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65B1 -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 Google Patents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965B1
KR101054965B1 KR1020090007809A KR20090007809A KR101054965B1 KR 101054965 B1 KR101054965 B1 KR 101054965B1 KR 1020090007809 A KR1020090007809 A KR 1020090007809A KR 20090007809 A KR20090007809 A KR 20090007809A KR 101054965 B1 KR101054965 B1 KR 10105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counter shaft
main shaft
shif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731A (ko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9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16H3/09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the input and output shafts being aligned on the same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7속의 변속단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6속 더블클러치 변속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은 변속기의 전장을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패키지성능과 차량에의 탑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변속기의 중량 증가를 최소한에 그치도록 하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더블클러치, DCT, 7속

Description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Power Train of Double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은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7단의 변속단을 구비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전장(全長)이 짧아 변속기 자체의 패키지성과 차량에의 탑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변속기의 중량 증가가 최소화 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블클러치 변속기(DCT: Double Clutch Transmission)는 두 개의 클러치를 구비하여, 변속기의 기어열로 전달되는 동력이 상기 두 클러치를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두 개의 클러치를 통해 입력축을 2개로 분리하고, 이들 두 입력축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서로 교번하는 짝수단 및 홀수단으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두 클러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유도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더블클러치 변속기는 구조적으로 클러치를 2개 사용하므로 변속기의 전체 길이인 전장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최근 변속기가 변속할 수 있는 변속단을 점차 다단화 하고 있는 실정에서, 더블클러치 변속기는 변속기의 전장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어서, 변속기 자체의 패키지성능에서 취약하고, 차량에의 탑재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7속의 변속단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6속 더블클러치 변속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은 변속기의 전장을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패키지성능과 차량에의 탑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변속기의 중량 증가를 최소한에 그치도록 하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도록 한 더블클러치 변속기 파워트레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가 구비된 제1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가 구비된 제2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의 구속기어에 치합된 구속기어를 구비한 제1카운터축과;
상기 제2입력축의 구속기어에 치합된 구속기어를 구비한 제2카운터축과;
서로 치합된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으로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와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의 자유기어들을 각 축에 구속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된 다수의 동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동기장치들 중 하나는 동심축상의 상기 제1입력축과 메인샤프트를 단속하여 하나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카운터축과 제2카운터축은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삭제
상기 제1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의 기어들과 동시에 치합되는 리버스아이들러기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카운터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리버스아이들러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일련의 정수로 이루어진 변속단들 중 홀수단들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짝수단들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홀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직결시켜서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는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의 자유기어와 동시에 치합되어 2개의 변속단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제1속변속단과 제3속변속단 및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제2속변속단과 제4속변속단 및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직결시켜서 구현하는 변속단은 제5속변속단이고;
상기 메인샤프트에는 상기 제1카운터축의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카운터축의 제4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와 치합된 구속기어가 구비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속변속단과 제2속변속단 및 제3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들은 상기 메인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4속변속단과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들은 상기 제2카운터 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는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직결시키는 동기장치는 상기 제1입력축과 메인샤프트를 결합시키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를 상기 메인샤프트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는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는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된 자유기어인 리버스드라이브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리버스드라이브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동기장치는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도 상기 제1카운터축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카운터축에는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구속기어와 상기 제2카운터축을 상기 제2입력축에 연결하는 