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359A - 샘플 분리 전사 장치 및 샘플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샘플 분리 전사 장치 및 샘플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359A
KR20160142359A KR1020167030742A KR20167030742A KR20160142359A KR 20160142359 A KR20160142359 A KR 20160142359A KR 1020167030742 A KR1020167030742 A KR 1020167030742A KR 20167030742 A KR20167030742 A KR 20167030742A KR 20160142359 A KR20160142359 A KR 20160142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uffer tank
tank
buffer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찌 고또
히데끼 기노시따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2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39Collecting the separated zones, e.g. blotting to a membrane or punching of gel s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3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01N1/31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47Composition of gel or of carrier mi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 G01N2035/0482Transmission
    • G01N2035/0487Helix or lead scre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08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검체의 분리 및 전사와 그 후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신규의 기술을 제공한다.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그 검체를 버퍼조(30) 내의 배출부(50a)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1)을 배출부(50a)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된 그 검체를 전사막(1)에 전사하는 장치로서, 버퍼조(30)를 충전하는 액체를 교환하는 송액 펌프(11aㆍ11b)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샘플 분리 전사 장치 및 샘플 분석 방법{SAMPLE SEPARATION AND TRANSFER DEVICE AND SAMPLE ANALYSIS METHOD}
본 발명은 전기 영동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검체를 전사막에 전사하고, 그 후의 처리를 행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 게놈 프로젝트의 종료 후, 현재까지, 다양한 질환과 생체 고분자의 관계성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생체 고분자의 하나인 단백질은 생체의 세포, 기관 및 장기의 기능에 직접 관여하고 있고, 아미노산 배열 및 입체 구조의 상이, 당쇄 및 인산화 등의 화학적 수식 등에 따라 많은 질환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 밝혀지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많은 프로테옴 해석이 행해지고 있다. 프로테옴이란, 특정한 세포, 기관 및 장기 중에서 번역 생산되고 있는 단백질 전체를 의미하고 있으며, 그 해석으로서는, 단백질의 프로파일링 및 기능 해석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단백질의 번역 후 생체 내에서 합성된 단백질은 인산화 등의 번역 후 수식에 의해, 단백질의 기능의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고, 단백질의 화학적 수식에 관한 정보의 입수는, 앞으로의 프로테옴 해석에 있어서 중요 사항의 하나로 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백질이 복수 혼재되는 시료를, 고정밀도로 분리 및 검출하는 방법이 중요시되고, 그를 위한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유익한 단백질의 분리 방법으로서는, 겔 전기 영동, 캐피러리 전기 영동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있지만, 그 간이성 및 분리능의 높음으로부터 겔 전기 영동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현재, 단백질의 화학적 수식의 검출에는, 전기 영동 후에 웨스턴 블로팅법을 행하는 방법이 주로 취해지고 있다.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된 단백질의 시료를, 전사(블로팅)라 불리는 방법에 의해 전사막에 흡착시켜 고정화시킨다. 그 후, 전사막에 흡착된 단백질을, 형광 표식이나 방사성 표식한 특정한 항체 또는 프로브와 오버레이하면, 항원 항체 반응에 기초하여 특정한 단백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일련의 흐름을 웨스턴 블로팅이라 한다. 전사막에는, 시료가 결합되기 쉽고, 또한 소수성이 높은 니트로셀룰로오스막 또는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막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전기 영동과 웨스턴 블로팅법의 조합은, 프로테옴 해석에서 매우 유효한 방법이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을 참조).
종래, 전기 영동과 웨스턴 블로팅법은 각각 독립된 장치를 사용하여 연구자의 수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영동 장치에서 등전점 전기 영동 및 SDS-PAGE를 행한 후, 겔을 장치로부터 취출하여 전사 장치로 옮기고, 전사막을 세트하여 전사(블로팅)를 행하여, 전사막에 항체 또는 프로브를 수동으로 오버레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조작에 사용하는 겔은 매우 부드러운 재료로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조작이 번잡해져, 그 작업에는 숙련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들 작업을 자동화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에는, 전기 영동으로부터 블로팅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자동화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영동 및 전사를 동시에 행하기 위한 겔 카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생체 샘플이 전사된 전사체를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234559호 명세서(1993년 8월 10일 특허)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제2011-80842호(2011년 4월 21일 공개)」 일본 공표 특허 공보 「특표평9-501774호(1997년 2월 18일 공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제2011-58968호(2011년 3월 24일 공개)」
단백질 실험 노트(하) : 분리 동정으로부터 기능 해석으로(요도샤, 2005년, 제38∼47항)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검체의 분리 및 전사와 그 후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검체의 분리 및 전사와 그 후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신규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그 검체를 버퍼조 내의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그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된 그 검체를 그 전사막에 전사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로서, 그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를 교환하는 송액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검체의 분리 및 전사와 그 후의 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웨스턴 블로팅 실험을 효율화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노즐의 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구획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노즐의 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양극 버퍼조의 저면의 친수성 및 소수성 영역의 위치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 및 3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양극 버퍼조의 저면에 형성된 홈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승강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실시 형태 1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노즐의 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구획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그 검체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그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된 그 검체를 그 전사막에 전사한 후, 펌프를 사용하여 양극 버퍼조 내의 용액을 교체하고, 그 후의 처리, 즉, 세정, 블로킹, 항체 반응 및 검출 반응(발색 또는 발광 등)을 행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로서, 펌프(송액 펌프)(11aㆍ11b), 탱크(12a∼12f), 튜브(13a∼13h), 노즐(14aㆍ14b), 프레임(20), 캐리어(아암부)(23), 양극 버퍼조(버퍼조)(30), 테이블(31), 펠티에 소자(34), 음극 버퍼조(40), 분리부(50), 모터(구동부)(62), 볼 나사(구동부)(63), 가이드 샤프트(구동부)(64), 샤프트 홀더(구동부)(65), 가이드 폴(아암부)(66), 및 제어부(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안전을 위해, 동작 시에 전체를 덮는 덮개를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분리부(50)는 분리 겔(분리 매체)(52)을 수납하고 있고, 양극 버퍼조(30) 내에 개구되는 제1 개구(배출부)(50a) 및 음극 버퍼조(40) 내에 개구되는 제2 개구(50b)를 갖고 있다. 또한, 양극 버퍼조(30) 내에는, 전사막(1)이 제1 개구(50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극 버퍼조(30) 내에는 양극(32)이 배치되어 있고, 음극 버퍼조(40) 내에는 음극(41)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서는, 음극 버퍼조(40) 및 양극 버퍼조(30)에 완충액을 채움으로써, 음극 버퍼조(40) 내의 음극(41)과 양극 버퍼조(30) 내의 양극(32)이 2개의 조에 있어서의 완충액, 분리 겔(52) 및 전사막(1)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는 음극(41)과 양극(32)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2 개구(50b)로부터 도입된 샘플을 분리 겔(52)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된 각 성분을 제1 개구(50a)로부터 배출시켜 전사막(1)에 흡착시키는 장치이다.
