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26A -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26A
KR20140000026A KR1020120067178A KR20120067178A KR20140000026A KR 20140000026 A KR20140000026 A KR 20140000026A KR 1020120067178 A KR1020120067178 A KR 1020120067178A KR 20120067178 A KR20120067178 A KR 20120067178A KR 20140000026 A KR20140000026 A KR 2014000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unit
mirroring system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리스
Priority to KR102012006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026A/ko
Publication of KR2014000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은,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변환하여 제 1 기기로 입력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 1 기기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따르면,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기기 사이에서도 이용 가능하고, 와이파이의 AP가 없는 환경에서는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의 디스플레이와 다른 디스플레이 사이의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Display Mirroring Syste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다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디스플레이 기기 사이의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PC)는 널리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으나, 그 단점은 작은 화면 크기 때문에 문서 편집 등의 어려움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나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다 큰 모니터나 TV 등의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를 연결하여 회의나 세미나 시에 사용하는 일이 왕왕 있다.
그러나, HDMI나 MHL 인터페이스를 위해 일반적으로 유선으로 연결을 해야 하는 까닭에 공간적 제약이 발생한다.
그래서,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의 경우 와이파이 디스플레(Wi-Fi Display) 규격을 지원하는 것에 의해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와의 무선에 의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나, 종래 판매된 디스플레이 기기는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와이파이의 AP가 없는 환경에서는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만으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의 디스플레이와 다른 디스플레이 사이의 양방향 제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기기 사이에서도 이용 가능하고, 와이파이의 AP가 없는 환경에서도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의 디스플레이와 다른 디스플레이 사이의 양방향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은,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변환하여 제 1 기기로 입력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 1 기기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부; 및 2G, 3G 또는 4G LTE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모뎀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제 2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상기 제 2 기기의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사양에 맞추어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입력된 HDMI 인코딩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 1 기기에 구비된 HDMI 신호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의해 상기 제 2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키보드, 리모콘 또는 상기 제 1 기기의 디스플레이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따르면,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기기 사이에서도 이용 가능하고, 와이파이의 AP가 없는 환경에서는 인터넷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의 디스플레이와 다른 디스플레이 사이의 양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의 사용 환경에 관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의 사용 환경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i-Fi Display) 규격을 지원하는 것에 의해, 테이블릿 피씨나 스마트폰과 같은 제 2 기기(300)로부터 와이파이에 의해 동영상과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글(Dongle) 형태로 제작되어, 제 2 기기(200)의 HDMI, USB 등의 연결 단자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편리한 사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제 2 기기(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제 1 기기(200)로 송신하여, 제 2 기기(300)와 제 1 기기(200)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기기(200)의 예로는, 제 2 기기(300)의 화면 크기 등의 제한에서 비롯되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큰 화면 사이즈를 갖는 TV, 모니터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이란, 소스(Source) 기기에서 싱크(Sink) 기기로 동영상과 음성을 전송할 수 있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스펙(Wi-Fi Alliance Spec.)을 이른다.
이러한 와이 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의 지원에 의해 별도의 AP(Access Point) 없이도, 두 기기 사이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2G, 3G 또는 4G LTE 등의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뎀을 탑재하고 있어, 제 1 기기(200)와 연결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 등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 기기(200)와 제 2 기기(3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모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드란, 중간에 AP를 두지 않고 기기들은 직접 와이파이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이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110), 제 1 인터페이스부(120),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 및 통신 모뎀부(140)를 포함한다.
하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110)는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한다.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를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제 2 기기(300)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에 의해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제 1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110) 또는 통신 모뎀부(140)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변환하여 제 1 기기(200)로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를 입력받아, 제 1 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의 사양에 맞추어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 1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1 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입력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인코딩 정보를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인터페이스부(120)의 출력 신호는, 제 1 기기(200)에 구비된 HDMI 신호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는, 제 1 기기(2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 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식된 사용자 입력 정보의 제 2 기기(300)에의 송신에 의해 제 2 기기(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의 구현 예로는, UBIC(User Input Back Channel) 방식을 들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키보드, 리모콘 또는 제 1 기기(200)의 디스플레이 터치 등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예를 들 수 있다.
즉, 제 2 기기(300)에 입력된 정보가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기능에 의해 제 1 기기(200)에 전송되어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와 제 1 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가 동기화될 뿐 아니라,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의 정보를 제 2 기기(300)로 전송하는 것에 의해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도 제 1 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의 정보와 동기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즉, 양방향 제어(Bi-directional Control)에 의해, 제 1 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와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정보는 완전한 동기화를 이룰 수 있어, 거울과도 같아지는, 미러링(Mirroring) 시스템이 구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미러링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는 제 2 기기(300)를 통해서도 입력이 가능하여, 제 2 기기(300)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 1 기기(200)를 동작하게 할 수도 있어,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2G, 3G 또는 4G LTE 등의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모뎀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모뎀부(140)에 의해, 제 2 기기(300)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통신 모뎀부(140)를 통해 제 2 기기(300)로 입력된 정보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의해 제 1 기기(200)로 송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한, 제 1 기기(200)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뎀부(140)를 이용한 모드에서도 제 1 기기(200)와 제 2 기기(300) 사이에 미러링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1 기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예를 들면 HDMI 신호를 인코딩할 필요가 있고, 제 2 기기(300)는 인코딩된 HDMI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은 두가지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하나는, 제 2 기기(300)를 소스 기기로 하여,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에 의한 제 1 기기(200)와 제 2 기기(300)의 디스플레이 미러링이다. 다른 하나는, 통신 모뎀부(140)를 이용한 제 1 기기(200) 단독 사용과, 통신 모뎀부(140)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 인식부(130)를 이용하여 제 1 기기(200)와 제 2 기기(300) 사이의 무선 디스플레이 미러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100)에 따르면, 제 2 기기(300)의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능을 이용하여 제3의 저장 장소에 있는 콘텐츠를 제 1 기기(200)에서 재현 및 제어가 가능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마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200 : 제 1 기기
300 : 제 2 기기
110 :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
120 : 제 1 인터페이스부
130 : 사용자 입력 인식부
140 : 통신 모뎀부

