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5075B1 - 한글입력자판 - Google Patents

한글입력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5075B1
KR101355075B1 KR1020110131755A KR20110131755A KR101355075B1 KR 101355075 B1 KR101355075 B1 KR 101355075B1 KR 1020110131755 A KR1020110131755 A KR 1020110131755A KR 20110131755 A KR20110131755 A KR 20110131755A KR 101355075 B1 KR101355075 B1 KR 10135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asic
input
korean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059A (ko
Inventor
장선호
Original Assignee
장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호 filed Critical 장선호
Priority to KR102011013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0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입력자판에 있어서 한글의 기본자음인 "ㅇ", "ㄱ", "ㄴ", "ㅅ" 및 "ㅁ"과 한글의 기본모음인 "·", "ㅣ" 및 "ㅡ"에 각각 할당된 기본자음키 및 기본모음키를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에 맞게 인체발음기관의 형태 및 자모운용배열 구현방법대로 배치하며, 특히 합자키를 포함하고 이를 상기 기본자음키 및 기본모음키와 조합하여 운용함으로써 치두음, 정치음, 순경음 및 반설경음 등의 고어문자를 포함한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직관적이고 신속한 표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한글입력자판 {HANGUL INPUT KEYBOARD}
본 발명은 한글입력자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어를 포함한 한글문자를 직관적으로 입력하여 표기가능한 한글입력자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는 저렴한 통신비용으로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간편한 휴대를 위하여 소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입력자판 키의 개수가 극히 제한되어 한글의 자모나 영문의 알파벳 전부로의 할당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고 결국 각 키마다 복수의 문자가 중복 할당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문자 입력을 위한 키로는 전화번호 다이얼링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한 10개의 숫자/문자 키가 있고, 이외에 2개의 특수문자 입력을 위한 키(즉, "*" 및 "#")가 있다.
그런데, 한글문자에 있어서, 자음은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 등 5개 부분의 인체 발음기관의 모양과 오행의 원리를 기본으로 하고, 모음은 하늘, 땅, 사람의 3가지 형상을 기본으로 하여 가획과 병서 및 연서의 결합방법으로 표기되어 총 28자(자음 17자, 모음 11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현대국어에서는 이 중에서 고어에 해당하는 자음 3자와 모음 1자를 제외한 나머지 총 24자(자음 14자, 모음 10자)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전술하였듯이 통상적으로 주어진 10개의 숫자/문자 키와 2개의 특수문자키를 동원하여 이러한 24자를 완벽히 구현해야 한다.
한글모음 표기의 경우, 종래 훈민정음의 원칙인 천지인(天地人)의 모음구현정신을 살려 3자로 전체모음을 표현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한글창제원리에 의한 모음배열에 충실하지 않아 직관적인 모음 구현방법으로서는 매우 미흡하다. 또한, 한글자음의 표기는 모음의 경우인 3자보다 더 많은 5자를 바탕으로 전체 자음을 구현해야 하므로, 극히 제한된 개수의 키보드를 조합하여 전체 자음을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003975호(2010. 12 .30 공고), 제10-1067347호(2011. 9. 23 공고) 및 제10-1074650호(2011. 10. 18 공고)에서는 각각 한글입력자판에 있어서 특히 기본 5자를 기초로 하는 한글 자음의 키 배열을 인체 발음기관의 형태대로 배치함으로써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에 맞게 효율적이고도 직관적으로 한글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하여 표현할 수 있는 한글자판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다양한 고어문자의 표기에 제한을 받으며, 예를 들어,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1
" 등의 치두음,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2
" 등의 정치음, "ㅱ, ㅸ, ㆄ, ㅹ" 등의 순경음,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3
" 의 반설경음 등의 고어문자를 완벽히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구현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이들 종래기술에서의 한글모음 구현 역시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에 따른 모음배열에 충실하지 않아 보다 직관적인 표기가 가능한 방법이 요망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면서도 직관적으로 다양한 고어를 포함한 한글문자를 신속 및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한글입력자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은 한글의 기본자음인 "ㅇ", "ㄱ", "ㄴ", "ㅅ" 및 "ㅁ"과 한글의 기본모음인 "·", "ㅣ" 및 "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입력시 이들을 각각 구현하는 기본자음키 및 기본모음키를 포함하고 상기 "ㅅ" 및 "ㅁ"의 각 키는 동일한 행을 이루어 "ㄴ" 키를 기점으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ㄱ" 