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477A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477A
KR20160143477A KR1020150147552A KR20150147552A KR20160143477A KR 20160143477 A KR20160143477 A KR 20160143477A KR 1020150147552 A KR1020150147552 A KR 1020150147552A KR 20150147552 A KR20150147552 A KR 20150147552A KR 20160143477 A KR20160143477 A KR 2016014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segment members
bent
members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014B1 (ko
Inventor
서호성
박진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74,28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85364B2/en
Publication of KR2016014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Abstract

개시된 전자 기기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와,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와,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몸체가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과,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전환가능한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다. 전자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전자 기기에서는 두 개의 몸체가 접철 구조에 의하여 연결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철 구조의 전자 기기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근래에 들어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 및 펼쳐진 상태로 전환가능하여 인체, 예를 들어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형 전자 기기 또는 거치형 전자 기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곡률로 구부러질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상기 몸체가 상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로킹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1단부분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타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2단부 분절부재쪽으로 연장된 와이어; 상기 제2단부 분절부재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풀리에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풀리에 마련되는 다수의 걸림부; 상기 다수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를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다수의 걸림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를 갖는 걸림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풀리가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걸림 레버에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몸체가 펼쳐진 상태인 때에 초기 변형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절 부재는 폭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큰 제1분절부재와, 상기 제1분절부재의 양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 제3분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분절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분절부재에 지지되는 제1 내지 제3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밴드; 상기 제1, 제2밴드를 연결하는 버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 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마련된 분절 수용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구부러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몸체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몸체가 접힐 때에 분절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X-X' 단면도이다.
도 8은 분절부재의 일 예로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하부커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9d는 몸체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10은 복귀 스프링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은 로킹유닛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몸체의 다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치 형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배치 형태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9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1)와, 몸체(1)의 상면에 지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를 구비한다. 전자 기기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 또는 착용이 가능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거치형 전자 기기일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의 외측에 배치되는 투명 보호 패널(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터치 패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2)은 투명 보호 패널(23)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다양한 광학 패널 또는 광학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몸체(1)에는 전자 기기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입출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제어부는 영상/음향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제어부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는 영상/음향 입출력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통합된 터치 패널(22)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데, 이때 몸체(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내측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를 지지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환형으로 구부러진다. 환형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전자 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예를 들어 손목, 팔목 등에 착용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자전거의 핸들, 유모차의 핸들, 쇼핑 카트의 핸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몸체(1)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몸체(1)는 펼쳐진 상태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로의 전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되는 몸체(1)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몸체(1)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가 길이 방향(L), 즉 몸체(1)가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배열된다.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다수의 연결부재(320)에 의하여 순차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의 분절부재(310)는 상단부(311)와 하단부(312)를 구비한다. 상단부(311)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지지된다. 상단부(311)와 하단부(312)는 각각 구부러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몸체(1)의 외측과 내측을 의미한다. 상단부(311)의 길이는 하단부(312)의 길이보다 짧다. 분절부재(310)는 상단부(311)와 하단부(312)를 연결하는 제1측단부(314)와 제2측단부(315)를 구비한다. 제1측단부(314)는 인접하는 다른 분절부재(310)의 제2측단부(315)와 대향된다. 제1측단부(314)는 인접하는 다른 분절부재(310)의 제2측단부(315)와 쐐기 모양을 형성한다.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1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를 지지하는 지지면(319)을 형성한다.