구속기어 사이에 파킹기어가 구비된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7속의 변속단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6속 더블클러치 변속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은 변속기의 전장을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패키지성능과 차량에의 탑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변속기의 중량 증가를 최소한에 그치도록 하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G)가 구비된 제1입력축(1)과; 상기 제1입력축(1)과 동심축을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G)가 구비된 제2입력축(3)과; 상기 제1입력축(1)의 구속기어(G)에 치합된 구속기어(G)를 구비한 제1카운터축(5)과; 상기 제2입력축(3)의 구속기어(G)에 치합된 구속기어(G)를 구비한 제2카운터축(7)과; 서로 치합된 구속기어(G)와 자유기어(F) 쌍으로 상기 제1카운터축(5) 및 제2카운터축(7)과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메인샤프트(9)와; 상기 메인샤프트(9)와 제1카운터축(5) 및 제2카운터축(7)의 자유기어(F)들을 각 축에 구속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된 다수의 동기장치(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입력축(1)으로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제1카운터축(5)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입력축(3)으로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제2카운터축(7)으로 전달하여, 상기 제1카운터축(5)과 제2카운터축(7)의 기어들과 치합되는 기어들을 구비한 상기 메인샤프트(9)를 이용하여 원하는 변속비를 얻어내고, 상기 메인샤프트(9)를 통해 동력을 인출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제1입력축(1)과 제2입력축(3)에는 각각 클러치가 연결되어 엔진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상태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샤프트(9)로 출력되는 동력은 후륜디퍼렌셜로 연결되어 후륜구동 파워트레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륜디퍼렌셜을 상기 메인샤프트(9)에 근접하여 장착하여 전륜구동 파워트레인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메인샤프트(9)는 상기 제1입력축(1) 및 제2입력축(3)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제1카운터축(5)과 제2카운터축(7)은 상기 제1입력축(1) 및 제2입력축(3)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카운터축(5)과 상기 메인샤프트(9)의 기어들과 동시에 치합되는 리버스아이들러기어(11)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카운터축(5)에 평행하게 배치된 리버스아이들러샤프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카운터축(5)과 상기 메인샤프트(9) 사이의 구속기어(G)와 자유기어(F) 쌍들은 일련의 정수로 이루어진 변속단들 중 홀수단들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카운터축(7)과 상기 메인샤프트(9) 사이의 구속기어(G)와 자유기어(F) 쌍들은 짝수단들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홀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1)과 상기 메인샤프트(9)를 직결시켜서 구현되도록 구성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총 7속의 변속단과 후진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 바, 상기 일련의 정수로 이루어진 변속단이라 함은 제1 내지 제7속의 변속단을 의미하며, 이들 중 홀수단은 제1속변속단, 제3속변속단, 제5속변속단 및 제7속변속단이며, 짝수단은 제2속변속단, 제4속변속단 및 제6속변속단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샤프트(9)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G)는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의 자유기어와 동시에 치합되어 2개의 변속단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변속기의 전장을 더욱 짧게 형성하도록 하며, 부품의 공용화에 따라 변속기의 중량을 저감하도록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메인샤프트(9)에는 상기 제1카운터축(5)의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와 치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카운터축(7)의 제4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와 치합된 구속기어(G)가 구비되도록 하여, 변속기의 전장과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제4속변속단과 제7속변속단 구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상기 구속기어(G)는 이후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G―47의 참조부호로 표현된다.
상기 제1카운터축(5)과 상기 메인샤프트(9) 사이의 구속기어(G)와 자유기어(F) 쌍들은 제1속변속단과 제3속변속단 및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도록 배치 되고, 상기 제2카운터축(7)과 상기 메인샤프트(9) 사이의 구속기어(G)와 자유기어(F) 쌍들은 제2속변속단과 제4속변속단 및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도록 배치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입력축(1)과 상기 메인샤프트(9)를 직결시켜서 구현하는 변속단은 제5속변속단으로 하였다.
상기 제1속변속단과 제2속변속단 및 제3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들은 상기 메인샤프트(9)에 구비되고, 상기 제4속변속단과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들은 상기 제2카운터축(7)에 구비되며,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는 상기 제1카운터축(5)에 구비되어 있고, 물론, 이들 자유기어(F)들과 치합하여 각 변속단의 기어비를 형성하는 구속기어(G)들이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하의 설명과 도면에서, 참조부호의 G는 구속기어(G)를, F는 자유기어(F)를, S는 동기장치를 의미하되, 그 뒤에 붙는 기호에 의해 서로를 구분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입력축(1)과 상기 메인샤프트(9)를 직결시키는 동기장치(S―25)는 상기 제1입력축(1)과 메인샤프트(9)를 결합시키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2)를 상기 메인샤프트(9)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2)는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11)와 치합되고,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11)는 상기 제1카운터축(5)에 설치된 자유기어(F―R)인 리버스드라이브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리버스드라이브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5)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동기장치(S―7R)는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7)도 상기 제1카운터축(5)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11)는 상기 제1카운터축(5)의 리버스드라이브기어(F―R)에 치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샤프트(9)의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2)에 상시 치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카운터축(5)에 설치된 동기장치(S―25)에 의해 후진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F―2)는 동시에 후진변속단을 구현하는 리버스드리븐기어의 역할도 겸하는 것이다.
상기 제2카운터축(7)에는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구속기어(G―2)와 상기 제2카운터축(7)을 상기 제2입력축(3)에 연결하는 구속기어(G―I2) 사이에 파킹기어(15)가 구비된 구조이다.
