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322B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322B1
KR101652322B1 KR1020150129022A KR20150129022A KR101652322B1 KR 101652322 B1 KR101652322 B1 KR 101652322B1 KR 1020150129022 A KR1020150129022 A KR 1020150129022A KR 20150129022 A KR20150129022 A KR 20150129022A KR 101652322 B1 KR101652322 B1 KR 10165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s
input
row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수
Original Assignee
정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수 filed Critical 정창수
Priority to KR1020150129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민정음 제자해의 원리에 따라 키(key)가 배열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직관성을 크게 도모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자판과 그 입력방법에 관해서 개시한다. 즉, 터치스크린의 키패드를 4행 3열로 형성하되, 제2행 제2열에 별도의 4개 키(key)를 더 구비하여 총 16개 키(key)로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각 키(key)의 크기가 작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글자 입력에 불편함이 없는 키(key)의 개수를 확보하고, 더불어 숫자 1, 2, 3까지 이용함으로서 보다 적은 횟수의 터치로 한글을 빠르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훈민정음 제자해의 원리에 따라 키(key)가 배열됨에 따라 우리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교육적 효과까지 있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Keypad and Method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 using Touch-screen on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의 입력을 쉽고 빠르게 하면서도 음양오행에 바탕을 둔, 우리말을 구성하고 있는 각 소리 간의 상호관계를 알 수 있게 배열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자판구조는 크게 천지인 타입과 나랏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을 문자배열과 입력방법을 기준으로 보면 천지인 방식은 자음모음 분리형에 제자리타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나랏글 타입은 자음모음 분리형에 자음은 변환방식, 모음은 제자리타 방식과 변환방식을 혼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대다수 자판은 크기가 작은 스마트폰에서 대체로 한글을 얼마나 쉽고 빠르게 입력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록 천지인 타입의 자판은 모음을 천지인(,ㅡ, ㅣ)의 원리를 이용해 3개의 기본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어 나름의 직관성이 돋보이게 배열되어 있지만, 이 역시 천지인(,ㅡ, ㅣ)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바탕이 아직까지 충분하지 않고, 입력타수의 증가에 따른 문제점이 있다.
자음의 경우 (ㄴㄹ), (ㅅㅎ), (ㅇㅁ)처럼 서로 관련성이 없는 자음끼리 한 키에 함께 배치되어 있어 훈민정음 제자해의 기본정신에 반하고 있기에, 우리말을 구성하고 있는 자모의 각 소리 간 상관관계에 대한 고려는 그렇게 크지 않다.
또 자음의 입력에 있어서, 제자리타 방식(멀티탭 방식)에서 발생하는 종성과 초성입력에 있어서 같은 자음의 연속입력 시 자음충돌 문제를 일으키거나, 자음배열의 경우 한눈에 자판이 들어오지 않아 직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나랏글 타입의 자판구조는 자음의 배열이 훈민정음 제자해의 원리에 따라 만들었지만, 실제로 자판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워서 자판을 입력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모음의 경우는 기본모음 중에서 아래아(·)가 빠져 있기 때문에 한글 제자해의 원리에 완전히 부합된다고 할 수 없다.
