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616B1 -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 Google Patents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616B1
KR102116616B1 KR1020180115138A KR20180115138A KR102116616B1 KR 102116616 B1 KR102116616 B1 KR 102116616B1 KR 1020180115138 A KR1020180115138 A KR 1020180115138A KR 20180115138 A KR20180115138 A KR 20180115138A KR 102116616 B1 KR102116616 B1 KR 10211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straw
prefabricated
weigh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701A (ko
Inventor
김라엘
김영수
하나연
Original Assignee
김라엘
김영수
하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라엘, 김영수, 하나연 filed Critical 김라엘
Priority to KR102018011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616B1/ko
Priority to PCT/KR2019/012208 priority patent/WO2020067676A1/ko
Publication of KR2020003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는,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몸체;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 1 몸체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와 더불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 2 몸체; 상기 제 1,2 몸체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빨대에 의하면,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통해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직관적이자 간편한 구조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재사용 빨대를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ASSEMBLY STRAW USING SURFACE TENSION OF DRINK}
본 발명은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2개의 몸체를 조립하여 빨대를 형성하되 음료수의 표면장력에 의해 발생한 수막을 2개의 몸체를 점착시키는 가드 성분으로 이용하여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 더욱 저렴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빨대에 관한 것이다.
빨대는 음료수의 개면 방향으로 진입시켜 음료수에 담근 상태에서 사용자의 흡입 동작을 통해 내부의 중공을 따라 음료수를 입안으로 이동시키는 도구로서, 길게 연장된 대롱 형상을 가지고 현대 사회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빨대는 주로 재사용 플라스틱재로 제작이 되어 왔고, 2015년 한국 환경부의 조사에 의하면 한국인의 연간 빨대 사용량은 약 26억 개에 달한다고 한다.
최근 들어 자연 분해 속도가 상당히 오래 걸리는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플라스틱 빨대를 퇴출시키자는 의견이 자주 등장하고 있고 실제 미국과 유럽에서는 플라스틱 빨대를 비롯한 빨대 자체의 퇴출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동시에 비플라스틱 재질의 빨대가 제작되고 있는데, 이러한 비플라스틱 빨대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실리콘, 대나무나 종이재, 심지어 사탕수수로 제작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비플라스틱 재질의 빨대는 1회 사용하고 버리는 1회 용도를 지양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는바, 이러한 선행기술로서 한국 특허 제 1861432호인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가 게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소정 두께를 가져 단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결합하는 반원통 형상의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며, 용액이 담긴 용기 내부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어 상기 용액을 흡입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패드부를 더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에 형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패드부의 양측면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상기 복수의 패드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립식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한다고 설명되어 있다.
이 기술은 특히 패드부의 특징에 의해 특허등록이 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빨대의 두께가 얇은 상태에서 이 사이에 패드부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미세 조직의 패드부를 제작해야 한다는 번거로움과 이를 제작하기 위해 과도한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비플라스틱 재질로서 재사용이 가능한 조립 기반의 빨대를 제공하되, 보다 간단하면서 직관적인 구조로서 조립 부분 사이로 음료수가 새지 않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빨대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통해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직관적이자 간편한 구조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재사용 가능한 제 1,2 몸체의 조립식 빨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2 몸체가 공회전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시간을 식별하면서 제 1,2 몸체 사이에서 점성력을 유지할 뿐 아니라 인체 유익성분도 포함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제 1,2 몸체를 선팽창계수를 달리 한 이중 재질로 구성하여 제 1,2 몸체 간의 안정적인 근접 관계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제 1 몸체의 구조 변형을 통해 제 2 몸체를 보다 탄력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는,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몸체;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 1 몸체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와 더불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 2 몸체; 상기 제 1,2 몸체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몸체에서 제 2 몸체를 향한 면에는, 제 2 몸체를 향해 돌출된 인덴트가 형성되되, 상기 인덴트는 제 1 몸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빨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세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 1, 2 몸체의 대향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일정 깊이 함입된 함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 1,2 몸체의 대향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2 몸체의 대향 면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슬립방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에 의하면,
1)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통해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도 제작이 용이한 직관적이자 간편한 구조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재사용 빨대를 제작할 수 있고,
2) 조립이 되는 2개 몸체의 긴밀한 근접 관계를 보장할 수 있으며,
3) 빨대의 사용 시간을 개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교체 시점을 인지하도록 하여 위생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4)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포함하여 빨대 사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5) 바깥쪽에 위치한 몸체의 구조적 특성으로 안쪽에 위치한 몸체를 보다 탄력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빨대에 대한 기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빨대에 대한 추가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빨대에 인덴트가 형성된 제 1 변형 실시예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빨대에 함입 홈 및 기능성 점성체가 형성된 제 2 변형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빨대에 슬립 방지층이 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몸체의 두께를 차등 처리한 제 3 변형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몸체의 곡률 반경을 차등 처리한 제 4 변형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빨대에 대한 기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빨대를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몸체(100)와,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단이 제 1 몸체(100)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100)와 더불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 2 몸체(200) 및, 제 1,2 몸체(100,200)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과,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 사이에 잔류한 음료수의 표면장력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상기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을 점착시키는 수막(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몸체(100) 및 제 2 몸체(200)는 일 측이 개방된 개구를 구비한 상태에서 마치 C 형상과 같이 라운딩 연장된 것으로, 양자의 형상은 같거나 비슷하다. 이러한 제 1,2 몸체(100,200)의 개구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다음 제 2 몸체(200)를 제 1 몸체(100) 내부로 진입시키면 제 1,2 몸체(100,200)의 결합체 내부에 중공이 발생된 상태로 마치 원통 형상에 가까운 하나의 몸체가 된다.
