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102A -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102A
KR20160146102A KR1020150082751A KR20150082751A KR20160146102A KR 20160146102 A KR20160146102 A KR 20160146102A KR 1020150082751 A KR1020150082751 A KR 1020150082751A KR 20150082751 A KR20150082751 A KR 20150082751A KR 20160146102 A KR20160146102 A KR 20160146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chain
fuc1
hexnac5
hex5
hexnac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회
이성현
박승열
안현주
김재한
오명진
이주아
김진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08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102A/ko
Priority to PCT/KR2015/013780 priority patent/WO2016199998A1/ko
Priority to US15/580,662 priority patent/US20180164320A1/en
Publication of KR20160146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9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col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5/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H5/04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in which the hetero bonds to oxygen have been replaced by the same number of hetero bonds to halo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to nitro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01N30/7233Mass spectrometers interfaced to liquid or supercritical fluid chromat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24Detection of slopes or peaks; baseline correction
    • G01N30/8631Pea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2030/022Column chromatography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eparation mechanism
    • G01N2030/027Liquid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31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peptides or prote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60/00Chemical aspects of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6Gastro-intestinal diseases
    • G01N2800/065Bowel diseases, e.g. Crohn, ulcerative colitis, I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쇄변화 탐지를 통한 대장암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질량분석방법을 통해 탐지된 대장암 환자 유래 당단백질의 N-당쇄화 (N-linked glycosylation) 변화에 따른 특정 당쇄구조들이 증가 또는 감소하거나 유의하게 변화한 경우, 발굴된 N-당쇄 구조들은 진단마커로서 질량분석방법을 활용하는 대장암 진단 방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Diagnostic method for colon cancer using N- glycan mass spectrometry}
본 발명은 당쇄변화 탐지를 통한 신규한 대장암 진단방법 및 대장암 진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당쇄변화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질량분석방법을 통해 탐지된 햅토글로빈의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및 당쇄변화 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계적으로 제1의 사망원인이며, 이 상황은 국내에도 마찬가지이다. 암은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형성, 발전하며 식생활의 변화, 환경오염의 심화, 환경 및 정신적 스트레스의 노출 심화 등으로 인하여 암 발생 및 암으로 인한 사망자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른 질병과 비교해 볼 때 암의 특징은 완치가 비교적 어렵다는 것과 치료 후 생존율이 평균적으로 낮다는데 있다. 생존율과 관련하여 암이 갖는 특징은 암의 진행 정도에 따라 환자의 예후와 생존율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인데 약 100여 년에 가까운 암치료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종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말기 암이나 전이가 이루어진 암의 경우는 완치율이 매우 낮다 (Etzioni R. et al., Nature Reviews Cancer 3, 243-252, 2003). 더욱이 암은 초기에 자각증상이 별로 없는 것이 일반적이며 자각증상에 의한 진단의 경우는 이미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상태로 발전한 경우가 많다. 즉, 암의 치료법 개발 필요성과 함께 치료 가능한 초기에 암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암의 효과적인 치료와 생존율 제고라는 목표에 가장 부합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암의 조기진단을 도울 수 있는 생체인자, 즉 바이오마커의 연구, 개발이 현재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중심으로 해서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종양 바이오마커는 다양한 용도가 있는데, 암의 조기진단을 도울 수 있고, 암의 진행 시기를 측정하고, 치료에 따른 암의 진행상황을 모니터할 수 있게 하며 수술 후의 예후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있다 (Rifai N. et al., Nature Biotech. 24, 971-983, 2006). 이런 목적과 기능을 가진 바이오마커를 통하여 암의 발견 및 진행상황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비파괴적인 방법이 요구되며, 따라서 검사시 위험부담이 적은 혈액 등의 체액이 바이오마커 개발연구에 있어 최적의 생체시료로 인식되고 있다. 즉, 소변이나 타액, 혈액 등을 통하여 탐지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 개발이 가장 표준화된 방식의 접근법이며, 그 중에서도 혈액은 모든 조직 유래의 단백질이 모이는 가장 포괄적인 생체시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생체물질의 형태로 볼 때 가장 선호되는 종양 바이오마커의 형태는 단백질이라고 할 수 있다.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하며, 세계적으로 2000년 발생률(945,000명 신규 발생, 세계 전체 암의 9.4%)과 사망률(492,000명 사망, 전체 암중 7.9%)이 모든 암 중 세 번째로 높고, 성별로 비교해보면 남자와 여자에게서 비슷한 비율로 발생한다(남:여 1.1:1). 다른 암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예후가 좋기 때문에 유병률은 유방암에 이어 세계적으로 두 번째로 높은데, 과거 5년 이내에 대장암으로 진단되어 생존하고 있는 사람이 약 240만 명으로 추정된다(Parkin DM, Global cancer statistics in the year 2000, Lancet Oncol 2:533-543, 2001). 대장암 예후는 초기(1기) 환자의 경우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인데 반해 전이된(4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에 불과하다(Cancer Facts and Figures 2004. American Cancer Society, 2004).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식생활 문화의 서구화로 대장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발간한 한국 중앙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2002.1 ~ 2002. 12)에 따르면 2002년에 대장암 발생건수가 11,097건으로 전체 발생 암의 11.2%를 차지하는 네 번째로 많은 암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6,423명으로 여성(4,674명)보다 많으며 연령별로는 60대가 가장 많고(3,751명), 50대가 그 뒤를 잇고 있다(2,400명).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간 자료에 의하면 대장암의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조발생률(인구 100,000명당 새로 발생한 암 환자수)을 보면 1999년에 비해 2002년에 남자의 경우 22.5에서 30.7로 36.4% 증가하였으며, 여자의 경우 18.8에서 23.1로 22.9%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20.6에서 26.9로 30.6%나 크게 증가하였다(1993-2002년 암발생자의 생존율 및 1999-2002년 암 발생률, 보건복지부, 2007. 7.). 2006년에 대장암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6,277명으로 전체 암 사망의 4위(9.5%)이며 남자는 3,453명으로 4위(8.0%), 여자는 2,824명으로 3위(11.5%)를 차지하였다. 또한 대장암은 폐암 다음으로 지난 10년 동안 사망률이 가장 많이 증가한 암이다(2006년 사망 및 사망원인통계결과, 통계청, 2007. 9.).
