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088A - 차량용 변속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088A
KR20160147088A KR1020150082503A KR20150082503A KR20160147088A KR 20160147088 A KR20160147088 A KR 20160147088A KR 1020150082503 A KR1020150082503 A KR 1020150082503A KR 20150082503 A KR20150082503 A KR 20150082503A KR 20160147088 A KR20160147088 A KR 2016014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put
shaft
output
coun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861B1 (ko
Inventor
어순기
김천옥
임채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861B1/ko
Priority to US14/883,446 priority patent/US9850983B2/en
Priority to CN201510716501.4A priority patent/CN106257102B/zh
Publication of KR2016014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16H3/09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the input and output shafts being aligned on the same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one or more one-way clutches as an essential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D2023/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16H2003/00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with two flow paths, one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the other being connected to the input though a clutch
    • F16H2003/09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91Measures for reducing weight of gear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even forward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수동변속기가 탑재된 차량의 변속 중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력원으로부터 상시 회전동력을 제공받으며, 제1입력전달기어가 구비된 제1입력축; 클러치를 통해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으며, 제2입력전달기어가 구비된 제2입력축; 제1입력축과 제1입력전달기어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제1입력축에 대한 제1입력전달기어의 상대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단속수단; 제1입력전달기어 및 제2입력전달기어와 치합되도록 출력전달기어가 각각 구비된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 각 출력전달기어를 해당 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되, 변속시 상기 출력전달기어들 중 목표 변속단기어 측에 연결된 출력전달기어들을 해당 카운터축에 미리 결합하거나 동기화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목표 변속단기어 측으로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단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장치는 출력전달기어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기{TRANSMIS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 중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차량의 운전중 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져서 자동변속기와 유사한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고, 자동변속기보다 우수한 동력 전달 효율로 차량의 연비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동기치합식 변속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경우, 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중간에도 기어의 변속 중에는 엔진의 동력이 단절되는 순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토크 저하에 의해 마치 차량을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엔진과 변속메커니즘 사이에 유성기어장치를 설치하여, 엔진의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변속메커니즘이나 출력축으로 선택하여 전달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한편,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132758호의 "자동화 수동변속기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파워트레인" 이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에 따르면,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개의 모터가 필요함으로써, 변속기의 원가 및 중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132758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용 변속과정에서 변속 중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개선하도록 한 차량용 변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동력원으로부터 상시 회전동력을 제공받으며, 제1입력전달기어가 구비된 제1입력축; 클러치를 통해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으며, 제2입력전달기어가 구비된 제2입력축; 제1입력축과 제1입력전달기어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제1입력축에 대한 제1입력전달기어의 상대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단속수단; 제1입력전달기어 및 제2입력전달기어와 치합되도록 출력전달기어가 각각 구비된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 각 출력전달기어를 해당 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되, 변속시 상기 출력전달기어들 중 목표 변속단기어 측에 연결된 출력전달기어들을 해당 카운터축에 미리 결합하거나 동기화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목표 변속단기어 측으로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단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장치는 출력전달기어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축은 중공축을 이루어 제1입력축이 제2입력축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속수단은 원웨이클러치일 수 있다.