이때, 제 1 몸체(100) 내에 제 2 몸체(200)가 진입되므로 제 1,2 몸체(100,200)의 결합 시 제 1 몸체(100)의 곡률반경이 제 2 몸체(200)의 곡률반경보다 크다고 할 수 있는데 결합 이전에도 제 1 몸체(100)의 곡률반경(또는 직경)이 제 2 몸체(200)의 곡률반경(또는 직경)보다 클 수 있고 아니면 양자의 곡률반경이 동일할 수 있다. 즉, 제 1,2 몸체(100,200)는 휨성 내지 탄성을 보유한 재질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제 1,2 몸체(100,200)의 곡률반경이 같아도 탄성에 의해 제 2 몸체(200)가 제 1 몸체(100) 내로 진입되어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몸체(100)의 개구의 너비는 제 2 몸체(200)의 탄성과 직경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제 1,2 몸체(100,200)의 재질은 휨성을 가진 얇은 금속재(스테인리스 또는 이를 포함한 함금 등), 고무재 등이 가능하고 휨성을 보유한 것이라면 종이재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 몸체(100,200)가 결합될 경우 별도의 결합 수단이 없어 양자가 분리될 수 있지만, 실제 이와 같은 결합 이후 사용자가 음료수에 본 발명의 빨대를 꽂아 흡입을 하면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료가 상승하면서 제 1,2 몸체(100,200)의 서로 마주보는 면, 즉 대향 면에 스며든다. 이때, 물을 비롯한 액상의 음료수의 표면장력에 의해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에 스며들거나 잔류한 음료수가 응집하면서 일종의 수막(1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발생한 수막(10)은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 사이로 음료수가 새는 것을 막고 이 틈을 매우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빨대는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제 1,2 몸체(100,200)를 분리한 다음 세척을 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빨대는 간단한 구조로 쉽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 1,2 몸체(100,200) 사이로 음료수가 새지 않으면서도 플라스틱재의 남발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를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빨대에 대한 추가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빨대에 대한 추가 실시예는 2개의 몸체가 조립되어 상술한 빨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도 1의 실시예와 같으나, 제 1,2 몸체(100,200)가 다단으로 절곡된 C 형상 유사 구조를 이루고 이 경우에서는 반드시 휨성이 있지 않는 재질, 예를 들어 유리재 내지 사기재로도 제작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 1,2 몸체(100,200)의 단면이 벌집 또는 허니콤과 같은 육각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외에도 3각이나 8각 등의 다양한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원형에 가까운 다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수막의 안정화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제 2 몸체(200)는 제 1 몸체(100) 내로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다단 절곡된 각 변의 길이가 제 1 몸체(100)의 대응 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제 1,2 몸체(100,200)가 겉돌지 않으면서 그 사이에 음료수의 표면장력에 의한 수막(10)을 형성하면서 공지의 빨대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빨대에 인덴트가 장착된 제 1 변형 실시예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 몸체(100)의 대향 면의 적어도 일 측에는 빨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 인덴트(indent)(11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인덴트(110)는 제 1 몸체(100)의 대향 면에서 제 2 몸체(200)의 대향 면을 향해 돌출된 부위로서, 이는 제 1 몸체(100)를 제 2 몸체(200) 방향으로 V 커팅 또는 국소 프레싱하여 움푹 파이도록 함으로 제 2 몸체(200)를 향하게 하거나 아니면 이와 같은 움푹 파임 구조 이외에 별도의 부착재가 해당 부위에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인덴트(110)는 제 2 몸체(200)가 제 1 몸체(100) 내에서 겉돌거나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이러한 인덴트(110)는 반드시 제 1 몸체(100)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 몸체(200)의 대향 면에서 제 1 몸체(100)의 대향 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특히 제 1,2 몸체(100,200)가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제 1 몸체(100)에 삽입된 제 2 몸체(200)의 개구 방향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을 때 제 2 몸체(200)의 개구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일종의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러한 인덴트(110)는 제 1,2 몸체(100,200)의 각 대향 면에 장착되어 제 2 몸체(200)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더욱 증강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빨대에 함입 홈 및 기능성 점성체가 형성된 제 2 변형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 중 어느 하나에 함입 