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680B1 -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680B1
KR102663680B1 KR1020220079876A KR20220079876A KR102663680B1 KR 102663680 B1 KR102663680 B1 KR 102663680B1 KR 1020220079876 A KR1020220079876 A KR 1020220079876A KR 20220079876 A KR20220079876 A KR 20220079876A KR 102663680 B1 KR102663680 B1 KR 102663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unit
unit keyboard
sli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2560A (ko
Inventor
김현자
노성현
Original Assignee
김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자 filed Critical 김현자
Priority to KR102022007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680B1/ko
Publication of KR2024000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 자음 5개와 천지인 한글 입력 모음 3개를 포함하는 8개의 단위자판을 3행 3열(3×3 배열), 또는 N행 M열(N×M 배열) 형태의 자판 형태로 구성하되 그중 자음 모음 8개의 단위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며 해당 단위자판을 탭(tap), 슬라이드(slide), 탭과 슬라이드 조합의 방식으로 키 입력하여 40개의 한글 자모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최소 타수로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Simple Korean keyboard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본 자음 5개와 천지인 한글 입력 모음 3개를 포함하는 8개의 단위자판을 3행 3열(3×3 배열), 또는 N행 M열(N×M 배열) 형태의 자판 형태로 구성하되 그중 자음 모음 8개의 단위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며 해당 단위자판을 탭(tap), 슬라이드(slide), 탭과 슬라이드 조합의 방식으로 키 입력하여 40개의 한글 자모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최소 타수로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글 자판(키패드)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으로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7개의 자음 입력 자판과 모음소 조합방법 천(·), 지(ㅡ), 인(ㅣ) 삼재 3개의 모음입력 자판으로 모음을 조합해서 문자를 입력하는 '천지인' 한글 입력방식과, 자음소 조합방법 6개 기본 자음, ㄱ,ㄴ,ㄹ,ㅁ,ㅅ,ㅇ과 모음소 조합방법 6개의 기본 모음 ㅏ,ㅓ,ㅗ, ㅜ, l, ㅡ , 그리고 기능키(가획키와 병서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나랏글' 한글 입력방식과, 다중연타방법(Multi-Tap) 모토로라나 훈민자판과 같이 한 키에 자, 모음을 중복 배열하여 다중연타 방법으로 한글 자모를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한글 자판은 동일 자판 연타 시 자음 충돌 현상이 발생하거나(예, '천지인'자판에서 '박카스'연타 입력시 '바까스'로 표기됨), 자음소 결합방식에 의해 기본 자음을 가획, 병서하여 다른 자음을 표기할 때 해당 자음 자판과 떨어져 있는 별도의 기능키를 이용해야만 하므로 입력 횟수 및 입력 수단인 손가락 이동 거리가 늘어날 수밖에 없을 뿐 아니라 가획, 병서 기능키의 위치에 익숙해지기까지 상당한 시간과 시행착오가 필요하다(나랏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 분야 중의 하나로, 새로운 형태의 한글 자판과 이를 이용하여 현존하는 모든 한글자판 중 가장 한글의 창제 원리에 충실하고 가장 직관적이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최소 타수와 입력 수단인 손가락의 최소의 이동 거리로 한글 자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다.