대장암의 경우 제거할 수 있는 전암성 병변이나 치료할 수 있는 초기단계 암으로부터 발달이 느리기 때문에 대장암 스크리닝은 이 질병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50세 이상의 성인 남녀 모두에 대한 대장암 스크리닝 검사를 통해 대장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믿어진다(Walsh JM & Terdiman JP, JAMA 289:1288-96, 2003). 그러나 현재 가장 신뢰성 있는 스크리닝 방법인 대장내시경에 대한 순응도와 보급률이 낮다. 반대로 현재 가장 널리 시행되는 비침입성 스크리닝(noninvasive screening) 옵션인 분변 잠혈검사(fecal occult blood test, FOBT)는 무엇보다 민감도가 낮다는 문제를 포함하여 여러 중요한 한계점들이 있다. 미국의 경우 2002년에 50세 이상 성인 중 40%만 지난 5년 이내에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았고, 12개월 이내에 분변 잠혈검사를 받은 사람은 22%에 불과했다(Behavior risk factor survey,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2). 대장암 스크리닝 검사에 대한 참여율이, 특히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에 비해 낮은 이유는 환자의 불편함, 비용, 인지도 부족, 현재 스크리닝 방법에 대한 낮은 수용성 등을 포함하는 여러 요인들 때문이다.
혈액 마커의 경우 분변 마커에 비해 검체를 얻기 쉽고 환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시료처리가 쉽고 바이오마커를 분해하거나 분석을 방해할 수 있는 미생물들이 없어 대장암을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아직 대장암 진단에 대한 바이오 마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여, 대장암 진단을 위한 바이오 마커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암의 생화학적 진행과정에서 전통적 연구는 단백질의 발현 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수행되어 왔으나, 생체 구성 성분인 복합 당질 당쇄에 착목한 질환의 연구는 당쇄구조 해석의 어려움으로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미량당쇄 구조 해석 기술, 당쇄 기능 해석기술 및 당쇄 합성 기술 등의 발전으로 복합 당질 당쇄의 중요성이 급속히 밝혀지고 있으며, 암세포의 발병이 다양한 당전이 효소의 역할에 기인하며, 이로 인한 당단백질의 당질 변화가 세포의 암화 과정과 연관되어 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Orntoft,T.F., Vestergaard, E. M., “Clinical aspects of altered glycosylation of glycoproteins in cancer” Electrophoresis 1999, 20, 362-371).
당쇄화(glycosylation)는 잘 알려진 해독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0007] 과정의 하나이다. 어떤 장기에 발생하는 암은 고유한 자체의 당쇄를 가지고 있어서, 스핑고당지질과 당단백질로 발현되는 당쇄는 종양 발달을 표지하거나 이를 저해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당쇄는 다양한 종류의 항체를 이용하여 진단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당쇄 항원들은 다양한 전임상 연구에서 면역치료의 훌륭한 표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대장암은 식생활의 서구화 등 환경적 요인의 변화와 함께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발견되는 연령도 점점 낮아지고 있어, 대장 내시경 등 조기 진단을 위한 검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대장암은 상부 소화기관과 달리 증세가 늦게 나타나며, 증세가 나타나더라도 단순 변비나 치질로 오인하여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대장암은 위암, 간암, 폐암에 이어 제4위를 차지하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인 경우 대장암 환자들은 배변 습관의 변화, 혈변이나 점액변(변에 점액이 섞임), 굵기가 가늘어진 변, 체중 감소, 복부 불편감(복통·복부팽만), 피로, 식욕부진·구토·오심, 빈혈 등의 증상을 보인다. 그러나 대장암은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대장암으로 인해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이미 대장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현재 대장암에 사용되고 있는 선별 검사로는 대변 잠혈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 대장조영술, 대장내시경 검사, 전산화 단층촬영, 복부 초음파 검사, 경직장 초음파, 에스결장경 검사가 있으나 이러한 검사법은 조기진단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대장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정확하게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소량의 체액, 특히 혈액으로 암을 검사할 수 있는 체외 진단 기술에 응용 가능한 종양 바이오마커의 개발이 필요하다. 실제 지금까지는 FDA의 승인을 받은 대장암 관련 혈액 유래 바이오마커는 없는 실정이다.
인체 내 단백질의 50% 이상이 당단백질이라는 점에서 많은 인체 질환이 당단백질과 관련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질병에 연관된 당단백질을 탐색하고 그것의 질병특이적인 당쇄구조분석 연구를 통하여 진단 마커 개발이 가능하다.
