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374B1 - 일본어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일본어 입력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93374B1 KR100893374B1 KR1020070050251A KR20070050251A KR100893374B1 KR 100893374 B1 KR100893374 B1 KR 100893374B1 KR 1020070050251 A KR1020070050251 A KR 1020070050251A KR 20070050251 A KR20070050251 A KR 20070050251A KR 100893374 B1 KR100893374 B1 KR 1008933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vowels
- input
- vowel
- button
- Prior art date
Links
- 240000000220 Panda oleos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16496 Panda oleos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331 Nos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5 hem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66 mariju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본어 입력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문자표(청음 및 제 1 요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문자표(탁음 및 제 2 요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 장치의 문자할당 키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은 일본어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일본어 50음도를 배열한 키 버튼을 눌러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과, 일본어를 영문 발음으로 입력한 후 가나문자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음도의 문자를 키 버튼에 할당하여 놓은 자판은 자음과 모음의 경우 하나의 키 버튼을 눌러 하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나 탁음은 자음을 입력한 다음에 “탁점”을 입력해야 하며, 요음은 입력방법이 복잡하고 키 버튼 입력횟수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입력 장치는 50음도의 키 버튼 배열을 숙지하기 어렵고, 탁음과 요음 입력에 따른 키 입력횟수 증가와 문자 키 버튼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영어입력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은, 일본어 발음을 영문으로 입력하고 영문에 해당하는 일본어 발음을 다시 가나문자로 변환하는 입력 변환방식으로 가나문자를 입력한다.
그러나 가나문자를 로마자 표기법에 다른 일본어 입력방법은 가나문자를 영문발음으로 입력한 다음 영문발음을 다시 일본어로 변환해야 하는 로마자 표기법에 의한 가나문자 입력 방식은 일본어에 대한 로마자 표기법을 별도로 배워야 하는 문제점과 로마자 표기법으로 가나 문자를 입력할 때 생각의 흐름을 단절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어를 로마자 표기법에 영문발음으로 입력하는 방식은 개개의 가나문자마다 입력기호가 다른 문자가 많고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데 일반적으로 2-3회의 입력이 필요하다.
또한, 문자배열의 동일성과 규칙성이 없는 영문 배열을 통한 가나문자 입력방식은 가나문자의 독특한 특징인 문자행과 문자단의 일정한 규칙과 배열순서를 적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십행과 오단의 규칙성이 있는 가나 문자입력에 대한 어색한 불편함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문자입력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에 편리하고 쉽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문자배열을 갖는 일본어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わ행의 와(わ), 오(を) 2자와, 개별문자인 촉음(っ), 발음(ん), 및 장음(ㅡ)을 각각의 키 버튼에 더 할당하고, 와(わ), 오(を) 2자와, 개별문자인 촉음(っ), 발음(ん), 및 장음(ㅡ) 하나를 단독 입력하여 가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본어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요소는, 자음(か, さ, た, な, は, ま, ら)행과 탁음(が, ざ, だ, ば)행과 반탁음(ぱ)행 각각의 5개(あ, い, う, え, お)단을 문자행 이(い)단의 확장문자인 3자의 요음(Xや, Xゆ, Xよ)을 포함시킨 8개의 확장 문자(あ, い, う, え, お, Xや, Xゆ, Xよ)단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모음부의 8개 문자(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를 상기 자음부를 구성하는 12개 문자(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행의 확장 문자단에 대응하는 아(あ)단, 이(い)단, 우(う)단, 에(え)단, 오(お)단, 야(や)단, 유(ゆ)단, 요(よ)단의 입력요소로 설정하여 자음, 탁음, 반탁음 및 요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개별문자로 할당되며 문자단에 해당하는 모음(あ, い, う, え, お)과 반모음(や, ゆ, よ) 중 하나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모음 또는 반모음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장부호 독점( 。)