각각의 연결부재(320)는 대응되는 분절부재(기준 분절부재)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쪽에 위치되는 두 개의 분절부재(회동 분절부재)를 기준 분절부재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한다. 이를 위하여, 기준 분절부재와 두 회동 분절부재에는 연결핀(313)이 마련된다. 연결부재(320)에는 기준 분절부재의 연결핀(313)이 삽입되는 중심홀(323)이 마련되며, 중심홀(323)의 양측에는 두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313)들이 삽입되는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이 마련된다.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은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기준 분절부재의 양쪽에 위치되는 두 회동 분절부재의 하단부(312)가 기준 분절부재의 하단부(312)에 대하여 접근/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두 회동 분절부재를 안내한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320-2)는 대응되는 기준 분절부재(310-2)를 기준으로 하여 그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310-1)(310-3)를 기준 분절부재(310-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게 연결한다. 연결부재(320-2)의 중심홀(323)에는 기준 분절부재(310-2)의 연결핀(313)이 삽입된다. 연결부재(320-2)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는 각각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삽입된다. 제1가이드 슬롯(321)은 펼쳐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1단부(321a)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2단부(321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2가이드 슬롯(322)은 펼쳐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1단부(322a)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2단부(322b)를 구비한다.
몸체(1)가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지면(319)에 지지된다. 몸체(1)가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두께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중립선(neutral line)(도 4: 25)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은 그 중심이 중립선(25) 상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일 수 있다.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때의 중립선(25)의 길이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중립선(25)의 길이보다 길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인장력이 가해져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손상될 수 있다. 반대로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때에 지지면(319)의 길이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지지면(319)의 길이보다 짧아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지지면(319)으로부터 들뜨게 되며 불균일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준 분절부재(310-2)를 기준으로 할 때에, 대응되는 연결부재(320-2)의 제1가이드 슬롯(321)은 중심이 분절부재(310-1)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 또는 분절부재(310-2)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에 위치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분절부재(310-1)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분절부재(310-2)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은 한 점에서 만나고, 연결부재(320-2)의 제1가이드 슬롯(321)은 이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320-2)의 제2가이드 슬롯(322)은 중심이 분절부재(310-2)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 또는 분절부재(310-3)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과의 교점에 위치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분절부재(310-2)의 제2측단부(315)의 연장선과 분절부재(310-3)의 제1측단부(314)의 연장선과 중립선(25)은 한 점에서 만나고, 연결부재(320-2)의 제2가이드 슬롯(322)은 이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경로를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몸체(1)가 구부러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중립선(25)의 길이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1)(310-n)에는 각각 하나씩의 인접되는 분절부재(310-2)(310-n-1)만이 존재하므로, 대응되는 연결부재(320-1)(310-n)는 각각 제2가이드 슬롯(322)과 제1가이드 슬롯(321)만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조에 있어서 부품의 종류를 줄이기 위하여 연결부재(320-1 ~ 320-7)를 모두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320-1)의 제2가이드 슬롯(322)과 분절부재(310-2)의 연결핀(313)만 연결하고, 연결부재(320-n)의 제1가이드 슬롯(321)과 분절부재(310-n-1)의 연결핀(313)만 연결하면 된다.
도 4에서는 연결부재(320-1 ~ 320-n)가 겹쳐져서 표시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20-1 ~ 320-n)는 몸체(1)의 폭방향(W)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전자 기기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각각 연결부재(320-2)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1단부(321a)(322a), 즉 중심홀(323)로부터 먼 단부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1)에 접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구부리려는 힘이 작용되더라도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1단부(321a)(322a)에 구속되어 있으므로, 몸체(1)는 구부러지지 않는다.
몸체(1)에 접힘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외력이 작용되면, 분절부재(310-1 ~ 310-n)는 세 개씩 쌍을 이루어 가운데에 위치되는 기준 분절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회동 분절부재가 기준 분절부재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회동된다. 이때, 양측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회동 분절부재의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 의하여 안내된다.
도 5는 몸체(1)가 접힐 때에 분절부재(310-1 ~ 310-3)와 연결부재(320-2)의 연결관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분절부재(310-2)의 양쪽에 위치되는 회동 분절부재(310-1)(310-3)는 연결부재(320-2)에 마련된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회동된다.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회동은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2단부(321b)(322b)에 도달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회동 분절부재(310-1)(310-3)의 연결핀(313)이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의 제2단부(321b)(322b)에 도달되면, 회동 분절부재(310-1)(310-3)는 더이상 회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다수의 분절부재(310) 각각이 그 양측의 회동 분절부재의 회동의 기준이 되는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는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분절부재(310-1)가 기준 분절부재로 기능하는 경우에 인접한 분절부재(310-2)는 연결부재(320-1)의 제2가이드 슬롯(322)에 의하여 원호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되며, 분절부재(310-3)가 기준 분절부재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양쪽에 위치되는 분절부재(310-2)(310-4)가 연결부재(320-3)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에 의하여 원호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안내된다.