한편, 천부경(하나님 말씀)은 핵심 철학인 삼재(천지인)와 그 하부사상인 음양오행사상을 바탕으로 두고 있다. 그리고 훈민정음(한글)의 제자원리는 천부경의 철학을 그 바탕에 두고 있어 다른 문자보다 그 구조가 특이하다. 이러한 훈민정음(한글)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우리말은 자음(초성)+모음(중성)+자음(종성)의 구조로서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의 배열도 우리말의 구조 속에 들어 있는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자음을 위와 아래에 배치하고 모음을 가운데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나랏글 타입의 자판구조는 자음을 왼편과 가운데에, 모음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은 오른편에 배치하고 있다. 반면, 천지인 타입의 자판구조는 모음이 위에 배열되어 있고 자음이 아래에 배열되어 있어, 우리말의 구조와 일치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의성을 추구하고,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직관성이 뛰어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그 입력방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구성하고 있는 각 소리가 이치에 맞게 배열됨으로서 이들 소리 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숫자로 표현되고 있는 천부경의 사상에서 천지인에 해당되는 숫자 1, 2, 3을 이용하여 하나의 키(key)에 중복 배열된 문자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구조는, 전체적으로 3개의 열과 4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키(key) 구조를 갖고, 제2열 제2행의 키는 중앙키와 중앙키 주변의 4방향으로 마련된 4개의 키(key)를 포함하되,
(ㄱ,ㅂ,ㅌ)의 1개 키, (ㄴ,ㅈ,ㅎ)의 1개 키, (ㅅ,ㄷ,ㅍ)의 1개 키, (ㅁ,ㅋ,ㅊ)의 1개 키, ㅇ의 1개 키, ㄹ의 1개 키로 이루어진, 쌍자음을 제외한 모든 자음은 제1행과 제3행으로 이루어진 외부키(16)의 상단(제 1행)과 하단(제 3행)에 분산 배열되고,
3개의 기본모음인 ㆍ, ㅡ, ㅣ는 중앙키(12)와 외부키(16)의 제2행 제1열, 그리고 제3열에 배열되며, (ㅏ,ㅑ)의 1개 키, (ㅓ,ㅕ)의 1개 키, (ㅗ,ㅛ)의 1개 키, (ㅜ,ㅠ)의 1개 키(key)로 이루어진 초출자 모음과 재출자 모음은 방향을 나타내는 중앙키(12) 주변의 4개로 구성된 내부키(14)에 각 모음의 특성에 맞게 분산 배열되고,
ㄲ의 1개 키, ㅆ의 1개 키, ㄸ의 1개 키, ㅉ의 1개 키, ㅃ의 1개 키로 이루어진 쌍자음은 중앙키(12)와 중앙키(12)의 외측 4개 방향으로 이루어진 4개의 내부키(14)에 초출자 모음(또는 재출자 모음)과 함께 그 소리의 상형적인 의미에 맞게 중복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 자판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총 13개로 이루어진 중앙키(12), 내부키(14), 그리고 외부키(16)에 배열된 자음과 모음은, 단독 혹은 중복 배열된 경우 첫 번째 배열된 문자는 해당 키(key)를 한 번 누르면 입력이 되고, 두 번째 배열된 문자는 해당 키(key)와 3개의 삼재키(18) 중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와 세 번째 키(key) 가운데 어느 하나와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며, 세 번째 배열된 문자는 해당 키(key)와 3개의 삼재키(18) 중 좌측으로부터 두 번째 키(key)와의 조합으로 각각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ㅐ, ㅔ, ㅚ, ㅟ, ㅒ, ㅖ, ㅝ, ㅞ, ㅘ, ㅙ, ㅢ와 같은 복합모음은 상기 기본모음과 초출자 모음(또는 재출자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중앙키(12)와 외부키(16) 중 한 개의 문자만 단독으로 배열된 키(제1열 제2행키, 제3열 제2행키, 제2열 제1행키, 제2열 제3행키) 중 어느 하나와, 3개의 삼재키(18)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으로 단어와 상용구를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단어와 상용구를 외부키(16) 중 한 개의 문자가 단독으로 배열된 키(제1열 제2행키, 제3열 제2행키, 제2열 제1행키, 제2열 제3행키) 중 어느 하나와 3개의 삼재키(18)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으로 불러와서 각각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및 그 입력방법은, 사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훈민정음 제자해의 원리가 들어 있는 천부경(하나님 말씀)에 따라 키(key)가 배열됨에 따라, 편의성과 직관성 및 우리 민족의 철학사상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 궁극적으로는 본 자판을 통해서 우리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교육적 효과도 더불어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 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자판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글 입력자판을 위한 문자의 구체적 배열을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을 위한 자판 및 그 입력방법에 관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입력 및 표시영역이 작은 휴대폰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태블릿 PC, PDA, 네비게이션, MP3, IPTV, 키오스크 등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느 기기에나 터치스크린으로 입출력하기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탑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자판은 메모리에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동시에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도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입력을 위한 자판은 천부경(숫자 1∼10) 속의 삼재(三才, 천지인), 음양오행을 포함하는 사상을 이용하여 총 16개의 키(key)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한글은 훈민정음 해례본에 언급되었듯이 음양오행에 맞춰서 만들어진 문자이기 때문에 본 자판은 중앙키(12)와 함께 오행을 나타내는 내부키(14)와 음양에 바탕을 둔 그 주변의 외부키(16)를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자판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열과 4개 행의 구조를 갖되, 제2열 제2행의 중앙키(12)와 그 주변의 4개 방향으로 4개의 키(key)로 구성된 내부키(14)를 합쳐 총 5개로 구성된 오행키(30), 그 바깥으로 8개의 외부키(16), 그리고 제4행의 3개로 구성된 삼재키(18)를 합쳐서 삼재형 음양오행키(10)라 일컫는다.