을 키 버튼에 더 할당하여, 문장부호인 독점( 。)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본어 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컴퓨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본어 입력방법은 소프트웨어에 탑재되어 메모리부(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 및 중앙처리부(10)가 메모리부(4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로드하여 실행한다. 입력부(20)는 가령 키 보드에 대응하고, 표시부(30)와 저장부(50)는 각각 모니터와 하드디스크에 대응한다.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구동 및 응용 프로그램 구동에 관한 것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입력장치로 키보드를 예로 들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か, さ, た, な, は, ま, ら와, 탁음 が, ざ, だ, ば 및 반탁음 ぱ를 대표하는 あ단의 문자와, 제 1 모음 あ, い, う, え, お, 반모음 や, ゆ, よ와, 제 2 모음 わ, を와, 발음(ん), 촉음(っ), 및 장음(ㅡ)을 포함하는 문자가 각각 하나의 키 버튼에 할당된다. 또한,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버튼(쉬프트 키), 일어/영어 변환버튼, 전각/반각 변환버튼, 및 한자변환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장치의 영문 배열(쿼티자판) 중 먼저 자음 か, さ, た, な, は, ま, ら를 알파벳 버튼(A, S, D, F, G, B, V)에 대응하여 배열되도록 한다. 즉, G버튼에 か, F버튼에 さ, D버튼에 た, S버튼에 な, A버튼에 は, B버튼에 ま, V버튼에 ら가 배열된다.
또한, 탁음과 반탁음(が, ざ, だ, ば, ぱ)은 알파벳 버튼(Q, W, E, R, T)에 대응되도록 한다. 즉 T버튼에 가(が), R버튼에 자(ざ), E버튼에 다(だ), W버튼에 바(ば), Q버튼에 파(ぱ)가 배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자음 카, 사, 타, 나, 하, 마, 라(か, さ, た, な, は, ま, ら), 탁음과 반탁음(が, ざ, だ, ば, ぱ)로 이루어진 자음군은 좌측에 배열된 키 버튼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 1 모음(あ, い, う, え, お)은 5개의 알파벳 버튼(U, I, J, K, L)에 대응된다. 즉 U버튼에 아(あ), I버튼에 이(い), J버튼에 우(う), K버튼에 에(え), L버튼에 오(お)가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반모음(や, ゆ, よ)은 3개의 알파벳(Y, H, N)에 대응된다. 즉 Y버튼에 야(や), H버튼에 유(ゆ), N버튼에 요(よ)가 각각 대응되도록 한다. 또한 2개의 제 2 모음(わ, を)은 알파벳 버튼(O, P)에 대응된다. 즉, O버튼에는 와(わ), P버튼에는 오(を)가 각각 배열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제 1 모음(あ, い, う, え, お)과 반모음(や, ゆ, よ)으로 이루어지는 모음군과 제 2 모음(わ, を)은 자음 그룹과의 구별이 명확하게 되도록 우측에 배열된 키 버튼에 집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별문자인 발음(ん)과 촉음(っ)은 알파벳 문자가 할당된 나머지 버튼 중 키보드의 좌측 하단의 Z, X 버튼에 할당된다. 즉, Z버튼에는 발음 응(ん), X버튼에는 촉음 쯔(っ)가 각각 배열된다. 다른 개별문자인 장음(ㅡ)은 모음이 할당되어 배열된 키보드의 우측 하단 M버튼에 배열되도록 한다.
또한, 문장부호인 독점(ㅇ)은 자음이 할당되어 배열된 키보드의 좌측 하단 알파벳 버튼 C 버튼에 배열되도록 한다.
여기서, 키 버튼의 배치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임의적으로 배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일본어 입력장치를 참조하여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본어 입력방법은 두 가지로 운영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 도 5에 나타낸 키 버튼을 하나만 입력하여 가나문자를 화면에 표시하는 직접 입력방식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 직접 입력방식인 경우, 단계 S520에서,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키 버튼을 눌러 입력한다.