상기 원웨이클러치는 제1입력전달기어와 제1입력축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전달기어는, 제1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1예치합기어; 제1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1동기치합기어; 제2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2예치합기어; 및 제2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2동기치합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전달기어 및 제2입력전달기어와 동일 카운터축 상에서 치합되는 출력전달기어들의 기어비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속장치는,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1단속장치; 제2카운터축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단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속장치 및 제2단속장치는 출력전달기어들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속장치와 제2단속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장치가 출력전달기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에 나란하게 배치된 출력축;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출력축에 변속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변속단기어짝이 각각 구비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출력축을 통해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출력축은 동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에 홀수단 또는 짝수단을 이루는 입력측 변속단기어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입력측 변속단기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변속단기어들이 제2카운터축에 구비되며; 출력축에 상기 입력측 변속단기어들과 짝을 이루는 출력측 변속단기어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센터단속장치가 단속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주행시 제1입력전달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흐름이,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에서 원웨이클러치의 상대 회전작용에 의해서 제2입력전달기어를 통해 목표 변속단기어짝으로 부드럽게 전환됨으로써, 변속중 차량을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에 의해 N단에서 1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에 의해 1단에서 2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에서 단속장치의 배치를 달리한 전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에서 단속장치의 배치를 달리한 다른 전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에서 변속장치부의 기어배치를 달리한 전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기에서 변속장치부의 기어배치를 달리한 다른 전체 구조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는, 크게 제1입력축(INPUT1)과, 제2입력축(INPUT2)과, 단속수단과, 제1카운터축(CNT1) 및 제2카운터축(CNT2)과, 단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입력축(INPUT1)은 일단에 동력원이 연결되어 동력원으로부터 상시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타단에는 제1입력전달기어(3)가 제1입력축(INPUT1)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원은 엔진(1)일 수 있는 것으로, 엔진(1)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제1입력축(INPUT1)이 상시 회전될 수 있다.
제2입력축(INPUT2)은, 일단에 클러치(C)를 매개로 동력원이 연결되어 상기 클러치(C)의 결합 및 분리 작동에 따라 상기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고, 타단에는 제2입력전달기어(5)가 상대 회전이 구속된 상태로 구비되어 제2입려전달기어는 제2입력축(INPUT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입력축(INPUT1)과 제2입력축(INPUT2)은 동심축 상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입력축(INPUT2)은 중공축의 형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제2입력축(INPUT2)의 내부에 제1입력축(INPUT1)이 삽입 구비될 수 있다.
단속수단은 상기 제1입력축(INPUT1)과 제1입력전달기어(3)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제1입력축(INPUT1)에 대한 제1입력전달기어(3)의 상대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동력을 기계적으로 단속하는 원웨이클러치(OWC)일 수 있지만, 이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되는 기계장치, 또는 유체로 작동되는 부품 또는 유체-기계 복합 구조장치, 전기/전자력을 이용한 장치 등이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속수단(이하 '원웨이클러치'로 칭함)은 제1입력전달기어(3)와 제1입력축(INPUT1) 사이에 구비되어, 제1입력축(INPUT1)으로부터 제1카운터축(CNT1) 방향이나, 제2카운터축(CNT2)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고, 반대방향으로는 상대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예컨대, 제1입력축(INPUT1)의 회전속도가 제1입력전달기어(3)의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제1입력축(INPUT1)이 제1입력전달기어(3)를 함께 끌면서 회전시킨다. 