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639A - 이동식 샤워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샤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639A
KR20160141639A KR1020150103885A KR20150103885A KR20160141639A KR 20160141639 A KR20160141639 A KR 20160141639A KR 1020150103885 A KR1020150103885 A KR 1020150103885A KR 20150103885 A KR20150103885 A KR 20150103885A KR 20160141639 A KR20160141639 A KR 2016014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tewater
transfer line
main body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관
Original Assignee
한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관 filed Critical 한영관
Publication of KR2016014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한 샤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가 주입되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매트; 공기 및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매트로부터 유입된 세정폐수를 저장하는 폐수통 및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매트와 본체부 사이에서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 이송 라인,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폐수통으로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 및 상기 본체부로 세정수를 이송하는 세정수 이송 라인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함으로써, 편의성, 경제성, 세신을 받는 자의 인간 존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샤워 장치 {MOVING SHOWER APPARATUS}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의 샤워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신을 하기 위해서는 욕실이나 욕조 등의 장치가 필요하며, 직접 세신을 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야 한다.
한편, 환자, 장애인, 노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은 하루 중 대부분을 침상에 누워서 생활한다. 이들이 세신 장소로 이동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될 수 있고, 세신을 받는 사람이 이동 중 부상을 당할 위험도 있으며, 세신 과정에서도 많은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 10-0844443호는 침대 매트리스 상부에 올려지는 사각 형태로 된 풀을 구비하고, 상기 사각 풀의 각 모서리에는 설치공을 갖는 연결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침대 프레임 상에 수직 입설된 고정대와 밴드에 의해 결합하여 고정되게 함으로서, 환자가 침상에서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 매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하더라도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샤워를 하기 위한 급수량, 수온, 수압의 조절과 세정폐수의 후처리 등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0844443호
본 발명은 세신을 받는 자가 세신을 위해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아도 세신이 가능한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조작만으로 세정수의 수온, 수압, 공기의 출입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샤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공기가 주입되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매트;
공기 및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매트로부터 유입된 세정폐수를 저장하는 폐수통 및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매트와 본체부 사이에서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 이송 라인,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폐수통으로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 및 상기 본체부로 세정수를 이송하는 세정수 이송 라인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2.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수 이송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3.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4.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5.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6.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공기 이송 라인의 일단부와 연결된 공기 펌프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7. 위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의 출입과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폐수 이송 라인은 배수구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의 말단에는 배수 유지 홀더가 접속되며,
상기 배수 유지 홀더는,
일단은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 흡입구를 구비한 세정폐수 유도관,
상기 세정폐수 유도관의 주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9. 위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배수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세정폐수 이송라인은 상기 매트의 벽체로 정의되는 매트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라인의 말단에는 배수 유지 홀더가 접속되며,
상기 배수 유지 홀더는,
일단은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 흡입구를 구비한 세정폐수 유도관,
상기 세정폐수 유도관의 주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10. 위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폐수 흡입구가 형성되는 세정폐수 유도관의 말단에 세정폐수의 유입 경로를 확보하는 홈부를 더 구비하는, 샤워 장치.
11. 위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각각의 이송 라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 장치.
12. 위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부는 분리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샤워 장치.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내부공간 사이에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 연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연통부는 상기 벽체형성부의 내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벽체 접합부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14. 위 13에 있어서, 상기 벽체 접합부의 접합면과 평행한 단면 형상은 각진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는, 샤워 장치.