반면, 직접 입력방식이 아닌 경우는 단계 S510의 순차(행단) 입력방식으로 진행하여 단계 S530에서 자음군의 자음 하나와 모음군의 모음 하나를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입력과정(단계 S520)과 순차(행단) 입력과정(단계 S530)을 거치면서 가나문자 50음도의 기본문자와 변형문자를 포함하는 일본어 가나문자를 손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직접 입력방식이 적용되는 문자, 즉 입력장치의 키 버튼을 하나 눌러서 직접 입력되는 문자는, 5개의 모음 아, 이, 우, 예, 오(あ, い, う, え, お), 3개의 반모음(や, ゆ, よ), 2개의 제 2 모음(わ, を), 발음(ん), 촉음(っ), 및 장음(ㅡ)을 포함하여 13자이다.
또한, 행단 입력방식으로 입력되는 문자는, 도 3과 4에 도시된 일본어 문자 테이블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총 96자이다.
- 7개의 자음 카, 사, 타, 나, 하, 마, 라(か, さ, た, な, は, ま, ら)의 5개단에 해당하는 자음 35자와,
- 4개의 탁음 가, 자, 타, 바(が, ざ, だ, ば)의 5개단에 해당하는 탁음 20자와,
- 1개의 반탁음 파(ぱ)의 5개단에 해당하는 반탁음 5자와,
- 7개의 자음 카, 사, 타, 나, 하, 마, 라(か, さ, た, な, は, ま, ら)행의 이(い)단의 문자 키, 시, 찌, 니, 히, 미, 리(き, し, ち, に, ひ, む, り)와 4개의 탁음 가, 자, 타, 바(が, ざ, だ, ば)행의 이(い)단의 문자 기, 지, 디, 비(ぎ じ ぢ び)와 1개의 반탁음 파(ぱ)행의 이(い)단의 문자 피(ぴ)에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를 작은 글자로 각각 붙여서 표현하는 요음 36자로 구분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본어 입력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602에서, 자음과 모음이 각각 키 버튼에 할당된다. 단계 S604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순차 입력방식으로 입력될 문자인지를 판단하여, 직접 입력방식으로 입력될 문자이면, 도 7의 입력장치의 키 버튼을 1회 눌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단계 S606).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가 순차 입력방식으로 입력될 문자이면, 도 7의 좌측에 배열되어 있는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에 해당하는 문자행 키 버튼 하나를 먼저 입력한다(단계 S608). 다음에 도 7의 우측에 배열되어 있는 모음 또는 반모음에 해당하는 문자단 키 버튼 하나를 입력하면(단계 S610),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문자행과 문자단에 대응하여 일본어 문자테이블에 표기된 특정 문자 중 하나로 표시장치의 화면으로 출력된다(단계 S612).
문자를 계속해서 입력할지를 판단하여(단계 S614), 계속하여 입력하려면 리턴하고 더 이상 입력하지 않으려면 종료한다.
이하에서는 일본어 입력방법을 실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개별문자(단일 키) 입력방법
먼저, 하나의 키 버튼을 선택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1개의 키 버튼을 눌러서 입력하게 되는 문자는 제 1 모음 아, 이, 우, 예, 오(あ, い, う, え, お) 5자,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 3자, 제 2 모음 와, 오(わ, を) 2자, 그리고 발음과 촉음과 장음이 있다.
여기서, 장음은 2가지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첫 번째 입력방법은 먼저 입력한 선행 문자의 단에 해당하는 모음 아, 이, 우, 예, 오(あ, い, う, え, お)의 키 버튼을 더 눌러서 해당문자의 장음을 입력한다.
두 번째 입력방법은 선행문자를 입력한 다음 영문(M)버튼에 할당된 장음(ㅡ)버튼을 직접 누르는 방법이다.
이때 입력되는 장음은 히라가나 입력의 경우 선행 문자의 단에 해당하는 모음이 입력되어 표기되며 가타카나 입력의 경우 선행 문자 뒤에 장음(ㅡ)이 직접 표기된다.