및 "ㅇ"의 각 키는 "ㄴ" 키를 기점으로 상에서 하로 차례로 배열되며,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ㄹ", "ㅿ" 및 "ㆁ"을 포함하는 이체음을 각각 구현하도록 할당된 하나의 이체키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 조합되어 입력됨으로써 한글문자를 표기하는 복수의 키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한글입력자판으로서, 상기 "·"키는 상기 기본자음키와 각각 조합되어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ㅂ", "ㅍ", "ㅈ", "ㅊ", "ㄷ", "ㅌ", "ㅋ", "ㅎ" 및 "ㆆ"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초성우측배열키인 상기 "ㅣ"키 및 초성아래측배열키인 상기 "ㅡ"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ㅏ", "ㅣ", "ㅓ", "ㅡ", "ㅗ" 및 "ㅜ"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키와 각각 조합됨으로써 "ㅛ", "ㅑ", "ㅠ" 및 "ㅕ" 중의 하나를 표기하며, 상기 기본자음키, 기본모음키 및 이체키 중의 하나 이상과 1회 이상 조합되어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ㄲ", "ㄸ", "ㅃ", "ㅆ", "ㅉ", "ㆅ", "ㅱ", "ㅸ", "ㆄ", "ㅹ",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4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5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6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7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8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09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0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1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2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3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4
", "ㅐ", "ㅔ", "ㅒ", "ㅖ", "ㆎ", "ㅢ", "ㅘ", "ㅚ", "ㅙ", "ㅝ", "ㅟ", "ㅞ", "ㆉ", "ㆇ", "ㆈ", "ㆌ", "ㆊ" 및 "ㆋ" 중의 하나를 표기하는 합자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은 한글의 기본자음인 "ㅇ", "ㄱ", "ㄴ", "ㅅ" 및 "ㅁ"과 한글의 기본모음인 "·", "ㅣ" 및 "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입력시 이들을 각각 구현하는 기본자음키 및 기본모음키를 포함하고 상기 "ㅅ" 및 "ㅁ"의 각 키는 동일한 행을 이루어 "ㄴ" 키를 기점으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ㄱ" 및 "ㅇ"의 각 키는 "ㄴ" 키를 기점으로 상에서 하로 차례로 배열되며,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ㄹ", "ㅿ" 및 "ㆁ"을 포함하는 이체음을 각각 구현하도록 할당된 하나의 이체키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 조합되어 입력됨으로써 한글문자를 표기하는 복수의 키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한글입력자판으로서, 상기 "ㄴ"키, "ㅅ"키, "ㅁ"키 및 "ㅇ"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ㄴ", "ㄷ", "ㅌ", "ㅅ", "ㅈ", "ㅊ", "ㅁ", "ㅂ", "ㅍ", "ㅇ", "ㅎ" 및 "ㆆ"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초성우측배열키인 상기 "ㅣ"키 및 초성아래측배열키인 상기 "ㅡ"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ㅏ", "ㅣ", "ㅓ", "ㅡ", "ㅗ" 및 "ㅜ"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키와 각각 조합됨으로써 "ㅛ", "ㅑ", "ㅠ" 및 "ㅕ" 중의 하나를 표기하며, 상기 기본자음키, 기본모음키 및 이체키 중의 하나 이상과 1회 이상 조합되어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ㄲ", "ㄸ", "ㅃ", "ㅆ", "ㅉ", "ㆅ", "ㅱ", "ㅸ", "ㆄ", "ㅹ",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5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6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7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8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19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0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1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2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3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4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5
", "ㅐ", "ㅔ", "ㅒ", "ㅖ", "ㆎ", "ㅢ", "ㅘ", "ㅚ", "ㅙ", "ㅝ", "ㅟ", "ㅞ", "ㆉ", "ㆇ", "ㆈ", "ㆌ", "ㆊ" 및 "ㆋ" 중의 하나를 표기하는 합자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두 한글입력자판들에 있어서, 상기 "·"키, "ㅣ"키 및 "ㅡ"키는 순서대로 종렬 배열된다. 또한, 이들 한글입력자판은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상기 한글문자를 각각 한자 또는 일본어로 변환하여 구현하는 하나의 한/일 지원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합자키를 운용함으로써 치두음, 정치음, 순경음 및 반설경음 등의 고어문자를 포함한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직관적이고 신속한 표기가 가능하다. 또한, 특히 한글 모음은 보다 직관적인 표기가 가능하다.