반대로 제1입력축(INPUT1)의 회전속도가 제1입력전달기어(3)의 회전속도보다 느릴 경우, 제1입력전달기어(3)는 원웨이클러치(OWC)에 의해 제1입력축(INPUT1)보다 더 빠른 속도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제1카운터축(CNT1)에는, 제1입력전달기어(3) 및 제2입력전달기어(5)와 각각 치합되도록 두 개의 출력전달기어가 구비되고, 제2카운터축(CNT2) 역시 제1입력전달기어(3) 및 제2입력전달기어(5)와 각각 치합되도록 두 개의 출력전달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출력전달기어는, 제1카운터축(CNT1)에 구비된 제1예치합기어(7) 및 제1동기치합기어(9)와,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된 제2예치합기어(11) 및 제2동기치합기어(1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예치합기어(7)는 제1카운터축(CNT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입력전달기어(5)에 상시 치합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동기치합기어(9)는, 제1카운터축(CNT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입력전달기어(3)에 상시 치합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예치합기어(11)는, 제2카운터축(CNT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입력전달기어(5)에 상시 치합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동기치합기어(13)는, 제2카운터축(CNT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입력전달기어(3)에 상시 치합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제1입력전달기어(3) 및 제2입력전달기어(5)와 동일 카운터축 상에 치합되는 두 출력전달기어들의 기어비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입력전달기어(3)와 치합되는 제1동기치합기어(9)의 기어비와, 제2입력전달기어(5)와 치합되는 제1예치합기어(7)의 기어비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전달기어(3)와 치합되는 제2동기치합기어(13)의 기어비와, 제2입력전달기어(5)와 치합되는 제2예치합기어(11)의 기어비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카운터축(CNT1)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와,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의 기어비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속장치는, 상기 각 출력전달기어를 해당 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다. 예컨대, 상기 단속장치의 작동을 통해서 제1카운터축(CNT1)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1카운터축(CNT1)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고,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되 출력전달기어를 제2카운터축(CNT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즉, 차량의 변속시 상기 출력전달기어들 중 목표 변속단기어 측에 연결된 출력전달기어들을 해당 카운터축에 미리 결합하거나 동기화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현재 변속단기어 측에서 목표 변속단기어 측으로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장치는, 제1카운터축(CNT1)에 마련된 제1단속장치와, 제2카운터축(CNT2)에 마련된 제2단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속장치는 제1카운터축(CNT1)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1카운터축(CNT1)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속장치는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2카운터축(CNT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단속장치 및 제2단속장치는 각 출력전달기어들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각 단속장치는 동기치합식의 싱크로 동기장치, 도그클러치, 변형된 도그클러치, 건/습식 클러치, 전기/전자식 건/습식 마그네트 클러치, 커플링, 유체커플링, 스플라인에 의한 결합 등 동력을 단속하는 모든 단속장치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1단속장치는, 제1예치합기어(7)를 제1카운터축(CNT1)에 결합하기 위한 제1-1단속장치(S1-1)와, 제1동기치합기어(9)를 제1카운터축(CNT1)에 결합하기 위한 제1-2단속장치(S1-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속장치는, 제2예치합기어(11)를 제2카운터축(CNT2)에 결합하기 위한 제2-1단속장치(S2-1)와, 제2동기치합기어(13)를 제2카운터축(CNT2)에 결합하기 위한 제2-2단속장치(S2-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단속장치는 상기 출력전달기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예치합기어(7)와 제1동기치합기어(9) 사이에 제1-2단속장치(S1-2)가 배치되고, 제2예치합기어(11)와 제2동기치합기어(13) 사이에 제2-2단속장치(S2-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에, 제1-1단속장치(S1-1)는 엔진(1) 측을 향하도록 제1예치합기어(7)의 측부에 배치되고, 제2-1단속장치(S2-1)는 엔진(1) 측을 향하도록 제2예치합기어(1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예치합기어(7)와 제1동기치합기어(9) 사이에 제1-1단속장치(S1-1)가 배치되고, 제2예치합기어(11)와 제2동기치합기어(13) 사이에 제2-1단속장치(S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에, 제1-2단속장치(S1-2)는 변속장치부(15) 측을 향하도록 제1동기치합기어(9)의 측부에 배치되고, 제2-2단속장치(S2-2)는 변속장치부(15) 