이하에, 주요한 각 부재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양극 및 음극)
양극(32)은 양극 버퍼조(3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음극(41)은 음극 버퍼조(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양극(32) 및 음극(41)은 금속 등의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양극(32) 및 음극(41)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전극의 이온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백금이 바람직하다.
이들 전극 배치에 관해서는, 양극(32)은 양극 버퍼조(3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음극(41)은 음극 버퍼조(40) 내에 음극 버퍼에 잠기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음극(41), 제1 개구(50a) 및 양극(32)이 대략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배치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막(1)이 배치되면, 제1 개구(50a)를 통과하는 전기력선은 전사막(1)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되기 때문에, 샘플의 흡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32)은 전사막(1)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양극(32)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포가, 전사막(1)에 대한 분리 성분의 흡착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극(32) 및 음극(41)은 예를 들어 제어부(68)에 접속하여 사용해도 되고, 외부의 파워 서플라이(직류 전원 장치)에 접속하여 사용해도 된다. 외부의 파워 서플라이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파워 서플라이에 시간, 전류 및 전압을 세트한 후, 파워 서플라이의 동작 개시와 동시에, 제어부(68)를 조작하여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를 동작 개시시키면 된다.
(양극 버퍼조 및 음극 버퍼조)
양극 버퍼조(30) 및 음극 버퍼조(40)는 완충액(버퍼)을 체류시키는 절연성의 용기이다. 음극 버퍼조(40)는 양극 버퍼조(30)에 대하여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양극 버퍼조(30)는 테이블(31) 상에 고정되어 있고, 음극 버퍼조(40)는 양극 버퍼조(30)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양극 버퍼조(30) 및 음극 버퍼조(40)에 넣는 완충액은, 도전성을 갖는 각종 완충액일 수 있고, 특히 약산성∼약염기성에 완충 영역을 갖는 완충액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완충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Tris/글리신계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 용액, 탄산나트륨계 완충액, CAPS 완충액, Tris/붕산/EDTA 완충액, Tris/아세트산/EDTA 완충액, MOPS, 인산 완충액, Tris/트리신계 완충액 등의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양극 버퍼조(30)는 저면에 구획판(33)을 수납하고 있다. 구획판(33)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33)이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으로부터 양극 버퍼조(30) 내로 돌출됨으로써, 양극 버퍼조(30)가 2개의 영역(제1 영역(35) 및 제2 영역(36))으로 구획된다. 제1 영역(35)은 음극 버퍼조(40)가 구비되어 있는 측의 공간이다. 제2 영역(36)은 음극 버퍼조(4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측의 공간이다. 구획판(33)은 수밀이며, 제2 영역(36)에 넣어진 액체는, 제1 영역(35)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제2 영역(36)은 프레임(20)이 수용되는 데에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사 후의 처리 공정을 제2 영역(36)에서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사 후의 처리 공정을 최소한의 액량으로 효율적으로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35)은 전기 영동 및 전사를 행하는 영역, 제2 영역(36)은 전사 후의 처리를 행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양극 버퍼조(30) 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36)의 내측면에 노즐(14aㆍ14b)이 구비되어 있다. 노즐(14a)의 일단(개구부(15a))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대하여 5㎜∼50㎜ 정도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다. 노즐(14a)은 양극 버퍼조(30)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노즐(14a)의 타단(접속부(16a))은 양극 버퍼조(30) 밖에서, 튜브(13a)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노즐(14b)의 일단(개구부(15b))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대하여 5㎜∼50㎜ 정도 이격되어 대향하고 있다. 노즐(14b)은 양극 버퍼조(30) 밖으로 연장되어 있고, 노즐(14b)의 타단(접속부(16b))은 양극 버퍼조(30) 밖에서, 튜브(13b)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즐(14aㆍ14b) 중 한쪽을 배출용, 다른 쪽을 주입용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양극 버퍼조(30)를 충전하는 액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노즐(14aㆍ14b)은, 전사 시의 전사막(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극 버퍼조(30)의 단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14aㆍ14b)은, 양극 버퍼조(30) 밖으로 그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사막(1)의 이동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어, 각 공정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노즐(14aㆍ14b)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사막(1)의 이동의 방해로 되지 않는 위치이면 다른 위치이어도 된다.
노즐(14aㆍ14b)은, 절연성의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면, 양극 주변의 전기력선의 흐름을 저해하는 일이 없어, 전기 영동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양극 버퍼조(30)는 제2 영역(36)에 있어서의 외저면에 펠티에 소자(34)를 구비하고 있다. 펠티에 소자(34)를 구비함으로써, 각 공정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 내의 액체 온도를, 그 공정에 있어서 적합한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
(분리부)
분리부(50)는 그 내부에 분리 겔(52)을 수납하고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분리부(50)는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으며, 그 하부는 양극 버퍼조(30) 내에 배치되고, 그 상부는 편면이 음극 버퍼조(40)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은 양극 버퍼조(30) 내의 완충액 및 음극 버퍼조(40) 내의 완충액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수냉되어,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50)는 양극 버퍼조(30) 내에 개구되는 제1 개구(50a) 및 음극 버퍼조(40) 내에 개구되는 제2 개구(50b)를 갖는다. 이에 의해, 분리 겔(52)은 제1 개구(50a)를 통해 양극 버퍼조(30) 내에 면하고, 제2 개구(50b)를 통해 음극 버퍼조(40) 내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분리부(50)는 음극 버퍼조(40)에 설치된 로크(42)에 의해, 음극 버퍼조(40)에 고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분리부(50)는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의 절연체로 형성된 2매의 절연판(51ㆍ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분리부(50)는 제2 개구(50b)에 있어서 절연판(53)의 일부가 절결됨으로써, 분리 겔(52)을 노출시키고 있고, 이에 의해, 분리 겔(52)에 대하여 샘플을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다.