본 실시예의 몸체(1)에 따르면, 분절부재(310-1 ~ 310-n) 각각이 기준 분절부재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분절부재(310-1 ~ 310-n)는 상호 구속되어 순차로 대응되는 연결부재(320)의 제1, 제2가이드 슬롯(321)(322)을 따라 순차로 회동된다. 따라서,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다수의 분절부재(310)의 상단부(311)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지면(319)이 균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X-X'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몸체(1)와, 몸체(1)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 및 몸체(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3)을 포함한다. 도 6에서는 몸체(1)의 폭방향(W)으로 배열된 3개의 복귀 스프링(3)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두 개 이하 또는 4개 이상의 복귀 스프링(3)이 몸체(1)의 폭방향(W)으로 배열될 수 있다.
몸체(1)는 다수의 상부커버(100)와 이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하부커버(200)를 구비한다. 다수의 상부커버(100)와 다수의 하부커버(200)는 상호 결합되어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부커버(100-1 ~100-n)와 하부커버(200-1 ~ 200-n)가 상호 결합되는 도 4에 도시된 분절부재(310-1 ~ 310-n)를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커버(200)의 양측벽(20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핀(202)이 마련된다. 상부커버(100)에는 돌출핀(202)을 수용하는 오목부(101)가 마련된다. 하부커버(200)의 양측벽(201)을 외측으로 약간 벌리면서 돌출핀(202)을 오목부(101)에 밀어넣음으로써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의 결합방법은 일 예이며, 이에 의하여 본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은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는 일 예로서 분절부재(310-2)(310-3)(310-4)에 대응되는 상부커버(100-2)(100-3)(100-4)와 하부커버(200-2)(200-3)(200-4)가 도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커버(100-2)(100-3)(100-4)의 상단부(111)는 분절부재(310-2)(310-3)(310-4)의 상단부(311)에 대응된다. 하부커버(200-2)(200-3)(200-4)의 하단부(210)은 분절부재(310-2)(310-3)(310-4)의 하단부(312)에 대응된다. 또, 하부커버(200-2)(200-3)(200-4)의 제1, 제2측단부(211)(212)는 각각 분절부재(310-2)(310-3)(310-4)의 제1, 제2측단부(314)(315)에 대응된다.
연결부재(320-2)(320-3)(320-4)가 연결핀(313)에 의하여 상부커버(100-2)(100-3)(100-4)에 결합됨으로써 상호 회동가능한 분절부재(310-2)(310-3)(310-4)가 형성된다. 상부커버(100-2)(100-3)(100-4)에는 연결핀(313)이 삽입되는 삽입구(112)가 마련된다. 상부커버(100-2)(100-3)(100-4)에 대응되는 연결부재(320-2)(320-3)(320-4)가 각각 상부커버(100-2)(100-3)(100-4)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핀(313)을 삽입구(112)에 삽입함으로써 상부커버(100-2)(100-3)(100-4)와 연결부재(320-2)(320-3)(320-4)가 서로 결합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연결핀(313)이 삽입구(112)에 깊숙히 삽입됨으로써 측벽(103)과 연결핀(313)의 단부와의 사이의 삽입부(112)의 공간이 하부커버(200)의 삽입돌기(202)를 수용하는 오목부(10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부커버(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분절부재(310-1 ~ 310-n)는 몸체(1)가 펼쳐진 상태 및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전자 기기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절부재(310-1 ~ 310-n)는 길이방향(L)으로 일측에 위치되는 분절부재의 길이방향(L)의 일부(도 9a 내지 도 9d의 연장부(232))를 그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는 구조(도 9a 내지 도 9d의 몰입부(234))를 가진다. 일 예로서, 분절부재(310)를 형성하는 하부커버(200)에 전술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a는 하부커버(2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몸체(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9d는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도 9a의 Y-Y'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하부커버(200-1 ~ 200-n) 각각은 그 외표면(231)으로부터 내측으로 단차지고 길이방향(L)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하부커버와 중첩되도록 연장된 연장부(232)를 구비한다. 연장부(232)는 예를 들어 하부커버(200-1 ~ 200-n) 각각의 제2측단부(315)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하부 커버의 제1측단부(314)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 하부커버(200-1 ~ 200-n) 각각은 길이방향(L)으로 연장부(232)의 반대쪽, 즉 제1측단부(314) 쪽에 내표면(233)으로부터 몰입되게 형성되어, 길이방향(L)의 타측에 위치된 다른 하부커버의 연장부(232)가 수용되는 몰입부(234)가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인접하는 두 하부커버 사이의 틈새가 연장부(232)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다.
