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900A -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900A
KR20160141900A KR1020150077245A KR20150077245A KR20160141900A KR 20160141900 A KR20160141900 A KR 20160141900A KR 1020150077245 A KR1020150077245 A KR 1020150077245A KR 20150077245 A KR20150077245 A KR 20150077245A KR 20160141900 A KR20160141900 A KR 2016014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body fly
finished product
join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920B1 (ko
Inventor
차한울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9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8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빔을 이용하여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이격된 양단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을 접합하여, 접합시 오버랩 구간이 발생 하지 않아, 응력집중으로 인한 내구력 저하 및 유니포미티 R.F.V , L.F.V 발생을 줄이며, 벌지, 덴트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Body fly jointing method and body fly jo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빔을 이용하여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이격된 양단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을 접합하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여러 가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컴파운드(Compound)를 만드는 정련공정과, 압출과 압연 및 재단을 통해 컴파운드를 시트(Sheet) 형태의 반제품으로 만드는 반제품 제조공정, 이들 반제품들을 성형드럼에 부착시켜 그린케이스로 성형하는 성형공정 및 상기 성형드럼에서 분리된 그린케이스를 가황하여 완제품 타이어로 만드는 가황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상기 성형공정을 위한 그린케이스 성형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드럼부(100), 구동부(200), 이송부(300), 스티칭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성형 드럼부(100)는 구동부(200)로부터 연동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드럼 샤프트 선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인너 라이너 반제품, 제1 및 제2 바디 플라이 반제품과 함께 이송부(300)의 비드 시터를 통해 공급되는 비드 와이어 반제품 등을 부착하여 1차 성형 케이스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200)는 드럼 샤프트를 상에 구비되는 성형 드럼부(100)를 통해 상기한 1차 반제품들을 부착하여 1차 성형 케이스를 완성하도록 상기한 성형 드럼부(100) 및 이송부(300)를 가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300)는 비드 와이어 반제품을 이송부(300)의 비드 시터를 이용하여 1차 성형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드럼부(100) 쪽으로 이송 공급하고, 성형 드럼부(100)으로부터 완성된 1차 성형 케이스를 잡아 2차 성형 케이스 쪽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티칭부(400)는 성형 드럼부(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스티칭 롤러들(미도시)을 이용해 성형 드럼부(100) 상에 감겨 부착된 1차 반제품들을 압착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성형공정에서는 인너라이너, 바디플라이, 벨트, 트레드 등의 각종 타이어 반제품을 성형드럼에 부착하여 그린케이스로 성형하게 되는데, 이들 타이어 반제품들은 성형드럼 상에서 양측 단부가 각각 접합되어 조인트부를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1차 바디플라이 반제품 반제품과 2차 바디플라이 반제품 반제품이 각각 압출된 후, 성형공정에서 성형드럼에 인너라이너 반제품이 부착된 후 그 위쪽에 각각 부착되어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인너라이너 반제품 및 제1, 2차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단부가 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조인트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의 형상이 완제품 타이어의 유니포미티(Uniformity)에 영향을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플라이 반제품(10)의 양측 단부가 일정 폭으로 겹쳐져 조인트 오버랩이 형성되는 경우, 이 조인트 오버랩 부위는 접합되지 않는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2배 정도로 두꺼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강성(stiffness)이 커져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했을 때 다른 부분에 비해 덜 팽창되어, 사이드 월(60)에서 조인트 부위가 움푹 들어가는 형태의 덴트 불량(40)이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조인트 오버랩 부위 양이 부족할 경우 사이드 월(60)에서 상대적으로 주변부보다 더욱 부풀어 오르는 벌지 현상이 발생 된다.
또한 조인트 오버랩 부위로 인해 응력집중으로 인한 내구력 시간 미달 및 유니포미티 평가 시 R.F.V(Radial Force Variation) 및 L.F.V(Lateral Force Variation)에 취약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9080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30689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6156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42777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250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합시 오버랩 구간이 발생하지 않아, 응력집중으로 인한 내구력 저하 및 유니포미티 R.F.V , L.F.V 발생을 줄이며, 벌지, 덴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은,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이격되도록 성형드럼에 권취시키는 귄취단계와, 상기 이격된 곳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을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단계 이전에 상기 성형드럼에 이너 라이너를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바디플라이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접합단계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단계 이전에, 권취된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접합단계로 진행되며, 상기 감지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은 최소 1mm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바디플라이 반제품이 권취되는 성형드럼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의 이격된 곳에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바디플라이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접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자빔을 이용하여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이격된 양단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을 접합하여, 접합시 오버랩 구간이 발생하지 않아, 응력집중으로 인한 내구력 저하 및 유니포미티 R.F.V , L.F.V 발생을 줄이며, 벌지, 덴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플라이 반제품이 반가류(semi cure)되어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의 정확성과 속도가 증가되고, 공정 자동화로 작업자의 피로도 또한 줄일 수 있다.