대부분 암의 생화학적인 연구는 단백질의 발현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당쇄 구조 해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암 연구에서 복합 당질 당쇄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해독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과정 중 하나인 당쇄화 (glycosylation)가 종양 발달을 표지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현재까지 종양에서 당쇄구조가 변화하는 이유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근거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암종 특이적인 당쇄는 혈액으로 배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당쇄는 다양한 종류의 항체 등을 이용하여 진단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식물에서 유래한 렉틴은 다양한 당쇄구조를 인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렉틴은 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가격도 저렴하여 당쇄구조를 검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렉틴은 제한된 당쇄구조만을 검출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진보된 방식의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기존의 분석방법으로는 분석이 불가능했던 미량의 당쇄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들이 발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대장암 진단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대장암의 신속하고 민감한 진단을 위한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암종에서 당쇄가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는 혈액 당단백질을 분리한 후 질량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인과 구별되는 대장암 특이적인 당쇄를 확인하였고, 정제한 당단백질에 PNGase F를 처리하여 얻은 N-당쇄의 정성 정보 및 정량 정보를 질량분석 방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대장암 환자 햅토글로빈의 비정상적인 당쇄화는 혈청 유래 햅토글로빈의 항체를 이용한 정제 이후 칩-기반 나노-LC/TOF-MS (Chip/TOF) 분석에 의하여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결과는 정상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장암 환자 혈청 햅토글로빈에서 N-당쇄 구조 중 일부가 현저히 적거나 현저히 많음을 명확히 나타낸다 (도 1의 A, B). 햅토글로빈은 아주 풍부한 당단백질 중 하나이며, 염증 및 종양과 같은 다양한 질병 진행단계에서 증가하는 주요 급성상 단백질 (acute phase protein)이다. 햅토글로빈에는 184, 207, 211 및 241 아스파라긴에 네 개의 N-당쇄화 부위가 있고, 하나의 O-당쇄화 부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어떤 당쇄화 타입과 어떤 당쇄화 부위가 대장암 환자와 정상인 대조군 간에 구별되는 당쇄 변화를 제공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항-햅토글로빈 항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로 혈청 유래 햅토글로빈 정제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면역친화 크로마토그래피 정제 후 칩-기반 나노-LC/TOF-MS (Chip/TOF) 분석을 이용하여 정확한 당쇄화 상태를 결정하였다. LC-MS는 MALDI-MS보다 높아진 민감도 및 이온 단편화가 덜 얻어지므로, 본 발명자들은 햅토글로빈의 상세한 당쇄 구조를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장암 환자 유래 햅토글로빈에서 변형된 N-당쇄가 탐지되었다.
당쇄구조 프로파일링을 통하여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군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몇몇 당쇄 구조를 발견할 수 있었다. 고 만노스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N-당쇄 구조들은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 사이에 상대적 양에서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표 2).
본 발명자들은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군 간의 고만노스 구조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고만노스 구조의 차이는 칩-기반 나노-LC/TOF-MS (Chip/TOF)에 의해 관찰되었는데, 이는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민감성가지고 당쇄 구조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고감도의 질량분석방법이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암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결과로 얻은 비정상적인 당쇄 구조들은 현재 비특이적인 대장암 마커들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당쇄 마커임을 말해준다.
본 발명은
a) 피검체 유래 전 혈액, 혈청 또는 혈장 시료로부터 햅토글로빈 등의 당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당단백질로부터 N-당쇄를 분리하는 단계;
c) 분리된 N-당쇄를 LC/MS로 질량분석하는 단계; 및
d) 질량분석한 결과에 대해 N-당쇄의 구조 및 조성을 밝히고 정량적 프로파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의 N-당쇄가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
Hex8-HexNAc2 당쇄 (1720.6 m/z),
Hex9-HexNAc2 당쇄 (1882.7 m/z),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3 당쇄 (1437.5 m/z),
Hex3-HexNAc4-Fuc1 당쇄 (1462.5 m/z),
Hex4-HexNAc4-Fuc1 당쇄 (1624.6 m/z),
Hex4-HexNAc4-NeuAc1 당쇄 (1769.6 m/z),
Hex4-HexNAc4-Fuc1-NeuAc1 당쇄 (1915.7 m/z),
Hex5-HexNAc4 당쇄 (1640.6 m/z),
Hex5-HexNAc4-Fuc1 당쇄 (1786.7 m/z),
Hex5-HexNAc4-NeuAc1 당쇄 (1931.7 m/z),
Hex5-HexNAc4-Fuc1-NeuAc1 당쇄 (2077.7 m/z),
Hex6-HexNAc4 당쇄 (1802.7 m/z),
Hex3-HexNAc5-Fuc1 당쇄 (1665.6 m/z),
Hex4-HexNAc5-Fuc1 당쇄 (1827.7 m/z),
Hex5-HexNAc5-Fuc1 당쇄 (1989.7 m/z),
Hex5-HexNAc5-NeuAc1 당쇄 (2134.8 m/z),
Hex5-HexNAc5-Fuc1-NeuAc1 당쇄 (2280.8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Hex6-HexNAc5-Fuc1 당쇄 (2151.8 m/z),