본 자판의 전체적인 구성은 오행키(30) 중 하나인 중앙키(12)를 중심으로 4개의 내부키(14)가 외측으로 배치되고, 다시 내부키(14)의 외측으로 8개의 외부키(16)가 배치되며, 외부키(16)의 하측으로 3개의 삼재키(18)가 배치되는 총 16개의 키(key)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의 삼재형 음양오행키(10)에 맞춰 우리말을 구성하는 소리(音)를 음양오행에 맞게 분류를 한 뒤, 이를 다시 그 특성에 맞게 키(key)에 배열하는 과정을 거쳐서 자판을 만든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구성에 의하면, 음양오행을 기준으로 변화하는 자음의 소리는 도 1과 같다. 그러나 음양의 관계에서 상하좌우로 서로 자리바꿈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관계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거울과 렌즈를 이용하면 된다. 즉, 거울에서 나의 오른쪽이 거울 속에서는 왼쪽이 되는 것과 오목렌즈에서의 상(象)이 상하가 바뀌는 것처럼 이들 음양 관계에 있는 사상(四象)의 위치도 그 조건에 따라서 변한다. 그리고 중앙키(12), 4개의 내부키(14), 8개의 외부키(16) 및 3개의 삼재키(18)로 형성된 삼재형 음양오행키(10)의 각 키(key)에 들어갈 자음과 모음의 배치 이유를 음행오행과 결부시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말은 음양오행에 맞춰서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소리를 음양오행에 맞게 분류를 해야 한다. 우선 임의상의 상하좌우에 맞춰 음양 관계에 있는 2쌍의 소리를 설정한다.
상하의 관계인 ㄴ과 ㅅ, 좌우관계인 ㄱ과 ㅁ이다. 이런 구분은 이들 소리가 입속에서 나는 위치에 따른 관계로 이해를 하면 된다. ㄴ계열의 소리는 혀가 윗 이에 부딪쳐서 나는 소리인 반면, ㅅ계열의 소리는 혀가 아랫 이에 부딪쳐서 나는 소리다. ㅁ계열의 소리는 입 바깥의 입술과 관계가 있는 소리인데 반해서, ㄱ계열의 소리는 입 안쪽의 목구멍과 관계있는 소리다. 이와 같은 2개의 큰 축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생성 변화하는 우주의 생성 변화원리를 담아낸 것이 우리말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사상(四象)을 나타내 주는 4개의 기본 자음이 정해진다. 다시 이 4개의 기본자음이 서로 음양관계에 있는 다른 소리와의 소통을 통해 두 번의 변화과정을 거쳐서 총 12개의 자음이 생성된다. 이 과정 속에서 ㄱ(기역)이 변해서 ㅋ(키읔)이 되고, 다시 ㅎ(히읗)이 된다. ㄴ(니은)은 변해서 ㄷ(디귿)이 되고, 두 번째로 변한 소리가 ㅌ(티읕)이다. 또 ㅁ(미음)이 변해서 ㅂ(비읍)이 되고, ㅂ(비읍)이 변해서 ㅍ(피읖)이 되는 것처럼 ㅅ(시옷)이 변해서 ㅈ(지읒)이 되고, ㅈ(지읒)이 변해서 ㅊ(치읓)이 된다.
