 소스 단말(104)의 고유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소스 단말(104)이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디코딩부(402)는 소스 단말(104)이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디코딩하며, 디코딩된 컨텐츠가 방송 수신 단말(102)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서버 통신부(404)는 키 신호 수신부(406)를 통해 사용자의 연관 서비스 요청을 위한 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로 페어링을 통해 소스 단말(104)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404)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련 정보는 제목, 관련 태그, 인물, 장소(도시, 해변, 국가, 지역 등), 속성(영화, 방송 프로그램, 뮤직 비디오 등) 및 장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컨텐츠 관련 정보는 소스 단말(104)이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단말(102)이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분석 서버로 전송하고, 분석 서버가 이미지 또는 오디오 분석을 통해 컨텐츠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출력부(408)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연관 서비스 정보 수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신호 상응하는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소정 방향 키 조작만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연관 서비스는 4방향 키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상부 방향 키 선택이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 출력부(408)는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태그(키워드) 리스트가 표시되며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창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300)를 출력한다.
한편, 좌측 방향 키 선택이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 출력부(408)는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에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302)를 출력한다.
여기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는 방송 사업자에 의해 소정 채널로 제공되는 라이브(live) 프로그램 및 주문형 프로그램(VOD)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방향 키 선택이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 출력부(408)는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추천 컨텐츠 리스트(304)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추천 컨텐츠는 OTT(Over-The-Top) 사업자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로 정의되며, 방송 사업자가 아닌 사업자가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천 컨텐츠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컨텐츠뿐만 아니라,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상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부 방향 키 선택이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 출력부(408)는 선호 리스트(306)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각 인터페이스는 화면 상에 인식 가능한 상태로 투명하게 4방향 중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 키에 상응하는 방향에 미리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면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호 리스트 등록부(410)는 상기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와의 관련도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X라는 컨텐츠가 미러링되는 상황에서, 이와 연관된 방송 프로그램이 A, B, C, D, E, F 및 G 순으로 X와의 관련도를 갖는 경우, 인터페이스 출력부(408)는 관련도가 높은 순으로 상위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리스트 등록부(410)는 복수의 연관 방송 프로그램 중 상위 순위에 해당하는 A, B 및 C 방송 프로그램을 선호 리스트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에서 전송된 추천 컨텐츠도 관련도에 따라 마찬가지로 선호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선호 리스트는 제한된 개수의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최근의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를 반영하여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호 리스트는 방송 수신 단말(102)에 페어링되는 복수의 소스 단말(104) 사용자 별로 복수 개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어링에서는 소스 단말(104) 및 방송 수신 단말(102)이 각자의 고유 주소 정보, 예를 들어,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공유하면서 근거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102)은 MAC 어드레스 별로 선호 리스트를 독립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를 소스 단말(104)의 고유 주소 정보로 식별하며, 추후에 해당 소스 단말(104)이 다시 페어링되고, 사용자의 선호 리스트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2)은 현재 페어링된 고유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선호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102)은 처음으로 공유되는 MAC 어드레스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소스 단말(104)의 사용자 정보 입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선호 리스트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12)는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를 참조하여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412)는 도 3과 같은 선호 리스트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12)는 선호 리스트에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선호 리스트를 이용한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 편집은 소스 단말(104)에서 수행될 수 있다.
소스 단말(104)로부터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 편집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412)는 페어링부(400)를 통해 소스 단말(104)로 선호 리스트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소스 단말(104)로부터 선호 리스트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 선택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412)는 이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한다.
또한, 제어부(412)는 방송 수신 단말(102)의 인증 요청, 패스워드 출력 및 연관 서비스 처리 과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연관 태그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경우 제어부(412)는 서비스 서버(100)에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 결과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검색 과정은 서비스 서버(100)가 아닌 별도의 검색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412)는 방송 수신 단말(102)에 포함된 튜너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412)는 사용자의 추천 컨텐츠 선택이 있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 또는 별도의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100)는 통신부(500), 연관 서비스 추출부(502) 및 인증 처리부(50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방송 수신 단말(102)로부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컨텐츠 관련 정보는 소스 단말(104)에서 페어링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달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이다.
연관 서비스 추출부(502)는 컨텐츠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연관 서비스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관 서비스는 페어링에 의해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검색 서비스,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제공 서비스, 연관 컨텐츠 리스트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서비스 추출부(502)는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관련 태그 정보,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연관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는 통신부(500)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된다.
연관 서비스 추출부(502)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스케줄 정보(EPG)를 참조하여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으며, OTT 사업자들과 연동하여 연관 컨텐츠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102)은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고 있는 컨텐츠와 연관된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관련 정보는 소스 단말(104)이 직접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서비스 서버(100) 또는 분석 서버가 페어링에 의해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의 분석을 통해 추출할 수도 있다.
인증 처리부(504)는 페어링 이후, 방송 수신 단말(102) 및 소스 단말(104)간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 처리는 동일한 댁내에 위치한 사용자의 방송 수신 단말(102)과 소스 단말(104)간에 페어링 이후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OTP 방식 또는 서비스 서버(100)에 미리 등록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스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스 단말(104)은 컨텐츠 실행부(600), 인코딩부(602), 페어링부(604), 출력부(606) 및 제어부(608)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실행부(600)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되는 컨텐츠를 실행하거나, 소스 단말(104)에 저장된 컨텐츠를 실행한다.
