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521A - 세척 가능 빨대 - Google Patents

세척 가능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521A
KR20160146521A KR1020160052082A KR20160052082A KR20160146521A KR 20160146521 A KR20160146521 A KR 20160146521A KR 1020160052082 A KR1020160052082 A KR 1020160052082A KR 20160052082 A KR20160052082 A KR 20160052082A KR 20160146521 A KR20160146521 A KR 2016014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detachment means
semicircular
straw
bev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안
Original Assignee
유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안 filed Critical 유주안
Priority to KR102016006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182B1/ko
Priority to PCT/KR2016/006120 priority patent/WO2016200172A1/ko
Priority to US15/580,263 priority patent/US20180160831A1/en
Publication of KR2016014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가능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음관절로 연결되는 면체나 일체로 형성되는 면체를 둥글게 말아 면체의 측방을 밀폐 또는 개방하여 음료를 마시는 빨대로 사용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사이를 이어 다수 개의 면체를 말 수 있도록 하는 이음관절; 및
상기 이음관절로 이어진 다수 개의 면체 중 최외측의 양 면체에 구비되어 양 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면체를 말아 양 면체가 겹친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세척 가능 빨대 {Washable Straw}
본 발명은 세척 가능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음관절로 연결되는 면체나 일체로 형성되는 면체를 둥글게 말아 면체의 측방을 밀폐 또는 개방하여 음료를 마시는 빨대로 사용한 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나 캔을 이용하여 우유나, 음료수 또는 물을 담아 마시는 경우에 직접 입에 대고 마시기도 하지만, 주로 빨대를 이용하여 컵이나 캔에 담겨진 우유나 음료수 또는 물을 마시게 된다.
이러한 빨대는, 내부가 중공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빨대의 상부를 입속에 넣은 상태에서 흡입력을 이용하여 빨대를 빨면 빨대의 하부를 통해 음료수가 흡입되어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빨대의 종류로는 일자형 빨대 또는 상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빨대의 상부를 꺾을 수 있도록 한 주름형 빨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빨대를 이용하여 음료수를 마시는 구조는, 먼저 길이가 길게 형성된 빨대의 하부를 음료수가 들어 있는 음료용기에 꽂아 넣은 다음 빨대의 상부를 입에 물고서 빨대를 빨아 줌으로써 음료용기의 음료수가 빨대 속으로 흡입되어 용기 속의 음료를 빨아 당겨 마시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빨대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빨대 본체에 의해 외측이 밀폐되어 내부가 상하로 중공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빨대는 세척이 불가능하여 1회 사용후 쓰레기로 처분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회수, 재생하여 재활용되지 못하고 산, 들 또는 유원지 등에 그대로 버려지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원료의 낭비로 인한 수입으로 많은 경제적인 손실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번호 제20-2009-0007759호(공개일자 2009년07월31일) 국내공개번호 제20-2007-0000163호(공개일자 2007년02월0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음관절로 연결되는 면체나 일체로 형성되는 면체를 둥글게 말아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면체의 측방을 밀폐 또는 개방함으로써, 세척이 가능하고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어 1회 사용 후 쓰레기로 버려야 하는 불편이 없고, 산, 들 또는 유원지 등에 그대로 버리지 않아도 되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원료의 낭비로 인한 수입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세척 가능 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사이를 이어 다수 개의 면체를 말 수 있도록 하는 이음관절; 및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중 이음관절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최외측의 양 면체에 구비되어 양 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면체를 말아 양 면체가 겹친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사이를 이어 다수 개의 면체를 말 수 있도록 하는 이음관절; 및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중 이음관절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최외측의 양 면체에 구비되어 양 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면체를 말아 양 면체의 측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되, 상하로 절개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일체형 면체; 및
상기 일체형 면체의 개방된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일체형 면체를 외부에서 가압시켜 단부가 교차되어 맞닿은 후 밀폐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반원 형상을 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2개로 이루어지는 반원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2개의 반원면체 사이를 잇는 이음관절; 및
상기 2개의 반원면체에 구비되어 양 반원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양 반원면체의 측단부가 맞닿은 상태나 양 반원면체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이음관절로 연결되는 면체나 일체로 형성되는 면체를 둥글게 말아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여 면체의 측방을 밀폐 또는 개방함으로써, 세척이 가능하고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어 1회 사용 후 쓰레기로 버려야 하는 불편이 없고, 산, 들 또는 유원지 등에 그대로 버리지 않아도 되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원료의 낭비로 인한 수입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평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평면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빨대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을 무시하고 가로를 과장하여 나타낸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100)는 면체(110)와 이음관절(120) 및 착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 빨대(100)에 다수의 면체(110a,110b,110c)가 구비된다.