등록특허공보 10-1043857 (등록일자 2011년06월16일) 공개특허공보 10-2019-0066161 (공개일자 2019년06월13일) 등록특허공보 10-0768696 (등록일자 2007년10월15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음 기관의 상형화를 통해 만들어진 기본 자음 5개(ㄱ, ㄴ, ㅁ, ㅅ, ㅇ)와 천지인 한글 입력 모음 3개를 포함하는 3행 3열(3×3배열) 또는 N행 M열 형태 8개 단위자판으로 구성하되, 해당 단위자판을 탭(tap), 슬라이드(slide), 탭과 슬라이드 조합의 방식으로 키 입력하여 40개의 한글 자모음 및 11개의 겹받침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최소 타수로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상에서 가장 체계적인 자질문자인 한글을 이동 단말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핏, VR 기기 및 AR 기기 등)의 3×3 배열형태 또는 N×M 자판을 이용하여 음소 및 음절 표기를 가능케 하는 8개의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글 창제의 원리를 충실하게 적용하여 최소한도의 기본 자모음(8개)을 통해 한글 조어 원칙의 근간인 결합, 가획, 병서, 이체의 방식으로 모든 자모음(40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내외국인, 특히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 및 사용에 최대한의 편의를 주도록 한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3개의 행과 3개의 열로 이루어진 3×3 배열 또는 N×M 배열을 가지되, 5개의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과 3개의 모음(ㅣ, ·, ㅡ)을 포함하는 단위자판들로 구성되고,
3개의 행 중 어느 한 행에는 모음 'ㅣ'단위자판, '·'단위자판 및 'ㅡ'단위자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ㄱ'단위자판에는 'ㅋ', 'ㄲ'이 더 배치되고,
'ㄴ'단위자판에는 'ㄷ', 'ㅌ', 'ㄸ' 및 'ㄹ'이 더 배치되고,
'ㅁ'단위자판에는 'ㅂ', 'ㅍ' 및 'ㅃ'이 더 배치되고,
'ㅅ'단위자판에는 'ㅆ','ㅈ', 'ㅊ' 및 'ㅉ'이 더 배치되고,
'ㅇ'단위자판에는 'ㅎ'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3개의 행은 제1행, 제2행 및 제3행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행에는 자음 'ㄱ'단위자판, 'ㄴ'단위자판, 'ㅁ'단위자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은 모음 'ㅣ'단위자판, '·'단위자판 및 'ㅡ'단위자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3행에는 자음 'ㅅ'단위자판 및 'ㅇ'단위자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ㄱ'단위자판에는 'ㄱ'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ㅋ'이, 우측에는 'ㄲ'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ㄴ'단위자판에는 'ㄴ'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ㅌ''ㄷ'이 나란히, 우측에는 'ㄸ'이, 상단에는 'ㄹ'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ㅁ'단위자판에는 '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ㅍ''ㅂ'이 나란히, 우측에는 'ㅃ'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에는 'ㅅ'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ㅊ''ㅈ'이 나란히, 상기 'ㅈ'의 아래쪽에는 'ㅉ'이, 우측에는 'ㅆ'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ㅇ'단위자판에는 'ㅇ'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ㅎ'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ㄴ'단위자판에는 'ㄴ'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ㄷ'이, 우측에는 'ㄸ'이, 상단에는 'ㄹ'이, 하단에는 'ㅌ'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ㅁ'단위자판에는 '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ㅂ'이, 우측에는 'ㅃ'이, 하단에는 'ㅍ'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에는 'ㅅ'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ㅈ'이, 상단에는 'ㅉ'이, 하단에는 'ㅊ'이, 우측에는 'ㅆ'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ㄱ'단위자판을 탭하면 'ㄱ'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ㅋ'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ㄲ'이 입력되고;
'ㄴ'단위자판을 탭하면 'ㄴ'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ㄷ'이 입력되고,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ㅌ'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ㄸ'이 입력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ㄹ'이 입력되고;
'ㅁ'단위자판을 탭하면 'ㅁ'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ㅂ'이 입력되고,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ㅍ'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ㅃ'이 입력되고;
'ㅅ'단위자판을 탭하면 'ㅅ'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ㅈ'이 입력되고,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ㅊ'이 입력 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ㅆ'이 입력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ㅈ'을 만든 후 곧이어 다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ㅉ'이 입력되고;
'ㅇ'단위자판을 탭하면 'ㅇ'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ㅎ'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ㅣ'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ㅏ'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를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를 탭하면 'ㅑ'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ㅓ'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면 'ㅕ'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ㅗ'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ㅡ'단위자판을 탭하면 'ㅛ'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을 탭하면 'ㅡ'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ㅜ'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면 'ㅠ'가 입력이 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ㅏ'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ㅐ'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후 '·'단위자판을 탭하여 'ㅑ'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ㅒ'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ㅓ'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ㅔ'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여 'ㅕ'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를 