15. 위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폐수 이송 라인의 일단부와 연결된 세정폐수 펌프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샤워 장치는, 세신을 위한 일체의 샤워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 장치의 본체부는, 세신을 받는 자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 장치에 의하면 세신을 받는 자가 거동이 불편하더라도 세신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매트에 누워서 세신을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세신을 받는 자의 인간 존엄성, 편의성, 경제성 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 장치의 매트는, 공기가 유출된 수축상태로 바닥에 놓여 깔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는 세정수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는 세정수의 상태 및 매트에 출입되는 공기의 유출입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공기가 주입되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2) 및 배수구(8)를 포함하는 매트; 공기 및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2), 상기 매트(1)로부터 유입된 세정폐수를 저장하는 폐수통(34) 및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샤워기(36)를 포함하는 본체부(30); 상기 매트(1)와 본체부(30) 사이에서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 이송 라인(20a), 상기 배수구(8)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폐수통(34)으로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및 상기 본체부(30)로 세정수를 이송하는 세정수 이송 라인(20c)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본체부(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40);를 포함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자 등이 세신을 위한 특정 장소로 이동함이 없이 세신을 위한 일체의 샤워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샤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매트(1)>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트(1)는 공기가 주입되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2) 및 배수구(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체형성부(2)는, 그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부풀어 오름으로써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정폐수가 매트(1) 이외의 공간으로 유출되지 않고, 배수구(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형상, 높이, 배치 등은 샤워기(36)로 유출된 세정수 및 세정폐수가 매트(1) 이외의 공간 상으로 흘러 유출되지 않는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형성부(2)는 내부공간(4)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내부공간(4)이 분리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내부공간(4)은 공기 유출입에 따라 팽창, 수축할 수 있다.
분리된 내부공간(4)이 다양하게 배치됨으로써, 벽체형성부(2)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예정되는 벽체형성부(2)의 형상을 제조 시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부공간(4)이 분리된다는 것은 분리된 내부공간(4) 상호 간에 공기의 유통이 없는 경우, 또는 분리된 내부공간(4) 사이에 일부 연통된 부분인 공기 연통부(9)를 포함함으로써 이를 통해 내부공간(4) 사이의 공기 유통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벽체형성부(2)의 내부공간(4)이 분리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수 개의 별도로 마련된 튜브가 결합됨으로써 벽체형성부(2)가 형성되는 방법, 하나의 튜브의 내부 중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는 구획부(7)를 가짐으로써 내부공간(4)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되는 내부공간(4)이, 매트(1)의 바닥면이 지면에 접했을 경우를 기준으로, 상하 2단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단으로 형성하지 않은 경우 보다 적은 양의 공기 유입으로 벽체의 지지력이 향상된 벽체형성부(2)를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형성부(2)는 공기 유입구(3)를 밀봉할 수 있는 공기 유입구 마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후술할 벽체형성부(2)와 연결되는 공기 이송 라인(20a)의 일단과 내부공간(4)가 연결됨으로써 벽체형성부(2)가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아니라도, 공기 유입구 마개를 사용함으로써 벽체형성부(2)가 밀봉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 마개의 소재, 형상, 모양 등은 마개를 사용하여 공기 유입구(3)를 밀봉함으로써 벽체형성부(2)에 유입된 공기가 공기 유입구(3)를 통해 유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면 당 분야에 공지된 마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플라스틱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기 유입구(3)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2이상일 경우 공기 유입구 마개 및 공기 이송 라인(20a)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들이 그에 상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내부공간(4)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라도 공기 유입구(3)는 분리된 수보다 적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공기 유입구(3)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으나,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연통부(9)는 벽체형성부(2)의 내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벽체 접합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체 접합부(5)는 벽체형성부(2)에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견디어 벽체형성부(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그 형상이나 형성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형성부(2)의 일부를 공기가 유입된 벽체형성부(2)의 측면 투시 방향으로 원형 등 곡면을 가진 도형 형상이 되도록 접합함으로써, 벽체 접합부(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벽체 접합부(5)의 접합면과 평행한 단면 형상은 각진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만, 원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이 균등하게 벽체 접합부(5)에 분산되고, 더불어, 내부공간(4)의 분리에 따른 벽체형성부(2)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분리된 내부공간(4)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인 공기 연통부(9)가 넓게 형성될 수 있어 공기 연통부(9)를 통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만약, 벽체 접합부(5)가 부존재할 경우에는 공기압이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 접합 또는 구획 부분에 압력이 집중됨으로써 벽체형성부(2)가 파손될 수 있고, 벽체 접합부(5)의 형상이 각진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공기압이 각진 