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40A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6040A KR20160146040A KR1020150082597A KR20150082597A KR20160146040A KR 20160146040 A KR20160146040 A KR 20160146040A KR 1020150082597 A KR1020150082597 A KR 1020150082597A KR 20150082597 A KR20150082597 A KR 20150082597A KR 20160146040 A KR20160146040 A KR 201601460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oke
- key
- character
- keys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에 따라, 한자가 만들어질 때 사용된 원리에 따라 키가 만들어지고 배열되므로 직관성과 편리성이 동시에 실현되어 휴대폰을 비롯한 각종 단말기 사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자입력 자판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숫자입력 자판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14: 내부키 16: 외부키
18: 삼재키 20: 선택부
21: 번호부 23: 부수부
25: 문자부 30: 표시부
Claims (8)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자판에 있어서:
입력 지령을 위해서 중앙키(12)를 중심으로 내부키(14)와 외부키(16) 상에 한자의 기본획 그룹과 상위의 숫자를 배치하고, 하위의 숫자를 삼재키(18)에 배치하여 구성되는 주입력부(10);
일련번호를 표시하는 번호부(21)에 대응한 일측으로 부수를 출력하는 부수부(23)를 배치하고, 타측으로 문자를 출력하는 문자부(25)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선택부(20); 및
상기 주입력부(10)와 선택부(20)를 통하여 최종 선택된 글자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표시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입력부(10)에서 4개의 내부키(14)와 8개의 외부키(16)로 구성된 12개의 기본획 그룹에 ( ), ( ), ( ), ( ), ( ), ( ), ( ), ( ), ( ), ( ), ( ), ( )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자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력부(10)의 삼재키(18)에 1, 2, 3을 배치하고, 나머지 키에 0, 4 ~ 9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자판. - 청구항 2에 있어서,
숫자입력을 위해서 숫자 1, 2, 3이 내부키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입력을 위한 자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20)의 부수부(23)는 내부키(14)와 외부키(16)의 기본획 그룹에서 선택된 획에 해당하는 부수를 표시하고, 문자부(25)는 기본획 또는 부수부(23)에서 선택된 부수에 해당하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자판. - 청구항 1의 자판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입력부에서 기본획을 입력하면 그 획이 포함된 문자가 바로 선택부(20)의 문자부(25)에 표시되는 제 1모드와,
상기 주입력부에서 기본획을 입력하면 그 획이 포함된 부수가 선택부(20)의 부수부(23)에 표시되고, 이들 표시된 부수들 중에서 다시 중앙키(12)와 숫자키(1~9)의 조합을 통해서 원하는 부수를 선택한 뒤에 그 부수가 포함된 문자가 문자부(23)에 표시되는 제 2모드와,
상기 삼재키 중 하나와 중앙키의 조합을 통해서 단어나 상용구가 입력이 되고, 선택부에 표시되는 제 3모드를 구비하며,
상기 선택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주입력부의 지령에 따라 해당 글자를 표시부에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기본획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상기 주입력부의 각 키에 배열된 획은 상기 각 키의 한번 누름과, 상기 각 키와 숫자키 1, 2, 3과의 조합으로 상기 각 키에 배열된 획들이 순서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는 선택부(20)의 부수부(23)에 표시된 일련의 부수들 중에서 선택이 이루어지거나, 주입력부에서 다음의 획을 누르면, 해당 부수가 포함된 일련의 문자를 선택부(20)의 문자부(25)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단어나 상용구뿐만 아니라, 기(旣) 설정된 단어나 상용구,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나 상용구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에 탑재하여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진행되고, 선택부(20)에 표시된 일련의 단어나 상용구 중 주입력부(10)에서 지령된 번호에 따라 표시부(30)에 순차적으로 최종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597A KR20160146040A (ko) | 2015-06-11 | 2015-06-11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597A KR20160146040A (ko) | 2015-06-11 | 2015-06-11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6040A true KR20160146040A (ko) | 2016-12-21 |
Family
ID=5773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597A Ceased KR20160146040A (ko) | 2015-06-11 | 2015-06-11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6040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553B1 (ko) | 2005-04-28 | 2007-02-28 | 박인기 |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
KR20100135340A (ko) | 2009-06-17 | 2010-12-27 | 김호연 |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KR101168213B1 (ko) | 2010-11-19 | 2012-07-26 | 정창수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영어), 숫자 자판구조와 이를 이용한 입력방식 |
-
2015
- 2015-06-11 KR KR1020150082597A patent/KR20160146040A/ko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2553B1 (ko) | 2005-04-28 | 2007-02-28 | 박인기 | 3열 4행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법 |
KR20100135340A (ko) | 2009-06-17 | 2010-12-27 | 김호연 |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KR101168213B1 (ko) | 2010-11-19 | 2012-07-26 | 정창수 |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영어), 숫자 자판구조와 이를 이용한 입력방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81518B2 (ja) | 文字入力装置 | |
CN101950240A (zh) | 用于触摸屏的拼音输入法 | |
KR20210058291A (ko) | 쉬운 일문용 로마자 배열을 갖는 일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 |
KR101449376B1 (ko) |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 |
CN102422621A (zh) |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 |
KR101216840B1 (ko) |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 |
KR101449375B1 (ko)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자판 및 한자입력 방법 | |
KR20130069517A (ko) |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 |
Niu et al. | Stroke++: A new Chinese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 mobile phones | |
KR102459508B1 (ko) |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 |
KR20160146040A (ko)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 방법 | |
KR20100086975A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 |
KR20120068513A (ko) | 터치 앤드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 |
KR101615862B1 (ko) |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와 숫자입력 자판 및 그 입력방법 | |
KR101921586B1 (ko) |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 |
KR20120080474A (ko) | 선긋기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 |
KR101652322B1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 |
KR20130004648A (ko) |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 |
KR20190140135A (ko) | 일본어 키패드 | |
JP2013219638A (ja) | 文字入力方法と装置 | |
KR20050115792A (ko) | 스마트 중문자 입력법 | |
KR20190084865A (ko) | 문장 예측입력시스템 | |
KR20140083485A (ko) |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 |
JP2009059331A (ja) | 携帯端末の入力鍵盤 | |
KR101509571B1 (ko) |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201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6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70213 Appeal identifier: 2016101006560 Request date: 201611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J0801 | Rejection of trial |
Patent event date: 20170213 Patent event code: P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Decision date: 2017021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6560 Request date: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