탭하면 'ㅖ'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ㅘ'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ㅘ'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ㅙ'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ㅚ'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ㅝ'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고 'ㅓ'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ㅞ'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ㅟ'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을 탭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ㅢ'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판 및 운용 원칙을 TV/VR/AR/메타버스(Metaverse) 환경에 적용하여 TV 화면이나 VR/AR/메타버스 가상화면에서 리모컨, 조이스틱을 이용하거나 또는 안경이나 헤드셋 착용 후 시선 이동 등의 방식으로 커서를 특정 자판으로 이동시켜 선택한 후 리모컨이나 조이스틱을 클릭한 후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ㄴ'단위자판을 탭하면 'ㄴ'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ㄷ'이 입력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ㅌ'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ㄸ'이 입력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ㄹ'이 입력되고;
상기 'ㅁ'단위자판을 탭하면 'ㅁ'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ㅂ'이 입력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ㅍ'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ㅃ'이 입력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을 탭하면 'ㅅ'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ㅈ'이 입력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ㅊ'이 입력 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ㅆ'이 입력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ㅉ'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 자판 글자 입력 이전 초기 화면에서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을 키 입력 가능하도록 활성화시켜주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19개(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자음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모음 21개(ㅏ,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활성화시켜주고,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을 비활성화 시켜주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 종성 자음 27개(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되, 이때 모음 입력이 있으면 제3과정으로 진입하고, 일정 시간동안 모음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1과정로 리턴하는 제4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 종성 자음 27개 중 이전 글자의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겹자음 11(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개 중 하나가 종성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제1행 내지 제3행 모든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은 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는 제6과정; 및 상기 제5과정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모음인 경우에는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활성화 시켜주는 제7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자판의 탭 또는 슬라이드 방식 입력 시 원하는 글자가 생성된 후 일정시간 그 상태를 유지할 경우, 또는 별도의 기능키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판 활성화 기능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 자음 5개와 천지인 한글 입력 모음 3개를 포함하는 8개의 단위자판을 3행 3열(3×3 배열), 또는 N행 N열(N×M 배열) 형태의 자판 형태로 구성하며 그 중 자음 모음 8개의 단위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되, 해당 단위자판을 탭(tap), 슬라이드(slide), 탭과 슬라이드 조합의 방식으로 키 입력하여 40개의 한글 자모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최소 타수로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상에서 가장 체계적인 자질문자인 한글을 이동 단말기(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핏, VR 기기 및 AR 기기 등)의 3×3 배열 또는 N행 M열 배열 자판 중 8개의 자판을 이용하여 한글의 모든 음소 및 음절 표기를 가능케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 창제의 원리를 충실하게 적용하여 최소한도의 기본 자모음(8개)을 통해 한글 조어 원칙의 근간인 결합, 가획, 병서, 이체의 방식으로 모든 자모음(40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이나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내외국인, 특히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 및 사용에 최대한의 편의를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존하는 모든 한글자판 중 가장 한글의 창제 원리에 충실하고 가장 직관적이며 간편하고 용이하게 그리고 최소 타수와 입력 수단인 손가락의 최소의 이동 거리로 한글 자모음을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의 한글 입력 시 자판 입력 동작 횟수(띄어쓰기 포함)의 경우, 천지인 입력 방식은 121회, 나랏글 입력 방식은 88회, 본 발명 한글 자판의 경우 78회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간편 한글 자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간편 한글 자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시의 자판의 활성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시의 자판의 활성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간편 한글 자판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초간편 한글 자판(100)은,
3개의 행과 3개의 열로 이루어진 3×3 배열을 가지는 9개의 단위자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9개의 단위자판에는 5개의 자음(ㄱ, ㄴ, ㅁ, ㅅ, ㅇ)과, 3개의 천지인 입력 방식 모음(ㅣ, ·, ㅡ)(이하 '모음'이라고만 함) 8개의 자모음 단위자판이 포함된다.
상기 8개의 단위자판 이외의 단위자판은 줄바꿈 단위자판(133)과 지우기 단위자판(134)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가 아니다.
상기 한글 자판(100)은 상기 8개의 자모음(ㄱ, ㄴ, ㅁ, ㅅ, ㅇ, ㅣ, ·, ㅡ) 단위자판과 해당 단위자판을 탭(tap) 또는/및 슬라이드(slide)의 방식으로 키 입력하여 40개의 한글 자모음이 모두 입력 가능하게 된다.