분리 겔(52)은 제2 개구(50b)로부터 도입된 샘플 성분을 분자량에 따라서 분리하기 위한 겔이다. 분리 겔(52)은 분리부(50)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대한 설치 전, 또는 설치한 후에, 분리부(50) 내에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분리 겔(52)이 충전된 시판되고 있는 페이지 칩을 분리부(50)로서 사용해도 된다. 분리 겔(52)의 예로서는, 아크릴아미드 겔 및 아가로오스 겔 등을 들 수 있다. 분리 겔(52)의 가로 폭은, 예를 들어 10∼12레인의 샘플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 매체는 겔로 한정되지 않고, 검체의 분리를 행할 수 있는 다른 매체에 의해서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분리부(50) 내에 분리 겔(52)을 충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절연판(51)과 절연판(53) 사이에 나노 필러라 불리는 다수의 초미세 기둥을 설치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50)의 제1 개구(50a)는 그 주위를 포함하여, 도전성의 다공질 재료(예를 들어, 친수성 PVDF막, 친수성 PTFE(Polytetra fluoro ethylene)막 등)에 의해 형성된 피복부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1 개구(50a)에 전사막(1)이 접하거나 또는 압박되어 있는 경우(제1 개구(50a)와 전사막(1) 사이에 거리를 두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전사막(1)이 반송될 때에 전사막(1)이 분리부(50) 및 분리 겔(52)로부터 받는 마찰 저항 및 손상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50)가 대략 수직 방향으로 기립하고 있음으로써, 분리부(50)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에 비해, 샘플 도입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수평형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에서는, 분리 겔에 형성하는 웰의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곤란하지만, 수직형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에서는, 웰의 깊이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샘플 도입량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전사막(1))
전사막(1)은 분리 겔(52)에 의해 분리된 샘플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보존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후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샘플의 흡착ㆍ유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의 재질로서는, 높은 강도를 갖고, 또한 샘플 결합능(단위 면적당 흡착 가능한 중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으로서는, 샘플이 단백질인 경우에는 PVDF막 등이 적합하다. 또한, PVDF막은 미리 메탄올 등을 사용하여 친수화 처리를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 또는 나일론막 등, 종래부터 단백질, DNA 및 핵산의 흡착에 이용되고 있는 막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분리 및 흡착될 수 있는 샘플로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생물 재료(예를 들어, 생물 개체, 체액, 세포주, 조직 배양물, 또는 조직 단편)로부터의 조제물, 또는, 시판되고 있는 시약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들 수 있다.
전사막(1)은 양극 버퍼조(30) 내에서 완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전사막(1)은 1회의 전기 영동ㆍ전사에 사용되는 길이, 바꾸어 말하면, 1회의 전기 영동ㆍ전사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 내를 이동하는 거리의 길이를 갖고 있으면 된다. 전사막(1)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회의 전기 영동ㆍ전사마다, 전사막(1)을 절단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사막(1)의 가로 폭은, 분리 겔(52)의 가로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하면 된다.
(프레임)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전사막(1)은 프레임(20)에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일례에 있어서, 프레임(20)은 프레임 하부(20a)와, 프레임 상부(20b)를 포함하고, 전사막(1)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있어서, 프레임 하부(20a) 및 프레임 상부(20b)의 사이에 전사막(1)을 두고 유지하고 있다. 프레임(20)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테플론(등록 상표), 아크릴 수지, PEEK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사막(1)이 고정되는 것이면, 그 밖의 구성(예를 들어, 전사막(1)을 유지 부재로 압박하여 탈착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성 등)이어도 상관없다.
(아암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프레임(20)은 아암부에 내장되어 있다. 아암부는, 전사막(1)을 이동, 및, 제1 개구(50a)와 접촉시키는 것이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아암부는, 연결된 일련의 부재인 프레임(20), 캐리어(23) 및 가이드 폴(66)을 포함한다.
가이드 폴(66)은 후술하는 구동부(샤프트 홀더(65))에 연결되고, 양극 버퍼조(30)의 측벽의 외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축 부재이다. 캐리어(23)는 가이드 폴(66)에 연결되고, 양극 버퍼조(30)의 측벽의 상단을 둘러싸고, 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상과 같이, 아암부는, 구동부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양극 버퍼조(30)의 측벽의 외측을 통과하고, 그 측벽의 상단을 둘러싸고, 그 측벽의 내측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실시 형태 1에서는, 가이드 폴(66)은 양극 버퍼조(30)의 측벽의 외측을, 그 측벽의 상단에 배열되는 위치까지 연신하고 있다. 그리고, 캐리어(23)는 가이드 폴(66)에 끼워 맞춰지고, 양극 버퍼조(30)의 측벽의 상단부에 걸쳐 그 측벽의 내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캐리어(23)는 구동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가이드 폴(66)은 양극 버퍼조(30)의 측벽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서 행해지는, 양극 버퍼조(30)의 제거나 전극의 세트 등의 각종 조작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캐리어(23)를 적절히 떼어냄으로써, 각종 조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구동부)
구동부는, 아암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며, 실시 형태 1에서는, 모터(62), 볼 나사(63), 가이드 샤프트(64) 및 샤프트 홀더(65)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62)는 볼 나사(63)를 회전시킨다. 모터(62)는 회전수를 변화 가능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회전수가 고정인 것을 기어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볼 나사(63)는 샤프트 홀더(65)를 관통함과 함께, 샤프트 홀더(65)에 나사 결합하고 있다. 가이드 샤프트(64)는 샤프트 홀더(65)를 관통하고 있고, 샤프트 홀더(65)는 가이드 샤프트(64)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62)가 볼 나사(63)를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 홀더(65)가 도면 중 X축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된다. 샤프트 홀더(65)는 아암부(가이드 폴(66))에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구동부는, 아암부를, 도면 중 X축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아암부는, 전사막(1)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사막(1)은 도면 중 X축 방향(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아암부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밖의 구동 기구(예를 들어, 벨트, 기어 등)에 의해 구동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구동부는, 양극 버퍼조(30)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극 버퍼조(30)로부터 비산한 완충액이 구동부의 내용성을 저하시킬 우려, 및, 구동부가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대한 각종 조작의 방해로 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탱크)
탱크(12a∼12e)는 전사 후의 처리에 필요한 시약 또는 세정 버퍼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탱크(12f)는 폐액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이다. 예를 들어, 탱크(12a)에는 세정 버퍼(예를 들어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PBS 버퍼, TBS 버퍼), 탱크(12b)에는 블로킹 용액(예를 들어 BSA 용액, 카제인 용액, 스킴 밀크 용액, 고분자 블로킹액), 탱크(12c)에는 1차 항체 용액(예를 들어 목적의 단백질을 인식하는 항체 용액, 펩티드 앱타머 용액, 핵산 앱타머 용액, 상호 작용을 갖는 단백질 용액), 탱크(12d)에는 2차 항체 용액(예를 들어 발색 물질, 형광 물질 또는 방사성 동위체 등으로 표식된, 1차 항체를 인식하는 항체 용액), 탱크(12e)에는 검출 반응 용액(예를 들어 서양 고추냉이 퍼옥시다아제,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등의 발색 또는 발광 용액 등)이 충전될 수 있다.