다음, 2개의 키 버튼을 순차 입력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도 5와 6에서 좌측 세로의 ‘행’에 나열된 문자를 먼저 입력하고 상측 가로의 ‘단’에 나열된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하여 이들이 교차하는 위치에 표시되는 문자를 입력하도록 한다.
자음 입력방법
자음 입력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의 좌측에 배열된 자음 카, 사, 타, 나, 하, 마, 라(か, さ, た, な, は, ま, ら) 중 어느 하나의 키 버튼을 먼저 입력하여 문자행 하나를 선택하고, 도 7의 우측에 배열된 단에 해당하는 모음 아, 이, 우, 예, 오(あ, い, う, え, お) 중 어느 하나의 키 버튼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카(か)행의 문자 카, 키, 쿠, 케, 코(か, き, く, け, こ)를 각각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카(か) 행의 영문(G)버튼에 할당된 자음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눌러 카(か)행을 입력한 다음, 단에 해당하는 영문(U)버튼에 표기된 모음 아(あ)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카(か)가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키(き)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G)버튼에 할당된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D)버튼에 표기된 이(い)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키(き)가 입력되고, 영문(G)버튼에 할당된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J)버튼에 할당 표기된 우(う)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쿠(く)가 입력되고, 영문(G)버튼에 할당된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K)버튼에 할당 표기된 에(え)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게(け)가 입력되며, 영문(G)버튼에 할당된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L)버튼에 할당 표기된 오(ぉ)단의 버튼을 누르면 코(こ)가 입력된다.
탁음/반탁음 입력방법
탁음 및 반탁음 입력방법은 상기 자음 입력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탁음 가, 자, 타, 바(が, ざ, だ, ば) 또는 반탁음 파(ぱ)행 키 버튼을 먼저 입력한 다음 모음 아, 이, 우, 예, 오(あ, い, う, え, お) 중 해당하는 키 버튼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탁음 자(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행의 키 버튼을 눌러 자(ざ)를 선택한 다음 영문(U)버튼에 표기된 모음 아(あ)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탁음 자(ざ)가 입력된다. 탁음 지(じ)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행의 키 버튼을 눌러 자(ざ)를 선택한 다음 영문(L)버튼에 표기된 모음 이(い)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탁음 지(じ)가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탁음 주(ず)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행의 키 버튼을 눌러 자(ざ)를 선택한 다음 모음 우(う)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탁음 주(ず)가 입력되고, 탁음 제(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행의 키 버튼을 눌러 자(ざ)를 선택한 다음 모음 에(え)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탁음 제(ぜ)가 입력되며, 탁음 조(ぞ)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행의 키 버튼을 눌러 자(ざ)를 선택한 다음 모음 오(お)단의 키 버튼을 누르면 탁음 조(ぞ)가 입력된다.
나머지 탁음 입력방법 또한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탁음 키 버튼 어느 하나를 먼저 선택하여 누르고 모음 키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하여 누르면 탁음 문자가 입력된다.
요음 입력방법
끝으로 요음 입력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요음을 제 1 요음, 제 2 요음, 제 3 요음으로 구분하였다.
제 1 요음은, 7개 자음 카, 사, 타, 나, 하, 마, 라(か, さ, た, な, は, ま, ら)행의 이(い)단의 문자 키, 시, 찌, 니, 히, 미, 리(き, し, ち, に, ひ, む, り)에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를 작은 글자로 각각 붙여서 표현하는 21자가 있고, 제 2 요음은, 4개의 탁음 가, 자, 다, 바(が, ざ, だ, ば)행의 이(い)단의 문자 기, 지, 디, 비(ぎ じ ぢ び)에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를 작은 글자로 각각 붙여서 표현하는 12자가 있으며, 제 3 요음은, 1개의 반탁음 파(ぱ)행의 이(い)단의 문자 피(ぴ)에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를 작은 글자로 각각 붙여서 표현하는 3자가 있다.