하부커버(200-1 ~ 200-n)의 연장부(232)와 인접하는 다른 하부커버(200-1 ~ 200-n)의 몰입부(234)는 펼쳐진 상태 및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길이방향(L)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9c에는 3개의 하부커버(200-2)(200-3)(200-4)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커버(200-2)(200-3)의 연장부(232)는 하부커버(200-3)(200-4)의 몰입부(234)에 위치된다. 몸체(1)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연장부(232)와 몰입부(234)의 겹침 길이는 D1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하부커버(200-2)(200-3)의 연장부(232)는 하부커버(200-3)(200-4)의 몰입부(234) 내에 위치되고, 그 겹침 길이는 D2로서 D1보다 크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연장부(232)의 적어도 일부는 몰입부(234) 내에 위치되므로, 인접하는 하부커버(200)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 기기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 기기의 외관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의 내부 혼입으로 인한 고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복귀 스프링(3)은 몸체(1)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복귀 스프링(3)은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00)에는 복귀 스프링(3)이 통과되는 관통 슬롯(102)이 마련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3)은 다수의 상부커버(100)의 관통 슬롯(102)을 통과한다. 몸체(1)가 펼쳐질 때와 환형으로 접힐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중립선(25)의 길이는 변하지 않지만, 중립선(25)을 기준으로 하여 몸체(1)의 내측 및 외측의 길이는 변한다. 그러므로, 복귀 스프링(3)의 일단부(31)와 타단부(32) 중 적어도 하나는 자유단이다. 복귀 스프링(3)은 상부커버(100-1 ~ 100-n)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3)은 몸체(1)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복귀 스프링(3)은 펼쳐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초기 탄성력을 몸체(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복귀 스프링(3)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은 자유 상태, 즉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구부러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진 상태이다. 따라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펼쳐진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3)은 초기 변형량(x1)을 가지며, 이에 의하여 몸체(1)를 펼쳐진 상태에 유지시키는 초기 탄성력이 몸체(1)에 제공될 수 있다.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지면, (c)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도 몸체(1)와 함께 환형으로 구부러진다. 이 상태에서 몸체(1)에는 펼쳐지려는 복귀력이 작용된다.
복귀 스프링(3)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금속 스프링 재료는 외력이 증가됨에 따라 변형량이 증가된다. 변형량이 탄성 임계값을 넘어서면 소성변형되어,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변형량이 "0"이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초탄성 재료는 변형량이 탄성 임계값을 넘어서면 외력이 증가되지 않더라도 변형량이 증가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량은 다시 "0"이 된다. 복귀 스프링(3)을 초탄성 재료로 형성하면, 몸체(1)를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시키는 초기에는 구부러지는 양에 비례하여 구부리는 데에 필요한 힘이 증가되나, 어느 정도 구부리면 거의 동일한 힘으로 완전히 완전히 구부릴 수 있다.