홈(120)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함입 홈(120)의 함입 깊이는 300 미크론에서 3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함입 홈(120)은 음료수의 소량을 임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이에 음료수를 임시 수용하다가 중력이나 사용자가 흔드는 동작에 의해 하방으로 음료수를 흐르게 하면서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에 수막(10)을 형성하도록 하는 보조 역할, 즉 원활한 수막 형성을 위한 음료수 양 확보 역할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함입 홈(120)은 제 1,2 몸체(100,200)가 내측, 다시 말해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보조하여 제 1,2 몸체(100,200)가 서로 떨어지거나 멀어지지 않고 근접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 함입 홈(120)에는 점성체(140)가 수용되거나 코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성체(140)는 점성이 강한 성질로 이루어져 제 1,2 몸체(100,200)의 점착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특정한 색상을 가져 위 또는 아래에서 관찰했을 때 점성체(140)가 함입 홈(120)에서 외부로 노출된 양의 고저를 통해 본 발명의 빨대의 사용 시간을 개략적으로 파악하여 교체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점성체(140)는 특정한 색상으로 착색된 상태에서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 상태에서 함입 홈(120)에 일정량 수용되거나 100 미크론에서 1mm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구아검은 무색무취로 시간이 지나도 점도가 변하지 않아 체내에 일부 흡수가 되어도 인체에 안전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성체(140)는 물과 접촉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성질을 가진 것은 아니나 점도가 높아 사용자가 빨대를 물고 흡입 동작을 할 때 함입 홈(120) 주변 부위에 외력이 가해지면서 마치 공지의 검과 같이 늘어나거나 일부 흐르면서 함입 홈(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함입 홈(120)의 외부로 노출된 점성체(140)는 특정 색상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빨대를 위 또는 아래에서 관찰하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빨대를 장시간 사용하면 그만큼 착용자의 흡입 동작이나 파지 동작이 잦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함입 홈(120) 주변이 변형되면서 외부로 노출된 점성체(140)의 양이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점성체(140)의 양의 정도(고저)를 통해 본 발명의 빨대의 사용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점성체(140)가 외부로 노출된 양이 많을 경우 교체 시점이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더불어, 밤이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이러한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점성체(140)는 제 1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1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점성체(140)는 전체 점성체 중량 대비, 잔탄검 10 내지 80중량%, 로커스트빈검 10 내지 80중량%, 다이시아노피라진(Dicyano pyrazine) 0.1 내지 10중량%를 혼합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잔탄검과 로커스트빈검을 함께 혼합하였는데 잔탄검을 단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점도 증진 능력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잔탄검과 혼합 시 점도의 상승효과가 나타난다고 알려진 로커스트빈검(Locust bean gum, LBG)을 혼합한 것이다. 이로써, 잔탄검을 단독의 유효 성분으로 점성체(140)를 제조하는 경우보다 점도를 조절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기능성 물질인 다이시아노피라진은 압변색 형광 물질로서, 압변색 형광은 형광을 가지는 물질이 압력과 같은 물리적 응력을 통하여 본래의 형광색이 바뀌며 열이나 재결정을 통하여 원래의 형광색을 회복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이시아노피라진은 판상의 분자 층들이 적층되어 있는 회합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물리적 응력에 의해 판상의 분자 적층구조가 바뀌면서 형광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기능성 물질의 형광성으로 인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밤이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외부로 유출된 점성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점성체(140)에는 제 2 기능성 물질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제 2 기능성 물질은 점성체(140)의 일부가 음료수에 혼합되어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왔을 때 치아에 유익한 성분을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제 2 기능성 물질은 함유한 점성체(140)의 구체적인 조성은 전체 점성체 중량 대비, 잔탄검 30 내지 60중량%, 로커스트빈검 30 내지 60중량%, 자일리톨이 함유된 것으로서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 2 기능성 물질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 2 기능성 물질에서 자일리톨은 치아를 보호하거나 손상된 치아 