키 버튼에 배열된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행 키 버튼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입력하고, 키 버튼에 각각 하나씩 할당된 반모음의 키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순차 입력하여 36자의 요음을 입력할 수 있다.
제 1 요음 입력방법을 보면, 자음 카, 사, 타, 나, 하, 마, 라(か, さ, た, な, は, ま, ら)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고,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 중 어느 하나 입력하면 제 1 요음 문자 하나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영문(G)버튼에 할당된 자음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눌러 카(か)행을 입력한 다음, 단에 해당하는 영문(Y)버튼에 표기된 반모음 야(や)의 키 버튼을 누르면 캬(きゃ)가 입력되고 영문(G)버튼에 할당된 자음 카(か)가 표기된 버튼을 누르고 영문(H)버튼에 표기된 반모음 유(ゅ)의 키 버튼을 누르면 큐(きゅ)가 입력되며, 영문(G)버튼에 할당된 자음 카(か)행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N)버튼에 반모음 요(ょ)의 키 버튼을 누르면 쿄(きょ)가 입력된다.
제 2 요음 입력방법을 보면, 탁음 가, 자, 타, 바(が, ざ, だ, 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입력하고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제 2 요음 문자 하나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Y)버튼에 할당된 반모음 야(や)의 키 버튼을 누르면 쟈(じゃ)가 입력되고,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H)버튼에 할당된 반모음 유(ゅ)의 키 버튼을 누르면 쥬(じゅ)가 입력되며, 영문(R)버튼에 할당된 탁음 자(ざ)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N)버튼에 할당된 반모음 요(ょ)의 키 버튼을 누르면 죠(じょ)가 입력된다.
또한, 제 3 요음 입력방법에 따르면, 반탁음 파(ぱ)를 먼저 입력하고 반모음 야, 유, 요(や, ゆ, よ)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제 3 요음의 문자 하나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영문(Q)버튼에 할당된 반탁음 파(ぱ)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Y)버튼에 할당된 반모음 야(ゃ)의 키 버튼을 누르면 퍄(ぱゃ)가 입력되고, 영문(Q)버튼에 할당된 반탁음 파(ぱ)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H)버튼에 할당된 반모음 유(ゅ)의 키 버튼을 누르면 퓨(ぱゅ)가 입력되며, 영문(Q)버튼에 할당된 반탁음 파(ぱ)의 키 버튼을 누르고 영문(N)버튼에 할당된 반모음 요(ょ)의 키 버튼을 누르면 표(ぱょ)가 입력된다.
한편, 문장부호 독음(ㅇ)을 영문(C)버튼에 할당하고 영문(C)버튼을 누르면 독음(ㅇ)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쉬프트 버튼은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변환 기능을 수행하도록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과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
또한, 쉬프트 키 버튼, 탁점 키 버튼 등이 불필요하고, 불필요한 키 버튼들의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일본어를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 자음(か, さ, た, な, は, ま, ら)행, 탁음(が, ざ, だ, ば)행 및 반탁음(ぱ)행의 대표문자를 각각 키 버튼에 할당하여 자음(か, さ, た, な, は, ま, ら, が, ざ, だ, ば, ぱ)부를 구성하고, 아(あ)행의 모음(あ, い, う, え, お)과 야(や)행의 반모음(や, ゆ, よ)을 각각 개별문자로 키 버튼에 할당하여 모음(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부를 구성하고,상기 자음부의 자음 키 버튼과 상기 모음부의 모음 키 버튼을 순차 입력하여 가나 문자를 입력하거나, 상기 모음부의 모음 키 버튼만을 입력하여 가나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자음부 각각은 요음(Xや, Xゆ, Xよ)을 포함하는 8(あ, い, う, え, お, Xや, Xゆ, Xよ)단의 문자 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문자 단을 상기 모음부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や)단, (ゆ)단, (よ)단의 입력요소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1) 상기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고, 상기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순차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고,2) 상기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고, 상기 반모음 중 어느 하나를 순차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요음이 입력되며,3) 상기 모음 또는 상기 반모음 중 버튼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반모음 중 하나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わ행의 문자 와(わ) 및 오(を)와, 개별문자인 촉음(っ), 발음(ん) 및 장음(ㅡ)을 각각 키 버튼에 더 할당하여 와(わ), 오(を), 촉음(っ), 발음(ん) 및 장음(ㅡ)을 각각 입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문장부호 독점( 。)을 키 버튼에 더 할당하여, 문장부호인 독점( 。)을 입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본어 입력방법.