도 1은 인체 발음기관 구조에서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한 한글 기본자음의 발음위치를 해부학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오른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은 도 2a에 도시한 구현예의 일 실시예로서 변형된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3c는 도 2a에 도시한 구현예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漢/日키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본 실시예에서 漢/日키에 의한 한자변환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실시예에서 漢/日키에 의한 한자변환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본 실시예에서 漢/日키에 의한 일본어변환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로서 왼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은 도 4a에 도시한 구현예의 일 실시예로서 변형된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먼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003975호(2010. 12 .30 공고), 제10-1067347호(2011. 9. 23 공고) 및 제10-1074650호(2011. 10. 18 공고)에 개시된바 같이, 한글입력자판에 있어서 특히 기본 5자를 기초로 하는 한글 자음의 키 배열을 인체 발음기관의 형태대로 배치함으로써 훈민정음의 창제원리에 맞게 효율적이고도 직관적으로 한글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이 기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 발음기관 구조에서의 한글 기본자음의 발음위치를 해부학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체해부학적으로 한글의 5개 기본자음의 발음위치는 다음과 같이 구강 내의 각각 다른 위치에 존재한다:
- "ㅁ"은 순음(脣音: 입술소리)으로서 발음위치는 입술주변부이다.
- "ㅅ"은 치음(齒音: 잇소리)으로서 발음위치는 이 주변부이다.
- "ㄴ"은 설음(舌音: 혓소리)으로서 발음위치는 경구개, 연구개 부위 및 혀 주변부이다.
- "ㄱ"은 아음(牙音: 어금니소리)으로서 발음위치는 구인두 부위 및 설하부이다.
- "ㅇ"은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으로서 발음위치는 하인두 부위 및 후두주변부이다.
즉, 상기 해부학적 분석에 의하면, 발음위치가 인체 발음기관의 후두부로부터 입술로 갈수록 각 대응되는 기본 자음은 "ㅇ", "ㄱ", "ㄴ", "ㅅ", "ㅁ" 순으로 변화한다. 이는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된다:
발음위치 후두부← →입술
기본자음
이러한 기본원리로 본 발명은 인체 발음기관에서의 각 기본자음 발음위치대로 키 배열을 조정함으로써 인체공학적이고도 사용자의 직관적인 느낌에 부합되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한글 모음 표기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초성의 우측에는 "ㅣ, ㅏ, ㅓ, ㅑ, ㅕ"가 배열되고 초성의 아래에는 "ㆍ, ㅡ, ㅗ, ㅜ, ㅛ, ㅠ"가 배열되도록 하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설명에 따라 단모음 및 중모음을 표기함으로써 인체 발음기관의 형태에 정합되는 구현기술을 제시하며, 이는 상세히 후술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한글입력자판은 특징적으로 초성, 중성 및 종성에 사용되는 자음과 모음의 다양한 운용방법을 구현하는 합자(合字)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합자키를 운용함으로써 고어를 포함한 자음 및 모음의 직관적이고 다양한 표기가 가능하다. 예컨대, 이러한 합자키를 상기 기본자음 또는 기본모음과 결합하여 운용함으로써, 자음에서는 "ㄲ, ㄸ, ㅃ, ㅆ, ㅉ, ㆅ" 등의 쌍자음과,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6
" 등의 치두음 및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7
" 등의 정치음과, "ㅱ, ㅸ, ㆄ, ㅹ" 등의 순경음 및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8
" 의 반설경음을 표기할 수 있고, 모음에서는 단모음 및 중모음을 표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2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오른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여 본 구현예에서 자음 표기방법을 설명한다.