측을 향하도록 제2동기치합기어(13)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예치합기어(7)와 제1동기치합기어(9) 사이에 제1-1단속장치(S1-1) 및 제1-2단속장치(S1-2)가 배치되고, 제2예치합기어(11)와 제2동기치합기어(13) 사이에 제2-1단속장치(S2-1) 및 제2-2단속장치(S2-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출력전달기어들을 해당 카운터축에 결합하기 위한 단속장치를 각 출력전달기어 별로 개별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변속과정에서 두 개의 출력전달기어를 각각 결합 및 해제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을 줄여 변속소요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변속기에는, 출력축(OUTPUT)과, 변속장치부(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축(OUTPUT)은 제1카운터축(CNT1) 및 제2카운터축(CNT2)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출력축(OUTPUT)은 제1입력축(INPUT1) 및 제2입력축(INPUT2)과 동심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출력축(OUTPUT)에 전달된 출력은 다시, 또 다른 기어짝, 유성기어세트 또는 기타의 다른 변속요소들을 통해 증속되거나 감속되어 휠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변속장치부(15)는, 상기 제1카운터축(CNT1) 및 제2카운터축(CNT2)과 출력축(OUTPUT)에 변속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변속단기어짝이 각각 구비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출력축(OUTPUT)을 통해 변속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속장치부(15) 배치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1카운터축(CNT1)에 홀수단 또는 짝수단을 이루는 입력측 변속단기어들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카운터축(CNT1)에 구비된 입력측 변속단기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변속단기어들이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축(OUTPUT)에는 상기 입력측 변속단기어들과 짝을 이루는 출력측 변속단기어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카운터축(CNT1)에 1단, 3단, 5단, 7단을 형성할 수 있는 입력측 변속단기어가 구비되는 경우, 제2카운터축(CNT2)에 2단, 4단, 6단, R단을 형성할 수 있는 입력측 변속단기어가 구비되고, 출력축(OUTPUT)에 출력측 변속단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 1단 및 3단 입력측 변속단기어 사이에는 1&3단동기장치(S1&3)가 배치되고, 5단 및 7단 입력측 변속단기어 사이에는 5&7단동기장치(S5&7)가 배치되며, 2단 및 4단 입력측 변속단기어 사이에는 2&4단동기장치(S2&4)가 배치되고, 6단 및 R단 입력측 변속단기어 사이에는 6&R단동기장치(S6&R)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변속장치부(15)의 다른 배치구조에 따르면, 도 1에서 변속장치부(15)를 구성하는 변속단기어들의 배치를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카운터축(CNT1)에 홀수단의 입력측 변속단기어들 뿐만 아니라, 일부 짝수단의 입력측 변속단기어들(R단, 4단)을 함께 배치할 수 있고, 제1카운터축(CNT1) 또는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된 동기장치를 출력축(OUTPUT)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제1입력축(INPUT1)과 출력축(OUTPUT) 사이에는 센터단속장치(SC)가 단속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센터단속장치(SC)의 작동을 통해 제1입력축(INPUT1)과 출력축(OUTPUT)을 직결 상태로 연결 가능한바, 동력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센터단속장치는 동기치합식의 싱크로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변속장치부(15)의 또 다른 배치구조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변속장치부(15)를 구성하는 변속단기어들의 배치를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카운터축(CNT1)에 홀수단의 입력측 변속단기어들 뿐만 아니라, 일부 짝수단의 입력측 변속단기어(R단)를 함께 배치할 수 있고, 제1카운터축(CNT1) 또는 제2카운터축(CNT2)에 구비된 동기장치를 출력축(OUTPUT)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N단(중립)에서 1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차량의 초기 시동시에는 제1입력축(INPUT1)이 엔진(1)과 직결되어 있어, 제1입력축(INPUT1)과 함께 원웨이클러치(OWC)에 의해 제1입력전달기어(3)가 함께 회전된다.
다만, 이 같은 상태에서는 변속기 내의 모든 단속장치 및 동기장치가 중립위치에 있어, 클러치(C)의 온/오프 여부에 관계없이 엔진(1) 회전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1단으로 변속 시작시, 먼저 도 2a와 같이 클러치(C)를 결합하기 전에 제1-1단속장치(S1-1)를 이용하여 제1예치합기어(7)를 제1카운터축(CNT1)에 미리 결합하고, 이와 함께 1&3단동기장치(S1&3)를 이용하여 입력측 1단 변속단기어를 제1카운터축(CNT1)에 미리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2b와 같이 클러치(C)를 결합하면, 제2입력축(INPUT2)을 통해서도 엔진(1)의 회전동력이 전달되기 시작하면서, 제2입력전달기어(5)와 제1예치합기어(7)를 통해 제1카운터축(CNT1)에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제1카운터축(CNT1)과 출력축(OUTPUT)에 배치된 1단 변속단기어 짝을 통해 1단 변속단을 형성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도 2c와 같이 제1-2단속장치(S1-2)를 이용하여 제1동기치합기어(9)를 제1카운터축(CNT1)에 결합한다.