탱크(12a∼12f)는 제거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 가능하면, 사용 후에 제거하여 탱크 내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번 사용 시에 시약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탱크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많은 수의 탱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보다 적은 수의 탱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펌프 및 튜브)
펌프(11a)는 튜브(13c, 13d, 13e, 13f, 13g)를 통해 각각 탱크(12a, 12b, 12c, 12d, 12e)에 접속되고, 또한, 튜브(13a)를 통해 노즐(14a)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11a)는 탱크(12a, 12b, 12c, 12d, 12e)에 들어 있는 액체를 임의로 양극 버퍼조(30)에 주입할 수 있다.
펌프(11b)는 튜브(13h)를 통해 탱크 f에 접속되고, 또한, 튜브(13b)를 통해 노즐(14b)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11b)는, 양극 버퍼조(30) 내의 액체를 탱크(12f)에 배출할 수 있다.
펌프(11aㆍ11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펌프 등, 자동 제어가 가능한 공지의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튜브(13a∼13h)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리콘 튜브 등의 부드러운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13a∼13h)는 탱크(12a∼12f), 펌프(11aㆍ11b) 및 노즐(14aㆍ14b)로부터 탈착 가능해도 된다. 탈착 가능한 구성이면, 튜브가 열화된 경우 또는 막힘이 발생한 경우 등에 새로운 튜브로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
제어부(68)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의 각종 제어(아암부의 위치의 제어, 양극(32) 및 음극(41)에 인가하는 전류ㆍ전압의 제어, 펌프(11aㆍ11b)의 제어, 펠티에 소자(34)의 제어, 구획판(33)의 동작의 제어 등)를 행하는 제어반이다. 제어부(68)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받기 위한 버튼, 스위치나, 동작 상태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한 램프, 표시부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
다음에, 실시 형태 1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샘플의 전기 영동 및 전사 시에 있어서, 전사막(1)은 프레임(20)에 의해, 제1 개구(50a)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양극 버퍼조(30) 및 음극 버퍼조(40)에 완충액을 넣는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예를 들어 양극 버퍼조(30)에 400mL의 완충액을 넣고, 음극 버퍼조(40)에 170mL의 완충액을 넣는다.
그리고, 분리부(50)의 제2 개구(50b)로부터, 샘플을 분리 겔(52)에 도입한다. 샘플에는, 분석 대상으로 되는 생체 분자 외에, 전기 영동의 진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가시 분자량 마커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상태에서, 샘플의 전기 영동에 의한 분리를 행한다. 제어부(68)는 모터(62)를 제어하여, 전사막(1)의 위치를 스타트 위치로 설정하고,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전류를 흘려, 전기 영동을 개시한다.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흘리는 전류값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류값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해도 되고,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제어해도 되고, 그 밖의 형태로 전류ㆍ전압을 제어해도 된다. 제어부(68)는 펠티에 소자(34)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를 냉각한다. 이에 의해,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 전체가 냉각되어, 전기 영동에 있어서의 스마일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사막(1)은 분리부(50)에 있어서의 전기 영동의 진행에 맞추어, 구동부에 의한 아암부의 구동에 의해 X축을 도 1의 화살표의 방향을 향하여 서서히 이동된다. X축 방향은, 제1 개구(5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전사막(1)의 이동 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60∼120분간에, 5∼10㎝ 이동하는 페이스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구(50a)로부터, 전기 영동에 의해 배출되는 샘플(분리 겔(52) 내에서 분리된 것)이, 전사막(1)에 있어서의 배출되는 타이밍에 따른 위치(배출된 타이밍에 있어서 제1 개구(50a)에 대향하고 있던 위치)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전사막(1)에 분리된 샘플이 전사된다.
전사 후, 아암부는, 프레임(20)에 유지되어 있는 전사막(1)을 제2 영역(36)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프레임(20)과 분리부(50)가 간섭하지 않도록, 아암부는 프레임(20)을 상하시켜도 된다.
계속해서, 전사 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웨스턴 블로팅법에 의해 전사막(1)을 면역 염색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예를 들어 탱크(12a)에는 세정 버퍼, 탱크(12b)에는 블로킹 용액, 탱크(12c)에는 1차 항체 용액, 탱크(12d)에는 2차 항체 용액, 탱크(12e)에는 검출 반응 용액을 미리 충전해 둔다.
먼저,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완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양극 버퍼조(30) 내의 완충액은, 노즐(14b)의 개구부(15b)로부터, 노즐(14b), 튜브(13b), 펌프(11b) 및 튜브(13h)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탱크(12f)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제어부(68)의 제어에 의해, 구획판(33)이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양극 버퍼조(30)를 제1 영역(35)과 제2 영역(36)으로 나눈다.
계속해서,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는,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는, 튜브(13c), 펌프(11a), 튜브(13a), 노즐(14a)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노즐(14a)의 개구부(15a)로부터, 양극 버퍼조(30) 내로 이동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세정은, 예를 들어 5분간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세정을 행할 수 있어, 시간의 단축 및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그 후,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은, 예를 들어 3회 행한다.
세정 후, 제어부(68)는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b) 내의 블로킹 용액을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는, 탱크(12b) 내의 블로킹 용액은, 튜브(13d), 펌프(11a), 튜브(13a), 노즐(14a)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노즐(14a)의 개구부(15a)로부터, 양극 버퍼조(30) 내로 이동한다. 블로킹 용액의 액량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이에 의해, 블로킹을 행할 수 있다. 블로킹은, 예를 들어 1시간 동안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블로킹을 행할 수 있어, 시간의 단축 및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블로킹 종료 후,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블로킹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c) 내의 1차 항체 용액을 양극 버퍼조(30)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는, 탱크(12c) 내의 1차 항체 용액은, 튜브(13e), 펌프(11a), 튜브(13a), 노즐(14a)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노즐(14a)의 개구부(15a)로부터, 양극 버퍼조(30) 내로 이동한다. 1차 항체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10mL이다. 반응은, 예를 들어 1시간 동안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검체와 1차 항체의 접촉의 기회가 증가하여, 시간의 단축 및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는 펠티에 소자(34)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를 가온(예를 들어 37℃)한다. 이에 의해, 1차 항체와의 반응이 촉진되어, 시간의 단축 및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세정은, 예를 들어 5분간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은, 예를 들어 3회 행한다.