본 구현예는 기본적으로 기본자음(즉, "ㅇ", "ㄱ", "ㄴ", "ㅅ" 및 "ㅁ")에 각각 할당되는 5개 키(즉, 7, 4, 1, 2 및 3번키)와, 기본모음(즉, "·", "ㅡ" 및 "ㅣ")에 각각 할당되는 3개 키(즉, 5, 0 및 8번키)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본자음 키들의 배치는 앞서 도 1 및 표 1에 설명한 바에 따라 그 인체 발음기관내 발음위치에 맞추어 순서대로 할당된 것이다. 즉, 이들 기본자음 중, 인체 발음기관에서의 수직적 발음위치가 여타 기본자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부에 존재하는 "ㄴ", "ㅅ", "ㅁ"은 제1행으로 되고 이는 또한 인체 발음기관에서의 수평적 발음위치순서에 따라 차례로 할당 배치된다. 그리고, 나머지 "ㄱ" 및 "ㅇ"은 그 수직적 발음위치순서에 따라 차례로 할당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본모음 키들은 천지인의 원리(즉, "하늘", "사람", "땅") 순서대로 각각 5, 8 및 0번키에 할당 배치된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자음의 표기는 기본자음(즉, "ㅇ", "ㄱ", "ㄴ", "ㅅ" 및 "ㅁ")를 표기한 후 "·"키(5번키, 이하 "하늘키")를 1회 이상 입력함으로써 기타 자음을 표기할 수 있다. 이는 아래 표 2와 같다:
(1) 기본자음키를
1회입력
(2) (1)에서
하늘 키(5번키)를
1회 입력
(3) (2)에서
하늘 키(5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ㅁ"(3번키) "ㅂ" "ㅍ"
"ㅅ"(2번키) "ㅈ" "ㅊ"
"ㄴ"(1번키) "ㄷ" "ㅌ"
"ㄱ"(4번키) "ㅋ"
"ㅇ"(7번키) "ㅎ" ""
또한, 본 구현예는 9번키로 할당된 이체키를 포함하며, 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이체키의 위치는 9번키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키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체키만을 연속하여 1회 이상 입력하면, 아래 표 3과 같이 "ㄹ, ㅿ, ㆁ" 등의 이체자를 표기할 수 있다:
(1) 이체키(9번키)를
1회 입력
(2) (1)에서
이체키(9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3) (2)에서
이체키(9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ㄹ" "ㅿ" "ㆁ"
또한, 본 구현예는 6번키에 할당된 합자(合字)키를 포함하며 이를 운용하여 다음 표 4와 같이 "ㄲ, ㄸ, ㅃ, ㅆ, ㅉ, ㆅ" 등의 쌍자음을 표기할 수 있다:
(1) 해당 자음을 표기
(2) (1)에서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
"ㄱ" "ㄲ"
"ㄷ" "ㄸ"
"ㅂ" "ㅃ"
"ㅅ" "ㅆ"
"ㅈ" "ㅉ"
"ㅎ" "ㆅ"
이때, 물론 상기 "ㄷ, ㅂ, ㅈ"은 표 2에 설명하였듯이 각각 "ㄴ"키(1번키), "ㅁ"키(3번키) 또는 "ㅅ"키(2번키)를 입력하고 하늘키(5번키)를 각각 1회 입력하여 표기된다.
또한, 본 구현예는 상기 합자키를 운용하여 다음 표 5와 같이 "ㅱ, ㅸ, ㅹ, ㆄ" 등의 순경음을 표기할 수 있다:
(1) 해당 자음을 표기 (2) (1)에서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
(3) (2)에서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ㅁ" "ㅱ"
"ㅃ" "ㅸ" "ㅹ"
"ㅍ" "ㆄ"
이때, 물론 상기 "ㅃ"은 표 2에 설명하였듯이 "ㅁ"키(3번키)를 입력하고 하늘 키(5번키)를 1회 입력하여 "ㅂ"을 표기한 후 표 4에 설명하였듯이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함으로써 표기된다. 또한, 상기 "ㅍ"은 표 2에 설명하였듯이 "ㅁ"키(3번키)를 입력하고 하늘 키(5번키)를 연속하여 2회 입력하여 표기된다.
또한, 본 구현예는 상기 합자키를 운용하여 다음 표 6과 같이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29
"의 반설경음을 표기할 수 있다:
(1) 해당 자음을 표기 (2) (1)에서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 (반설경음)
"ㄹ"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0
"
이때, 상기 "ㄹ"은 표 2에 설명하였듯이 이체키(9번키)를 1회 입력하여 표기된다.