Claims (8)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로부터의 입력된 정보를 변환하여 제 1 기기로 입력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 1 기기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 정보를 인식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제 2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규격을 지원하는 상기 제 2 기기의 와이파이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송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사양에 맞추어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의해 상기 제 2 기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입력된 HDMI 인코딩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제 1 기기에 구비된 HDMI 신호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은,
    2G, 3G 또는 4G LTE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모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키보드, 리모콘 또는 상기 제 1 기기의 디스플레이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KR1020120067178A 2012-06-22 2012-06-22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KR20140000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178A KR20140000026A (ko) 2012-06-22 2012-06-22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178A KR20140000026A (ko) 2012-06-22 2012-06-22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26A true KR20140000026A (ko) 2014-01-02

Family

ID=5013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178A KR20140000026A (ko) 2012-06-22 2012-06-22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0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40U (ko) * 2014-01-10 2015-07-20 리앙, 후이-핀 휴대식 통신장치의 프로젝션 키보드
US20150208032A1 (en) * 2014-01-17 2015-07-23 James Albert Gavney, Jr. Content data capture, display and manipulation system
WO2021080290A1 (en) * 2019-10-21 2021-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40U (ko) * 2014-01-10 2015-07-20 리앙, 후이-핀 휴대식 통신장치의 프로젝션 키보드
US20150208032A1 (en) * 2014-01-17 2015-07-23 James Albert Gavney, Jr. Content data capture, display and manipulation system
WO2021080290A1 (en) * 2019-10-21 2021-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29339B2 (en) 2019-10-21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3441T3 (es) Sistema de conferencia, herramienta y dispositivos periféricos
US10049498B2 (en) Video conver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7333082A (zh) 一种基于USB Type C接口的无线协作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184983A (zh) 一种会议终端及其业务处理方法
US20160255390A1 (en) Wireless projection system and wireless projector
CN109753259B (zh) 一种投屏系统及控制方法
KR20140000026A (ko) 디스플레이 미러링 시스템
CN108259978A (zh) 一种带有无线路由器的有线同屏器
KR101582801B1 (ko) Hdmi 동글 및 그의 제어방법
CN205490969U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多媒体播放系统
CN202602796U (zh) 电视机、触摸显示遥控器及电视机控制系统
EP3179361B1 (en) External display system and external display method therefor
CN203299805U (zh) 一种无线影音传输设备
KR20120128348A (ko) 원격 영상 전송 및 프로젝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028522A1 (en) Transmission of subtitle data for wireless display
TWI663860B (zh) Adjustable interface conversion method
KR20210065636A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화면의 실시간 송수신 시스템 및 장치
CN214540738U (zh) 一种扩展触控会议机触摸功能的盒子装置
CN204859449U (zh) 一种hdmi无线适配器
JP6230273B2 (ja) 通信接続システムおよび通信接続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CN204440005U (zh) 4g投影仪
CN101977280A (zh) 分离式机顶盒无线投影系统
CN203775328U (zh) 一种多媒体高清无线传输系统
KR101456276B1 (ko) 엠에치엘 스마트 셋톱박스
CN202750167U (zh) 一种分体式投影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