여기서 우리들이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ㅎ(히읗)이 ㄱ계열로 분류되는 것은 ㅎ이 막힌 목구멍이 ㅋ을 거쳐 완전히 열리면서 나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보통 ㅎ을 ㅇ의 계열로 분류를 하는 것이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ㅇ(이응)과 ㄹ(리을)은 앞에서 설명한 4개의 기본자음과는 관계없이 별개의 상형적인 의미를 가진다. ㅇ(이응)의 상형적인 의미는 넓게는 원의 일반적 의미인 소통의 필요성을, 좁게는 그 필요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반면, ㄹ(리을)은 소통의 전 과정을 다 마친 것으로서 소통의 완성을 의미한다. 이 ㄹ의 상형적인 의미는 우리말에서 미래형을 위한 받침으로 쓰이는 것으로부터 그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래서 ㅇ과 ㄹ은 소통의 알파와 오메가로서 그 위치가 상하로 배열되는 이유이다.
ㄲ, ㅆ, ㄸ, ㅉ, ㅃ과 같은 쌍자음은 하나의 독립된 자음이 아닌, 기본자음(ㄱ,ㅅ)과 첫 번째 변화를 거친 자음(ㄷ,ㅈ,ㅂ)을 나란히 배열해서 쓰는 관계로 이는 다른 자음과 함께 중복 배열되지 않고, 중앙키(12)를 포함한 오행키(30)에 모음과 함께 중복 배열된다. 이렇게 모음과 중복 배열되는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오행의 과정 속에서 어느 한 소리가 2번 반복해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 2번 반복되는 상황의 상형적인 의미를 별도의 소리로 표현할 필요성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쌍자음이라는 음가를 도입한 것이다. 이는 뒤에 설명하는 모음으로부터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바로 네모(정사각형)가 각각 2개의 가로와 세로로 이루어진 데서 쌍자음의 의미를 유추해 볼 수 있다. 또 이로부터 기본 자음인 ㄱ과 ㅅ의 쌍자음인 ㄲ과 ㅆ은 초성과 종성으로 다 쓰일 수 있는데 반해서, 이미 기본자음에서 한번 변해서 생긴 자음을 붙여서 만든 ㄸ과 ㅉ, 그리고 ㅃ은 왜 종성(받침)으로 사용될 수 없는지도 알 수 있다. 같은 이유로서, 이미 2번 변화한 자음(ㅋ,ㅌ,ㅍ,ㅎ)은 아예 쌍자음을 만들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쌍자음 ㄲ과 ㅆ의 배열위치는 기본 자음인 ㄱ과 ㅅ의 궁극적인 목표와 상응하는 자리에 배치를 하는 것으로서, 우측의 ㅅ은 좌측 편의 수직관계 소통이 궁극적인 목표인 반면, 좌측의 ㄱ은 우측 편의 수직관계 소통이 궁극적인 목표다. 다시 설명하면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ㅅ은 왼쪽의 ㄱ과 ㅁ의 관계가 성립되어야만 마지막으로 ㅅ과 ㄴ간의 소통이 이루어지고, ㄱ의 목표는 앞으로 ㅅ과 ㄴ의 관계 소통 완성이 목표이기 때문에 각각 그 사이에 배열된다. 그러나 이 둘(ㄲ,ㅆ)은 본 자판 상 중앙키(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수평관계에 있다.
반면, ㄷ과 ㅈ은 이미 한 번의 변화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ㄷ과 ㅈ의 목표는 앞에서 설명한 ㄱ과 ㅅ의 수직관계와는 달리 수평관계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수평관계인 ㄱ과 ㅅ사이에 ㄸ을 배열하고, ㅁ과 ㄴ사이에 ㅉ을 배열하는 이유다. 마지막으로 ㅃ은 ㅂ의 뿌리가 ㅁ이기 때문에 그 상형적인 의미를 따라서 삼재(三才)와의 소통 통로인 중앙키(12)에 아래아(
Figure 112015088603353-pat00001
)와 함께 중복해서 배열한다. 그 순서는 ㅃ을 첫 번째로 배열하고,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아래아(
Figure 112015088603353-pat00002
)를 뒤에 배열한다.
모음의 기본 뿌리는 네모(정사각형)의 모양에서 유추할 수가 있다. 2개의 가로(수평선)와 2개의 세로(수직선)로 구성된 네모(정사각형)는 이들 상하좌우 음양의 관계 속에서 모음이 어떤 역할과 모양을 갖는 것인지 알 수 있다. 즉, 모양은 가로(ㅡ)와 세로(ㅣ)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그 역할은 자음과의 조합으로 소리를 완전한 하나의 음절로 만드는 것이다.