즉, 도 2b와 같이 1단 변속단을 형성하여 주행하는 경우, 제1입력축(INPUT1)과 제2입력축(INPUT2)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는데, 제1입력전달기어(3) 및 제2입력전달기어(5)와 치합된 제1예치합기어(7) 및 제1동기치합기어(9)는 서로 동일한 기어비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예치합기어(7)와 제1동기치합기어(9)의 회전속도가 동기화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제1동기치합기어(9)의 파손 우려 없이 제1-2단속장치(S1-2)를 제1동기치합기어(9)에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2d와 같이 제1-1단속장치(S1-1)를 제1예치합기어(7)로부터 결합 해제하게 되는데, 이처럼 제1예치합기어(7)의 결합을 해제하더라도 제1입력축(INPUT1)이 엔진(1)에 직결되어 있으므로, 엔진(1)의 회전동력이 제1입력전달기어(3)와 제1동기치합기어(9)를 통해서 여전히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1단으로의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후,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클러치(C)를 해제하게 되더라도 엔진(1)과 직결된 제1입력축(INPUT1)을 통해 엔진(1) 회전동력이 여전히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는바, 1단 변속단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1단에서 2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단에서 2단으로 변속 시작시, 도 3a와 같이 클러치(C)를 해제한 상태에서 제2-1단속장치(S2-1)를 이용하여 제2예치합기어(11)를 제2카운터축(CNT2)에 미리 결합하고, 이와 함께 2&4단동기장치(S2&4)를 이용하여 입력측 2단 변속단기어를 제2카운터축(CNT2)에 미리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2b와 같이 클러치(C)를 결합하면, 제2입력축(INPUT2)을 통해서도 엔진(1)의 회전동력이 전달되기 시작하면서, 제2입력전달기어(5)와 제2예치합기어(11)를 통해 제2카운터축(CNT2)으로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제2카운터축(CNT2)과 출력축(OUTPUT)에 배치된 2단 변속단기어 짝을 통해서 2단 변속단을 형성하여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클러치(C) 결합 이전에, 제1동기치합기어(9)와 함께 1단 변속단기어짝이 체결되어 1단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클러치(C)가 결합될 때에 2단 변속단기어짝과 1단 변속단기어짝의 기어비 차이에 의해서 제1입력전달기어(3)가 제1입력축(INPUT1)보다 더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려는 상대 회전작용이 발생하고, 이 같은 상대 회전작용이 원웨이클러치(OWC)에 의해 허용된다.
따라서, 1단 주행 상황에서 제1입력전달기어(3)를 통해 제1카운터축(CNT1)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흐름이, 2단 변속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에서 클러치(C)의 슬립 체결 제어 및 원웨이클러치(OWC)의 상대 회전작용에 의해 제2입력전달기어(5)를 통해 제2카운터축(CNT2)으로 부드럽게 전환됨으로써, 변속중 차량을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도 3c와 같이 제2-2단속장치(S2-2)를 이용하여 제2동기치합기어(13)를 제2카운터축(CNT2)에 결합한다.