상기 이음관절(12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 사이를 이어, 그 면체(110a,110b,110c) 사이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를 둥글게 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면체(110)와 이음관절(120)은 예를 들어 두꺼운 합성수지재의 면체(110)가 얇은 합성수지재의 이음관절(120)로 이어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체(110)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하고 다수의 면체(110a,110b,110c) 사이를 플렉시블한 이음관절(120)로 이어 둥글게 말 수도 있다.
착탈수단(130)은 이음관절(120)로 이어진 다수의 면체 중 최외측의 양 면체(110a,110b) 즉, 상기 이음관절(120)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양 면체(110a,110b)에 구비되어 분리된 양 면체(110a,110b)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를 둥글게 말아 양 면체(110a,110b)가 겹치도록 한 상태에서 양 면체(110a,110b) 사이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도록 하며, 본 제1실시예에서는 똑딱이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체결돌기(131a)와 체결홈(131b)가 구비된다.
즉, 양 면체(110a,110b) 중 한 면체(110a)에는 체결돌기(131a)가 형성되고, 다른 한 면체(110b)에는 상기 체결돌기(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131b)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31a)가 체결홈(131b)에 끼워짐으로써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져 밀착된다.
이와 반대로 한 면체(110b)에는 체결돌기(131a)가 형성되고 다른 한 면체(110a)에는 상기 체결돌기(13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131b)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131a)가 체결홈(131b)에 끼워짐으로써 양 면체(110b,110a)가 겹쳐져 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체결돌기(131a)의 굵기보다 체결홈(131b)의 내경이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어 체결돌기(131a)가 체결홈(131b)에 억지로 끼워지고 끼워진 상태에서는 빠지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는 면체(110)가 5개 구비되고, 체결돌기(131a)와 체결홈(131b)이 2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 숫자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세척 가능 빨대(100)의 구성에 의해 도 1b와 같이 중공부(140)의 측방이 밀폐된 상태에서 컵과 같은 용기에 꽂아 음료수를 마시는 빨대(100)의 용도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도 1a와 같이 오픈시켜 빨대(100)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100)는 면체(110)와 이음관절(120) 및 착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 빨대(100)에 다수의 면체(110a,110b,110c)가 구비된다.
상기 이음관절(12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 사이를 이어, 그 면체(110a,110b,110c) 사이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를 둥글게 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면체(110)와 이음관절(120)은 예를 들어 두꺼운 합성수지재의 면체(110)가 얇은 합성수지재의 이음관절(120)로 이어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체(110)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하고 다수의 면체(110a,110b,110c) 사이를 플렉시블한 이음관절(120)로 이어 둥글게 말 수도 있다.
착탈수단(130)은 이음관절(120)로 이어진 다수의 면체 중 최외측의 양 면체(110a,110b) 즉, 상기 이음관절(120)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양 면체(110a,110b)에 구비되어 분리된 양 면체(110a,110b)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를 둥글게 말아 양 면체(110a,110b)가 겹치도록 한 상태에서 양 면체(110a,110b) 사이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도록 하며, 제2실시예에서는 벨크로형 착탈수단(130)으로서 벨크로테이프(132a,132b)가 구비된다.
즉, 양 면체(110a,110b) 중 한 면체(110a)에는 벨크로테이프(132a)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다른 한 면체(110b)에는 외측면에 벨크로테이프(132b)가 형성되어, 양 벨크로테이프(132a,132b)가 서로 부착됨으로써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져 밀착된다.
이와 반대로 벨크로테이프(132a,132b)가 면체(110a)의 외측면과 면체(110b)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부착됨으로써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져 밀착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면체(110)가 5개 구비되고, 벨크로테이프(132a,132b)가 양 면체(110a,110b)의 외측면이나 내측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세척 가능 빨대(100)의 구성에 의해 도 2b와 같이 중공부(140)의 측방이 밀폐된 상태에서 컵과 같은 용기에 꽂아 음료수를 마시는 빨대(100)의 용도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도 2a와 같이 오픈시켜 빨대(100)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착탈수단(130)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착탈수단(130)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자석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얇은 마그네트(133a,133b)가 구비된다.