부분에 작용되어 벽체형성부(2)가 파손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공기압을 견디어 벽체형성부(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 접합부(5)를 공기 연통부(9)에 형성시킴으로써 공기 유입구(3)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부공간(4)이 두 부분인 경우라도 공기 유입구(3)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벽체형성부(2)의 소재는 공기를 가둘 수 있는 소재이면 당 분야에 공지된 소재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벽체형성부(2)는 그 내부에 벽체 형성 시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재의 소재, 형상, 배치 등은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1)는 필요에 따라, 방수층(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물이 매트(1) 내부로 침투하거나 통과하여 매트(1)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6)에 적용되는 방수 방법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수 방법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밀도 직물에 의한 방법으로서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이용한 방법, 후가공에 의한 방법으로서 코팅이나 필름 라미네이팅을 이용한 방법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밀도 직물에 의한 방법과 관련하여 천연섬유는 면, 합성섬유는 분할복합섬유, 직방식섬유, 일반섬유일 수 있다. 한편, 후가공에 의한 방법과 관련하여 코팅은 우레탄계수지, 아크릴계수지, 실리콘계, 필름 라미네이팅은 불소계수지, 우레탄수지, 폴리에스테르계수지에 의할 수 있으며, 이는 미다공질, 무공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1)는 배수구(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8)는 세정폐수를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으로 보낼 수 있는 것이라면 개수, 형상 위치 등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매트(1)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매트(1)는 배수구(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 배수 유지 홀더(80, 도 5)의 폐수 흡입구(87, 이하 후술)를 통해 세정 폐수가 배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매트(1)는 매트(1)에 물을 가둘 수 있도록 배수구 덮개(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머리카락과 같은 물 이외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거름망(57, 도 5)이 배수구(8) 또는 폐수 흡입구(87, 도 5) 주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송부는 본체부(30)와 매트(1) 사이에 포함되는 공기 이송 라인(20a)과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및 본체부(30)와 수원(水源, water source, 미도시) 사이에 포함되는 세정수 이송 라인(20c)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송부는 각각의 이송 라인은 2 이상의 연결된 부재로 형성되거나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이송 라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이송 라인(20a)은 그 일단은 공기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벽체형성부(2)에 연결되어, 공기 펌프에 의해 매트(1)의 벽체형성부(2)로 공기가 이송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공기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공기 펌프는 공기 이송 라인(20a)의 일부에 양압 또는 음압을 발생시켜 공기가 공기 이송 라인(20a)을 통해 매트(1)의 벽체형성부(2)로 이송 또는 역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은 그 일단은 배수구(8)와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30)에 연결되어, 매트(1) 위를 흐르던 세정폐수가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을 통해 폐수통(34)으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의 타단은 세정폐수가 폐수통(34)에 이송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으면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그 타단이 폐수통(34)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도 1)도 2 이상의 연결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워 장치는 세정폐수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세정폐수 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 때는 예를 들어,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도 1)도 2 이상의 연결된 부재로 형성된 경우로서, 세정폐수 펌프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도 1) 중 한 연결부재의 일단이 배수구(8, 도 1), 타단이 세정폐수 펌프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부재의 일단이 세정폐수 펌프, 타단이 본체부(30)에 연결되어, 매트(1) 위를 흐르던 세정폐수가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도 1)을 통해 폐수통(34, 동 1)으로 유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은 배수구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의 말단에는 배수 유지 홀더(80)가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은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배수 유지 홀더(80)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유지 홀더(80)는, 일단은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도 4)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 흡입구(87)를 구비한 세정폐수 유도관(83), 세정폐수 유도관(83)의 주위를 감싸는 몸체부(81), 및 몸체부(81)에서 돌출된 스페이서(8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폐수 유도관(83)은 세정폐수가 폐수 흡입구(87)로부터 배수 유지 홀더(80)를 지나 세정폐수 이송 라인(20a, 도 4)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소재 및 형상 등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그 일단은 세정폐수 이송 라인(20a, 도 4)의 끝단과 연결되고, 그 타단은 폐수 흡입구(87)를 포함할 수 있다.
폐수 흡입구(87)는 세정폐수가 세정폐수 유도관(83)으로 유입되는 초입으로서, 그 크기, 형상, 소재는 배수 시 폐수 흡입구(87)의 배수 기능을 원활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홈부(89, 후술)를 제외한 폐수 흡입구(87)의 각 지점이 하나의 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정폐수 흡입 효과가 좋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흡입구(87)가 형성되는 세정폐수 유도관(83)의 말단에는 세정폐수의 유입 경로를 확보하는 홈부(8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폐수 흡입구(87)는 배수 유지 홀더(80)의 바닥면보다는 돌출되는 것이 세정폐수의 흡입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홈부(89)는 세정폐수가 유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패인 형상으로 폐수 흡입구(87)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폐수 흡입구(87)가 매트(1)의 표면과 가까워지거나 밀착되더라도 홈부(89)로 세정폐수가 흐를 수 있어, 배수 경로가 확보될 수 있다.