즉, 도 3b와 같이 2단 변속단을 형성하여 주행하는 경우, 제1입력축(INPUT1)과 제2입력축(INPUT2)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고 있고, 제1입력전달기어(3) 및 제2입력전달기어(5)와 치합된 제2예치합기어(11) 및 제2동기치합기어(13)는 서로 동일한 기어비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2예치합기어(11)와 제2동기치합기어(13)의 회전속도가 서로 동기화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제2동기치합기어(13)의 파손 우려 없이 제2-2단속장치(S2-2)를 제2동기치합기어(13)에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3d와 같이 제2-1단속장치(S2-1)를 제2예치합기어(11)로부터 결합 해제하게 되는데, 이처럼 제2예치합기어(11)의 결합을 해제하더라도 제1입력축(INPUT1)이 엔진(1)에 직결되어 있으므로, 엔진(1)의 회전동력이 제1입력전달기어(3)와 제2동기치합기어(13)를 통해서 여전히 출력축(OUTPUT)으로 전달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2단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후에,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클러치(C)를 해제하게 되더라도 엔진(1)과 직결된 제1입력축(INPUT1)을 통해 출력축(OUTPUT)으로 여전히 회전동력이 전달되는바, 2단 변속단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나머지 변속단의 경우에도 상기한 변속작용과 동일한 작동을 통해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시 제1입력전달기어(3)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의 흐름이, 목표 변속단으로 변속하는 과정에서 클러치(C)의 슬립 체결 제어 및 원웨이클러치(OWC)의 상대 회전작용에 의해서 제2입력전달기어(5)를 통해 목표 변속단기어짝으로 부드럽게 전환됨으로써, 변속중 차량을 끌어당기는 듯한 변속감 저하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엔진 3 : 제1입력전달기어
5 : 제2입력전달기어 7 : 제1예치합기어
9 : 제1동기치합기어 11 : 제2예치합기어
13 : 제2동기치합기어 15 : 변속장치부
S1-1 : 제1-1단속장치 S1-2 : 제1-2단속장치
S2-1 : 제2-1단속장치 S2-2 : 제2-2단속장치
SC : 센터단속장치 C : 클러치
OWC : 원웨이클러치
INPUT1 : 제1입력축 INPUT2 : 제2입력축
CNT1 : 제1카운터축 CNT2 : 제2카운터축
OUTPUT : 출력축

Claims (13)

  1. 동력원으로부터 상시 회전동력을 제공받으며, 제1입력전달기어가 구비된 제1입력축;
    클러치를 통해 동력원의 회전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받으며, 제2입력전달기어가 구비된 제2입력축;
    제1입력축과 제1입력전달기어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제1입력축에 대한 제1입력전달기어의 상대 회전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단속수단;
    제1입력전달기어 및 제2입력전달기어와 치합되도록 출력전달기어가 각각 구비된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
    각 출력전달기어를 해당 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되, 변속시 상기 출력전달기어들 중 목표 변속단기어 측에 연결된 출력전달기어들을 해당 카운터축에 미리 결합하거나 동기화 상태에서 결합함으로써, 목표 변속단기어 측으로 동력원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단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장치는 출력전달기어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축은 중공축을 이루어 제1입력축이 제2입력축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원웨이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클러치는 제1입력전달기어와 제1입력축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달기어는,
    제1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1예치합기어;
    제1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1동기치합기어;
    제2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2예치합기어; 및
    제2카운터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입력전달기어에 치합되어 구비된 제2동기치합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전달기어 및 제2입력전달기어와 동일 카운터축 상에서 치합되는 출력전달기어들의 기어비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속장치는,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1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1단속장치;
    제2카운터축에 구비된 출력전달기어를 제2카운터축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제2단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장치 및 제2단속장치는 출력전달기어들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장치와 제2단속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장치가 출력전달기어들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에 나란하게 배치된 출력축;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출력축에 변속비를 달리하는 복수의 변속단기어짝이 각각 구비되고, 동기장치에 의해 주행속도에 맞는 기어짝을 선택하여 동력원에서 제공되는 회전동력을 출력축을 통해 변속하여 출력하는 변속장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출력축은 동심축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에 홀수단 또는 짝수단을 이루는 입력측 변속단기어들이 구비되고;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입력측 변속단기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변속단기어들이 제2카운터축에 구비되며;
    출력축에 상기 입력측 변속단기어들과 짝을 이루는 출력측 변속단기어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센터단속장치가 단속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기.