상기 3개의 행은 제1행(110), 제2행(120) 및 제3행(130)으로 구성되며, 제1행(110)에는 자음 'ㄱ'단위자판(111), 'ㄴ'단위자판(112), 'ㅁ'단위자판(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120)은 모음 'ㅣ'단위자판(121), '·'단위자판(122) 및 'ㅡ'단위자판(123)이 형성되며, 상기 제3행(130)에는 자음 'ㅅ'단위자판(131) 및 'ㅇ'단위자판(132)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행(110)의 'ㄱ'단위자판(111)에는 'ㄱ'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ㅋ'이, 우측에는 'ㄲ'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ㄴ'단위자판(112)에는 'ㄴ'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ㅌ''ㄷ'이 나란히, 우측에는 'ㄸ'이, 상단에는 'ㄹ'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ㅁ'단위자판(113)에는 '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ㅍ''ㅂ'이 나란히, 우측에는 'ㅃ'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행(120)은 모음인 'ㅣ'단위자판(121), '·'단위자판(122) 및 'ㅡ'단위자판(123)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행(130)의 'ㅅ'단위자판(131)에는 'ㅅ'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ㅊ''ㅈ'이 나란히, 상기 'ㅈ'의 아래쪽에는 'ㅉ'이, 우측에는 'ㅆ'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ㅇ'단위자판(132)에는 'ㅇ'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ㅎ'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 이외의 배치되는 자음들은 상기 기본 자음 보다는 작은 크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한글 자판(100)을 이용하고 후술하는 입력 방식을 적용하면, 모음(ㅣ, ·, ㅡ) 3개의 단위자판을 통해서 21개의 모든 단모음 및 복합모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인 단위자판을 통해 19개의 모든 자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음의 거센 소리는 왼쪽으로 밀어(슬라이드) 가획(ㅋ, ㅌ, ㅍ, ㅊ)하고,
각 상형 계열 기본자 중 일부는 왼쪽으로 밀어 가획하여 소리가 같은 상형 계열에서 세어지는 소리의 글자를 표시(ㄴ→ㄷ, ㅁ→ㅂ, ㅅ→ㅈ)하며,
글자의 모양은 가획을 통해 만들어졌으나 소리가 세어지지 않는 예외적인 글자인 "ㄹ"은 "ㄴ"을 위쪽으로 밀어 표시(이체(異體))하고,
자음의 된소리는 오른쪽으로 밀어 병서(ㄲ, ㄸ, ㅃ, ㅆ, ㅉ)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이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한글자판(100)을 통한 구체적인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ㄱ'단위자판(111)을 탭하면 'ㄱ'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밀다)하면 'ㅋ'이 입력되고(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ㄲ'이 입력(병음)되도록 구성된다.
'ㄴ'단위자판(112)을 탭하면 'ㄴ'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ㄷ'이 입력되고(1차 가획)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ㅌ'이 입력되고(2차 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ㄸ'이 입력되고('ㄷ'에 대한 병음),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ㄹ'이 입력('ㄴ'에 대한 이체) 되도록 구성된다.
'ㅁ'단위자판(113)을 탭하면 'ㅁ'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ㅂ'이 입력되고(1차 가획)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ㅍ'이 입력되고(2차 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ㅃ'이 입력('ㅂ'에 대한 병음) 되도록 구성된다.
'ㅅ'단위자판(131)을 탭하면 'ㅅ'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ㅈ'이 입력되고(1차 가획),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ㅊ'이 입력 되고(2차 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ㅆ'이 입력(병음)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ㅅ'단위자판(13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ㅈ'을 만든 후 곧이어 다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ㅉ'이 입력('ㅈ'에 대한 병음) 되도록 구성된다.
'ㅇ'단위자판(132)을 탭하면 'ㅇ'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ㅎ'이 입력(1차 가획) 되도록 구성된다.