몸체부(81)는 세정폐수 유도관(83)을 감싸면서 고정하는 것으로서, 세정폐수 유도관(83)의 전체를 감싸는 것뿐만 아니라 일부만을 감싸는 것도 포함한다.
몸체부(81)는 세정폐수의 수면과 폐수 흡입구(87)가 매트의 바닥면을 바라보면서 수평 또는 수평에 유사하도록 유지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매트(1) 바닥면에 고인 세정폐수가 폐수 흡입구(87)를 통해 세정폐수 유도관(83)으로 잘 흡입되어 배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81)의 크기, 형상, 소재는 배수 시 폐수 흡입구(87)를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그 무게는 배수 시 수압의 작용이나 의도하지 않은 기타 외력의 작용에도 폐수 흡입구(87)가 매트(1)의 바닥면을 바라보면서 세정폐수의 수면과 수평 또는 수평에 유사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무게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85)는,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폐수 흡입구(87)의 주변에 구비되어 폐수 흡입구(87)와 매트(1)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크기, 형상, 소재는 배수 시 폐수 흡입구(87)를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요철 구조로서 매트와 닿는 폐수 흡입구(87)의 주변의 몸체부(8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세정폐수의 배수 시, 세정폐수의 유출로 인한 음압 또는 세정폐수 펌프의 흡입력 등에 의해 폐수 흡입구(87) 주위가 매트(1)의 바닥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어, 배수 시 세정폐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스페이서(85)가 폐수 흡입구(87)와 매트(1)가 이격되도록 유지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6의 (b)를 참조하면, 매트(1)는 배수구(8)를 구비하지 않고,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은 매트(1)의 벽체로 정의되는 매트(1)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의 말단에는 전술한 배수 유지 홀더(80)가 접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이 매트(1)의 벽체 위를 넘어 위치되고 그 말단에 연결된 배수 유지 홀더(80)가 매트 바닥면에 닿도록 배치되어 세정 폐수를 배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 상에 세정폐수 펌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소재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수 이송 라인(20c)은 그 일단은 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30) 또는 샤워기(36)에 연결되어, 세정수가 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정수 이송 라인(20c)을 통해 본체부(30)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이송 라인들은 각 체결부를 통해 본체부(30), 매트(1), 수원(미도시)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의 체결 방식은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이송 라인의 일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각 대응되는 체결부에 소켓이 형성되거나, 그 반대로 형성되어 각각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이송 라인이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본체부(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제어부(32), 폐수통(34) 및 샤워기(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들이 하나의 케이스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로 각각 존재할 수도 있다.
제어부(32)는 매트(1)의 벽체형성부(2)와 공기 펌프 사이에 공기가 이송되도록 공기 펌프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벽체의 형성이 제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2)는, 벽체형성부(2) 내의 공기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2)는 센서가 체크한 공기 압력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벽체형성부(2) 내의 적정 공기 압력 수치 범위 미만인 경우는 공기 유입 신호, 이내인 경우는 공기 유출입 중지 신호, 초과인 경우는 공기 유출 신호를 공기 펌프에 보낼 수 있다.