KR1020150082503A 2015-06-11 2015-06-11 차량용 변속기 KR101724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03A KR101724861B1 (ko) 2015-06-11 2015-06-11 차량용 변속기
US14/883,446 US9850983B2 (en) 2015-06-11 2015-10-14 Transmission for vehicle
CN201510716501.4A CN106257102B (zh) 2015-06-11 2015-10-29 用于车辆的变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03A KR101724861B1 (ko) 2015-06-11 2015-06-11 차량용 변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088A true KR20160147088A (ko) 2016-12-22
KR101724861B1 KR101724861B1 (ko) 2017-04-10

Family

ID=5751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03A KR101724861B1 (ko) 2015-06-11 2015-06-11 차량용 변속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0983B2 (ko)
KR (1) KR101724861B1 (ko)
CN (1) CN1062571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8367B (zh) * 2017-11-09 2023-01-17 凯斯纽荷兰(中国)管理有限公司 双离合变速器中的改进或与双离合变速器相关的改进
CN112389186B (zh) * 2020-11-27 2023-04-07 重庆青山工业有限责任公司 混合动力总成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115A (ja) * 2004-01-08 2005-07-2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
KR20090132758A (ko) 2008-06-23 2009-12-31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파워트레인
KR20100088731A (ko) * 2009-02-02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20130114816A (ko) * 2012-04-10 2013-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20130114815A (ko) * 2012-04-10 2013-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448A (ja) * 1982-02-27 1983-09-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S58221061A (ja) * 1982-06-18 1983-12-22 Toyota Motor Corp 歯車式変速装置
FR2531515A1 (en) * 1982-08-03 1984-02-10 Renault Gearbox with integrated range doubler.
SE448359B (sv) * 1985-07-01 1987-02-16 Volvo Ab Motorfordonsvexellada
US5333512A (en) * 1991-12-16 1994-08-02 Volkswagen Ag Multistage transmission with an automatic load-shift spur gear
US5186065A (en) * 1991-12-23 1993-02-16 Saturn Corporation Multi-ratio power transmission
WO1998040647A1 (de) * 1997-03-11 1998-09-17 Robert Bosch Gmbh Getriebeintegrierte elektromaschine für kraftfahrzeug-brennkraftmaschinen und deren steuerung
EP2463551B1 (en) * 2005-02-10 2015-04-08 BorgWarner Inc. Dual clutch transmission
JP4404795B2 (ja) * 2005-03-28 2010-01-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歯車式変速装置
DE102006038813A1 (de) * 2006-08-18 2008-02-21 Magna Powertrain Ag & Co Kg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JP4981993B2 (ja) * 2009-06-12 2012-07-25 株式会社ユニバンス 動力伝達装置
DE102012202652A1 (de) * 2012-02-21 2013-08-22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5115A (ja) * 2004-01-08 2005-07-21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変速機
KR20090132758A (ko) 2008-06-23 2009-12-31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변속기를 갖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파워트레인
KR20100088731A (ko) * 2009-02-02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20130114816A (ko) * 2012-04-10 2013-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
KR20130114815A (ko) * 2012-04-10 2013-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7102A (zh) 2016-12-28
CN106257102B (zh) 2020-11-06
US20160363187A1 (en) 2016-12-15
KR101724861B1 (ko) 2017-04-10
US9850983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929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755833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5431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US8528432B2 (en) Twin clutch transmission for large-sized vehicle
KR20160150139A (ko) 차량용 변속기
KR20160134906A (ko) 차량용 변속기
KR101551004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20170012771A (ko) 차량용 변속기
KR101054965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US10100903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2496260B1 (ko) 모터 구동 차량의 변속기
KR101936981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637687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변속기
KR20210109064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WO2014171267A1 (ja) 変速装置
KR20140068676A (ko) 차량용 변속장치
KR101724861B1 (ko) 차량용 변속기
KR20210031579A (ko)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795291B1 (ko) 차량용 변속기
CN109278524A (zh) 混合动力系统及其工作方法、混合动力车辆
JP2016188678A (ja) 変速装置
KR101836617B1 (ko) 차량용 다단 dct
KR20170024189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KR101822237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JP6058120B2 (ja) 変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