상기 접합단계 이전에, 권취된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접합단계로 진행되어, 접합공정이 더욱 정밀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지하여, 정밀하게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은 1mm 이내로 이격되어, 접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그린케이스 성형장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시 발생하는 조인트 오버랩의 설명을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을 통해 접합된 바디플라이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이 권취되는 성형드럼(200)과, 상기 지지부재(미도시)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 422)의 이격된 곳에 연결부(423)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재는 프레임 부재 등으로 구비되어 접합장치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는 종래기술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성형드럼(200)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이 권취된다.
성형드럼(200)은 시트 형상의 이너 라이너(410)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이 권취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성형드럼(200) 외주면에는 이너 라이너(410)가 권취된 후에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이 권취된다.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은 성형드럼(200)에 권취될 때 양단(421, 422)이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권취된다.
접합부(300)는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이격된 양단(421, 422) 및 이격된 곳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이격된 곳에 연결부(423)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부(423)는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이격된 양단(421, 422)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접합부(300)는 봉제를 배제하고 전자빔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서만 연결부(423)를 형성한다.
접합부(300)는 성형드럼(200)과의 사이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접합부(300)는 성형드럼(200)의 외측에 성형드럼(200)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의 이격거리(d)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접합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레이저 등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를 이용한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은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이 이격되도록 성형드럼(200)에 권취시키는 귄취단계와, 전자빔을 이용하여 상기 이격된 곳에 연결부(423)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을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권취단계 이전에 성형드럼(200)에 이너 라이너(410)를 권취시킨다. 시트 형상의 이너 라이너(410)는 회전되는 성형드림(200) 외주면에 권취된다.
상기 권취단계는 이너 라이너(410) 위에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이 이격되도록 성형드럼(200)에 권취시킨다. 바디플라이 반제품(420)도 이너 라이너(410)와 마찬가지로 시트 형상의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이 회전되는 성형드림(200)에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합단계 이전에, 권취된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의 이격거리(d)를 감지부(미도시)를 통해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이격거리(d)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상기 감지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격거리(d)를 감지하여 정밀하게 이격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격거리(d)를 감지하는 것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격거리(d)를 감지하는 방법은 일본공개특허 제1993-20973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15455호, 일본공개특허 제1999-227067호, 일본공개특허 제2002-36386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접합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정해진 범위는 실험 등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이격거리(d)는 최소 1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격거리(d)는 1mm≤d가 될 수 있다. 이격거리(d)를 이와 같이 할 경우 접합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접합단계는 접합부(300)의 상기 이격된 곳에 연결부(423)를 형성하여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을 접합한다. 상기 이격된 곳에 연결부(423)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자빔(EBS : Electron Beam Processing System)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은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의 봉제를 배제하고 전자빔 조사 또는 가열에 의해서만 연결부(423)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접합부(300)를 작동시켜서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 일부 및 상기 이격된 곳에 상기 전자빔을 조사한다. 이로 인해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 일부의 고무에 반가류(Semi Cure)가 진행되어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 사이에 연결부(42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을 오버랩시키지 않고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양단(421,422)을 접합하여, 응력집중으로 인한 내구력 저하 및 유니포미티 R.F.V , L.F.V 발생을 줄이며, 벌지, 덴트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이 반가류(semi cure)되어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의 정확성과 속도가 증가되고, 공정 자동화로 작업자의 피로도 또한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부(423)는 외주면(상면)이 근접한 다른 부분보다 움푹 들어가게 형성되어, 연결부(423)의 외경은 바디플라이(420)의 다른 부분의 외경보다 미세하게 작지만 균일한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단계에서 이격거리(d)가 상기 정해진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접합부(300)를 작동시키지 않고 작업자에게 불량이 발생했음을 알린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절단 길이에 관여하는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바디플라이 반제품(420)의 길이를 보정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20 : 바디플라이 반제품
40 : 덴트 불량
60 : 사이드 월
100 : 지지부재 200 : 성형드럼
300 : 접합부 421, 422 : 양단
423 : 연결부 410 : 이너 라이너

Claims (11)

  1.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이격되도록 성형드럼에 권취시키는 귄취단계;
    상기 이격된 곳에 연결부를 형성하여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을 접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단계 이전에 상기 성형드럼에 이너 라이너를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바디플라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 이전에, 권취된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는지 감지하는 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이 정해진 범위만큼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접합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은 최소 1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접합방법.