표면을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일종의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능성 물질은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벽(wall) 내부에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캡슐과 같은 형상으로 자일리톨을 보호하여 잔탄검 등과 함께 사용자의 입안으로 일부 흡입된 상태에서 음료수의 용해 작용으로 녹거나 사용자의 무는 동작으로 캡슐이 터짐과 동시에 자일리톨이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제 1,2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점성체(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입 홈(120)의 바닥 면에서 빨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 관통 연장된 슬릿(130) 내에 함유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슬릿(130)은 함입 홈(120)보다 더욱 깊숙한 곳에서 제 1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추가 공간으로서, 상술한 제 1,2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점성체가 너무 쉽사리 함입 홈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빨대에 슬립 방지층이 코팅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5의 실시예는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 각 표면에 슬립 방지층(50)이 코팅 처리된 것으로서, 이는 제 1,2 몸체(100,200)가 서로 불필요한 공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미끄럼(slip)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슬립방지층(50)은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의 마찰계수보다 큰 마찰계수를 가진 재질, 예를 들어 고무/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절편 또는 표면에 거칠기 또는 미세 엠보싱 돌기를 부여한 재질을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에 형성/적층하거나, 아니면 시트 또는 층(layer)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를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에 코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슬립방지층(50)은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두꺼운 두께를 이루어 최대 제 1,2 몸체(100,200)의 두께와 동일한 상태로 제 1,2 몸체(100,200)의 대향 면 각각에 적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 제 1 몸체(100)의 대향 면(제 1 몸체의 내주 면)에 적층된 슬립방지층(50)은 제 1 몸체(100)의 선팽창계수(열팽창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몸체(200)의 대향 면(제 2 몸체의 외주 면)에 적층된 슬립방지층(50)은 제 2 몸체(200)의 선팽창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제 1,2 몸체(100,200) 각각에 적층된 슬립방지층(50)은 각각의 제 1,2 몸체(100,200)의 선팽창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1,2 몸체(100,200)가 금속재로 이루어질 때 제 1,2 몸체(100,200)는 니켈과 철의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슬립방지층(50)은 이보다 선팽창계수가 큰 니켈, 망간, 철 합금 또는 니켈, 망간, 구리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2 몸체(100,200)의 적층 구성은 바이메탈의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서, 통상 뜨거운 음료수보다는 상온보다 온도가 낮은 음료수를 음용할 때 빨대를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찬 음료수의 냉열이 빨대의 중공에 가해질 경우 대개 제 1 몸체(100)는 그 안쪽에 선팽창계수가 큰 슬립방지층이 적층되어 이 제 1 몸체(100)의 슬립방지층(50)이 수축되려는 성향으로 중공 측 방향으로 휘어지고, 반대로 제 2 몸체(200)는 그 바깥쪽에 선팽창계수가 큰 슬립방지층(50)이 적층되어 제 2 몸체(200)의 슬립방지층(50)이 수축되려는 성향으로 제 1 몸체(100) 측 방향으로 휘어진다.
즉, 고열이 아닌 냉열의 음료수로 인해 제 1 몸체(100)는 안쪽으로 모아지고 제 2 몸체(200)는 바깥쪽으로 벌어지는데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제 1,2 몸체(100,200)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양자 간의 긴밀한 근접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몸체의 두께를 차등 처리한 제 3 변형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의 제 1 몸체(100)는 개구를 사이에 두고 C형, 즉 개구가 개방된 원형 또는 이에 가까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 1 몸체(100)의 개구 주변의 양단을 제 1,2 단부(101,102)라 하고 제 1,2 단부(101,102)를 잇는 부위를 연결부(103)라 명명한다.
제 1 단부(101)는 제 1 몸체(100)의 중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일명 '가상 X축'을 기준으로 약 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단부(102)는 제 1 단부(101)의 대향 단으로서, 제 1 몸체(100)의 중심에서 가상 X축을 기준으로 약 4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6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몸체(100)는 230 내지 265°의 연장 구조(즉, 개구의 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직각을 약간 상회하는 95 내지 130°)를 가진다.