Hex6-HexNAc5-Fuc2 당쇄 (2297.9 m/z),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Hex6-HexNAc5-Fuc1-NeuAc1 당쇄 (2442.9 m/z),
Hex7-HexNAc6 당쇄 (2370.9 m/z),
Hex7-HexNAc6-Fuc1 당쇄 (2516.9 m/z) 및
Hex7-HexNAc6-Fuc1-NeuAc1 당쇄 (2808.0 m/z)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의 N-당쇄가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및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구조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들은 대장암 시료에서 P<0.01로 정상과 차이를 보였으나, 위암 시료에서는 정상과 차이가 구분되지 못한 당쇄 구조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의 질량분석에서 N-당쇄가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
Hex8-HexNAc2 당쇄 (1720.6 m/z) 및
Hex9-HexNAc2 당쇄 (1882.7 m/z)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c) 단계의 질량분석이 나노 LC 칩/Q-TOF 질량분석 방법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의 정량적 프로파일링이 T 검정 p-값 분석, ROC (Receiver-Operating curve) 및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분석 중 한 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피검체 유래 혈액 시료 및 정상인 혈액 시료로부터 각각 햅토글로빈을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각 햅토글로빈으로부터 N-당쇄를 분리하는 단계;
c) 분리된 N-당쇄를 LC/MS로 질량분석하는 단계; 및
d) 질량분석한 결과에 대해 N-당쇄의 구조 및 조성을 밝히고 정량적 프로파일링을 수행하여 정상인 혈액 유래 N-당쇄와 비교하여 피검체 유래 N-당쇄 T 검정 p-값 0.05 이하 또는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값 0.7 이상인 경우 대장암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장암 환자군의 당단백질 중 N-당쇄의 질량분석을 통해 정상 대조군에 비해 대장암 환자군의 당단백질에서 값이 확연히 차이 나는 고감도, 고특이도를 가지는 수 가지 N-당쇄 구조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으며, 종래의 특정 단백질의 양만을 분석하는 것과는 달리 당쇄 구조들을 이용함으로써 대장암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는 정상인 및 대장암 환자의 혈청에서 정제한 햅토글로빈을 질량분석한 전체 당쇄의 프로파일 및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당쇄마커 후보들을 발굴하는 그래프이다. 정제된 햅토글로빈에 PNGase F를 처리하여 N-당쇄만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군에서 유래한 햅토글로빈의 N-당쇄를 프로파일링한 결과이다. 각 당쇄구조들은 상대값 (Relative abundance)으로 나타내었고, 전체에서 95% 이상 비율 내의 모든 구조를 나타내었다. 도 1(b)는 전체 당쇄 중 가장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세 가지 당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고만노즈 구조(5200, 6200 및 7200)는 모두 AUC 0.9 이상으로 80% 이상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보이는 유력한 대장암 바이오마커 후보임을 확인하였다.
아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당단백질의 예로 햅토글로빈을 이용하였으나, 당쇄화와 관련된 효소들은 특정 단백질에 대해서만 당쇄화하는 것이 아니며, 햅토글로빈은 대표적인 당쇄화 단백질의 일 예로서 기재한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기타 시약
항-인간 베타-햅토글로빈 항체는 Dako (Carpinteria, CA)에서 구입하였다. PNGase F (Peptide N-glycosidase F)는 New England Biolabs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흑연화 탄소 카트리지 (Graphitized carbon cartridges)는 Grace Davison Discovery Sciences (IL,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질량 분광학적 계산 솔루션 (ESI-TOF Calibrant calibrant Mix mix G1969-85000)은 Agilent Technologies (CA,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다른 모든 약품은 분석 등급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대장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시료
혈청 시료는 한국인체자원은행 (National Biobank of Korea)의 일원인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입수하였다. 20명의 대장암환자 및 20명의 정상인의 임상정보는 표 1에 요약하였다. 환자들은 병리학자들에 의해 생검의 시험 및 진단을 받았다. 이 연구는 KAIST 윤리위원회의 허가를 받았고, 참여한 정상인과 대장암환자들로부터 동의서를 받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간 혈청으로부터 햅토글로빈 정제
항-햅토글로빈 항체를 이용하여 항-햅토글로빈 친화 컬럼을 제조하고 정제를 수행하였다. 20명의 대장암 환자 및 20명의 정상인으로부터 각각 500 ㎕의 혈청을 얻어 4 ㎖의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10 mM 인산 완충액/2.7 mM KCl/ 137 mM NaCl, pH 7.4)에 희석하여 항-햅토글로빈 친화 컬럼에 적용하고 회전 교반기 상에서 상온으로 두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결합하지 않은 물질들은 30 ㎖의 PBS로 컬럼을 세척하여 제거하였고, 햅토글로빈은 용출 완충액 (0.1 M 글라이신/ 0.5 M NaCl, pH 2.8)으로 용출한 후 중화 완충액 (1.0 M Tris-HCl, pH 9.0)을 함유한 튜브에 분획하였다. 용출액은 농축한 다음 원심분리 필터 (분자량 한계 10,000, Amicon Ultra, Millipore)로 계면활성제를 제거한 다음 Quant-iT Assay Kit (Invitrogen, Carlsbad, CA)로 햅토글로빈을 분석하였고, 12.5% SDS-PAGE 및 쿠마시 블루 염색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동결건조하여 분석시까지 -80℃에 보관하였다.
효소를 이용한 N- 당쇄 분리
플라보박테리움 메닝고셉티쿰 (Flavobacterium meningosepticum) 유래 PNGase F (peptide N-glycosidase F; 500,000 unit/㎖)를 New England BioLabs (Ipswich, MA)에서 구입하였다. 효소를 이용하여 당쇄를 단백질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를 거쳐 얻어진 50 ㎕의 햅토글로빈을 소화 완충액 (pH 7.5, 100 mM 중탄산 암모늄, 5 mM DTT)에 용해시키고, 끓는 물에 2분간 가열하여 단백질을 변성시켰다. 실온에서 식힌 후 2 ㎕의 PNGase F (1,000 units)를 가하고 혼합액을 37 ℃ 수조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차가운 상태의 400 ㎕ 에탄올을 가하여 펩타이드와 단백질을 침전시켰다.