또한, 본 구현예는 상기 합자키를 운용하여 다음 표 7과 같이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1
" 등의 치두음,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2
" 등의 정치음을 표기할 수 있다:
(1) 해당 자음을
표기
(2) (1)에서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
(3) (2)에서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4) (3)에서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5) (4)에서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ㅆ"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3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4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5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6
"
"ㅉ"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7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8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39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40
"
"ㅊ"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41
"
"
Figure 112011097971638-pat00042
"
이때, 상기 "ㅆ"은 표 4에 설명하듯이 "ㅅ"키(2번키)를 입력한 후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하여 표기된다. 또한, 상기 "ㅉ"은 표 2 및 표 4에 설명하듯이 "ㅅ"키(2번키)를 입력하고 하늘 키(5번키)를 1회 입력하여 "ㅈ"을 표기한 후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하여 표기된다. 또한, 상기 "ㅊ"은 표 2에 설명하듯이 "ㅅ"키(2번키)를 입력하고 하늘 키(5번키)를 연속하여 2회 입력하여 표기된다.
또한, 본 구현예의 모음표기방법을 하술한다. 특히, 본 구현예에서는 초성의 우측에는 "ㅣ, ㅏ, ㅓ, ㅑ, ㅕ"가 배열되고 초성의 아래에는 "ㆍ, ㅡ, ㅗ, ㅜ, ㅛ, ㅠ"가 배열되도록 하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모음배열 원리에 따라 단모음 및 중모음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구현예에 있어서, "·, ㅏ, ㅣ, ㅓ, ㅡ, ㅗ, ㅜ" 등의 중성 단모음은 다음 표 8과 같은 입력방법으로 표기된다:
중성 단모음 입력 표기방법
"·" 하늘키(5번키)를 1회 입력
"ㅏ" "ㅣ"키(8번키)를 1회 입력
"ㅣ" "ㅣ"키(8번키)를 연속 2회 입력
"ㅓ" "ㅣ"키(8번키)를 연속 3회 입력
"ㅡ" "ㅡ"키(0번키)를 1회 입력
"ㅗ" "ㅡ"키(0번키)를 연속 2회 입력
"ㅜ" "ㅡ"키(0번키)를 연속 3회 입력
즉, 표 8에 설명하듯이, 본 구현예의 중성 단모음 표기에 있어서, "ㅣ"키(8번키)의 입력횟수에 따라 "ㅏ" → "ㅣ" → "ㅓ"의 순서대로 변환표기되며, "ㅡ"키(0번키)의 입력횟수에 따라 "ㅡ" → "ㅗ" → "ㅜ"의 순서대로 변환표기된다.
또한, 본 구현예에 있어서, "ㅛ,ㅑ,ㅠ,ㅕ" 등의 재출자는 각각 "ㅗ,ㅏ,ㅜ,ㅓ"를 표기한 후 하늘키(5번키)를 1회 입력함으로써 각각 표기되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표 9와 같다:
재출자 입력 표기방법
"ㅛ" "ㅡ"키(0번키)+"ㅡ"키(0번키)+하늘키(5번키) 입력
"ㅑ" "ㅣ"키(8번키)+하늘키(5번키) 입력
"ㅠ" "ㅡ"키(0번키)+"ㅡ"키(0번키)+하늘키(5번키) 입력
"ㅕ" "ㅣ"키(8번키)+"ㅣ"키(8번키)+하늘키(5번키) 입력
또한, 본 구현예에 있어서, "ㅐ, ㅔ, ㅒ, ㅖ, ㆎ, ㅢ, ㅘ, ㅚ, ㅙ, ㅝ, ㅟ, ㅞ, ㆉ, ㆇ, ㆈ, ㆌ, ㆊ, ㆋ" 등의 중모음은 해당 모음을 최초 표기한 후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이상 입력함으로써 표기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 표 10과 같다:
(1) 해당 모음을
표기
(2) (1)에서
합자키(6번키)를
1회 입력
(3) (2)에서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4) (3)에서
합자키(6번키)를
연속하여
1회 더 입력
"ㅏ" "ㅐ"
"ㅓ" "ㅔ"
"ㅑ" "ㅒ"
"ㅕ" "ㅖ"
"·" "ㆎ"
"ㅡ" "ㅢ"
"ㅗ" "ㅘ" "ㅚ" "ㅙ"
"ㅜ" "ㅝ" "ㅟ" "ㅞ"
"ㅛ" "ㆉ" "ㆇ" "ㆈ"
"ㅠ" "ㆌ" "ㆊ" "ㆋ"
이때, 상기 "·, ㅏ, ㅣ, ㅓ, ㅡ, ㅗ, ㅜ"인 해당 모음의 표기방법은 표 8에, 상기 "ㅛ,ㅑ,ㅠ,ㅕ"인 해당 모음의 표기방법은 표 9에 설명한 바 있다.