세정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d) 내의 2차 항체 용액을 양극 버퍼조(30)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는, 탱크(12d) 내의 2차 항체 용액은, 튜브(13f), 펌프(11a), 튜브(13a), 노즐(14a)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노즐(14a)의 개구부(15a)로부터, 양극 버퍼조(30) 내로 이동한다. 2차 항체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10mL이다. 반응은, 예를 들어 1시간 동안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검체와 2차 항체의 접촉의 기회가 증가하여, 시간의 단축 및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제어부(68)는 펠티에 소자(34)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를 가온(예를 들어 37℃)한다. 이에 의해, 2차 항체와의 반응이 촉진되어, 시간의 단축 및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세정은, 예를 들어 5분간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은, 예를 들어 3회 행한다.
세정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e) 내의 검출 반응 용액을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는, 탱크(12e) 내의 검출 반응 용액은, 튜브(13g), 펌프(11a), 튜브(13a), 노즐(14a)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노즐(14a)의 개구부(15a)로부터, 양극 버퍼조(30) 내로 이동한다. 검출 반응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10mL이다. 반응은 예를 들어 1분간 행한다.
반응 종료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세정은, 예를 들어 5분간 행한다. 이때, 제어부(68)가 아암부를 제어하여, 전사막(1)을 X축 방향으로 전후시켜, 진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은, 예를 들어 3회 행한다.
또한, 전사막(1)의 면역 염색의 수순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세정을 생략하거나, 또는 세정을 추가하거나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전사막(1)을 회수하고, 형광 검출기 등에 의해, 전사막(1)에 전사된 성분의 분리 패턴이 검출된다. 이와 같은 형광 검출기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고, 이에 의해 전기 영동, 전사, 전사 후의 처리 및 검출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실시 형태 2)에 대하여,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와 실시 형태 1의 상위점은, 노즐(14aㆍ14b)의 형상 및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구성이다. 다른 점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노즐)
실시 형태 2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14aㆍ14b)은, 개구부(15aㆍ15b)를 갖는 단부가, 양극 버퍼조(30) 내의 측면 및 저면을 따라서 L자로 절곡되어, 개구부(15aㆍ15b)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즐(14b)에 의한 양극 버퍼조(30) 내의 폐액(사용된 액체)의 회수가 보다 용이해진다. 특히,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각도를 부여하여, 폐액이 노즐(14b)측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폐액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홈(73)을 형성하여, 폐액이 노즐(14b)의 주위에 유입되도록 해도 된다. 홈(73)은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14b)의 개구부(15b)를 기점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전체로부터 개구부(15b)로 효율적으로 폐액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양극 버퍼조(30)에 남는 폐액을 적게 할 수 있어,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노즐(14b)을 홈(73) 내에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폐액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홈(73)은 예를 들어 깊이 0.1㎜∼1㎜, 가로 폭 11㎜로 할 수 있다.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
실시 형태 2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실시 형태 3)에 대하여,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3과 실시 형태 1의 상위점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재료ㆍ구성이다. 다른 점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양극 버퍼조의 저면)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는, 친수성 영역(일부의 영역)(71) 및 소수성 영역(그 밖의 영역)(72)이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영역(71)은 제2 영역(36)에 존재한다. 즉, 양극 버퍼조(30)(구체적으로는 제2 영역(36))의 저면은, 친수성 영역(71)과 그 친수성 영역(7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소수성 영역(72)을 구비한다.
친수성 영역(71)은 예를 들어 유리, 플라즈마 처리된 수지 소재 등을 포함한다. 소수성 영역(72)은 예를 들어 수지 소재(아크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를 포함한다.
친수성 영역(71)은 전사 후의 처리를 행할 때의 전사막(1)의 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친수성 영역(71)의 크기는, 전사막(1)과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15a, 15b)는 친수성 영역(71)에 접하는 위치에 존재한다. 이 구성에 의해, 소량의 액체를 개구부(15a)로부터 주입한 경우에, 그 액체를 친수성 영역(71)에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가의 시약(항체 용액 등)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불균일없이 균일하게 반응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예를 들어 1차 항체 용액, 2차 항체 용액 및 검출 반응 용액의 사용량을, 10mL 이하, 바람직하게는 5m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L 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3에서는, 전기 영동용의 완충액, 세정 버퍼 및 블로킹 용액과 같이 1회의 사용량이 많은 것이 바람직한 액체를 사용하는 공정과, 항체 용액 및 검출 반응 용액과 같이 1회의 사용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한 액체를 사용하는 공정의 양쪽을, 각각 보다 바람직한 액량으로, 양극 버퍼조(30) 내에서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홈(73)을 형성하여, 폐액이 노즐(14b)의 주위에 유입되도록 해도 된다. 홈(73)은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친수성 영역(71)과 소수성 영역(72)의 경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친수성 영역(71)을 둘러싸도록 형성한다. 이때, 홈(73)은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친수성 영역(71)에 유지되어 있는 액체를 개구부(15b)에 효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양극 버퍼조(30)에 남는 폐액을 적게 할 수 있어, 감도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노즐(14b)을 홈(73) 내에 형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폐액의 회수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홈(73)은 예를 들어 깊이 0.1㎜∼1㎜, 가로 폭 11㎜로 할 수 있다.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
실시 형태 3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실시 형태 3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노즐은,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실시 형태 4)에 대하여,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 1∼3에 있어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4와 실시 형태 3의 상위점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구조 및 개구부(15aㆍ15b)의 위치이다. 다른 점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승강판)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막(1)에 대하여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승강판(82)이 구비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친수성 영역(71)에 상당하는 위치에 승강판(8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판(82)의 크기는 전사막(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즉, 승강판(82)의 크기는 프레임(20)의 내경보다도 크다. 그 때문에, 승강판(82)이 전사막(1)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승강판(82)은 프레임(20)과 접촉하여, 승강판(82)과 프레임(20)과 전사막(1)에 의해 밀폐된 공간(83)이 형성된다. 양극 버퍼조(30)에 주입된 액체를 승강판(82)에 실은 상태에서, 전사막(1)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액체를 공간(83)에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판(82)을 갖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사막(1)과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적은 액량으로도 전사막(1)에 그 액체를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가의 시약(항체 용액 등)의 사용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불균일없이 균일하게 반응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4에서는, 예를 들어 1차 항체 용액, 2차 항체 용액 및 검출 반응 용액의 사용량을, 5mL 이하, 바람직하게는 3mL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mL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에 있어서, 승강판(82)은 하부에 설치된 볼 나사(81)에 의해 승강한다. 볼 나사(81)는 제어부(68)에 의해 제어된다. 단, 본 발명은 볼 나사(81)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판(82)을 승강시키는 다른 방법(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서도 된다.