물론 제 1 몸체(100)의 연장 구조는 비단 상술한 각도 기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제 1 몸체(100)에 의하면 단면 기준으로 반원 형상보다 각 단에서 추가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면서 제 2 몸체(200)를 감쌀 수 있는 충분한 물리적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몸체(200) 역시 상술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 1 몸체(100)의 두께는 제 1 단부(101)에서 제 2 단부(102)의 끝단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몸체(100)의 평면 도시 기준으로 제 1 몸체(100)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수직선(가상 Y축)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단부(101)에서 상기 가상 Y축에 맞닿은 A 지점까지는 동일한 두께를 이루다가 이 지점(A)을 시작점으로 하고 제 2 단부(102)의 단부를 종결점이라 하였을 때 해당 지점, 즉 시작점(A)에서 종결점으로 점차 얇아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작점(A)의 두께를 a라 하고 종결점의 두께를 b라 하였을 때, a는 b의 1.5 내지 2.5배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 1 몸체(100)가 동일 두께로 이루어졌을 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한 탄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제 2 단부(102) 측으로 제 2 몸체(200)를 밀어 넣어 제 1 단부(101)의 변형은 최대한 방지하면서 제 2 단부(102)의 변형만을 유도하면서 제 2 몸체(200)와의 결합/해제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제 1 몸체(100)의 순차적으로 얇아지는 구조에 의해 일 방향으로의 탄성을 강화시켜 이 부위를 중심으로 한 제 2 몸체(200)와의 탈착의 용이성을 보강하면서도 자칫 너무 얇아져 이로 인해 제 2 몸체(200)가 쉽사리 이탈되거나 제 1 몸체(100)의 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는 문제를 보강한 특성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몸체의 곡률 반경을 차등 처리한 제 4 변형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03)의 곡률반경을 R1, 제 1 단부(101)의 곡률반경을 R2, 제 2 단부(102)의 곡률반경을 R3라 하였을 때, 그 수치는 R1>R2>R3로 이루어져 있다.
곡률반경은 곡도의 역수로서, 다시 말해 연결부(103)가 가장 완만한 곡도를 가지고 제 1 단부(101)가 연결부(103)의 곡도보다 크되 제 2 단부(102)의 곡도보다는 작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연결부(103)를 기준으로 제 1 단부(101)가 제 1 몸체(100)의 중심 측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연장되는바 이로 인해 제 2 몸체(200)를 보다 견고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더불어, 도 6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단부(101)의 길이가 제 2 단부(102)보다 짧기 때문에 제 2 단부(102)의 곡률반경과 같거나 작을 경우 제 2 몸체(200)를 진입/해제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단부(101)의 곡률반경을 제 2 단부(102)의 곡률반경보다는 크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제 2 단부(102)는 제 1 단부(101)의 연장 길이보다 길어 강화된 자체 탄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제 1 단부(101)보다 작은 곡률 반경으로서 상대적으로 제 1 단부(101)보다 제 1 몸체(100)의 중심을 향해 예리하게 연장되어 제 2 몸체(200)와의 결합 시 보다 긴밀하게 타이트하게 제 2 몸체(200)를 압박하면서 보다 우수하고 강인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막 50: 슬립방지층
100: 제 1 몸체 101: 제 1 단부
102: 제 2 단부 103: 연결부
110: 인덴트 120: 함입 홈
130: 슬릿 140: 점성체
200: 제 2 몸체

Claims (11)

  1. 삭제
  2.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로서,
    다단 절곡된 C 형상의 제 1 몸체;
    다단 절곡된 C 형상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 1 몸체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와 더불어 폐곡면을 이루는 제 2 몸체;
    상기 제 1,2 몸체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몸체에서 제 2 몸체를 향한 면에는,
    제 2 몸체를 향해 돌출된 인덴트가 형성되되,
    상기 인덴트는 제 1 몸체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세트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빨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세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몸체의 대향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일정 깊이로 함입된 함입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 홈에는,
    잔탄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 점성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 홈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점성체는,
    전체 점성체 중량 대비, 잔탄검 10 내지 80중량%, 로커스트빈검 10 내지 80중량%, 제 1 기능성 물질인 다이시아노피라진(Dicyano pyrazine) 0.1 내지 10중량%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슬릿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함입 홈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슬릿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점성체는,
    전체 점성체 중량 대비, 잔탄검 30 내지 60중량%, 로커스트빈검 30 내지 60중량%, 자일리톨이 함유된 것으로서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 2 기능성 물질 5 내지 15중량%를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슬릿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8.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로서,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몸체;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 1 몸체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와 더불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 2 몸체; 상기 제 1,2 몸체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2 몸체의 대향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 1,2 몸체의 대향 면보다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슬립방지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층은,