즉, 네모를 이루고 있는 가로와 세로가 모음의 기본 구성요소다. 따라서 모음은 기본적으로 이 가로획과 세로획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둘을 조합해서 방향을 나타낸 것이 바로 모음인 것이다. 가로획은 모음 ㅡ(으), 세로획은 모음 ㅣ(이)이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아래아(
Figure 112015088603353-pat00003
) 모음은 그 상형적인 의미를 볼 때, 점(点)의 일반적인 의미처럼 변화를 시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그러나 자판의 실제 모습에 있어서 3개의 기본 모음 중 ㅡ와 ㅣ가 제2행에 배열됨으로서 상하관계의 소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처럼 된 것은 앞에서 설명한 음양관계 속에서 서로간의 소통을 위한 이들 2개의 축을 3차원의 공간 속에서는 쉽게 분리할 수 있지만, 자판과 같은 2차원의 평면에서는 분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음의 관계에서 상하와 좌우의 기본개념이 다르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 방향을 달리한다. 그 결과, ㅏ와 ㅓ는 밖으로 향하고, ㅗ와 ㅜ는 안으로 향하는 것이다.
자음이 초성과 종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그 위치가 상하좌우로 서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인데 반해서, 중성으로 사용되는 모음은 아무리 사상(四象)의 위치에 있는 자음이 서로 자리를 바꾸더라도 항상 그 자리에 있어야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판에서도 상중하로 나눈 좌표에서 모든 모음이 중간에 배열되는 이유다.
모음 ㅡ(으)는 수평관계로서, 도 3에서 ㄱ(기역)과 ㅅ(시옷), ㅁ(미음)과 ㄴ(니은)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 수평관계는 수직관계를 위한 전 단계로서 수직관계에 있는 소리 사이의 소통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즉, 수평관계가 없으면 수직관계는 있을 수가 없다. 그래서 우리말의 소유격 조사인 '의'에서처럼 (ㅡ)+(ㅣ)의 순서로 조합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모음의 구성에 있어서, ㅡ와 ㅣ에다 아래아(
Figure 112015088603353-pat00004
)가 합쳐져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단지 모음 ㅡ와 ㅣ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서로간의 조합을 통해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모음의 구성요소인 가로(수평관계)와 세로(수직관계)간의 위계질서에 대해서 각각의 소리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ㅅ(시옷)의 궁극적인 목표는 수직관계(세로)인 ㄴ과의 소통이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수평관계(가로)인 ㄱ과의 소통을 통해서만 그것이 가능하다.
이를 도 3을 가지고 설명을 하면, ㅅ의 궁극적인 방향은 ㄴ을 거쳐서 ㅁ으로 가고, ㄴ은 ㅅ을 거쳐서 ㄱ으로 간다. 그래서 ㅅ과 ㅁ, ㄴ과 ㄱ은 그 관계가 밀접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ㅁ은 ㄱ을 거쳐서 ㅅ으로 가고, ㄱ은 ㅁ을 거쳐서 ㄴ으로 간다. 이상과 같은 사상(四象) 사이의 소통과정이 세상이 돌아가는 기본적인 틀로서 이들 변화의 순서가 바로 만물의 생성변화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4개의 기본 자음은 서로의 관계 속에서 다른 소리를 만나면서 2번의 변화를 거쳐서 새로운 소리를 만들어 낸다. 이들 소리는 입에서 소리를 내는 위치와 방법으로부터 그 상형의 의미를 알 수 있는데, 4개의 기본자음에서 ㄱ과 ㅁ은 서로가 반대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ㄱ에서 ㅋ을 거쳐 ㅎ으로 가는 과정은 막혔던 목구멍이 서서히 열리면서 나는 소리인 반면, ㅁ에서 ㅂ을 거쳐 ㅍ으로 가는 과정은 입술을 점점 더 세게 닫으면서 허파에서 나오는 공기를 이용해서 내는 소리를 나타낸다. ㄱ이나 ㅁ은 똑같이 무언가를 막으면서 만들어진 소리이지만, 그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작용은 서로가 판이하게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이 2개는 서로 다른 존재의 작용으로 음양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서, ㅅ과 ㄴ은 윗 이와 아랫 이에 혀가 닿으면서 나는 소리다. 즉, ㄴ은 윗 이의 뿌리 부분으로부터 밑으로 내려오면서 ㄷ과 ㅌ으로 변해가는 소리인데 반해서, ㅅ은 아래 이의 뿌리 부분에서 나는 소리 ㅊ으로부터 ㅈ을 통해서 위로 올라가면서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소리다. 그 만들어지는 순서 내지는 방향이 서로 다른 것으로부터 이들 또한 서로 음양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기본자음 4개에서 파생되어 나오는 각기 다른 자음의 상형적인 의미를 알 수 있다.