- 일본어를 입력하는 컴퓨터 입력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그램 기록매체로서,상기 입력 처리는,자음(か, さ, た, な, は, ま, ら)행, 탁음(が, ざ, だ, ば)행 및 반탁음(ぱ)행의 대표문자를 각각 키 버튼에 할당하여 자음부를 구성하고, 아(あ)행의 모음(あ, い, う, え, お)과 야(や)행의 반모음(や, ゆ, よ)을 각각 개별문자로 키 버튼에 할당하여 모음부를 구성하며, わ행의 문자 와(わ) 및 오(を)와, 개별문자인 촉음(っ), 발음(ん) 및 장음(ㅡ)을 각각 키 버튼에 할당하는 단계;상기 자음부 각각은 요음(Xや, Xゆ, Xよ)을 포함하는 8(あ, い, う, え, お, Xや, Xゆ, Xよ)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음부 각각은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や)단, (ゆ)단, (よ)단에 대응하도록 하는 단계; 및1) 상기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고, 상기 모음 중 어느 하나를 순차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단계,2) 상기 자음, 탁음, 또는 반탁음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고, 상기 반모음 중 어느 하나를 순차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요음이 입력되는 단계,3) 상기 모음 또는 상기 반모음 중 버튼 하나를 입력함으로써 그에 대응하여 모음 또는 반모음 중 하나가 입력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기록매체.
- 정보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일본어 입력방법으로서,청음 10(あ, か, さ, た, な, は, ま, や, ら, わ)행 중에서 모음계열의 아, 야, 와(あ, や, わ)행에 포함된 문자를 각각의 키 버튼에 개별문자로 할당하여 모음(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 わ, を)부를 구성하는 단계:상기 10행 중 모음계열의 아, 야, 와(あ, や, わ)행을 제외한 자음(か, さ, た, な, は, ま, ら)행과 탁음 및 반탁음(が, ざ, だ, ば, ぱ)행의 대표문자를 각 키 버튼에 할당하여 자음(か, さ, た, な, は, ま,が, ざ, だ, ば, ぱ)부를 구성하는 단계;발음 촉음 장음(ん, つ, ㅡ)을 개별문자로 각 키 버튼에 할당하는 단계;상기 자음(か, さ, た, な, は, ま, が, ざ, だ, ば, ぱ)부의 문자행 각각을 요음(Xや, Xゆ, Xよ)을 포함하는 문자(あ, い, う, え, お, Xや, Xゆ, Xよ)단으로 구성하는 단계;상기 자음부의 8개 문자(あ, い, う, え, お, Xや, Xゆ, Xよ)단을 모음(あ, い, う, え, お,や, ゆ, よ, わ, を)부의 문자 중에서 모음과 반모음(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의 8개 모음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문자단의 입력요소를 구성하는 단계;상기 자음부의 문자행 키 버튼 어느 하나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입력한 문자의 あ, い, う, え, お, Xや, Xゆ, Xよ단이 선택되며, 상기 모음부의 문자(あ, い, う, え, お, や, ゆ, よ)단 키 버튼 어느 하나를 순차 입력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문자행의 문자단에 해당하는 특정 문자 하나가 입력되는 단계;상기 모음(あ, い, う, え, お,や, ゆ, よ, わ, を)부의 키 버튼 어느 하나를 단독 입력함에 따라 모음부의 특정 문자 하나가 입력되는 단계; 및상기 개별문자(ん, つ, ㅡ)키 버튼 하나를 입력함에 따라 개별문자(ん, つ, ㅡ) 하나가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에서의 일본어 입력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251A KR100893374B1 (ko) | 2007-05-23 | 2007-05-23 | 일본어 입력 방법 |
JP2008134934A JP2008293498A (ja) | 2007-05-23 | 2008-05-23 | 日本語入力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251A KR100893374B1 (ko) | 2007-05-23 | 2007-05-23 | 일본어 입력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3223A KR20080103223A (ko) | 2008-11-27 |
KR100893374B1 true KR100893374B1 (ko) | 2009-04-17 |
Family
ID=4016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0251A KR100893374B1 (ko) | 2007-05-23 | 2007-05-23 | 일본어 입력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8293498A (ko) |