한편, 도 3은 상기 제2카운터축(7)의 배치 자유도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디퍼렌셜을 통해 직접 동력이 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고, 상기 메인샤프트(9)를 통해 동력이 인출되는 구조를 취함에 의해, 상기 제1카 운터축(5)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제2카운터축(7)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변속기 구조 설계에 큰 자유도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속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1)으로 공급된 동력이 상기 제1카운터축(5)의 구속기어(G―I1)를 통해 제1카운터축(5)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1카운터축(5)의 구속기어(G―1)에 치합된 상기 메인샤프트(9)의 제1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1)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샤프트(9)의 동기장치(S―13)가 상기 제1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1)를 상기 메인샤프트(9)에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9)를 통해 1속의 출력이 인출된다.
제2속변속단은 상기 제2입력축(3)으로 공급된 동력이 상기 제2카운터축(7)의 구속기어(G―I2)를 통해 제2카운터축(7)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카운터축(7)의 구속기어(G―2)와 치합된 상기 메인샤프트(9)의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2)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샤프트(9)의 동기장치(S―25)가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2)를 상기 메인샤프트(9)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9)를 통해 2속의 출력이 인출된다.
제3속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1)으로 공급된 동력이 상기 제1카운터축(5)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1카운터축(5)의 구속기어(G―3)에 치합된 상기 메인샤프트(9)의 제3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3)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샤프트(9)의 동기장치(S―13)가 상기 제3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3)를 상기 메인샤프트(9)에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메인샤프트(9)를 통해 3속의 출력이 인출된다.
제4속변속단은 상기 제2입력축(3)으로 공급된 동력이 상기 제2카운터축(7)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카운터축(7)의 제4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4)로부터 상기 메인샤프트(9)의 구속기어(G―47)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2카운터축(7)의 동기장치(S―46)는 상기 제4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4)를 상기 제2카운터축(7)에 결합시킨 상태이다.
제5속변속단은 상기 메인샤프트(9)에 설치된 동기장치(S―25)로 상기 제1입력축(1)을 상기 메인샤프트(9)에 직결시킴으로써, 구현되어 1:1의 변속비를 형성하여 메인샤프트(9)로 출력하게 된다.
제6속변속단은 상기 제2입력축(3)으로 공급된 동력이 상기 제2카운터축(7)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2카운터축(7)의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 ―6)로부터 상기 메인샤프트(9)의 구속기어(G―6)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2카운터축(7)의 동기장치(S―46)는 상기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6)를 상기 제2카운터축(7)에 결합시킨 상태이다.
제7속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1)으로 공급된 동력이 상기 제1카운터축(5)으로 전달되면, 상기 제1카운터축(5)의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7)로부터 상기 메인샤프트(9)의 구속기어(G―47)로 동력이 전달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1카운터축(5)의 동기장치(S―7R)는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한 자유기어(F―7)를 상기 제1카운터축(5)에 결합시킨 상태이다.
후진변속단은 상기 제1카운터축(5)의 동기장치(S―7R)가 상기 리버스드라이브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5)에 결합시켜서 상기 제1입력축(1)으로부터의 동력이 상기 리버스드라이브기어를 통해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11)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11)에 상기 메인샤프트(9)의 제2속변속단 구현을 위해 구비된 자유기어(F―2)인 리버스드리븐기어로 전달되도록 하여 구현된다.
이때, 상기 리버스드리븐기어는 상기 제1입력축(1)을 상기 메인샤프트(9)에 직결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동기장치(S―25)에 의해 상기 메인샤프트(9)에 결합되는데, 이 상태는 물론 제2속변속단을 형성하는 상태와 동일하지만, 상기 제2입력축(3)은 클러치가 단절되어 동력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온전한 후진변속단이 구현된다.