몸체(1)는 구부러진 상태에서 로킹될 수 있다. 몸체(1)는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기기는 로킹유닛을 구비한다. 도 11은 로킹유닛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와이어(490)와, 와이어(490)가 감기는 풀리(410)가 도시되어 있다. 와이어(490)는 다수의 분절부재(310)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부 커부(100)에는 와이어(410)가 통과되는 관통홀(140)에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490)의 일단부는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한 쪽 끝에 위치되는 제1단부 분절부재(310-1), 예를 들어 상부 커버(100-1)에 연결된다. 풀리(410)는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다른 쪽 끝에 위치되는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풀리(410)는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마련된 지지축(480)에 회전될 수 있게 지지된다. 와이어(490)의 타단부는 풀리(410)에 연결된다. 제1탄성부재(420)는 풀리(410)에 와이어(490)를 감아들이는 방향(제1방향(A1))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탄성부재(420)는 예를 들어 일단부가 지지축(48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풀리(410)에 고정된 스파이럴 스프링일 수 있다.
풀리(410)에는 다수의 걸림부(430)가 마련된다. 다수의 걸림부(430)는 예를 들어, 풀리(410)의 외주에 톱니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레버(440)는 다수의 걸림부(430)에 걸리는 로킹 위치(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다수의 걸림부(430)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를 갖는다. 예를 들어, 걸림 레버(440)는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450)는 걸림 레버(440)를 로킹 위치에 유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걸림 레버(440)는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풀리(410)가 와이어(490)가 풀리는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풀리(410)의 와이어(490)를 감아들이는 제1방향(A1)으로의 회전은 허용된다. 이를 위하여, 다수의 걸림부(430)는 예를 들어 풀리(410)의 회전 방향 중 와이어(490)가 풀리는 방향(제2방향(A2))으로 기울어진 톱니 모양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풀리(410)에 제1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되면, 걸림 레버(440)가 걸림부(430)에 의하여 밀려 해제 위치로 전환되어 풀리(410)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걸림부(430)와의 간섭이 종료되면, 걸림 레버(440)는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 위치로 복귀된다.
와이어(49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중립면(25)에 대하여 내측에 위치된다. 몸체(1)가 펼쳐진 상태로부터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되면, 중립면(25)의 길이는 변화가 없지만 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와이어(490)의 길이는 짧아진다. 따라서, 와이어(490)의 초기 길이, 즉 몸체(1)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와이어(490)의 길이와, 구부러진 상태에서 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와이어(490)의 길이와의 차이만큼의 여유길이가 생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리(410)는 제1방향(A1)의 회전은 허용된 상태이고, 또 풀리(410)에는 제1탄성부재(420)에 의하여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몸체(1)가 구부러지면 풀리(410)가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490)를 여유길이만큼 감아들인다. 몸체(1)가 구부러진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몸체(1)에 의하여 점유되는 와이어(490)의 길이가 증가된다. 따라서, 와이어(490)가 풀리(410)로부터 풀려야 한다.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풀리(410)가 와이어(490)가 풀리는 방향, 즉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풀리(41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로킹시킴으로써 몸체(1)를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킬 수 있다.