얻은 용액은 -40 ℃에서 60 분간 동결한 후 4 ℃에서 분당 14,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각 시료마다 400 ㎕의 상층액을 취하고, 상층액에 포함된 에탄올을 완전히 건조시켰다.
그 후 각 시료에 1 ㎖의 물을 가하고 격렬히 교반하여 정제를 위한 당쇄 함유 시료를 준비하였다.
당쇄 정제
PNGase F로 분리된 당쇄 함유 시료를 흑연 처리한 탄소 카트리지 SPE (PGC-SPE; 충진량 150 ㎎, 카트리지 부피 3 ㎖)로 정제하였다. PGC SPE 카트리지는 Alltech (Deerfield, IL)에서 입수하였다. 사용에 앞서 카트리지를 초순수 6 ㎖로 세척하고 0.1% 트리플루오로초산 (TFA) 함유 80% (v/v) 아세토나이트릴 (ACN) 6 ㎖로 세척한 후 다시 초순수 6 ㎖로 세척하였다. 당쇄 함유 시료는 PGC 카트리지에 넣고 카트리지 부피의 수 배의 초순수를 1 ㎖/min의 속도로 흘려주어 염을 제거하였다. N-당쇄는 10% (v/v) 아세토나이트릴, 20% (v/v) 아세토나이트릴 및 40% (v/v) 아세토나이트릴과 0.05% (v/v) TFA로 순서대로 용출시켰다. 각 분획을 수집하여 원심식 증발기로 건조시켰다. 분획들은 질량분석에 앞서 초순수에 용해시켰다.
칩-기반 나노- LC / MS MS / MS
Nano-LC 분리는 종래기술에 따라 수행하였다. 각 시료의 N-당쇄 분획들을 함께 조합하여 2.0 ㎕ (800 ng 햅토글로빈에 해당함)를 칩이 올려진 나노-LC 컬럼 (Agilent Technologies) 상에 오토샘플러로 주입하였는데, 나노-LC 컬럼은 9 X 0.075 mm i.d. 농축용 컬럼 및 43 X 0.075 mm i.d. 분석용 컬럼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 컬럼은 모두 정지상으로 5 ㎛의 다공성 흑연화 카본으로 패킹되어 있다. 쾌속 당쇄 용출 농도구배는 (A) 3.0% 아세토나이트릴 및 0.1% 포름산 (v/v) 수용액, 그리고 (B) 90.0% 아세토나이트릴 및 0.1% 포름산 (v/v) 수용액을 이용하여 20분간 B 용액을 6%에서 100%까지 올리며 0.3 ㎕/min의 속도로 흘려주었다. 남아있는 비당쇄 화합물들은 재평형화 이전에 100% B 용액으로 흘려보냈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이후, 당쇄들은 칩-집적 나노-ESI 스프레이 팁으로 이온화하고 Q-TOF 질량분석기 (Model 6540, Agilent Technologies)로 종래기술에 따라 분석하였다. 캘리브란트 분자 (ESI-TOF Calibrant Mix G1969-85000, Agilent Technologies)들은 직접 전기스프레이 내로 주사하여 내부 질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MS 스펙트럼은 스펙트럼당 2초의 획득시간으로 질량범위 m/z 500-2000을 넘어 양성 이온화 모드에서 얻어졌다. MS/MS 스펙트럼은 스펙트럼당 1.5초의 획득시간으로 질량범위 m/z 100-3000을 넘어 양성 이온화 모드에서 얻어졌다. MS 스캔 이후 전구체 화합물들은 이온 양 및 전하 상태 (z = 2 또는 3)에 기초한 획득 소프트웨어에 의해 MS/MS 분석용으로 자동 선택되었고, 1.3 m/z의 질량 대역 (mass bandpass) 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으로 사중극 (quadrupole)에서 분리되었고, 다음의 식에 따라 CID에 의해 단편화되었다.
Figure pat00001
이 식에서, V collision은 전구체를 가속하고 조각내기 위해 충돌세포를 가로질러 적용한 전압을 말한다. 원 LC-MS 데이타는 MassHunter 질적 분석 소프트웨어 (version B.04.00 SP2, Agilent Technologies)에 포함된 Molecular Feature Extractor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MS 피크는 신호 대 노이즈 비율 5.0으로 여과되어 화합물 질량, 이온 양 및 체류시간 리스트를 얻기 위해 한 번에 하나씩 당을 제거하여 당쇄 서열을 결정하였다 (deconvolute).