즉, 제2실시예의 벨크로테이프(132a,132b)처럼 양 면체(110a,110b) 중 한 면체(110a)에는 마그네트(133a)가 내측면에 부착 형성되고, 다른 한 면체(110b)에는 외측면에 마그네트(133b)가 부착 형성되어, 양 마그네트(133a,133b)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져 밀착된다.
이와 반대로 마그네트(133a,133b)가 면체(110a)의 외측면과 면체(110b)의 내측면에 각각 부착 형성되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져 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얇은 마그네트(133a,133b)를 양 면체(110a,110b)에 부착하는 대신에 도 3a와 도 3b처럼 양 면체(110a,110b)의 내부에 매입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걸이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지지구(134a,134b)와 걸이구(135a,135b)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형 착탈수단(130)을 포함하는 빨대(100)의 경우 이음관절(120)이 구비되지 않고 일체형 면체(110)를 구비한다.
상기 일체형 면체(110)는 탄성이 좋아 거의 원형(圓形)에 가까운 기본 형태를 유지하는 합성수지재나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다.
도 4a의 지지구(134a,134b)에서는 일체형 면체(110)의 양단에 지지구(134a,134b)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탄성의 일체형 면체(110)를 도면에서 좌우에서 눌러 가압하면, 일체형 면체(110)의 양단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지지구(134a,134b)가 서로 교차하여 상대측 지지구(134b,134a)에 이탈되지 않도록 접촉 지지되어 측방이 밀폐된다.
도 4b의 걸이구(134a,134b)에서는 일체형 면체(110)의 양단에 걸이구(134a,134b)가 걸림턱을 갖도록 형성되어 탄성의 일체형 면체(110)를 도면에서 상하에서 눌러 가압하면, 일체형 면체(110)의 양단이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걸이구(134a,134b)가 서로 교차하여 상대측 걸림턱에 서로 걸리면서 측방이 밀폐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제5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착탈수단(130)과 면체의 개수(5->4)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착탈수단(130)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은 면체(110)의 개수 차이에 따라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지지 않고 양 면체(110a,110b)의 측단부가 맞닿게 된다.
제5실시예에서는 지퍼형 착탈수단(130)으로서 티스(teeth)부(136a,136b)와 슬라이더(136c)가 구비된다.
즉, 이음관절(120)로 이어진 4개의 면체(110a,110b,110c) 중 최외측에 있는 양 면체(110a,110b) 즉, 상기 이음관절(120)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양 면체(110a,110b)의 각 측단부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티스부(136a,136b)가 설치되고, 그 중 한 티스부(136b)에는 슬라이더(136c)가 결합된다.
상기 티스부(136a,136b)는 슬라이더(136c)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양 면체(110a,110b)의 측단부가 맞닿아 밀폐되거나 개방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제6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착탈수단(130)과 면체의 개수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착탈수단(130)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제6실시예에서는 연결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연결돌기(137a)와 연결홀(137b)이 구비된다.
즉, 이음관절(120)로 이어진 4개의 면체(110a,110b,110c) 중 최외측에 있는 양 면체(110a,110b) 중 한 면체(110a)에는 연결돌기(137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체(110b)는 상기 면체(110a)의 폭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그 연장된 부분에 상기 연결돌기(137a)가 끼워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홀(137b)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양 면체(110a,110b)의 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돌기(137a)가 연결홀(137b)에 끼워져 측방이 밀폐된다.
이때 연결돌기(137a)의 사이즈가 연결홀(137b)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연결홀(137b)에 끼워진 상태에서 잘 이탈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100)는 면체(110)와 이음관절(120) 및 착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 빨대(100)에 다수의 면체(110a,110b,110c)가 구비된다.
상기 이음관절(12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 사이를 이어, 그 면체(110a,110b,110c) 사이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를 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면체(110)와 이음관절(120)은 예를 들어 두꺼운 합성수지재의 면체(110)가 얇은 합성수지재의 이음관절(120)로 이어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면체(110)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하고 다수의 면체(110a,110b,110c) 사이를 플렉시블한 이음관절(120)로 이어 말 수도 있다.
또한, 제7실시예에서는 면체(110b)와 면체(110c) 사이를 면체와 거의 같은 굵기의 이음관절(120')로 이어진다.