한편, 본 구현예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본자음에 할당된 해당 키와 하늘키(5번키)를 조합하여 표 2와 같이 자음을 표기하는 대신에, 각 기본자음에 할당된 해당 키만을 적어도 1회 이상 누름으로써 표 2와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다. 도 2b는 이러한 본 실시예를 위해 각 자판에 변환되는 각기 복수의 자음들을 표기한 오른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의 도면이다. 이리하면,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으로 될 수 있다.
즉, 기본자음인 "ㅁ"(3번키)를 누르면 "ㅁ"이 구현되고, 연속하여 이 3번키를 1회 더 누르면 "ㅂ"이,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ㅍ"이 각각 구현된다. 또한, 기본자음인 "ㅅ"(2번키)를 누르면 "ㅅ"이 구현되고, 연속하여 이 2번키를 1회 더 누르면 "ㅈ"이,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ㅊ"이 각각 구현된다. 또한, 기본자음인 "ㄴ"(1번키)를 누르면 "ㄴ"이 구현되고,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ㄷ"이,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ㅌ"이 각각 구현된다. 또한, 기본자음인 "ㄱ"(4번키)를 누르면 "ㄱ"이 구현되고,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ㅋ"이 구현된다. 또한, 기본자음인 "ㅇ"(7번키)을 누르면 "ㅇ"이 구현되고,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ㅎ"이, 연속하여 이를 1회 더 누르면 고어인 "ㆆ"이 각각 구현된다. 또한, 이체자인 "ㄹ, ㅿ, ㆁ"는 표 3과 마찬가지로 이체키를 연속하여 1회 이상 누름으로써 표기되며, 도 2b에서는 "이체"라는 표기 대신에 이체자들이 직접 표기된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는 부가적으로 특수문자(즉, "*" 및 "#")에 할당되는 2개 키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특수문자인 "*"키 또는 "#"키에는 동시에 한(漢)/일(日) 지원키(이하, "漢/日키")의 기능을 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글을 입력한 후, 漢/日키를 1회 누르면 해당 한글의 한자가, 연속하여 2회 누르면 해당 한글의 일본어가 매회 하나 이상 화면에 나열되며 이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는 MS윈도우의 IME(Input Method Editor) 또는 휴대폰 OS(Operating System)에서 사용되는 방법들을 포함한 해당 분야에 모든 공지된 방법으로 운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키 또는 "#"키를 1회 누르면, "한글입력모드", "특수문자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 등을 나열한 다양한 문자입력모드 창이 나타나고 이 중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문자입력모드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일 예로서, 사용자는 상기 문자입력모드 창 중에서 상기 "한글입력모드"를 선택하여 하술하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한글입력을 할 수 있고, 또한 필요시마다 자유자재로 상기 "특수문자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 등을 선택하여 특수문자나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여러 문자를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키 또는 "#"키의 경우, "*" 또는 "#"의 입력 표기는 "숫자입력모드"에서만 가능하게 하고 "한글입력모드"에서는 漢/日키로서만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이의 실시예들에 의한 漢/日키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일 실시예로서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한자를 입력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로 예를 들어 "한"을 입력한 후 漢/日키를 1회 누르면, 이 문자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가 나열된 임의의 창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이 중에서 사용자는 의도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 또는, 다른 일 실시예로서, 의도하는 한자의 단어를 완성한 후 漢/日키를 1회 누르면 이 단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가 나열된 임의의 창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이 중에서 사용자는 의도하는 한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 즉, 도 3b와 같이, 예를 들어 "한자"를 입력한 후 漢/日키를 1회 누르면 이 단어에 해당되는 한자들이 나열된 임의의 창이 나타나고, 이 중에서 의도된 한자단어를 선택 입력하게 된다. 