정확한 질량에 의한 N- 당쇄 규명
nano-LC/MS에 의해 탐지된 화합물들은 알려진 생물학적 합성경로와 당쇄화 패턴에 기초한 모든 가능한 복합, 하이브리드 및 고-만노스 당쇄 구조의 당쇄 데이타베이스에 정확한 질량을 비교하였다. 각 ECC 피크의 당쇄 서열 결정방법으로 결정된 질량은 20 ppm의 질량 오차 허용치를 이용하여 이론적 당쇄 질량과 비교하였다. 인간 혈청 유래 시료 셋트와 같이, 헥소스 (Hexose), HexNAc (N-acetylhexosamine), 퓨코스 (fucose) 및 NeuAc (N-acetylneuraminic acid)를 포함하는 당쇄 구성만 고려하였다. T 검정 p-값 분석, ROC 커브(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및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등을 이용하여 각 시료에서 추출된 N-당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 햅토글로빈의 대장암 특이적 N- 당쇄 분석
혈액 당단백질인 햅토글로빈의 자세한 당쇄화 패턴은 칩-기반 나노-LC/TOF-MS (Chip/TOF) 시스템으로 분석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다른 연결 또는 다른 가지를 갖는 당쇄 이질성 (heterogeneity)을 식별할 수 있고 MALDI-MS 및 전통적인 LC/MS와 비교하여 더 높은 민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낮은 에너지 이온,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 및 매치되지 않는 체류시간 재생성 제공과 같은 부가적인 장점 때문이다. 본 발명자들은 나노-LC/MS로 두 번씩 정상인과 환자 (n=40)의 혈청 시료 유래 햅토글로빈의 N-당쇄를 분석하였다. PNGase F 처리를 통하여 햅토글로빈의 N-당쇄만 분리한 후 칩-기반 나노-/TOF-MS (Chip/TOF)로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군에서 유래한 햅토글로빈의 N-당쇄를 비교하였다. 각 시료 내에서 확인되는 전체 N-당쇄 구조의 상위 95% 비율 내의 모든 구조를 이용하였고 정량값을 비교하였다. 해당 N-당쇄 구조들 중 고만노즈 (high mannose) 구조들 중에 1234.43의 질량 값을 나타낸 Hex5-HexNAc2 (5200 당쇄 구조), 1396.48의 질량 값을 나타낸 Hex6-HexNAc2 (6200 당쇄 구조) 그리고 1558.54의 질량 값을 나타낸 Hex7-HexNAc2 (7200 당쇄 구조) 등이 0.90 이상의 높은 AUC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군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몇몇 당쇄 구조 중 고만노즈 구조 이외에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및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구조들은 대장암 시료에서 P<0.01로 정상인 대조군과 차이를 보였으나, 위암 환자 시료에서는 정상인 대조군과 차이가 구분되지 못한 당쇄 구조들이다.
도 1은 정상인 및 대장암환자의 혈청에서 정제한 햅토글로빈을 질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전체 당쇄의 프로파일로서, 이 데이타로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당쇄마커 후보를 발굴하였다. A는 정제된 햅토글로빈에 PNgaseF처리를 하여 N-당쇄만 분리한 후 LC-MS를 이용하여 정상인 대조군과 대장암 환자군에서 유래한 햅토글로빈의 N-당쇄 프로파일링 결과이다. 각 N-당쇄 구조들은 상대값(Relative abundance)로 나타내었고, 전체에서 95% 이상 비율 내의 모든 구조를 나타내었다. B는 전체 N-당쇄 중 가장 큰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세 가지 N-당쇄 구조이다. 고만노즈구조 (5200, 6200, 7200)는 모두 모두 AUC 0.9 이상으로 80% 이상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보이는 대장암 특이적인 당마커 후보임을 확인하였다.
표 1은 총 40명의 정상인과 대장암 환자군 (정상 20명, 대장암 환자 20명)에 대한 요약 정보이다. 각 혈청 시료는 한국 인체자원은행 (National Biobank of Korea)의 일원인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입수하였고, 환자들은 병리학자들에 의해 생검의 시험 및 진단을 받았다.
표 2는 nano LC chip/Q-TOF MS방법으로 확인된 햅토글로빈에서 분리된 N-당쇄 구조 중에서 정상인과 대장암 환자군의 상대적인 p 값이 0.05 이하인 감도를 보이는 N-당쇄 구조 리스트이다. 참고로 N-당쇄 구조는 체류시간 라이브러리 (retention time library)로 확인이 가능하며 당쇄 구조별로 모든 햅토글로빈 유래 N-당쇄 구조의 존재량을 파악할 수 있다. 표 2에서는 MS 질량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만노즈 구조와 각 가지 (antennary) 별로 당쇄 구조를 구분하였다. 특히 몇 가지 고만노즈 구조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는 AUC 0.9 이상으로 대장암 환자와 정상인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및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구조들은 대장암 시료에서 P<0.01로 정상과 차이를 보였으나, 위암 환자 시료에서는 정상과 차이가 구분되지 못한 당쇄 구조들로 위암과 구분될 수 있는 대장암 특이적인 당마커 후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혈청 등의 체액을 시료로 사용하고 체액, 특히 혈청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당단백질인 햅토글로빈을 이용함으로서 체외 진단 기술 응용이 용이하다. 현재 FDA 승인된 대장암 관련 바이오 마커는 CEA 단백질이 있으나 70% 정도의 진단율을 보이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정상인에 비해 대장암 환자에서 바뀌는 N-당쇄 구조를 질량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고만노즈 구조를 포함한 특정 N-당쇄 구조들의 발현이 대장암 환자에서 정상인과 차이가 나는 결과를 이용하여 대장암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질량분석법을 통해 발굴한 고만노즈 구조들을 포함한 당쇄구조 바이오 마커 리스트는 표 2에 정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p 값 0.05 이하로 유의성 있는 바이오마커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대장암 진단 방법, 대장암 진단용 조성물 및 진단 키트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Claims (13)

  1. a) 피검체 유래 혈액 시료로부터 햅토글로빈을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햅토글로빈으로부터 N-당쇄를 분리하는 단계;
    c) 분리된 N-당쇄를 LC/MS로 질량분석하는 단계; 및
    d) 질량분석한 결과에 대해 N-당쇄의 구조 및 조성을 밝히고 정량적 프로파일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N-당쇄가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