우리말은 기본적으로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성된다. 그래서 초성과 종성으로 쓰이는 자음은 음양키라고 명명할 수 있는 외부키(16)의 상단(제1행)과 하단(제3행)에 배열되고, 중성으로 쓰이는 모음은 중앙키(12)를 포함하는 중간(제2행)에 배열된다.
이처럼 자음과 모음은 삼재형 음양오행키(10)에 그 소리의 상형적 의미에 맞게 배열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자음은 도 1에 도시된 4개 자음의 생성도를 네모(정사각형) 위에다 그대로 포개어 놓으면, ㅇ과 ㄹ을 제외한 자음의 배열이 완성된다. 거기다가 ㅇ과 ㄹ의 상형적인 의미에 맞게 상하로 이를 배열하면 된다. 비록 형식적으로나마 이 ㅇ과 ㄹ의 좌표로부터, 소통의 시작이 ㄱ과 ㅅ 사이에서 일어나며, 그 마지막은 ㅁ과 ㄴ사이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음은 중성으로서의 특징에 따라서 중앙키(12)를 포함한 제2행에 집중적으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기본모음인 ㆍ, ㅡ, ㅣ는 중앙키(12)를 포함하는 제2행에 배열되고, 초출자 모음과 재출자 모음은 중앙키(12) 외측의 내부키(14)에 각 모음의 특성에 맞게 중복배열 된다.
형식적으로는 모든 초출자 모음과 재출자모음을 ㅡ(가로)와 ㅣ(세로)를 사용해서 표현할 수 있지만, 오행의 좌표 속에서 그 상형적인 의미를 확실히 하기 위해서 중앙키(12) 주변의 내부키(14)에 미리 배치를 하는 것이 그들 모음의 의미에 더 부합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4행의 삼재키(18)에 삼재(三才)에 해당하는 숫자 1, 2, 3을 배치하고, 중앙키(12)에 0, 나머지 키에 4∼9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숫자 배치에 있어서 1, 2, 3을 맨 밑에 단독으로 배치하는 것은 만물 생성의 기본수로서 다양한 문자 입력 시 확장된 기능키로서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0을 오행키의 가운데 있는 중앙키(12)에 배치하는 것은 0이 오행상의 가운데를 의미하며, 이는 삼재(1,2,3)와의 소통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4∼9까지의 숫자는 나머지 키(key)에 사상(四象)의 소통과정 변화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숫자를 배치하는 것은 숫자입력을 위한 자판의 목적이 아니라 언어와 숫자와의 상관관계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지만, 실제로 삼재를 의미하는 숫자 1, 2, 3은 하나의 키(key)에 중복 배열된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며, 삼재를 포함한 1부터 9까지의 숫자는 단어나 상용구 입력방법을 통한 입력을 할 때 복수의 단어나 상용구 중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유용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물론 숫자입력을 위한 자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모든 숫자의 배치는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자판이 지향하는 철학과 사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들이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상기의 자판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키(key)에 단독으로 배열된 문자나 2∼3개가 중복 배열된 키의 경우 첫 번째 배열된 문자는 해당키를 한번 누르면 되고, 두 번째 배열된 문자들은 해당키와 삼재키(三才key) 상의 왼쪽에서부터 첫 번째 혹은 세 번째 키와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며, 세 번째 배열된 문자들은 해당키와 삼재키(三才key)의 왼쪽에서부터 두 번째 키(key)와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2번째 혹은 3번째 배열된 문자를 입력할 때 양손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환식 입력방법의 단점인 운지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ㅐ, ㅔ, ㅚ, ㅟ, ㅖ, ㅒ, ㅝ, ㅞ, ㅘ, ㅙ, ㅢ와 같은 복합모음은 상기 기본모음과 초출자 모음(또는 재출자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사용빈도가 높은 5대 자음(ㅇ,ㄴ,ㄱ,ㄹ,ㅅ)을 포함하는 6개 자음과 모음(ㅏ,ㅣ,ㅡ,ㅓ,ㅗ,ㅜ) 6개를 각각의 키(key) 상에 첫 번째 배열함으로서 한 번의 터치로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키(key)에 중복 배열된 경우, 2번째와 3번째 배열된 문자들도 삼재키(18)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으로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든 문자를 두 번 내의 키(key) 터치로 입력이 가능하다.