연결형 착탈수단(130)은 이음관절(120,120')로 이어진 다수의 면체 중 최외측의 면체(110a)와 이음관절(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의 면체(110a,110b,110c)를 말아 양 면체(110a,110b)가 겹치도록 한 상태에서 양 면체(110a,110b) 사이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7실시예에서는 연결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원형돌기(138a)와 원형요홈(138b)이 구비된다.
즉, 한 면체(110a)의 측단부에는 원형돌기(138a)가 형성되고, 이음관절(120')에는 내측으로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은 원형요홈(138b)이 형성되어, 원형돌기(138a)가 원형요홈(138b)에 외측에서 끼워짐으로써 양 면체(110a,110b)가 겹쳐져 밀착된다.
이와 서로 반대의 위치에 원형돌기(138a)와 원형요홈(138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100)는 면체(110)와 이음관절(120) 및 착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반원 형상을 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 빨대(100)에 2개의 반원면체(110d,110e)가 구비된다.
상기 이음관절(12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2 반원면체(110d,110e) 사이를 이어, 그 반원면체(110d,110e) 사이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 2 반원면체(110d,110e)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8실시예에서는 2 반원면체(110d)와 반원면체(110e)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형 착탈수단(130)은 2 반원면체(110d,110e)의 측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2 반원면체(110d,110e)의 측단부 사이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8실시예에서는 연결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원형돌기(138a)와 원형요홈(138b)이 구비된다.
즉, 한 반원면체(110d)의 측단부에는 원형돌기(138a)가 형성되고, 다른 한 반원면체(110e)의 측단부에는 내측으로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은 원형요홈(138b)이 형성되어, 원형돌기(138a)가 원형요홈(138b)에 외측에서 끼워짐으로써 양 반원면체(110d,110e)의 측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밀착된다.
이와 서로 반대의 위치에 원형돌기(138a)와 원형요홈(138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평면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100)는 일체형 면체(110)와 착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체형 면체(110)는 탄성이 좋아 거의 원형(圓形)에 가까운 기본 형태를 유지하는 합성수지재나 둥글게 말 수 있는 말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체형 면체(110)에 구비되는 연결형 착탈수단(130)은 일체형 면체의 양측 부분이 겹쳐진 상태에서 겹쳐진 부분의 밀착 상태를 유지시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9실시예에서는 연결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원형돌기(138a)와 원형요홈(138b)이 구비된다.
즉, 일체형 면체(110)의 일측에 가까운 내측면에는 원형돌기(138a)가 형성되고, 그 일체형 면체의 타측에 가까운 외측면에는 내측으로 입구는 좁고 내부는 넓은 원형요홈(138b)이 형성되어, 원형돌기(138a)가 원형요홈(138b)에 외측에서 끼워짐으로써 원형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면체의 양측이 일부 겹쳐진 상태에서 상태에서 밀착된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의 전개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세척 가능 빨대(100)는 면체(110)와 이음관절(120) 및 착탈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면체(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반원 형상을 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한 빨대(100)에 2개의 반원면체(110d,110e)가 구비된다.
상기 이음관절(120)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2 반원면체(110d,110e) 사이를 이어, 그 반원면체(110d,110e) 사이로 공기나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 2 반원면체(110d,110e)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0실시예에서는 2 반원면체(110d)와 반원면체(110e) 사이에 구비되는 자석형 착탈수단(130)으로서 얇은 마그네트(133a,133b)가 구비된다.
즉, 양 반원면체(110d,110e) 중 한 반원면체(110d)의 측단부에 마그네트(133a)가 부착 형성되고, 다른 한 반원면체(110e)의 측단부에 마그네트(133b)가 부착 형성되어, 양 마그네트(133a,133b)의 측부가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양 반원면체(110d,110e)가 맞닿은 상태에서 밀착된다.