  8.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바디플라이 반제품이 권취되는 성형드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의 이격된 곳에 연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외경은 상기 바디플라이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라이 반제품의 양단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접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KR1020150077245A 2015-06-01 2015-06-01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KR101691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45A KR101691920B1 (ko) 2015-06-01 2015-06-01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245A KR101691920B1 (ko) 2015-06-01 2015-06-01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00A true KR20160141900A (ko) 2016-12-12
KR101691920B1 KR101691920B1 (ko) 2017-01-03

Family

ID=5757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245A KR101691920B1 (ko) 2015-06-01 2015-06-01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92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560A (ko) 1996-02-05 1997-09-12 남일 바디플라이의 접합구조를 개선한 공기입 타이어
JP2006224184A (ja) * 2005-02-21 2006-08-31 Toyota Motor Corp 突き合わせレーザ溶接方法及び突き合わせレーザ溶接装置
KR20070025086A (ko) 2005-08-31 2007-03-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바디플라이반제품 오버랩량 자동제어장치가 구비된 성형드럼장치
KR20100030689A (ko) 2008-09-11 2010-03-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덴트 또는 벌지의 발생이 감소하는 공기입 타이어
KR20100095993A (ko) * 2009-02-23 2010-09-0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카카스 플라이 접합용 장치
JP2013015455A (ja) * 2011-07-05 2013-01-24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状部材の巻き付け状態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1342777B1 (ko) 2012-11-01 2013-12-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바디플라이 접합구조
KR101390806B1 (ko) 2012-06-25 2014-05-0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그린 케이스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케이스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560A (ko) 1996-02-05 1997-09-12 남일 바디플라이의 접합구조를 개선한 공기입 타이어
JP2006224184A (ja) * 2005-02-21 2006-08-31 Toyota Motor Corp 突き合わせレーザ溶接方法及び突き合わせレーザ溶接装置
KR20070025086A (ko) 2005-08-31 2007-03-0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바디플라이반제품 오버랩량 자동제어장치가 구비된 성형드럼장치
KR20100030689A (ko) 2008-09-11 2010-03-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덴트 또는 벌지의 발생이 감소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0980166B1 (ko) * 2008-09-11 2010-09-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덴트 또는 벌지의 발생이 감소하는 공기입 타이어
KR20100095993A (ko) * 2009-02-23 2010-09-0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카카스 플라이 접합용 장치
JP2013015455A (ja) * 2011-07-05 2013-01-24 Toyo Tire & Rubber Co Ltd シート状部材の巻き付け状態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1390806B1 (ko) 2012-06-25 2014-05-0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그린 케이스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케이스 성형 방법
KR101342777B1 (ko) 2012-11-01 2013-12-1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바디플라이 접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920B1 (ko) 201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6647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04514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cylindrical member
US10042349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component of a tyre for vehicle wheels
US2012029830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tyre and apparatus for laying a reinforcing element on a forming support
KR100427155B1 (ko) 타이어콤포넌트의조립체로부터타이어용라미네이트를성형하고카커스를형성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20210138748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ire
KR101691920B1 (ko)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방법 및 바디플라이 반제품 접합장치
KR102177566B1 (ko) 성형드럼 상에 타이어 부품의 부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기기
US1131869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ir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ire component
KR101974052B1 (ko) 타이어 성형 장치 및 방법
WO1997022463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 laminate and forming a carcass subassembly for a tire from unreinforced tire components
JP7172613B2 (ja) タイヤ用帯状部材の製造方法
US1134510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ire component and manufacturing device of tire component
WO2013001922A1 (ja) タイヤ及びビード部材の製造方法
EP3766679B1 (en) Edge dete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pneumatic tire
KR101629196B1 (ko) 타이어용 반제품 압연물 시트의 접합장치
KR100451969B1 (ko) 타이어 성형기의 반제품 센터유지장치
US20220063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adial force during tire building
KR101645637B1 (ko) 센터링 이탈 검출 장치
JP2022072334A (ja) タイヤの製造方法
KR101867175B1 (ko) 타이어 반제품의 결함 감지 방법 및 장치
JP2023100323A (ja) サイドウォール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135560B1 (ko) 자동차용 타이어 성형장치
KR100898626B1 (ko) 카카스 재료 공급설비의 장력 조절장치
JP2021160213A (ja) 生タイヤの一次成形体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