승강판(82)은 상면의 외연부가 소수성이며, 그 밖의 영역이 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승강판(82)은 프레임(20)과 접촉하는 부분 및 그 부분보다도 외측이 소수성의 영역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보다 확실하게 액체를 승강판(82)의 상면의 내측(즉 친수성의 영역)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저면에 패킹(2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공간(83)에 유지된 액체가 승강판(82)과 프레임(20)의 간극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액체를 공간(83)에 유지할 수 있다.
(노즐)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노즐(14aㆍ14b)은, 승강판(82)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즉, 개구부(15aㆍ15b)는, 양극 버퍼조(30)의 저면 중 승강판(8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접촉하고 있다. 개구부(15a)는 승강판(82)에 가까운 위치에 있을수록, 친수성 영역(71)에 액체를 배치시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
실시 형태 4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의 샘플의 전기 영동, 전사 및 전사 후의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샘플의 전기 영동 및 전사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전사 후, 전사막(1)은 그대로, 제2 영역(36)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승강판(82)과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때, 승강판(82)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높이까지 내려간 상태이다(도 8의 (a)).
먼저,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완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계속해서, 제어부(68)의 제어에 의해, 구획판(33)이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양극 버퍼조(30)를 제1 영역(35)과 제2 영역(36)으로 나눈다.
계속해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하여, 세정을 행한다. 그 후,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은, 예를 들어 3회 행한다.
계속해서, 제어부(68)는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b) 내의 블로킹 용액을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하여, 블로킹을 행한다. 블로킹 종료 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c) 내의 1차 항체 용액을 양극 버퍼조(30)에 주입한다. 1차 항체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1mL이다. 이때, 승강판(82)의 상면은, 1차 항체 용액이 실린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볼 나사(81)를 제어하여, 승강판(82)을 프레임(20)(보다 정확하게는 패킹(24))에 접할 때까지 밀어 올린다(도 8의 (b)). 이에 의해, 검체와 1차 항체의 반응을 행한다. 여기서, 검체는 전사막(1)의 상면측에 존재하는 한편, 1차 항체 용액은 전사막(1)의 하면측에 존재하지만, 전사막(1)은 하면측으로부터도 반응이 가능하다. 반응은, 예를 들어 1시간 동안 행한다.
반응 종료 후, 제어부(68)가 볼 나사(81)를 제어하여, 승강판(82)을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높이까지 내린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세정을 행하고,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d) 내의 2차 항체 용액을 양극 버퍼조(30)에 주입한다. 2차 항체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1mL이다. 이때, 승강판(82)의 상면은, 2차 항체 용액이 실린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볼 나사(81)를 제어하여, 승강판(82)을 프레임(20)(보다 정확하게는 패킹(24))에 접할 때까지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검체와 2차 항체의 반응을 행한다.
반응 종료 후, 제어부(68)가 볼 나사(81)를 제어하여, 승강판(82)을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높이까지 내린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세정을 행하고,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세정 후,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e) 내의 검출 반응 용액을 양극 버퍼조(30)에 주입한다. 검출 반응 용액의 양은, 예를 들어 1mL이다. 이때, 승강판(82)의 상면은, 검출 반응 용액이 실린 상태로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볼 나사(81)를 제어하여, 승강판(82)을 프레임(20)(보다 정확하게는 패킹(24))에 접할 때까지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검출 반응 용액과의 반응을 행한다.
반응 종료 후, 제어부(68)가 볼 나사(81)를 제어하여, 승강판(82)을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의 높이까지 내린다. 계속해서, 제어부(68)가 펌프(11a)를 제어하여, 탱크(12a) 내의 세정 버퍼를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한다. 세정 버퍼의 양은, 예를 들어 100mL이다.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세정을 행하고, 제어부(68)가 펌프(11b)를 제어하여, 양극 버퍼조(30) 내의 용액을 탱크(12f)로 배출한다.
또한, 전사막(1)의 면역 염색의 수순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세정을 생략하거나, 또는 세정을 추가하거나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전사막(1)을 회수하고, 형광 검출기 등에 의해, 전사막(1)에 전사된 성분의 분리 패턴이 검출된다. 이와 같은 형광 검출기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고, 이에 의해 전기 영동, 전사, 전사 후의 처리 및 검출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4에서는, 전기 영동용의 완충액, 세정 버퍼 및 블로킹 용액과 같이 1회의 사용량이 많은 것이 바람직한 액체를 사용하는 공정과, 항체 용액 및 검출 반응 용액과 같이 1회의 사용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한 액체를 사용하는 공정의 양쪽을, 각각 보다 바람직한 액량으로, 양극 버퍼조(30) 내에서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실시 형태 5)에 대하여,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5와 실시 형태 1의 상위점은, 주입용의 탱크, 튜브, 펌프 및 노즐의 접속 방법이다. 그 밖의 점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탱크, 튜브, 펌프 및 노즐)
실시 형태 5에서는, 실시 형태 1의 탱크(12a∼12f)에 상당하는 탱크(92a∼92f)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버퍼조(30) 내에는, 제2 영역(36)의 내측면에 노즐(94a∼94f)이 구비되어 있다. 탱크(92a∼92f)는 각각 튜브(93g∼93l), 펌프(91a∼91f), 튜브(93a∼93f)를 통해 노즐(94a∼94f)에 접속되어 있다. 즉, 탱크(92a∼92f)는 각각, 튜브, 펌프 및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5에서는, 주입용의 탱크(탱크(92a∼92e))가, 각각, 튜브, 펌프 및 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 액체가 각각의 루트로 양극 버퍼조(30) 내에 주입되기 때문에, 시약의 혼입의 우려가 적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노즐의 개구부의 위치 및 방향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이어도 되고, 다른 형태이어도 된다.