또는,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3c에 도시하듯이, 일본어를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의도하는 일본어의 발음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로 "칸지"라고 입력하면, 이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일본어가 나열된 임의의 창이 나타나며, 이에 따라 이 중에서 의도하는 일본어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로서, 이를 설명하는 도 4a는 본 발명의 왼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의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2b와 같이 직관적으로 표기한 키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구현예는 한글입력자판으로서 도 2a에 도시한 상기 구현예의 오른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에서 특수키인 *키와 #키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한채 제2열을 기준으로 한 그의 거울상 이미지로 배열된다. 즉, 먼저 기본자음 중에서 "ㄴ", "ㅅ", "ㅁ"은 제1행의 3, 2, 1 번키로 각각 할당 배치되고, "ㄱ, ㅇ"은 6, 9 번키로 각각 할당 배치된다. 그리고, 기본모음인 "·", "ㅣ", "ㅡ"은 그대로 5, 8, 0 번키에 할당 배치된다. 또한, 합자키와 이체키는 각각 4번키와 7번키로 할당 배치된다. 또한, 특수키인 *키와 #키가 할당되며, 漢/日키는 거울상 이미지로 대칭되는 *키 또는 #키로 할당된다. 또한, 이러한 본 구현예의 한글문자 구현방법은 도 2a에서 설명한 오른손잡이용 한글입력자판을 사용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들에서의 한글문자 구현방법과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들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규한 기본적 특징을 설명 및 개시하였지만, 이러한 구현예들 및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응당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한글의 기본자음인 "ㅇ", "ㄱ", "ㄴ", "ㅅ" 및 "ㅁ"과 한글의 기본모음인 "·", "ㅣ" 및 "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입력시 이들을 각각 구현하는 기본자음키 및 기본모음키를 포함하고 상기 "ㅅ" 및 "ㅁ"의 각 키는 동일한 행을 이루어 "ㄴ" 키를 기점으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ㄱ" 및 "ㅇ"의 각 키는 "ㄴ" 키를 기점으로 상에서 하로 차례로 배열되며,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ㄹ", "ㅿ" 및 "ㆁ"을 포함하는 이체음을 각각 구현하도록 할당된 하나의 이체키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 조합되어 입력됨으로써 한글문자를 표기하는 복수의 키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한글입력자판에 있어서,
    상기 "·"키는 상기 기본자음키와 각각 조합되어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ㅂ", "ㅍ", "ㅈ", "ㅊ", "ㄷ", "ㅌ", "ㅋ", "ㅎ" 및 "ㆆ"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ㅣ"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ㅏ", "ㅣ", "ㅓ"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키와 각각 조합하여 입력됨으로써 "ㅑ" 및 "ㅕ" 중의 하나를 표기하며,
    상기 "ㅡ"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ㅡ", "ㅗ" 및 "ㅜ"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키와 각각 조합하여 입력됨으로써 "ㅛ" 및 "ㅠ" 중의 하나를 표기하며,
    상기 기본자음키, 기본모음키 및 이체키 중의 하나 이상과 1회 이상 조합되어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ㄲ", "ㄸ", "ㅃ", "ㅆ", "ㅉ", "ㆅ", "ㅱ", "ㅸ", "ㆄ", "ㅹ",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3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4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5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6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7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8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49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0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1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2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3
    ", "ㅐ", "ㅔ", "ㅒ", "ㅖ", "ㆎ", "ㅢ", "ㅘ", "ㅚ", "ㅙ", "ㅝ", "ㅟ", "ㅞ", "ㆉ", "ㆇ", "ㆈ", "ㆌ", "ㆊ" 및 "ㆋ" 중의 하나를 표기하는 합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자판.