여기에서도 도 3b처럼 양 마그네트(133a,133b)를 겹쳐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예를 들어 우레탄이나 실리콘 등과 같은 부드러운 탄성을 가진 소재의 원형(原形)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이음관절없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체를 동그랗게 말아 세척 가능 빨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세척 가능 빨대 110: 면체
120: 이음관절 130: 착탈수단
140: 중공부

Claims (10)

  1.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사이를 이어 다수 개의 면체를 말 수 있도록 하는 이음관절; 및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중 이음관절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최외측의 양 면체에 구비되어 양 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면체를 말아 양 면체가 겹친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는 세척 가능 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양 면체 중 어느 한 면체에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와, 다른 한 면체에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체결홈을 구비하는 똑딱이형 착탈수단과,
    상기 양 면체 중 어느 한 면체의 내측면에 부착 형성된 제1벨크로테이프와, 다른 한 면체의 외측면에 부착 형성된 제2벨크로테이프를 구비하는 벨크로형 착탈수단과,
    상기 양 면체 중 어느 한 면체의 내측면에 부착 형성되거나 내부에 매입 형성되는 제1마그네트와, 다른 한 면체의 외측면에 부착 형성되거나 내부에 매입되는 제2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자석형 착탈수단과,
    상기 양 면체 중 어느 한 면체의 단부에 형성된 원형돌기와, 다른 한 면체나 이음관절에 상기 원형돌기가 끼워 연결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원형홈을 구비하는 연결형 착탈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가능 빨대.
  3.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사이를 이어 다수 개의 면체를 말 수 있도록 하는 이음관절; 및
    상기 다수 개의 면체 중 이음관절로 이어지지 않아 분리된 최외측의 양 면체에 구비되어 양 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면체를 말아 양 면체의 측단부가 맞닿은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는 세척 가능 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양 면체의 각 측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티스(teeth)부와, 상기 티스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양 티스부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지퍼형 착탈수단과,
    상기 양 면체 중 어느 한 면체의 측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와, 다른 한 면체에 상기 어느 한 면체의 폭보다 외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그 연장된 부분에 상기 연결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홀을 구비하는 연결형 착탈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가능 빨대.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면체와 이음관절은, 두꺼운 합성수지재의 면체가 얇은 합성수지재의 이음관절로 이어져 일체로 형성되거나, 스테인리스 재질의 면체를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의 이음관절로 이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가능 빨대.
  6. 소정의 두께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탄성이 있는 재질로 원형(圓形)을 유지하되, 상하로 절개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일체형 면체; 및
    상기 일체형 면체의 개방된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일체형 면체를 외부에서 가압시켜 단부가 교차되어 맞닿은 후 밀폐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는 세척 가능 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개방된 양 단부에 지지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체형 면체를 외부에서 가압시키는 경우 일체형 면체의 개방된 양 단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지지구가 서로 교차하여 일측 지지구가 상대측 지지구에 이탈되지 않도록 접촉 지지되어 개방된 측방을 밀폐하는 제1걸이형 착탈수단과,
    상기 일체형 면체의 개방된 양 단부에 걸림턱을 갖는 걸이구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일체형 면체를 외부에서 가압시키는 경우 일체형 면체의 개방된 양 단부가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걸이구가 서로 교차하여 일측 걸림턱이 상대 걸림턱에 걸리면서 개방된 측방을 밀폐하는 제2걸이형 착탈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가능 빨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을 가진 일체형 면체의 원형(原形)으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동그랗게 말아 원형(圓形)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가능 빨대.
  9. 소정의 두께를 갖고 반원 형상을 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것으로, 2개로 이루어지는 반원면체;
    플렉시블한 재질로 상기 2개의 반원면체 사이를 잇는 이음관절; 및
    상기 2개의 반원면체에 구비되어 양 반원면체를 착탈하는 것으로, 양 반원면체의 측단부가 맞닿은 상태나 양 반원면체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수단;
    을 포함하는 세척 가능 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 2개의 반원면체 중 어느 한 반원면체의 측단부에 형성된 원형돌기와, 다른 한 반원면체의 측단부에 상기 원형돌기가 끼워 연결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형성된 원형홈을 구비하는 연결형 착탈수단과,
    상기 2개의 반원면체 중 어느 한 반원면체의 측단부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와, 다른 한 반원면체의 측단부에 구비되는 제2마그네트를 구비하는 자석형 착탈수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가능 빨대.