〔변형예〕
실시 형태 1 및 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친수성 영역(71) 및 소수성 영역(72)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 및 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로,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승강판(82)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이 경사져 있어도 된다. 노즐(14b 또는 94f)의 개구부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양극 버퍼조(30)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때에, 그 액체를 낮은 부분에 모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체의 회수가 용이해진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탱크(12b∼12e 또는 92b∼92e)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탱크(12a 또는 92a)에 세정 버퍼를 넣어, 전사 후의 세정 공정까지를 행하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탱크(12c∼12e 또는 92c∼92e)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탱크(12a 또는 92a)에 세정 버퍼를 넣고, 탱크(12b 또는 92b)에 블로킹 용액을 넣어, 전사 후의 세정 및 블로킹 공정까지를 행하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탱크(12d∼12e 또는 92d∼92e)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탱크(12a 또는 92a)에 세정 버퍼를 넣고, 탱크(12b 또는 92b)에 블로킹 용액을 넣고, 탱크(12c 또는 92c)에 1차 항체 용액을 넣어, 전사 후의 세정, 블로킹 및 1차 항체 반응 공정까지를 행하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탱크(12e 또는 92e)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탱크(12a 또는 92a)에 세정 버퍼를 넣고, 탱크(12b 또는 92b)에 블로킹 용액을 넣고, 탱크(12c 또는 92c)에 1차 항체 용액을 넣고, 탱크(12d 또는 92d)에 2차 항체 용액을 넣어, 전사 후의 세정, 블로킹, 1차 항체 반응 및 2차 항체 반응 공정까지를 행하는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탱크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의 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탱크를 준비하고, 튜브와 접속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5의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에 있어서, 전사 후의 처리는, 항체를 사용한 면역 염색에 한하지 않고,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검출이 가능한 다른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샘플이 단백질 또는 펩티드가 아닌 경우에는, 그 샘플에 적합한 방법에 의해 처리가 행해진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100)는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그 검체를 버퍼조(양극 버퍼조(30)) 내의 배출부(제1 개구(50a))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1)을 그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된 그 검체를 그 전사막(1)에 전사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로서, 그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를 교환하는 송액 펌프(펌프(11aㆍ11b 또는 91a∼91f))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를 송액 펌프에 의해 교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는 공정, 검체를 전사막에 전사하는 공정 및 전사 후의 처리(세정, 블로킹, 항체 반응, 검출 반응 등) 공정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웨스턴 블로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송액 펌프는, 상기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를, 양극 버퍼, 세정액, 블로킹 용액, 항체 용액 및 검출 반응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액체간에서 교환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웨스턴 블로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은, 일부의 영역이 친수성이고, 당해 일부의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이 소수성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소량의 액체를 버퍼조에 충전하는 경우에, 그 액체를 친수성의 영역에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사막(1)을 친수성의 영역에 유지된 액체에 접촉시키면, 효율적으로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가의 시약의 액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은, 상기 전사막(1)에 대하여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판(승강판(82))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버퍼조의 저면의 일부(즉 승강판)와 전사막(1)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그 때문에, 승강판에 액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사막(1)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적은 액량이라도, 전사막(1)에 액체를 접촉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고가의 시약의 액량을 보다 적게 할 수 있고, 또한, 효율적으로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4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승강판(82))의 상면은, 외연부가 소수성이고, 그 밖의 영역이 친수성이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액체를 승강판의 상면의 내측(즉 친수성의 영역)에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5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에 수납되며, 돌출에 의해 그 버퍼조를 2개의 영역(제1 영역(35) 및 제2 영역(36))으로 나눌 수 있는, 구획판(33)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구획판(33)에 의해 버퍼조가 2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전기 영동ㆍ전사 후의 조작을 한쪽의 영역에서만 행함으로써, 사용하는 액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가의 시약의 절약 및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6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이 경사져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액체의 교환 시에 버퍼조를 충전하고 있는 액체를 버퍼조의 낮은 영역에 모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의 교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7에 있어서, 버퍼조의 저면에 홈(홈(73))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액체의 교환 시에 버퍼조를 충전하고 있는 액체를 버퍼조의 저면의 홈에 모을 수 있다. 그 때문에,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의 교환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9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는, 상기 형태 1∼8에 있어서, 상기 전사막(1)을 유지하고 진탕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전사 후의 처리에 있어서, 전사막(1)을 아암이 유지하고 진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0에 따른 샘플 분석 방법은, 상기 형태 1∼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샘플 분리 전사 장치를 사용하여, 검체의 분리, 전사막에의 전사 및 면역 염색(예를 들어, 세정, 블로킹, 항체 반응, 검출 반응 등)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전사막(1)에의 전사 및 면역 염색을 버퍼조 내에서 행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형태 1∼9와 동등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상이한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체 분자 등의 분석 분야에 있어서 이용 가능하다.
1 : 전사막
11aㆍ11b : 펌프(송액 펌프)
12a∼12f : 탱크
13a∼13h : 튜브
14a·14b : 노즐
15a·15b : 개구부
16a·16b : 접속부
20 : 프레임
20a : 프레임 하부
20b : 프레임 상부
23 : 캐리어(아암부)
24 : 패킹
30 : 양극 버퍼조(버퍼조)
31 : 테이블
32 : 양극
33 : 구획판
34 : 펠티에 소자
35 : 제1 영역
36 : 제2 영역
40 : 음극 버퍼조
41 : 음극
42 : 로크
50 : 분리부
50a : 제1 개구(배출부)
50b : 제2 개구
51·53 : 절연판
52 : 분리 겔(분리 매체)
62 : 모터(구동부)
63 : 볼 나사(구동부)
64 : 가이드 샤프트(구동부)
65 : 샤프트 홀더(구동부)
66 : 가이드 폴(아암부)
68 : 제어부
71 : 친수성 영역(일부의 영역)
72 : 소수성 영역(일부의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
73 : 홈
81 : 볼 나사
82 : 승강판
83 : 공간
91a∼91f : 펌프(송액 펌프)
92a∼92f : 탱크
93a∼93l : 튜브
94a∼94f : 노즐
100 : 분리 전사 장치

Claims (10)

  1.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그 검체를 버퍼조 내의 배출부로부터 배출하고, 전사막을 그 배출부에 접촉시켜 이동시킴으로써 분리된 그 검체를 그 전사막에 전사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로서,
    상기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를 교환하는 송액 펌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액 펌프는, 상기 버퍼조를 충전하는 액체를, 양극 버퍼, 세정액, 블로킹 용액, 항체 용액 및 검출 반응 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개의 액체간에서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은, 일부의 영역이 친수성이고, 당해 일부의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이 소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분리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의 상면은, 외연부가 소수성이고, 그 밖의 영역은 친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에 수납되며, 돌출에 의해 그 버퍼조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 구획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조의 저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막을 유지하고 진탕하는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리 전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샘플 분리 전사 장치를 사용하여, 검체의 분리, 전사막에의 전사 및 면역 염색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전사막에의 전사 및 면역 염색을 버퍼조 내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 분석 방법.