몸체(1)를 펼치기 위하여는 걸림 레버(440)를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이를 위하여, 몸체(1), 예를 들어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는 해제 버튼(460)이 마련될 수 있다. 해제 버튼(460)을 누르면, 걸림 레버(440)가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해제 위치로 전환되며, 풀리(410)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몸체(1)를 펼쳐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복귀 스프링(3)에 의하여 몸체(1)에는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는 방향의 탄성력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 버튼(460)을 누르면,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몸체(1)가 펼쳐진 상태로 복귀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몸체(1)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 도 12는 몸체(1)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펼쳐진 상태에서 걸림 레버(440)는 제2탄성부재(45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로킹 위치에 유지된다. 몸체(1)는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1)를 구부리면, 와이어(410)에 여유 길이가 생긴다. 제1탄성부재(420)에 의하여 풀리(410)에는 제1방향(A1)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력에 가해진다. 걸림 레버(440)는 걸림부(430)와 간섭되어 로킹 위치로부터 풀리(410)의 제1방향(A1)의 회전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로의 전환을 반복하며, 풀리(410)는 제1방향(A1)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410)를 감아들인다. 몸체(1)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방향의 외력을 제거하면, 몸체(1)에는 복귀 스프링(3)에 의하여 펼쳐지는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된다. 그러나, 걸림 레버(440)가 로킹 위치에 위치되어 걸림부(430)에 걸려 있으므로, 풀리(410)가 제2방향(A2)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몸체(1)는 펼쳐지지 않고 구부러진 상태에 유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몸체(1)를 도 12의 (b), (c), (d), (e),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전자 기기를 펼쳐진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는 예를 들어 해제 버튼(460)을 눌러 걸림 레버(440)를 걸림부(430)로부터 해제된 해제 위치로 전환시킨다. 그러면, 몸체(1)는 복귀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로 복귀된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는 도 12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펼쳐진 상태는 예를 들어 여러 장의 사진의 길이방향(L)으로의 배열, 시간의 경과(timeline)에 따른 정보 표시 등의 사용 형태에 유리하다.
전자 기기는 필요에 따라서 도 12의 (b)~(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는 손목, 팔목, 등 인체에 착용하는 착용형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기기를 도 12의 (d), (e),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위의 굵기에 맞추어 적절한 곡률로 구부려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가 자전거의 핸들, 유모차의 핸들, 쇼핑 카트의 핸들 등에 설치될 때에도, 전자 기기를 도 12의 (d), (e), (f)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위의 굵기에 맞추어 적절한 곡률로 구부려서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에는 전자 기기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의 전자 부품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전자 기기는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되므로, 전자 부품들 역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 환형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1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몸체(1)는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몸체(1)의 내부에는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수용공간(5)이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용 공간(5)은 예를 들어 다수의 분절부재(310) 각각에 마련된 분절 수용부(35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절 수용부(350)은 서로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는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커부(100)의 하면(105)과 하부커버(200)의 상면(205)이 서로 이격되어 분절 수용부(350)를 형성한다.
전자 부품은 예를 들어 제어부(500)와, 배터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다수의 전기회로부(501)(502)(503)(504)를 구비할 수 있다. 다수의 전기회로부(501)(502)(503)(504) 각각은 인쇄회로기판(510)과, 인쇄회로기판(510)에 실장되는 회로소자(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510)의 길이(L1), 회로소자(520)가 실장될 수 있는 실장 영역의 길이(L2)와 두께(h)는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수용공간(5)의 내측 곡률반경(R)과 반경방향의 높이(H)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수의 전기회로부(501)(502)(503)(504)는 유연한 전기연결부재(531)(532)(533)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환형으로 구부러지는 몸체(1) 내부에 제어부(500)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6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은 유연한 전기연결부재(611)(612)(613)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 각각의 길이(L3)와 두께(h2)는 역시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수용공간(5)의 내측 곡률반경(R)과 반경방향의 높이(H)를 감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배터리(600)는 예를 들어 유연한 전기연결부재(614)에 의하여 제어부(500), 예를 들어 전기 회로부(501)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600)의 용량은 대체로 배터리(600)의 크기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배터리 