KR1020160052082A 2015-06-12 2016-04-28 세척 가능 빨대 KR20160146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560A KR101763182B1 (ko) 2015-06-12 2016-05-30 세척 가능 빨대
PCT/KR2016/006120 WO2016200172A1 (ko) 2015-06-12 2016-06-09 세척 가능 빨대
US15/580,263 US20180160831A1 (en) 2015-06-12 2016-06-09 Washable stra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089 2015-06-12
KR20150083089 2015-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521A true KR20160146521A (ko) 2016-12-21

Family

ID=57734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082A KR20160146521A (ko) 2015-06-12 2016-04-28 세척 가능 빨대
KR1020160066560A KR101763182B1 (ko) 2015-06-12 2016-05-30 세척 가능 빨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560A KR101763182B1 (ko) 2015-06-12 2016-05-30 세척 가능 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160831A1 (ko)
KR (2) KR201601465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5457B1 (ja) * 2017-03-22 2018-03-20 紘 荻野
KR102101886B1 (ko) * 2018-11-12 2020-04-17 김준휘 안팎이 뒤집어져 세척이 용이한 다회용 빨대
WO2020218864A1 (ko) * 2019-04-24 2020-10-29 전주엽 탈부착식 빨대
JP2022530446A (ja) * 2019-04-24 2022-06-29 ヨブ ジョン,ジュ 着脱式ストロ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3493784T3 (pl) * 2016-08-03 2021-04-19 Florian Enghard Urządzenie do wyrównywania ciśnienia w butelkach dla niemowląt i zestaw butelki dla niemowląt
US11039702B2 (en) 2017-06-12 2021-06-22 April Allen Separable drinking straw to facilitate cleaning of internal walls
KR102007204B1 (ko) * 2017-10-23 2019-08-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빨대
CN112040816B (zh) * 2018-05-31 2023-11-14 斯莱德斯兆有限责任公司 饮用管
TWI677307B (zh) * 2018-07-24 2019-11-21 林紫綺 環保結合式吸管結構
CN110786705A (zh) * 2018-08-02 2020-02-14 林紫绮 环保结合式吸管结构
TWI697305B (zh) * 2018-08-29 2020-07-01 蘋信心文化事業有限公司 易清洗式吸管
TWI681742B (zh) * 2018-09-06 2020-01-11 蔡淑寬 吸管結構
TWI691293B (zh) * 2018-09-11 2020-04-21 巫瑞萍 木製吸管
KR102089172B1 (ko) * 2018-09-13 2020-05-22 고연지 세척 가능한 조립형 실리콘 빨대
EP3628192A1 (en) * 2018-09-25 2020-04-01 Capri Sun AG Drinking straw of fibre-based material, computer- implemented or electronic method for producing the drinking straw,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644301B1 (ja) * 2018-09-26 2020-02-12 株式会社ケイプラスモールドジャパン 飲用ストロー
KR102116616B1 (ko) * 2018-09-27 2020-05-28 김라엘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US11708846B2 (en) * 2018-10-30 2023-07-25 Trang Tran Connection device
US10779667B2 (en) * 2018-11-05 2020-09-22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Drinking straw
US20200154917A1 (en) * 2018-11-17 2020-05-21 Ying-Che Kao Environmentally-friendly straw improved structure
HK1253655A2 (zh) * 2018-11-26 2019-06-21 Lg Corporation Ltd 一種可開封口的飲管
US11304552B2 (en) * 2019-01-04 2022-04-19 Sabrina Sze Wing Ng Reusable and washable straw
CN209574258U (zh) * 2019-02-27 2019-11-05 伍竹标 一种可拆洗重用吸管
KR102074093B1 (ko) * 2019-02-28 2020-02-05 김한주 스트로
KR102124172B1 (ko) * 2019-02-28 2020-06-17 김한주 스트로
GB2582018A (en) * 2019-03-08 2020-09-09 Shan Li Sung Foldable drinking straw
KR102175282B1 (ko) * 2019-03-20 2020-11-06 주식회사 썬라이즈 음료용 빨대
KR102041075B1 (ko) * 2019-05-14 2019-11-05 임희진 분리형 스트로우
TWI690412B (zh) * 2019-07-25 2020-04-11 黃建明 吸管成形機及其製造方法
WO2021035514A1 (zh) * 2019-08-27 2021-03-04 徐嘉阳 吸管结构