    상기 제 1,2 몸체의 대향 면 각각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기 제 1,2 몸체의 선팽창계수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10.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로서,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몸체;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 1 몸체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와 더불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 2 몸체; 상기 제 1,2 몸체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몸체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연장된 가상 X축에 맞닿은 제 1 부위에서 일 측 단까지 연장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부위의 대향 측인 가상 X축에 맞닿은 부위에서 타 측 단까지 연장된 제 2 단부 및, 상기 제 1,2 단부를 잇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단부에서 시작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가상 Y축에 맞닿은 상기 연결부 지점까지 동일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상 Y축에 맞닿은 지점에서 상기 제 2 단부로 연장될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11.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로서,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몸체; 반원통 형상의 휨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단이 상기 제 1 몸체의 개구 측으로 진입되어 제 1 몸체와 더불어 원통 형상을 이루는 제 2 몸체; 상기 제 1,2 몸체의 내부에서 음료수가 지나는 통로인 중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몸체는,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연장된 가상 X축에 맞닿은 제 1 부위에서 일 측 단까지 연장된 제 1 단부와, 상기 제 1부위의 대향 측인 가상 X축에 맞닿은 부위에서 타 측 단까지 연장된 제 2 단부 및, 상기 제 1,2 단부를 잇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단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2 단부의 곡률반경보다는 크고, 상기 연결부의 곡률반경보다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대.
KR1020180115138A 2018-09-27 2018-09-27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KR10211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38A KR102116616B1 (ko) 2018-09-27 2018-09-27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PCT/KR2019/012208 WO2020067676A1 (ko) 2018-09-27 2019-09-20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138A KR102116616B1 (ko) 2018-09-27 2018-09-27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01A KR20200035701A (ko) 2020-04-06
KR102116616B1 true KR102116616B1 (ko) 2020-05-28

Family

ID=6995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138A KR102116616B1 (ko) 2018-09-27 2018-09-27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6616B1 (ko)
WO (1) WO20200676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5442B1 (de) * 2020-05-26 2023-08-16 Michael Kaufmann Wiederverwendbarer trinkhalm
WO2023001657A1 (de) * 2021-07-20 2023-01-26 Klaus Peter Raunecker Trinkhal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2707U1 (de) * 2018-05-31 2018-07-03 Sagross Designoffice Gmbh Trinkröhrch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9826A (zh) * 2010-01-07 2011-07-13 方毅 多边形压叠式饮料吸管
KR20160146521A (ko) * 2015-06-12 2016-12-21 유주안 세척 가능 빨대
KR101861432B1 (ko) * 2016-06-27 2018-05-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립 및 분해 가능한 빨대
TWM566030U (zh) * 2018-05-14 2018-09-01 張清達 Combined stra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8002707U1 (de) * 2018-05-31 2018-07-03 Sagross Designoffice Gmbh Trinkröhrch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701A (ko) 2020-04-06
WO2020067676A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616B1 (ko) 음료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한 조립식 빨대
KR100829673B1 (ko) 단열 용기
TWI313247B (en) Peelable, child-resistant package for film-shaped drug forms
EP1921023A1 (en) Disposable drinking cup
US7699166B2 (en) Package for wipes
ES2684623T3 (es) Envases para lentes de contacto blandas desechables
JP4268054B2 (ja) チャイルドレジスタンスでシニアフレンドリーな薬剤ラベル
JP5885318B2 (ja) 液体を封入したカプセル及びこのカプセルを備えた喫煙物品
AU2007290048B2 (en) Package for wipes
AU8155601A (en) Hair curler/roller
KR100390263B1 (ko) 물질의 보유 및 분배를 위한 어플리케이터
JP2011081321A (ja) 首掛けラベル
KR200443810Y1 (ko) 손가락용 장갑
CN211608468U (zh) 一种新型指甲隔离膜
JP2003088457A (ja) 断熱コップ
JP7471490B2 (ja) 熱収縮性筒状ラベル及び筒状ラベ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6682277B2 (ja) キャップシール形成用基材、及びキャップシール包装体
JP7498627B2 (ja) ワイパーディスペンサー及びワイパーディスペンサーの設置方法
JP3219301U (ja) 紙製ストロー具
WO2000056193A1 (en) A chopstick
RU11703U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JP2018047926A (ja) ラベル付き容器
KR200334897Y1 (ko) 이중 컵
JP3112233U (ja) 印材
JP3091023U (ja) 多層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