또 상기와 같이 삼재키(18)의 숫자와의 조합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때문에 제자리타 방식(멀티탭 방식)의 자판에서 종성과 초성에서 같은 자음 입력 시 발생하는 자음 충돌현상을 자연스레 해결할 수가 있고, 입력타수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 다른 용도와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앙키(12)와 외부키(16) 중 1개와, 3개의 삼재키(18) 중 1개와의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단어나 상용구 등록이 가능하게 되고, 또 등록된 이들의 단어나 상용구를 1개 문자가 단독으로 배열된 외부키(16) 중 1개와, 삼재키(18) 중 1개와의 조합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불러와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제 예를 들면, 중앙키(12)와 삼재키(18) 중 가운데 키(key)와의 조합으로서 단어나 상용구가 등록이 되고, 외부키(16) 중 제2행 제1열 키(key)와 삼재키(18) 중 왼쪽으로부터 세 번째 키(key)와의 조합으로서 등록된 단어를 불러와서 입력이 되며, 외부키(16) 중 제2행 제3열키(key)와 삼재키(18) 중 왼쪽으로부터 첫 번째 키(key)와의 조합으로서 상용구를 불러와 등록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단어나 상용구를 불러 올 때 왼손과 오른손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빠르고 편리한 입력이 가능하다.
상기의 단어나 상용구를 이용한 입력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단어나 상용구뿐만 아니라. 메모리에 미리 탑재된 기(旣) 설정된 단어나 상용구,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나 상용구를 자판의 주(主) 입력부에서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불러 와서 입력을 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할 수도 있다.
상기의 자판배열구조와 입력방법을 사용하는 본 자판의 특성 상 양손의 2개 엄지손가락으로도 빠른 입력이 가능하지만, 한 손의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의 엄지 및 검지 손가락을 합쳐 3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 시 연습여하에 따라서는 컴퓨터의 쿼티자판 사용에 버금가는 속도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에 있어서,
    3개의 열과 4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키 구조를 갖고, 제2열 제2행에 위치한 중앙키(12)와, 중앙키(12) 주변의 4방향으로 마련된 4개의 내부키(14), 내부키(14) 주변의 8개로 구성된 외부키(16), 그리고 제 4행의 3개로 구성된 삼재키(18)를 포함하되,
    외부키(16)에 (ㄱ,ㅂ,ㅌ), (ㄴ,ㅈ,ㅎ), (ㅅ,ㄷ,ㅍ), (ㅁ,ㅋ,ㅊ), ㅇ, ㄹ 등의 총 14개 자음이 각 키(key)별로 분산 배열되고,
    ㆍ, ㅡ, ㅣ로 이루어진 3개의 기본모음은 중앙키(12)와 외부키(16)의 제2행 제1열, 그리고 제2행 제3열에 분산 배열되며, (ㅏ,ㅑ), (ㅓ,ㅕ), (ㅗ,ㅛ), (ㅜ,ㅠ)로 이루어진 초출자 모음과 재출자 모음은 방향을 나타내는 중앙키(12) 주변의 4개의 내부키(14)에 각 키(key)별로 분산 배열되고,
    ㄲ, ㅆ, ㄸ, ㅉ, ㅃ으로 이루어진 5개의 쌍자음은 중앙키(12)와 중앙키(12)의 외측 4개 방향으로 이루어진 4개의 내부키(14)에 초출자 모음(또는 재출자 모음)과 함께 중복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삼재키(18)에 1, 2, 3을 분산 배치하고, 중앙키(12)에 0, 나머지 키(key)에 4∼9를 각각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
  3. 삭제
  4. 제1항의 자판구조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에 한글을 입력하는 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키(16), 내부키(14), 그리고 중앙키(12)에 배열되는 문자들 중에서 단독 혹은 첫 번째 배열된 문자들은 상기한 각 키(key)의 한번 누름으로 입력되고,
    두 번째 배열된 문자들은 상기한 각 키(key)와 삼재키(18) 중에서 왼쪽으로부터 첫 번째 혹은 세 번째 키(key)와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며,
    세 번째 배열된 문자들은 상기한 각 키(key)와 삼재키(18) 중 왼쪽으로부터 두 번째 키(key)와의 조합으로 입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중앙키(12)나 외부키(16) 중 하나의 문자가 배열된 키(key) 중 1개와, 삼재키(18) 중 어느 1개와의 조합으로 사용자가 직접 단어나 상용구 등록이 되고, 또 등록된 단어나 상용구를 외부키(16) 중 하나의 문자가 배열된 키(key) 가운데 1개와, 삼재키(18) 중 어느 1개와 서로 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불러오거나, 주(主) 입력부에서 정해진 입력 시스템의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단어나 상용구 및 미리 메모리에 탑재된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나 상용구를 자동으로 불러 와서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ㅐ, ㅔ, ㅚ, ㅟ, ㅒ, ㅖ, ㅝ, ㅞ, ㅘ, ㅙ, ㅢ와 같은 복합모음은 상기 기본모음과 초출자 모음(또는 재출자 모음)의 조합으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방법.