벽체형성부(2) 내의 적정 공기 압력의 수치 범위는 벽체형성부(2)의 소재에 따라 별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기압 초과의 범위 중에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는 배수구(8)로 유출되는 세정폐수가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을 통해 이송되도록 세정폐수 펌프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정폐수 이송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샤워기(36)를 통한 세정수의 유출 여부, 압력 및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출 및 상기 압력의 제어는 세정수 본체 유입구의 크기 조절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의 조절은 밸브(미도시) 등을 통해 가능하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의 제어 방법은 수온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면 당 분야에 공지된 제어 방법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온수 및 냉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방법, 가열 수단(미도시)이나 냉각 수단(미도시)의 직접 접촉에 의해 조절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2)는, 세정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세정수 이송 라인, 본체부, 저장부 등 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마련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세정수 이송라인 또는 샤워기 라인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2)는 온도센서가 측정한 수온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적정 온도 수치 범위 미만인 경우는 온수의 비율을 늘이거나, 가열 수단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가열 수단에 발신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적정 온도 수치 범위 이상인 경우는 냉수의 비율을 늘이거나, 냉각 수단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냉각 수단에 발신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적정 온도 수치 범위는 세신을 받는 자의 상태, 계절, 세신 장소의 온도 등에 따라 자유로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제어부를 조작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폐수통(34)은 세정폐수 이송 라인(20b)을 통해 유출되는 세정폐수를 모을 수 있다. 폐수통(34)은 손잡이(53)를 구비하여 본체부(3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별도로 폐수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폐수구(미도시) 및 마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폐수통(34)의 형상, 배치 등은 세정폐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대로 직접 세정폐수 이송라인과 연결될 수도 있다.
세정수를 외부로 유출하는 샤워기(36)는 샤워기 헤드 및 샤워기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샤워기 라인은 세정수 이송 라인(20c)의 일단, 본체부(30) 또는 하기 저장부(5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샤워기(36)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본체부(30)에 구비될 수 있는 샤워기 걸이(38)에 의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저장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는 세정수 이송 라인(20c)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를 샤워기(36)로 유출되기 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로써, 세정수의 온도 조절이 용이할 수 있으며, 수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 세정수 이송 라인(20c)이 닿을 수 없는 곳에서도 세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일면에 손잡이(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의 측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사람의 손이 닿는 곳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3)의 형상도 인력이 본체부(3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본체부(30)의 이동부(40)를 통한 이동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청정한 물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세신을 받는 자가 환자인 경우 병환의 개선에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30)는 상기 공기의 출입과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동부(40)>
본 발명은 본체부(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40)의 형상은 바퀴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베어링 형상 등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샤워 장치는, 세신을 받는 자가 공공 수용시설 등에서 세신을 하게 되는 경우 자신이 머무는 자리에서 세신이 가능하게 하므로, 이들이 세신 장소로 이동하는 부담, 세신을 받는 사람이 이동 중 부상을 당할 위험 및 세신 과정에서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에 자신의 신체가 노출되지 않아, 다른 수용된 자와의 관계 등에서 수치심 발생을 줄이고 자존감을 보전할 수 있고, 세신을 하는 자(요양사, 간병인 등)의 노동의 양적 부담, 내지 이들에 대한 고용료 등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할 수 있다.
1 : 매트
2 : 벽체형성부
3 : 공기 유입구
4 : 내부공간
5 : 벽체 접합부
6 : 방수층
7 : 구획부
8 : 배수구
9 : 공기 연통부
10 : 배수구 덮개
20a : 공기 이송 라인
20b : 세정폐수 이송 라인
20c : 세정수 이송 라인
30 : 본체부
32 : 제어부
34 : 폐수통
36 : 샤워기
38 : 샤워기 걸이
40 : 이동부
53 : 손잡이
55 : 수납함
57 : 거름망
61 : 상태표시창
80 : 배수 유지 홀더
81 : 몸체부
83 : 세정폐수 유도관
85 : 스페이서
87 : 폐수 흡입구
89 : 홈부

Claims (15)

  1. 공기가 주입되면 벽체를 형성하는 벽체형성부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매트;
    공기 및 세정수의 흐름과 세정수의 온도 및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매트로부터 유입된 세정폐수를 저장하는 폐수통 및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매트와 본체부 사이에서 공기를 이송하는 공기 이송 라인, 상기 배수구에서 배출된 세정폐수를 폐수통으로 이송하는 세정폐수 이송 라인 및 상기 본체부로 세정수를 이송하는 세정수 이송 라인을 포함하는 이송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수 이송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세정수를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공기 이송 라인의 일단부와 연결된 공기 펌프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공기의 출입과 상기 세정수의 온도 또는 압력의 상태표시를 위한 상태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폐수 이송 라인은 배수구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의 말단에는 배수 유지 홀더가 접속되며,
    상기 배수 유지 홀더는,
    일단은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 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 흡입구를 구비한 세정폐수 유도관,
    상기 세정폐수 유도관의 주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배수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세정폐수 이송라인은 상기 매트의 벽체로 정의되는 매트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라인의 말단에는 배수 유지 홀더가 접속되며,
    상기 배수 유지 홀더는,
    일단은 상기 연장된 세정폐수 이송라인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수 흡입구를 구비한 세정폐수 유도관,
    상기 세정폐수 유도관의 주위를 감싸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돌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10. 청구항 8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폐수 흡입구가 형성되는 세정폐수 유도관의 말단에 세정폐수의 유입 경로를 확보하는 홈부를 더 구비하는, 샤워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각각의 이송 라인은 서로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샤워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벽체형성부는 분리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샤워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내부공간 사이에 공기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 연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연통부는 상기 벽체형성부의 내면 중의 적어도 일부가 접합되어 형성되는 벽체 접합부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벽체 접합부의 접합면과 평행한 단면 형상은 각진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는, 샤워 장치.