제2행(120)의 모음,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ㅣ'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ㅏ'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를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122)를 탭하면 'ㅑ'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ㅓ'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122)을 탭하면 'ㅕ'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ㅡ'단위자판(123)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ㅗ'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ㅡ'단위자판(123)을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122)과 'ㅡ'단위자판(123)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122)을 탭하면 'ㅛ'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을 탭하면 'ㅡ'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과 '·'단위자판(122)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ㅜ'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과 '·'단위자판(122)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ㅡ'단위자판(123)과 '·'단위자판(122)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122)을 탭하면 'ㅠ'가 입력이 되고,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ㅏ'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ㅐ'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을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후 '·'단위자판(122)을 탭하여 'ㅑ'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ㅒ'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ㅓ'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ㅔ'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122)을 탭하여 'ㅕ'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를 탭하면 'ㅖ'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ㅡ'단위자판(123)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ㅘ'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ㅡ'단위자판(123)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과 '·'단위자판(122)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ㅘ'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ㅙ'가 입력되고,
'·'단위자판(122)과 'ㅡ'단위자판(123)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ㅚ'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과 '·'단위자판(122)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ㅝ'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과 '·'단위자판(122)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단위자판(122)과 'ㅣ'단위자판(121)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고 'ㅓ'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ㅞ'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과 '·'단위자판(122)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ㅟ'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123)을 탭한 후 'ㅣ'단위자판(121)을 탭하면 'ㅢ'가 입력 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한글 자판(100) 및 문자 입력방법은,
세상에서 가장 체계적인 자질문자인 한글을 이동 단말기, 즉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스마트핏, VR 기기 및 AR 기기 등에 3×3 배열 또는 N행 M열(N×M 배열) 형태의 자판 형태에서 8개의 단위자판을 이용하여 한글의 모든 음소 및 음절 표기를 가능케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글자판(100)과 문자 입력방식은,
TV 화면이나 VR/AR/메타버스 가상화면에서 리모컨, 조이스틱을 이용하거나 또는 안경이나 헤드셋 착용 후 시선 이동 등의 방식으로 커서를 특정 자판으로 이동시켜 선택한 후 리모컨이나 조이스틱을 클릭한 후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판을 선정한 후 자음 'ㄱ'을 클릭하면 'ㄱ'이 입력이 되고, 자음 'ㄱ' 자판을 리모컨 커서로 클릭하거나 선정 확인한 후 리모컨이나 조이스틱 등의 기구를 통해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ㅋ'이 입력이 되고(가획), 'ㄱ'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ㄲ'이 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병음).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간편 한글 자판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간편 한글 자판(100A)는,
상기 한글자판(100)과 유사한 구성이며 다만, 차이가 있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행(110)의 'ㄴ'단위자판(112′)에는 'ㄴ'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ㄷ'이, 우측에는 'ㄸ'이, 상단에는 'ㄹ'이, 하단에는 'ㅌ'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ㅁ'단위자판(113′)에는 '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ㅂ'이, 우측에는 'ㅃ'이, 하단에는 'ㅍ'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행(130)의 'ㅅ'단위자판(131′)에는 'ㅅ'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ㅈ'이, 상단에는 'ㅉ'이, 하단에는 'ㅊ'이, 우측에는 'ㅆ'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한글자판(100A)의 문자입력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ㄴ'단위자판(112′)을 탭하면 'ㄴ'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ㄷ'이 입력되고(가획),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ㅌ'이 입력되고('ㄷ'에 대한 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ㄸ'이 입력되고('ㄷ'에 대한 병음),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ㄹ'이 입력('ㄴ'에 대한 이체)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ㅁ'단위자판(113′)을 탭하면 'ㅁ'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ㅂ'이 입력되고(가획),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ㅍ'이 입력되고('ㅂ'에 대한 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ㅃ'이 입력('ㅂ'에 대한 병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ㅅ'단위자판(131′)을 탭하면 'ㅅ'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ㅈ'이 입력되고(가획),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ㅊ'이 입력 되고('ㅈ'에 대한 가획),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ㅆ'이 입력(병음) 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ㅉ'이 입력('ㅈ'에 대한 병음)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 창제의 원리를 충실하게 적용하여 최소한도의 기본 자모음(8개)을 통해 한글 조어 원칙의 근간인 결합, 가획, 병서, 이체의 방식으로 모든 자모음(40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한글자판(100)을 이용하여 글자를 입력할 때, 단위자판을 활성화(키입력 가능) 또는 비활성화(키입력 안됨)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한글이나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내외국인, 특히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 및 사용에 최대한의 편의를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는 이와 같은 한글 입력 시의 자판의 활성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 한글 입력 시의 자판의 활성화 과정은,
한글 자판(100) 글자 입력 이전 초기 화면에서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을 키 입력 가능하도록 활성화시켜주는 제1과정(S11)과, 상기 제1과정(S11)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19개 자음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는 제2과정(S12)과, 상기 제2과정(S12)에서 모음 21개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활성화시켜주고,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을 비활성화 시켜주는 제3과정(S13)과, 상기 제3과정(S13)에서 종성 자음 27개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되, 이때 모음 입력이 있으면 제3과정(S13)으로 진입하고, 일정 시간동안 모음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1과정(S11)로 리턴하는 제4과정(S14)과, 상기 제3과정(S13)에서 종성 자음 27개 중 이전 글자의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겹자음 11개 중 하나가 종성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제1행 내지 제3행(110~130) 모든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는 제5과정(S15)과, 상기 제5과정(S15)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은 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는 제6과정(S16)과, 상기 제5과정(S15)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모음인 경우에는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활성화 시켜주는 제7과정(S1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글 자판(100)의 자음, 또는 모음 입력할 때 탭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입력 시 원하는 글자가 생성된 후 일정 시간 그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상기 자모음간 활성화가 적용되지 않고 계속하여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한글 맞춤법에 맞지 않게 입력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ㄸㅋ', 'ㅠㅠ' 등.