특히, 운전자가 후진변속을 하는 경우는 차속이 제1속변속단 또는 제2속변속단이 적합한 상태이므로, 운전자의 후진 변속조작시에는 DCT의 차속조건에 의해 당연히 상기 메인샤프트(9)의 동기장치(S―25)는 상기 리버스드리븐기어를 상기 메인샤프트(9)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제1카운터축(5)의 동기장치(S―7R)로 상기 리버스드라이브기어를 제1카운터축(5)에 결합시키는 조작만으로 후진변속단이 구현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파워트레인을 축방향을 따라 관측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파워트레인의 동력전달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제1입력축 3; 제2입력축
5; 제1카운터축 7; 제2카운터축
9; 메인샤프트 11; 리버스아이들러기어
13; 리버스아이들러샤프트 15; 파킹기어
G; 구속기어 F; 자유기어
S; 동기장치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가 구비된 제1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가 구비된 제2입력축과;
    상기 제1입력축의 구속기어에 치합된 구속기어를 구비한 제1카운터축과;
    상기 제2입력축의 구속기어에 치합된 구속기어를 구비한 제2카운터축과;
    서로 치합된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으로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과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와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의 자유기어들을 각 축에 구속하는 상태를 전환하도록 된 다수의 동기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과 동심축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동기장치들 중 하나는 동심축상의 상기 제1입력축과 메인샤프트를 단속하여 하나의 변속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과 제2카운터축은 상기 제1입력축 및 제2입력축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의 기어들과 동시에 치합되는 리버스아이들러기어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1카운터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리버스아이들러샤프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일련의 정수로 이루어진 변속단들 중 홀수단들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짝수단들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홀수단들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은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직결시켜서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속기어는 상기 제1카운터축 및 제2카운터축의 자유기어와 동시에 치합되어 2개의 변속단 형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제1속변속단과 제3속변속단 및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카운터축과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의 구속기어와 자유기어 쌍들은 제2속변속단과 제4속변속단 및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직결시켜서 구현하는 변속단은 제5속변속단이고;
    상기 메인샤프트에는 상기 제1카운터축의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와 치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카운터축의 제4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와 치합된 구속기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속변속단과 제2속변속단 및 제3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들은 상기 메인샤프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4속변속단과 제6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들은 상기 제2카운터축에 구비되며;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는 상기 제1카운터축에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축과 상기 메인샤프트를 직결시키는 동기장치는 상기 제1입력축과 메인샤프트를 결합시키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를 상기 메인샤프트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는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리버스아이들러기어는 상기 제1카운터축에 설치된 자유기어인 리버스드라이브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리버스드라이브기어를 상기 제1카운터축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동기장치는 상기 제7속변속단을 구현하는 자유기어도 상기 제1카운터축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카운터축에는 상기 제2속변속단을 구현하는 구속기어와 상기 제2카운터축을 상기 제2입력축에 연결하는 구속기어 사이에 파킹기어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1020090007809A 2009-02-02 2009-02-02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10105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809A KR101054965B1 (ko) 2009-02-02 2009-02-02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809A KR101054965B1 (ko) 2009-02-02 2009-02-02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731A KR20100088731A (ko) 2010-08-11
KR101054965B1 true KR101054965B1 (ko) 2011-08-05

Family

ID=4275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809A KR101054965B1 (ko) 2009-02-02 2009-02-02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86A (ko) 2012-03-14 2013-09-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KR101724861B1 (ko) * 2015-06-11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US10018251B2 (en) 2015-11-09 2018-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649924B1 (ko) 2016-04-06 2016-08-22 주식회사 아이팸 더블 클러치 변속기 기어액츄에이터의 콘트롤 샤프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51622B1 (ko) 2018-10-17 2024-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ct
KR20200103221A (ko) 2019-02-22 2020-09-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ct
KR20200104955A (ko) 2019-02-27 202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ct
KR20200128264A (ko) 2019-05-02 2020-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d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708A (ja) 2003-01-14 2004-09-24 Kyowa Metal Work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KR100569141B1 (ko) * 2003-12-10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클러치 변속기
JP2008069832A (ja) * 2006-09-13 2008-03-27 Kyowa Metal Work Co Ltd 自動車用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708A (ja) 2003-01-14 2004-09-24 Kyowa Metal Work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KR100569141B1 (ko) * 2003-12-10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클러치 변속기
JP2008069832A (ja) * 2006-09-13 2008-03-27 Kyowa Metal Work Co Ltd 自動車用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731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965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102663660B1 (ko) 차량용 변속기 구조
US9528583B2 (en) Dual clutch gearbox with countershaft design
KR10151929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755833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704200B1 (ko) 차량용 더블클러치 변속기
US9032823B2 (en) Dual clutch transmission designed as reduction gearing
KR1015431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파워트레인
KR101567647B1 (ko) 차량용 변속기
GB2412148A (en) Dual clutch transmission with layshaft having a high/low range gear unit
CN106151401B (zh) 用于车辆的变速器
US8763485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KR20160150139A (ko) 차량용 변속기
KR101063654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KR102651622B1 (ko) 차량용 dct
KR102496260B1 (ko) 모터 구동 차량의 변속기
US10100903B2 (en) Transmission for vehicle
US8474343B2 (en) Transmission having a low launch gear
CN105485269B (zh) 双离合7速变速器设备
GB2475764A (en) Two-shaft shift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KR100992649B1 (ko)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파워트레인
US8474342B2 (en) Transmission having a low launch gear
KR101724861B1 (ko) 차량용 변속기
KR101684060B1 (ko) 차량용 변속기
KR20170110495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트랜스미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