KR1020167030742A 2015-04-10 2015-12-08 샘플 분리 전사 장치 및 샘플 분석 방법 KR201601423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1265A JP6030691B1 (ja) 2015-04-10 2015-04-10 サンプル分離転写装置およびサンプル分析方法
JPJP-P-2015-081265 2015-04-10
PCT/JP2015/084342 WO2016163052A1 (ja) 2015-04-10 2015-12-08 サンプル分離転写装置およびサンプル分析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359A true KR20160142359A (ko) 2016-12-12

Family

ID=5707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742A KR20160142359A (ko) 2015-04-10 2015-12-08 샘플 분리 전사 장치 및 샘플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038337A1 (ko)
JP (1) JP6030691B1 (ko)
KR (1) KR20160142359A (ko)
CN (1) CN106461606A (ko)
SG (1) SG11201700362RA (ko)
WO (1) WO201616305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614B1 (ko) 2018-03-07 2019-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스턴 블로팅용 전사탱크
KR20190118214A (ko) * 2018-02-13 2019-10-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분석장치
KR20200015252A (ko) * 2018-08-03 2020-02-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분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0840B (zh) * 2018-01-19 2020-09-08 深圳市亚辉龙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全自动免疫印迹分析仪
CN108459068B (zh) * 2018-06-14 2024-04-30 沧州医学高等专科学校 凝胶制备用自动化装置及使用方法
CN111595654B (zh) * 2020-06-09 2021-12-31 无锡市第五人民医院 用于生化样品收集的装置及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559A (en) 1991-12-31 1993-08-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direct blotting and automated electrophoresis, transfer and detection and processes utilizing the apparatus thereof
JPH09501774A (ja) 1993-08-27 1997-02-18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向上した電気泳動分離用のゲルカセット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JP2011058968A (ja) 2009-09-10 2011-03-24 Sharp Corp 生体由来サンプル保持シートの表面処理装置、生体由来サンプル保持シートの表面処理方法、生体由来サンプル処理装置および生体由来サンプル処理方法
JP2011080842A (ja) 2009-10-06 2011-04-21 Sharp Corp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0853A (en) * 1978-11-01 1980-05-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Method of dyeing coated blood sample
DE3022527C2 (de) * 1980-06-16 1985-01-31 Fritz Prof. Dr. 7750 Konstanz Pohl Verfahren zur elektrophoretischen Trennung sowie Vorrichtung dazu
JPH01112147A (ja) * 1987-10-26 1989-04-28 Shimadzu Corp 核酸の塩基配列決定方法
US4994166A (en) * 1989-08-22 1991-02-19 Bio-Rad Laboratories, Inc. Single apparatus for slab gel electrophoresis and blotting
US5104512A (en) * 1990-05-14 1992-04-14 Labintelligence, Inc. Gel electrophoresis system
US5306403A (en) * 1992-08-24 1994-04-26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Raman-based system for DNA sequencing-mapping and other separations
US5279721A (en) * 1993-04-22 1994-01-18 Peter Schmi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utomated electrophoresis system
US5449446A (en) * 1994-03-09 1995-09-12 Verma; Sumeet Multi-purpose electrophoresis apparatus
JP2003028460A (ja) * 2001-07-18 2003-01-29 Matsushita Seiko Co Ltd 水 槽
JP2007248131A (ja) * 2006-03-14 2007-09-27 Yamaguchi Univ 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膜を用いたリポ蛋白質の分離方法
JP4813244B2 (ja) * 2006-04-25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2008051721A (ja) * 2006-08-25 2008-03-06 Toshinobu Horii 染色台
JP5103461B2 (ja) * 2009-11-04 2012-12-1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サンプルラ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4559A (en) 1991-12-31 1993-08-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direct blotting and automated electrophoresis, transfer and detection and processes utilizing the apparatus thereof
JPH09501774A (ja) 1993-08-27 1997-02-18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向上した電気泳動分離用のゲルカセット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JP2011058968A (ja) 2009-09-10 2011-03-24 Sharp Corp 生体由来サンプル保持シートの表面処理装置、生体由来サンプル保持シートの表面処理方法、生体由来サンプル処理装置および生体由来サンプル処理方法
JP2011080842A (ja) 2009-10-06 2011-04-21 Sharp Corp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단백질 실험 노트(하) : 분리 동정으로부터 기능 해석으로(요도샤, 2005년, 제38∼47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214A (ko) * 2018-02-13 2019-10-1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분석장치
KR101964614B1 (ko) 2018-03-07 2019-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스턴 블로팅용 전사탱크
KR20200015252A (ko) * 2018-08-03 2020-02-12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물 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3052A1 (ja) 2016-10-13
JP6030691B1 (ja) 2016-11-24
JP2016200516A (ja) 2016-12-01
US20170038337A1 (en) 2017-02-09
SG11201700362RA (en) 2017-03-30
CN106461606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2359A (ko) 샘플 분리 전사 장치 및 샘플 분석 방법
AU2010202112B2 (en) Analysis instrument for processing a microfluidic device
JP4813244B2 (ja)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2003514226A (ja) 多次元電気泳動装置
JPH05507025A (ja) 逐次的化学反応が可能な方法および装置
JP2008536128A (ja) 自動化微小体積アッセイシステム
JP2010207237A5 (ko)
JP7016313B2 (ja) 電気泳動チップ、電気泳動装置、及び電気泳動システム
WO2006062149A1 (ja) 生体サンプル分析用プレート
WO1994026396A1 (en) Application specific capillary electrophoresis
US20130140182A1 (en) PROTEIN FRACTIONATION BASED ON pI
US200500726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oducing a sample into an electrophoretic apparatus
JP5952446B1 (ja) 転写膜保持器具及び分離転写装置
JP2007155560A (ja) 電気泳動装置、電気泳動システム
WO2016190321A1 (ja) 電気泳動ゲル、電気泳動キット、電気泳動装置および電気泳動方法
KR101855031B1 (ko) 생체 분자 분석 장치
JPWO2005111572A1 (ja) 試料調製装置及び方法
JP2016067275A (ja) 核酸精製デバイス
JP2007212256A (ja) 生体関連物質検出用反応装置
US20240201133A1 (en) Device for volume coupling in epitachophoresis
US20230366852A1 (en) Electrotransfer & electrophoresis devices, systems, & methods
JP6461046B2 (ja) 転写膜保持器具及び分離転写装置
JP6353869B2 (ja) 生体分子分析装置
JP2016067276A (ja) 核酸精製デバイス
TW201402808A (zh) 核酸純化系統之加熱與磁性分離管槽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