또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한글 맞춤법에 맞지 않게 계속 입력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자판 활성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과정(S11)에서는 한글 자판(100) 글자 입력 이전 초기 화면에서 초성에 해당하는 19개 자음(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이 입력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제1행(110) 및 제3행(130)의 'ㄱ'단위자판(111), 'ㄴ'단위자판(112), 'ㅁ'단위자판(113), 'ㅅ'단위자판(131) 및 'ㅇ'단위자판(132)을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 시켜준다.
여기서 활성화란 키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줌과 동시에 단위자판의 색상표시 또는 단위자판 활자체를 통한 표시로 식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과정(S12)에서는 상기 제1과정(S11)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19개 자음(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인 'ㅣ'단위자판(121), '??'단위자판(122) 및 'ㅡ'단위자판(123)을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 시켜준다.
상기 제3과정(S13)에서는 상기 제2과정(S12)에서 모음 21개(ㅏ,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이 입력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ㄱ, ㄴ, ㅁ, ㅅ, ㅇ 5개 기본 자음)은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시켜주고,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준다.
상기 제4과정(S14)에서는 상기 제3과정(S13)에서 종성 자음 27개(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ㄿ, ㄽ, ㄾ,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ㅣ, ·, ㅡ 3개 기본 모음)을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 시켜준다. 이때 모음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3과정(S13)으로 진입하여 다시 종성 입력 과정을 진행하고, 일정 시간 동안 모음 입력이 없으면 한 글자가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과정(S11)로 프로그램 리턴한다.
상기 제5과정(S15)에서는 상기 제3과정(S13)에서 종성 자음 27개(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중 이전 글자의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겹자음 11개(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중 하나가 종성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이후 글자 입력이 자음 또는 모음 모두 될 수 있으므로 도 6에서와 같이 제1행 내지 제3행(110~130) 모든 단위자판을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 시켜준다.
상기 제6과정(S16)에서는 상기 제5과정(S15)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ㅣ, ·, ㅡ 3개 기본 모음)은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 시켜주고,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고, 제7과정(S17)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7과정(S17)에서는 상기 제5과정(S15)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모음인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제2행(120)의 모음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110) 및 제3행(130) 단위자판은 활성화(예: 노란색 표시) 시켜주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
100, 100A: 한글자판 110: 제1행
120: 제2행 130: 제3행
111~113, 121~123, 131~133: 단위자판

Claims (9)

  1. 3개의 행과 3개의 열로 이루어진 3×3 배열 또는 N×M 배열 형태의 자판 형태를 가지되, 5개의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과 3개의 모음(ㅣ, ·, ㅡ)을 포함하는 단위자판들로 구성되고,
    3개의 행 중 어느 한 행에는 모음 'ㅣ'단위자판, '·'단위자판 및 'ㅡ'단위자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ㄱ'단위자판에는 'ㅋ', 'ㄲ'이 더 배치되고,
    'ㄴ'단위자판에는 'ㄷ', 'ㅌ', 'ㄸ' 및 'ㄹ'이 더 배치되고,
    'ㅁ'단위자판에는 'ㅂ', 'ㅍ' 및 'ㅃ'이 더 배치되고,
    'ㅅ'단위자판에는 'ㅆ','ㅈ', 'ㅊ' 및 'ㅉ'이 더 배치되고,
    'ㅇ'단위자판에는 'ㅎ'이 더 배치되며;
    상기 'ㄱ'단위자판에는 'ㄱ'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ㅋ'이, 우측에는 'ㄲ'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ㄴ'단위자판에는 'ㄴ'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ㅌ''ㄷ'이 나란히, 우측에는 'ㄸ'이, 상단에는 'ㄹ'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ㅁ'단위자판에는 '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ㅍ''ㅂ'이 나란히, 우측에는 'ㅃ'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에는 'ㅅ'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ㅊ''ㅈ'이 나란히, 상기 'ㅈ'의 아래쪽에는 'ㅉ'이, 우측에는 'ㅆ'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ㅇ'단위자판에는 'ㅇ'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ㅎ'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행은 제1행, 제2행 및 제3행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행에는 자음 'ㄱ'단위자판, 'ㄴ'단위자판, 'ㅁ'단위자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은 모음 'ㅣ'단위자판, '·'단위자판 및 'ㅡ'단위자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3행에는 자음 'ㅅ'단위자판 및 'ㅇ'단위자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
  3. 삭제
  4. 3개의 행과 3개의 열로 이루어진 3×3 배열 또는 N×M 배열 형태의 자판 형태를 가지되, 5개의 기본 자음(ㄱ, ㄴ, ㅁ, ㅅ, ㅇ)과 3개의 모음(ㅣ, ·, ㅡ)을 포함하는 단위자판들로 구성되고,
    3개의 행 중 어느 한 행에는 모음 'ㅣ'단위자판, '·'단위자판 및 'ㅡ'단위자판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ㄱ'단위자판에는 'ㅋ', 'ㄲ'이 더 배치되고,
    'ㄴ'단위자판에는 'ㄷ', 'ㅌ', 'ㄸ' 및 'ㄹ'이 더 배치되고,
    'ㅁ'단위자판에는 'ㅂ', 'ㅍ' 및 'ㅃ'이 더 배치되고,
    'ㅅ'단위자판에는 'ㅆ','ㅈ', 'ㅊ' 및 'ㅉ'이 더 배치되고,
    'ㅇ'단위자판에는 'ㅎ'이 더 배치되며;