KR (1) | KR1008933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370B1 (ko) | 2011-02-10 | 2013-08-05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맞춤형 모바일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216840B1 (ko) * | 2012-04-04 | 2013-01-09 | 허우영 |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
JP6074332B2 (ja) * | 2013-07-12 | 2017-02-01 | ペク、ヒョン−チョン | コンピュータ・電子辞書・スマートホンキーボードの日本語文字配列 |
KR102459508B1 (ko) * | 2021-11-01 | 2022-10-28 | 이종헌 |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94837A (ko) | 1973-12-22 | 1975-07-28 | ||
JPH08137594A (ja) * | 1994-11-14 | 1996-05-31 | Shiyuule Syst:Kk | キーボード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1706A (ja) * | 1992-02-27 | 1993-09-21 | Yoshifumi Nakamura | アルファベット表示ワープロ・電子手帳等キーボード配列 |
JP2002215303A (ja) * | 2001-01-15 | 2002-08-02 | Michiro Kozutsumi | 日本語の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又は情報機器 |
JP3950132B2 (ja) * | 2004-08-03 | 2007-07-25 | 芳和 横田 | 携帯用電子機器 |
JP3965413B2 (ja) * | 2005-06-28 | 2007-08-29 | 信夫 中野 | 片手操作の文字入力機器 |
-
2007
- 2007-05-23 KR KR1020070050251A patent/KR1008933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5-23 JP JP2008134934A patent/JP2008293498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94837A (ko) | 1973-12-22 | 1975-07-28 | ||
JPH08137594A (ja) * | 1994-11-14 | 1996-05-31 | Shiyuule Syst:Kk | キーボー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103223A (ko) | 2008-11-27 |
JP2008293498A (ja) | 2008-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1115584A (ja) |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 |
KR100893374B1 (ko) | 일본어 입력 방법 | |
KR20030049443A (ko) |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
WO2001004737A1 (fr) | Dispositif de saisie de caracteres portatif | |
KR100388301B1 (ko) |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 |
KR101216840B1 (ko) | 일본어 자판 및 일본어 입력 시스템 | |
KR100683338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 |
KR100362747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 |
JP3259619B2 (ja) | 仮名入力装置 | |
KR101140767B1 (ko) |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 |
JPH08179868A (ja) | キー入力装置 | |
KR100450587B1 (ko) | 문자데이터 입력장치 | |
KR100577675B1 (ko) | 한글 키패드 | |
JPH0721797B2 (ja) | 中国語入力装置 | |
JP2666590B2 (ja) | イ語文字入力装置 | |
KR20090100509A (ko) | 일본어 입력장치 및 방법 | |
KR100768696B1 (ko) |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 |
KR101053934B1 (ko) |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 |
KR100914884B1 (ko) |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휴대용 통신 단말기 | |
JP2649139B2 (ja) | ローマ字入力用のキーボード | |
KR200212381Y1 (ko) | 정음 한글 입력장치 | |
JPH08179869A (ja) | キー入力装置 | |
JPH08179865A (ja) | キー入力装置 | |
KR20090117864A (ko) |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본어 문자 입력 키패드와 그 입력방법 | |
KR20120056581A (ko) |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한 베트남어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9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