모듈(601)(602)(603)(604)을 유연한 전기연결부재(611)(612)(613)로 연결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환형으로 구부러지는 몸체(1) 내부에 소망하는 용량을 갖는 배터리(600)를 배치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전술한 제어부(500)와 배터리(600) 이외에,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700), 전화 수신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에 통합된 터치 패널(22)의 터치입력여부를 알리기 위한 진동자(800)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피커(700)와 진동자(800)는 도시되지 않은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제어부(500), 예를 들어 전기회로부(504)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가 몸체(1)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배치되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배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몸체(1)를 부분적으로 덮을 수도 있다. 도 14와 도 1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배치 형태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몸체(1)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몸체(1)에 길이방향(L)으로 일측으로 치우치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단부 분절부재(310-1)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몸체(1)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몸체(1)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분절부재(310)의 길이와 폭이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분절부재(310)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와 폭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절부재와 다를 수 있다. 도 16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과 동일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길이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와 동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분절부재(360)를 제외한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제1분절부재(360)를 인체의 착용부위 또는 몸체(1)가 설치되는 자전거 등의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휘어지지 않고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어, 평탄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과 동일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다수의 분절부재(310) 전체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자 기기를 환형으로 구부려 인체에 착용하거나 또는 자전거 등에 설치하였을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 중에서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지지되는 부분(2a)은 평탄하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평면 형태의 화면 표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9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W5)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보다 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길이와 폭은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와 폭과 동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제1분절부재(360)를 제외한 다수의 분절부재(310)는 제1분절부재(360)를 인체의 착용부위 또는 몸체(1)가 설치되는 자전거 등의 설치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휘어지지 않고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어, 평탄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다수의 분절부재(310) 중 가운데에 위치되는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L5)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길다. 제1분절부재(360)의 폭(W5)은 다른 분절부재의 폭보다 크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는 제1 내지 제3소자(2a)(2b)(2c)를 포함한다. 제1소자(2a)는 제1분절부재(360)에 지지되며, 그 길이와 폭은 제1분절부재(360)의 길이와 폭과 동일하다. 제2, 제3소자(2b)(2c)는 각각 제1분절부재(360)의 양쪽에 위치된 다수의 제2분절부재(362) 및 다수의 제3분절부재(363)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몸체(1)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제1소자(4)는 휘어지지 않고 제1분절부재(360)에 의하여 평탄하게 지지될 수 있어, 평탄한 화면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3소자(2b)(2c)를 더 구비함으로써, 표시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제2, 제3소자(2a)(2b)(2c)는 별개의 소자일 수 있으며, 일체형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제2, 제3소자(2a)(2b)(2c)는 각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의 제1, 제2, 제3표시영역(2a)(2b)(2c)이다.
도 21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는 몸체(1)와, 몸체(1)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2)와, 몸체(1)를 착용부 또는 설치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예를 들어, 제1단부 분절부재(310-1)에 연결된 제1밴드(910)와, 제2단부 분절부재(310-n)에 연결된 제2밴드(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밴드(910) 또는 제2밴드(920)의 단부에는 제1, 제2밴드(910)(9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930)이 마련된다. 연결수단(930)은 예를 들어 버클, 등일 수 있다. 제1, 제2밴드(910)(920)는 예를 들어 가죽 밴드, 플라스틱 밴드, 사슬 구조의 금속 밴드 등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밴드(910)(920)를 서로 연결하면, 전자 기기를 인체에 착용하거나 또는 자전거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몸체(1)는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진다.