    상기'ㄴ'단위자판에는 'ㄴ'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ㄷ'이, 우측에는 'ㄸ'이, 상단에는 'ㄹ'이, 하단에는 'ㅌ'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ㅁ'단위자판에는 'ㅁ'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ㅂ'이, 우측에는 'ㅃ'이, 하단에는 'ㅍ'이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에는 'ㅅ'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ㅈ'이, 상단에는 'ㅉ'이, 하단에는 'ㅊ'이, 우측에는 'ㅆ'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
  5. 청구항 1에 적용되는 것으로,
    'ㄱ'단위자판을 탭하면 'ㄱ'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ㅋ'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ㄲ'이 입력되고;
    'ㄴ'단위자판을 탭하면 'ㄴ'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ㄷ'이 입력되고,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ㅌ'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ㄸ'이 입력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ㄹ'이 입력되고;
    'ㅁ'단위자판을 탭하면 'ㅁ'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ㅂ'이 입력되고,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ㅍ'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ㅃ'이 입력되고;
    'ㅅ'단위자판을 탭하면 'ㅅ'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ㅈ'이 입력되고, 한 번 더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ㅊ'이 입력 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ㅆ'이 입력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ㅈ'을 만든 후 곧이어 다시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ㅉ'이 입력되고;
    'ㅇ'단위자판을 탭하면 'ㅇ'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ㅎ'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6. 청구항 1에 적용되는 것으로,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ㅣ'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ㅏ'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를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를 탭하면 'ㅑ'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ㅓ'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면 'ㅕ'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ㅗ'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면 'ㅛ'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을 탭하면 'ㅡ'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ㅜ'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면 'ㅠ'가 입력이 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ㅏ'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ㅐ'가 입력되고,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한후 '·'단위자판을 탭하여 'ㅑ'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ㅒ'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ㅓ'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ㅔ'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2번 슬라이드하거나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한 후 '·'단위자판을 탭하여 'ㅕ'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를 탭하면 'ㅖ'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ㅘ'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ㅘ'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ㅙ'가 입력되고,
    '·'단위자판과 'ㅡ'단위자판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ㅗ'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ㅚ'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ㅝ'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단위자판과 'ㅣ'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고 'ㅓ'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ㅞ'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과 '·'단위자판을 왼쪽으로 슬라이드하여 'ㅜ'를 입력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ㅟ'가 입력되고,
    'ㅡ'단위자판을 탭한 후 'ㅣ'단위자판을 탭하면 'ㅢ'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7. 삭제
  8. 청구항 4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ㄴ'단위자판을 탭하면 'ㄴ'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ㄷ'이 입력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ㅌ'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ㄸ'이 입력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ㄹ'이 입력되고;
    상기 'ㅁ'단위자판을 탭하면 'ㅁ'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ㅂ'이 입력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ㅍ'이 입력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ㅃ'이 입력되고;