    Hex8-HexNAc2 당쇄 (1720.6 m/z),
    Hex9-HexNAc2 당쇄 (1882.7 m/z),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3 당쇄 (1437.5 m/z),
    Hex3-HexNAc4-Fuc1 당쇄 (1462.5 m/z),
    Hex4-HexNAc4-Fuc1 당쇄 (1624.6 m/z),
    Hex4-HexNAc4-NeuAc1 당쇄 (1769.6 m/z),
    Hex4-HexNAc4-Fuc1-NeuAc1 당쇄 (1915.7 m/z),
    Hex5-HexNAc4 당쇄 (1640.6 m/z),
    Hex5-HexNAc4-Fuc1 당쇄 (1786.7 m/z),
    Hex5-HexNAc4-NeuAc1 당쇄 (1931.7 m/z),
    Hex5-HexNAc4-Fuc1-NeuAc1 당쇄 (2077.7 m/z),
    Hex6-HexNAc4 당쇄 (1802.7 m/z),
    Hex3-HexNAc5-Fuc1 당쇄 (1665.6 m/z),
    Hex4-HexNAc5-Fuc1 당쇄 (1827.7 m/z),
    Hex5-HexNAc5-Fuc1 당쇄 (1989.7 m/z),
    Hex5-HexNAc5-NeuAc1 당쇄 (2134.8 m/z),
    Hex5-HexNAc5-Fuc1-NeuAc1 당쇄 (2280.8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Hex6-HexNAc5-Fuc1 당쇄 (2151.8 m/z),
    Hex6-HexNAc5-Fuc2 당쇄 (2297.9 m/z),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Hex6-HexNAc5-Fuc1-NeuAc1 당쇄 (2442.9 m/z),
    Hex7-HexNAc6 당쇄 (2370.9 m/z),
    Hex7-HexNAc6-Fuc1 당쇄 (2516.9 m/z) 및
    Hex7-HexNAc6-Fuc1-NeuAc1 당쇄 (2808.0 m/z)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N-당쇄가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
    Hex8-HexNAc2 당쇄 (1720.6 m/z) 및
    Hex9-HexNAc2 당쇄 (1882.7 m/z) 구조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N-당쇄가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및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구조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LC/MS는 nano LC chip/Q-TOF MS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정량적 프로파일링은 T 검정 p-값 분석, ROC (Receiver-Operating curve) 및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분석 중 한 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액 시료는 전 혈액, 혈청 및 혈장 중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8. a) 피검체 유래 혈액 시료 및 정상인 혈액 시료로부터 각각 햅토글로빈을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각 햅토글로빈으로부터 N-당쇄를 분리하는 단계;
    c) 분리된 N-당쇄를 LC/MS로 질량분석하는 단계; 및
    d) 질량분석한 결과에 대해 N-당쇄의 구조 및 조성을 밝히고 정량적 프로파일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프로파일링 결과, 정상인 혈액 유래 N-당쇄와 비교하여 피검체 유래 N-당쇄의 T 검정 p-값 0.05 이하 또는 AUC (Area under the ROC curve) 값 0.7 이상인 N-당쇄를 대장암 바이오마커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e) 단계 이후
    f) 대장암 바이오마커로 선정된 동일 구조의 N-당쇄에 대하여 피검체 유래 N-당쇄의 함량이 정상인의 N-당쇄 함량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대장암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선정된 대장암 바이오마커는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
    Hex8-HexNAc2 당쇄 (1720.6 m/z),
    Hex9-HexNAc2 당쇄 (1882.7 m/z),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3 당쇄 (1437.5 m/z),
    Hex3-HexNAc4-Fuc1 당쇄 (1462.5 m/z),
    Hex4-HexNAc4-Fuc1 당쇄 (1624.6 m/z),
    Hex4-HexNAc4-NeuAc1 당쇄 (1769.6 m/z),
    Hex4-HexNAc4-Fuc1-NeuAc1 당쇄 (1915.7 m/z),
    Hex5-HexNAc4 당쇄 (1640.6 m/z),
    Hex5-HexNAc4-Fuc1 당쇄 (1786.7 m/z),
    Hex5-HexNAc4-NeuAc1 당쇄 (1931.7 m/z),
    Hex5-HexNAc4-Fuc1-NeuAc1 당쇄 (2077.7 m/z),
    Hex6-HexNAc4 당쇄 (1802.7 m/z),
    Hex3-HexNAc5-Fuc1 당쇄 (1665.6 m/z),
    Hex4-HexNAc5-Fuc1 당쇄 (1827.7 m/z),
    Hex5-HexNAc5-Fuc1 당쇄 (1989.7 m/z),
    Hex5-HexNAc5-NeuAc1 당쇄 (2134.8 m/z),
    Hex5-HexNAc5-Fuc1-NeuAc1 당쇄 (2280.8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Hex6-HexNAc5-Fuc1 당쇄 (2151.8 m/z),
    Hex6-HexNAc5-Fuc2 당쇄 (2297.9 m/z),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Hex6-HexNAc5-Fuc1-NeuAc1 당쇄 (2442.9 m/z),
    Hex7-HexNAc6 당쇄 (2370.9 m/z),
    Hex7-HexNAc6-Fuc1 당쇄 (2516.9 m/z) 및
    Hex7-HexNAc6-Fuc1-NeuAc1 당쇄 (2808.0 m/z)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선정된 대장암 바이오마커는
    Hex5-HexNAc2 당쇄 (1234.4 m/z),
    Hex6-HexNAc2 당쇄 (1396.5 m/z),
    Hex7-HexNAc2 당쇄 (1558.5 m/z),
    Hex8-HexNAc2 당쇄 (1720.6 m/z) 및
    Hex9-HexNAc2 당쇄 (1882.7 m/z) 구조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선정된 대장암 바이오마커는
    Hex4-HexNAc3-NeuAc1 당쇄 (1566.6 m/z),
    Hex5-HexNAc5-Fuc1-NeuAc2 당쇄 (2571.9 m/z),
    Hex6-HexNAc5 당쇄 (2005.7 m/z) 및
    Hex6-HexNAc5-NeuAc2 당쇄 (2587.9 m/z) 구조 중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혈액 시료는 전 혈액, 혈청 및 혈장 중 선택된 1종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장암 바이오마커 분석방법.