도 23은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가 환형으로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제2밴드(910)(920)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310-1)(310-n)에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유 상태에서 몸체(1)는 평탄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자 기기를 착용부에 착용하거나 설치부에 설치하면, 제1, 제2밴드(910)(920)가 제1, 제2단부 분절부재(310-1)(310-n)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착용부 또는 설치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몸체(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같이 곡률을 가지도록 구부러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몸체 2...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3...복귀 스프링 100...상부커버
200...하부커버 310...분절부재
320...연결부재 410...풀리
420...제1탄성부재 430...걸림부
440...걸림 레버 450...제2탄성부재
460...해제 버튼 500...제어부
501, 502, 503, 504...전기 회로부 600...배터리
601, 602, 603, 604...배터리 모듈
531, 532, 533, 611, 612, 613, 614...유연한 전기연결부재

Claims (14)

  1. 상호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 다수의 분절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의 회동에 의해 펼쳐진 상태와 구부러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몸체;
    상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몸체가 구부러진 상태일 때 상기 몸체가 상기 펼쳐진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
    상기 몸체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로 로킹시키는 로킹유닛;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1단부분절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중 타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2단부 분절부재쪽으로 연장된 와이어;
    상기 제2단부 분절부재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가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상기 몸체를 상기 다수의 구부러진 상태에 로킹시키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유닛은,
    상기 풀리에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풀리에 마련되는 다수의 걸림부;
    상기 다수의 걸림부에 걸려 상기 풀리의 상기 와이어를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는 로킹위치와, 상기 다수의 걸림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를 갖는 걸림 레버;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풀리가 상기 와이어를 감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은,
    상기 걸림 레버에 상기 해제 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걸림 레버를 상기 해제 위치로 전환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몸체가 펼쳐진 상태인 때에 초기 변형량을 갖는 전자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초탄성 재료로 형성된 전자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 부재는 폭과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분절부재보다 큰 제1분절부재와, 상기 제1분절부재의 양측에 위치되는 다수의 제2, 제3분절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분절부재에 지지되는 전자 기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기 제1 내지 제3분절부재에 지지되는 제1 내지 제3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밴드;
    상기 제1, 제2밴드를 연결하는 버클;을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는 양단부에 위치되는 제1, 제2단부 분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1, 제2분절부재에 각각 연결되고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력 밴드;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전기 회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유연한 전기연결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다수의 분절부재 각각에 마련된 분절 수용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자 기기.
KR1020150147552A 2015-06-05 2015-10-22 전자 기기 KR10248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74,282 US10185364B2 (en) 2015-06-05 2016-03-18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71348P 2015-06-05 2015-06-05
US62/171,348 2015-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77A true KR20160143477A (ko) 2016-12-14
KR102481014B1 KR102481014B1 (ko) 2022-12-23

Family

ID=5757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552A KR102481014B1 (ko) 2015-06-05 2015-10-22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64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형상 유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579A (ja) * 1984-01-18 1985-08-09 Seiko Epson Corp 電子腕時計用バンド
JPH11508997A (ja) * 1995-07-05 1999-08-03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共形電源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99479A1 (en) * 2012-10-10 2014-04-10 Emory Krall Flexible screen backed with rigid ribs
KR20150035232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기기
KR20150037383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579A (ja) * 1984-01-18 1985-08-09 Seiko Epson Corp 電子腕時計用バンド
JPH11508997A (ja) * 1995-07-05 1999-08-03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共形電源
KR20140002243A (ko) * 2012-06-28 2014-0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099479A1 (en) * 2012-10-10 2014-04-10 Emory Krall Flexible screen backed with rigid ribs
KR20150035232A (ko) * 2013-09-27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기기
KR20150037383A (ko) * 2013-09-30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264A (ko) * 2017-09-01 201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형상 유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014B1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5364B2 (en) Electronic device
CN113766771B (zh) 包括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KR102014445B1 (ko) 착용형 기기
US8005521B2 (en) Portable terminal
US10114421B2 (en) Electronic device
JP6622048B2 (ja) 電子機器
US20130032617A1 (en) Cantilevered snap fit case
KR102207039B1 (ko) 액세서리 장치
US20140118899A1 (en) Electronic device and linkage mechanism thereof
US20160327994A1 (en) Sep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534302B1 (ko) 스마트 와치
KR20160143477A (ko) 전자 기기
RU2397617C2 (ru) Корпус портатив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ткрываемый/закрываемый посредством сдвига/поворота (варианты),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для д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узел д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TWI755876B (zh) 資訊終端裝置
KR20070024697A (ko) 이동단말기
JP5109916B2 (ja) 電子機器
CN100490459C (zh) 手机的相机固定装置
JP2003156634A (ja) 光ファイバホルダ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JP2013033795A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20090077394A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조립의 편리성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CN111971640B (zh) 包括无线充电模块和柔性显示器的电子装置
JP2004130061A (ja) 携帯用電子機器保護ケース
US20230115632A1 (en) Folio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with magnetic wireless charger
JP2022163495A (ja) ス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