    상기 'ㅅ'단위자판을 탭하면 'ㅅ'이 입력되고, 왼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ㅈ'이 입력되고, 아래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ㅊ'이 입력 되고,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ㅆ'이 입력되고, 위쪽으로 슬라이드하면 'ㅉ'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9. 청구항 2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글 자판 글자 입력 이전 초기 화면에서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을 키 입력 가능하도록 활성화시켜주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한글의 초성 자음 19개(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자음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모음 21개(ㅏ,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이 입력될 수 있도록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활성화시켜주고,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을 비활성화 시켜주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 종성 자음 27개(ㄱ, ㄲ, ㄳ, ㄴ, ㄵ, ㄶ, ㄷ, ㄹ,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ㅁ, ㅂ, ㅄ, ㅅ, ㅆ,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중 한 글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키고,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되, 이때 모음 입력이 있으면 제3과정으로 진입하고, 일정 시간동안 모음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1과정로 리턴하는 제4과정;
    상기 제3과정에서 종성 자음 27개 중 이전 글자의 종성과 다음 글자의 초성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겹자음 11(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개 중 하나가 종성으로 입력된 경우에는 제1행 내지 제3행 모든 단위자판을 활성화 시켜주는 제5과정;
    상기 제5과정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자음인 경우에는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은 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는 제6과정; 및
    상기 제5과정 이후 다음 입력 글자가 모음인 경우에는 제2행의 모음 단위자판은 비활성화 시켜주고, 제1행 및 제3행 단위자판은 활성화 시켜주는 제7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단위자판의 탭 또는 슬라이드 방식 입력 시 원하는 글자가 생성된 후 일정시간 그 상태를 유지할 경우, 또는 별도의 기능키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판 활성화 기능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간편 한글 자판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20220079876A 2022-06-29 2022-06-29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266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876A KR102663680B1 (ko) 2022-06-29 2022-06-29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876A KR102663680B1 (ko) 2022-06-29 2022-06-29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560A KR20240002560A (ko) 2024-01-05
KR102663680B1 true KR102663680B1 (ko) 2024-05-03

Family

ID=8954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876A KR102663680B1 (ko) 2022-06-29 2022-06-29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696B1 (ko) 2006-06-08 2007-10-19 이용관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KR102065532B1 (ko) 2017-07-18 2020-01-13 이주성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416B1 (ko) * 2000-05-25 2003-03-29 주식회사 인터큐브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20090070357A (ko) * 2007-12-27 2009-07-01 박형민 한글 입력기 및 한글 입력 방법
KR101043857B1 (ko) 2009-08-25 2011-06-23 박찬용 팝업, 슬라이드 및 멀티탭을 응용한 다국어 문자입력 키패드
KR101355075B1 (ko) * 2011-12-09 2014-01-27 장선호 한글입력자판
KR101445061B1 (ko) * 2012-12-26 2014-10-01 송혁진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20160118542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20190066161A (ko) 2017-12-05 2019-06-13 박찬용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20220005417A (ko) * 2021-11-30 2022-01-13 백운성 한글 간이 키보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696B1 (ko) 2006-06-08 2007-10-19 이용관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KR102065532B1 (ko) 2017-07-18 2020-01-13 이주성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560A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39078A (ja) コンピュータ入力システム
KR20210058291A (ko) 쉬운 일문용 로마자 배열을 갖는 일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747037B1 (ko) 문자 입력 방법
KR102663680B1 (ko)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KR102035087B1 (ko) 외국인 한글 학습자용 키패드 시스템
EP3180703A2 (en) A mnemonic relative position international keyboard system set on new focus field platform
KR102207067B1 (ko) 홀로그램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2263980B1 (ko) 한글과 라틴 문자가 조합된 문자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53906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서 스와이프를 이용한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20120068513A (ko) 터치 앤드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50131662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WO2017086396A1 (ja) タッチ操作による文字入力装置・方法・プログラム
US202401685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Keystrokes on a Physical or Virtual Keyboard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550141B1 (ko)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한글문자 입력방법
KR20090070357A (ko) 한글 입력기 및 한글 입력 방법
JP4288479B2 (ja) 多ストローク式仮名文字キー入力方法とその装置。
KR20120056581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베트남어입력장치
JP2006217557A (ja) 携帯・固定電話およびコンピュータキーボードの日本語とアルファベット表示入力装置
KR101080228B1 (ko) 문자 입력방법
KR20190137762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JP2005078107A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