US10765243B1 (en) * 2019-09-03 2020-09-08 Te-Hsin Lee Reusable straw kit
CN212165530U (zh) * 2019-09-29 2020-12-18 科安研创(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可清洗的高实用性吸管
US11375834B2 (en) 2019-10-07 2022-07-05 Ryan Barrett Coupling for a drinking straw
KR102228119B1 (ko) * 2019-11-25 2021-03-16 윤태연 랩핑형 빨대
JP6967718B2 (ja) * 2019-11-29 2021-11-17 健太郎 光浦 シート製ストロー
KR20210101449A (ko) 2020-02-10 2021-08-19 신민철 마그네틱 실리콘 빨대
WO2021162140A1 (ko) * 2020-02-12 2021-08-19 김한주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한 결합식 스트로우
CN113384119A (zh) * 2020-03-12 2021-09-14 绿境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环保吸管的结构及其制造装置与制造方法
WO2021179239A1 (zh) * 2020-03-12 2021-09-16 绿境科技开发股份有限公司 环保吸管的结构及其制造装置与制造方法
KR20220170555A (ko) 2021-06-23 2022-12-30 김종재 리유저블 빨대
US11542074B1 (en) 2021-07-02 2023-01-03 Munchkin, Inc. Flip straw cup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63U (ko) 2007-01-16 2007-02-05 안상진 얼음빨대
KR20090007759U (ko) 2008-01-28 2009-07-31 오성묵 위생빨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3095A (en) * 1947-04-09 1949-09-27 James J Ingels Lock seam
US3517702A (en) * 1966-07-08 1970-06-30 Amp Inc Flexible material to form a tubular member
US4535197A (en) * 1984-04-06 1985-08-13 Butler David O Unitary cable closure
US4865890A (en) * 1988-03-28 1989-09-12 Ttk Kenmark Corporation Shrinkable elastomeric sleeve
US4944976A (en) * 1989-02-17 1990-07-31 The Zippertubing Co. Semi-rigid plastic jacket with interlocking longitudinal seam
US6904941B2 (en) * 2002-09-18 2005-06-14 David W. Howard Helically formed cylinder of varying length and diameter
JP2005046237A (ja) * 2003-07-31 2005-02-24 Yoshihiro Konno 内部が貫通する使い捨て用箸
US8312875B2 (en) * 2007-01-11 2012-11-20 Resmed Limited Fastenable conduit for breathable gas delivery
JP2014155524A (ja) * 2013-02-14 2014-08-28 Toppan Printing Co Ltd ストロ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163U (ko) 2007-01-16 2007-02-05 안상진 얼음빨대
KR20090007759U (ko) 2008-01-28 2009-07-31 오성묵 위생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5457B1 (ja) * 2017-03-22 2018-03-20 紘 荻野
JP2018157889A (ja) * 2017-03-22 2018-10-11 紘 荻野
KR102101886B1 (ko) * 2018-11-12 2020-04-17 김준휘 안팎이 뒤집어져 세척이 용이한 다회용 빨대
WO2020218864A1 (ko) * 2019-04-24 2020-10-29 전주엽 탈부착식 빨대
JP2022530446A (ja) * 2019-04-24 2022-06-29 ヨブ ジョン,ジュ 着脱式ストロ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533A (ko) 2016-12-21
US20180160831A1 (en) 2018-06-14
KR101763182B1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182B1 (ko) 세척 가능 빨대
KR20110084399A (ko) 모듈러 병 마개
KR101809851B1 (ko) 다중 도래걸이구
US20210315400A1 (en) Drinking straw assembly
CN205972145U (zh) 储存装置
JP2012513204A (ja) 組立式犬用トイレ
KR20210157141A (ko) 세척 가능한 빨대
CN209900546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体育防护垫
WO2019214566A1 (zh) 可伸缩式容器
TWM454386U (zh) 杯子用的杯蓋
CN216393745U (zh) 折叠式饮用吸管
WO2014121587A1 (zh) 多功能瓶
CN215502374U (zh) 一种可折叠便携式筷子
TW202039326A (zh) 吸管套、杯蓋及其容器
KR20200032972A (ko) 빨대 수납용 빨대컵
CN212268123U (zh) 毛刷收纳盒
CN210809650U (zh) 一种化妆箱
KR20210101449A (ko) 마그네틱 실리콘 빨대
TWM584646U (zh) 吸管套、杯蓋及其容器
TWM584778U (zh) 杯蓋及其容器
JPH1033341A (ja) 布団カバー
WO2020093920A1 (zh) 重复使用的饮管
JP3001788U (ja) 掛止具付大型化学発光体
KR20200098252A (ko) 권취형 빨대
JPH04105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