  15. 청구항 1 또는 9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세정폐수 이송 라인의 일단부와 연결된 세정폐수 펌프를 더 포함하는, 샤워 장치.
KR1020150103885A 2015-06-01 2015-07-22 이동식 샤워 장치 KR20160141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7230 2015-06-01
KR1020150077230 2015-06-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39A true KR20160141639A (ko) 2016-12-09

Family

ID=575747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885A KR20160141639A (ko) 2015-06-01 2015-07-22 이동식 샤워 장치
KR1020150146628A KR101789059B1 (ko) 2015-06-01 2015-10-21 이동식 샤워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628A KR101789059B1 (ko) 2015-06-01 2015-10-21 이동식 샤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1416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10U (ko) 2019-01-23 2020-07-31 한영관 환자용 간이 욕조
CN113712753A (zh) * 2021-09-27 2021-11-30 南通市肿瘤医院 用于胃肠外科临床的清创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22Y1 (ko) * 2017-07-19 2019-05-31 한영관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KR20190052370A (ko) 2017-11-08 2019-05-1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침대 및 욕조 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2139574B1 (ko) * 2019-02-21 2020-07-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버블 및 초음파 발생이 가능한 욕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43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샤워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662A (ja) * 1999-07-30 2001-02-13 Achilles Corp 簡易浴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43B1 (ko) 2007-04-27 2008-07-07 주식회사 해피베드 환자용 침대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샤워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10U (ko) 2019-01-23 2020-07-31 한영관 환자용 간이 욕조
CN113712753A (zh) * 2021-09-27 2021-11-30 南通市肿瘤医院 用于胃肠外科临床的清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059B1 (ko) 2017-11-15
KR20160141643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1639A (ko) 이동식 샤워 장치
US7047577B1 (en) Portable shower stall for invalids
US20120233761A1 (en) Automatic wheelchair-type feces cleaner without need of undressing and dressing
US20060282944A1 (en) Smart bath
US9066632B2 (en) Portable walk-in bathtub
WO2007005539A2 (en) Portable self-contained bowel lavage system
RU2483701C2 (ru) Санитарно-гигиен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варианты)
JPS63257524A (ja) シャワーと浴槽
CN106691274A (zh) 一种洗澡器
KR20170141574A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US20100162479A1 (en) Portable Hair-Washing Apparatus
JP5807265B2 (ja) マットレス内収納のオムツ着脱式トイレ装置。
KR102459924B1 (ko) 이동식 샤워장치
EP2213271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washing of a bedridden person
KR200489322Y1 (ko) 이동식 샤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샤워장치 시스템
CN201414739Y (zh) 一种沐浴设备
KR20110005350A (ko) 안전 샴푸기
US11877966B2 (en) Personal hygienic shower,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4398334B (zh) 一种大小便自动处理设备的便器
KR20150019824A (ko) 간병용 침대
CN214963183U (zh) 一种危重患者床上洗头盆
CN218075519U (zh) 一种具有洗浴功能的床
US11419402B2 (en) Device for hair washing
JP6533993B1 (ja) 簡易入浴装置
KR20160089642A (ko) 실버 요양 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