  2. 한글의 기본자음인 "ㅇ", "ㄱ", "ㄴ", "ㅅ" 및 "ㅁ"과 한글의 기본모음인 "·", "ㅣ" 및 "ㅡ"에 각각 하나씩 할당되어 입력시 이들을 각각 구현하는 기본자음키 및 기본모음키를 포함하고 상기 "ㅅ" 및 "ㅁ"의 각 키는 동일한 행을 이루어 "ㄴ" 키를 기점으로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차례로 배열되고 상기 "ㄱ" 및 "ㅇ"의 각 키는 "ㄴ" 키를 기점으로 상에서 하로 차례로 배열되며,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ㄹ", "ㅿ" 및 "ㆁ"을 포함하는 이체음을 각각 구현하도록 할당된 하나의 이체키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 조합되어 입력됨으로써 한글문자를 표기하는 복수의 키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한글입력자판에 있어서,
    상기 "ㄴ"키, "ㅅ"키, "ㅁ"키 및 "ㅇ"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ㄴ", "ㄷ", "ㅌ", "ㅅ", "ㅈ", "ㅊ", "ㅁ", "ㅂ", "ㅍ", "ㅇ", "ㅎ" 및 "ㆆ"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ㅣ"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ㅏ", "ㅣ", "ㅓ"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키와 각각 조합하여 입력됨으로써 "ㅑ" 및 "ㅕ" 중의 하나를 표기하며,
    상기 "ㅡ"키는 각각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ㅡ", "ㅗ" 및 "ㅜ" 중의 하나를 표기하고 상기 "·"키와 각각 조합하여 입력됨으로써 "ㅛ" 및 "ㅠ" 중의 하나를 표기하며,
    상기 기본자음키, 기본모음키 및 이체키 중의 하나 이상과 1회 이상 조합되어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ㄲ", "ㄸ", "ㅃ", "ㅆ", "ㅉ", "ㆅ", "ㅱ", "ㅸ", "ㆄ", "ㅹ",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4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5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6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7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8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59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60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61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62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63
    ", "
    Figure 112013065604548-pat00064
    ", "ㅐ", "ㅔ", "ㅒ", "ㅖ", "ㆎ", "ㅢ", "ㅘ", "ㅚ", "ㅙ", "ㅝ", "ㅟ", "ㅞ", "ㆉ", "ㆇ", "ㆈ", "ㆌ", "ㆊ" 및 "ㆋ" 중의 하나를 표기하는 합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자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 "ㅣ"키 및 "ㅡ"키는 순서대로 종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자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회 이상 입력됨으로써 상기 한글문자를 각각 한자 또는 일본어로 변환하여 구현하는 하나의 한/일 지원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입력자판.
KR1020110131755A 2011-12-09 2011-12-09 한글입력자판 KR10135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55A KR101355075B1 (ko) 2011-12-09 2011-12-09 한글입력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755A KR101355075B1 (ko) 2011-12-09 2011-12-09 한글입력자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059A KR20130065059A (ko) 2013-06-19
KR101355075B1 true KR101355075B1 (ko) 2014-01-27

Family

ID=4886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755A KR101355075B1 (ko) 2011-12-09 2011-12-09 한글입력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326B1 (ko) * 2016-01-14 2016-08-12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벌식 기반의 No-shift 옛한글 입력기
KR102175334B1 (ko) * 2018-08-21 2020-11-06 김성욱 훈민정음 글자판
KR102663680B1 (ko) * 2022-06-29 2024-05-03 김현자 초간편 한글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128A (ko) * 2009-06-05 2009-07-06 장선호 한글입력자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128A (ko) * 2009-06-05 2009-07-06 장선호 한글입력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059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975B1 (ko) 한글입력자판
KR101355075B1 (ko) 한글입력자판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KR101113960B1 (ko) 문자 키패드
KR101216840B1 (ko)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KR100894382B1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1067347B1 (ko) 한글입력자판
KR100893374B1 (ko) 일본어 입력 방법
KR20080081074A (ko) 컴퓨터 및 휴대전화의 입력방법
KR20130069391A (ko) 소형 일문키보드 및 방법
KR101074650B1 (ko) 한글입력자판
KR2010003406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100662549B1 (ko) 문자 입력장치
KR20120039316A (ko) 한글입력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구현방법
KR101140767B1 (ko)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20070000648U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KR100860837B1 (ko) 디스플레이 변환형 키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20090100509A (ko)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866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141774B1 (ko) 문자입력부가 구비된 휴대장치
KR20100123978A (ko) 휴대폰의 일본어 조합문자 입력 방법
KR101355073B1 (ko) 한글입력자판
KR101127261B1 (ko) 휴대폰의 문자배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