소스 단말(104)이 방송 수신 단말(102)과 페어링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소스 단말(104)에서 실행되는 컨텐츠는 인코딩부(602)에 의해 인코딩되며, 페어링부(604)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된다.
여기서, 방송 수신 단말(102)로의 컨텐츠 전송은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102)에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선호 리스트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 편집 요청이 있는 경우, 페어링부(604)는 방송 수신 단말(102)로부터 선호 리스트 및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606)는 수신된 선호 리스트 및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는 시간 및 채널 별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에서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에서 선택한 것이 미래에 소정 채널에서 제공되는 라이브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선택된 라이브 프로그램이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가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되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102)은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를 참조하여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컨텐츠 제공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단말(104)과 방송 수신 단말(102)간 페어링이 완료되고(단계 700), 소스 단말(104)에서 방송 수신 단말(102)로 컨텐츠의 스트리밍 또는 미러링이 이루어진다(단계 702).
방송 수신 단말(102)은 페어링에 의해 전달된 컨텐츠를 출력하며(단계 704), 사용자의 연관 서비스 요청을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단계 706).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되는 연관 서비스 요청은 페어링에 의해 전달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 및 방송 수신 단말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와 같은 연관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708),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102)로 전송한다(단계 710).
방송 수신 단말(102)은 연관 서비스 정보가 수신됨을 알려주는 아이콘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712), 키 신호에 상응하는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단계 71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 키가 입력되는 경우, 방향 키에 상응하는 연관 서비스 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단계 710에서 방송 수신 단말(102)은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에 대한 관련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의 관련도를 갖는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한다(단계 716).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 수신 단말(102)은 현재 페어링된 소스 단말(104)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선호 리스트를 출력하며(단계 718), 사용자가 선호 리스트에서 선택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한다(단계 720).
이처럼 저장된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는 추후 사용자의 연관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예약, 녹화 예약, 주문 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102)이 선호 리스트에서 일부를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과정은 소스 단말(104)에서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는 방송 수신 단말에서 선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c)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리스트 및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를 상기 소스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스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소스 단말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개인 프로그램 가이드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분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서버로부터 상기 캡쳐 이미지 또는 오디오를 분석하여 추출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제목, 관련 태그, 인물, 장소, 속성, 장르 및 컬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는 상기 소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연관 검색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 이후, 소정 방향 키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연관 검색 정보,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되며 방송 사업자가 제공하는 라이브 프로그램 또는 주문형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와 연관되며 방송 사업자 외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검색 정보,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를 위한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방향 키에 상응하는 방향에 미리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면서 출력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페어링을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와의 관련도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상에 해당하는 연관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상기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와 연결되어 선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장치로서,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선호 리스트 등록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3. 방송 수신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서버 장치로서,
    상기 방송 수신 단말로부터, 페어링(pairing)을 통해 연결된 소스 단말로부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및
    상기 컨텐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추출된 연관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는 연관 서비스 정보 추출부-상기 연관 서비스 정보는 상기 전달되는 컨텐츠에 대한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및 추천 컨텐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은 상기 연관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상기 추천 컨텐츠 리스트에서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방송 프로그램 또는 추천 컨텐츠를 선호 리스트에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 장치.
KR1020130154638A 2013-12-12 2013-12-12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68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38A KR20150068686A (ko) 2013-12-12 2013-12-12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638A KR20150068686A (ko) 2013-12-12 2013-12-12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86A true KR20150068686A (ko) 2015-06-22

Family

ID=5351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638A KR20150068686A (ko) 2013-12-12 2013-12-12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6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638A (ko) * 2020-04-29 2021-11-08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자를 위한 온보딩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145553A1 (ko) * 2021-01-04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2260259A1 (ko) * 2021-06-11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638A (ko) * 2020-04-29 2021-11-08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자를 위한 온보딩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WO2022145553A1 (ko) * 2021-01-04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WO2022260259A1 (ko) * 2021-06-11 2022-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719B2 (en) Method for processing television screenshot, smart television, and storage medium
US20220021923A1 (en) Digital 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367910B2 (ja) ユーザ機器デバイスをコンテンツ消費材料で自動構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84184B1 (ko) 아이피티비에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031261A1 (en) Pairing a device based on a visual code
US201401728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US11012754B2 (en) Display apparatus for search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202677A (zh) 支持多窗口应用的多屏显示和控制的方法与装置
US20160164970A1 (en) Applic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pplication Server and Terminal
US2016017393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KR20160078024A (ko)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20150074446A (ko) 외장형 동글을 이용한 다자간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36384B1 (ko)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W201715893A (zh) 個人化智慧電視管理系統以及用於電視的信息推播方法
JP2014236391A (ja) 表示制御装置、文書管理サーバ、及び放送送出装置
KR20150068686A (ko) 선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05033B2 (en) Population of customized channels
US20190220870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public information
CN113727153B (zh) 一种服务器、显示设备及媒资播放列表缓存方法
KR102157398B1 (ko) 컨텐츠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TWI571119B (zh) 顯示控制方法及系統、廣告破口判斷裝置、影音處理裝置
KR102097835B1 (ko)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2731B1 (ko) 페어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71147A (ko) 선택된 쿼리 이미지를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57396B1 (ko)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연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