  6. 삭제
KR1020150129022A 2015-09-11 2015-09-1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KR10165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22A KR101652322B1 (ko) 2015-09-11 2015-09-1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022A KR101652322B1 (ko) 2015-09-11 2015-09-1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322B1 true KR101652322B1 (ko) 2016-08-30

Family

ID=5688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022A KR101652322B1 (ko) 2015-09-11 2015-09-1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658B1 (ko) * 2015-11-05 2018-11-13 정창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 자판 및 입력방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213B1 (ko) * 2010-11-19 2012-07-26 정창수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영어), 숫자 자판구조와 이를 이용한 입력방식
KR101371325B1 (ko) * 2012-10-17 2014-03-11 박성훈 스마트 폰을 포함한 정보통신기기의 완성한글 생성방법 및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8213B1 (ko) * 2010-11-19 2012-07-26 정창수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영어), 숫자 자판구조와 이를 이용한 입력방식
KR101371325B1 (ko) * 2012-10-17 2014-03-11 박성훈 스마트 폰을 포함한 정보통신기기의 완성한글 생성방법 및 입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658B1 (ko) * 2015-11-05 2018-11-13 정창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 자판 및 입력방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3447A1 (en) Writt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and method
CN102103454A (zh) 实时预测用户输入的人机界面
CN108401048A (zh) 手机键盘与鼠标
CN101980125A (zh) 六角连触拼音输入法
CN103970283A (zh) 双手操作的虚拟键盘的提供装置及提供方法
KR101449376B1 (ko) 컴퓨터의 한자입력 장치 및 한자입력 방법
KR10165232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자판과 입력방법
JP4968601B2 (ja) 携帯入力端末の英文入力方式
CN101236457B (zh) 音划中文输入法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CN106155347B (zh) 汉语拼音输入键盘
KR102207067B1 (ko) 홀로그램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2065532B1 (ko)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KR101899658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입력 자판 및 입력방식
KR20120056582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중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449375B1 (ko)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자입력 자판 및 한자입력 방법
CN101719023A (zh) 手持式汉字输入键盘及操作方法
KR20160093508A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CN101952790A (zh) 适用于中文教学的汉字输入方法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JP2014155215A (ja) かな文字の入力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キーボード
TWI486922B (zh) Based on Jiugongge 's Blind Braille Input Device and Method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102663680B1 (ko)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JP4974010B2 (ja) 携帯入力端末の入力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