KR1020150082751A 2015-06-11 2015-06-11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KR20160146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51A KR20160146102A (ko) 2015-06-11 2015-06-11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PCT/KR2015/013780 WO2016199998A1 (ko) 2015-06-11 2015-12-16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US15/580,662 US20180164320A1 (en) 2015-06-11 2015-12-16 Method for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using mass spectrometry of n-glyc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751A KR20160146102A (ko) 2015-06-11 2015-06-11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102A true KR20160146102A (ko) 2016-12-21

Family

ID=57503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751A KR20160146102A (ko) 2015-06-11 2015-06-11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64320A1 (ko)
KR (1) KR20160146102A (ko)
WO (1) WO20161999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064A (ko) 2018-08-24 2020-03-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N-당사슬 이성질체의 상대정량을 이용한 질병 스크리닝 방법
KR20200028917A (ko) 2020-03-06 2020-03-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N-당사슬 이성질체의 상대정량을 이용한 질병 스크리닝 방법
WO2021154015A1 (ko) * 2020-01-30 2021-08-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용 당사슬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7332A (zh) * 2019-12-28 2022-07-29 中精普康(北京)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结直肠癌或腺瘤的生物标志物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2893B2 (ja) * 2008-05-09 2013-06-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N結合型糖鎖を利用した膵臓癌の診断方法
KR101130755B1 (ko) * 2009-12-23 2012-03-28 한국과학기술원 대장암 진단 방법
KR101452730B1 (ko) * 2014-02-19 2014-10-23 한국과학기술원 신규한 위암 진단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064A (ko) 2018-08-24 2020-03-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N-당사슬 이성질체의 상대정량을 이용한 질병 스크리닝 방법
WO2021154015A1 (ko) * 2020-01-30 2021-08-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용 당사슬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방법
KR20210097866A (ko) * 2020-01-30 2021-08-1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용 당사슬 바이오마커 및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골관절염 진단방법
KR20200028917A (ko) 2020-03-06 2020-03-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N-당사슬 이성질체의 상대정량을 이용한 질병 스크리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9998A1 (ko) 2016-12-15
US20180164320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9008B2 (ja) 膵臓が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N105277718B (zh) 用于恶性肿瘤相关筛查及评估的产品、应用及方法
EP2863227B1 (en) Means and methods for metabolic differentiation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from liver disease
KR101484969B1 (ko) N-당쇄화된 당펩타이드를 이용한 암 진단방법
JP5737761B2 (ja) 肝細胞癌マーカー
WO2023082821A1 (zh) 用于肺部良恶性结节诊断的血清代谢标志物及其应用
WO2009039023A2 (en) Detection of saliva proteins modulated secondary to ductal 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JP2016500821A (ja) 癌マーカーとしてのメチルグリオキサール
KR20160146102A (ko) N-당쇄 질량분석을 이용한 대장암 진단방법
KR20120125157A (ko) 렉틴을 이용한 암 진단 방법
CA2775033A1 (en) Method for the diagnosi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based on a metabolomic profile
WO2015012533A1 (ko) 당단백질의 탈당화 검출을 통한 암 진단 방법
EP3444359A1 (en) Methods of identific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EP289447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breast cancer
CN116879558B (zh) 卵巢癌诊断标志物、检测试剂及检测试剂盒
EP2963420A1 (en) Breast-cancer determination method
CA2705044A1 (en) Methods for detecting or monitoring cancer using lpc as a marker
KR101456096B1 (ko) 인간 혈청 당쇄 지도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
JPWO2008032868A1 (ja) 腎癌の腫瘍マーカー及び腎癌の罹患の識別方法
CN114660290B (zh) 预测甲状腺癌术后复发的糖链标志物及其应用
EP3819639B1 (en) Sugar chain specific to prostate cancer, and test method using same
Mackay et al.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glycoforms in prostate cancer patients seminal plasma
KR101530210B1 (ko) N-당쇄화된 당펩타이드를 이용한 위암 진단용 마커 조성물
KR101712368B1 (ko) 당단백질의 전분자량 측정을 통한 당사슬 모니터링에 의한 고민감도 암 진단마커 분석방법
CA2525743A1 (en) Differential diagnosis of colorectal cancer and other diseases of the col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