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589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589A
KR20160140589A KR1020167020560A KR20167020560A KR20160140589A KR 20160140589 A KR20160140589 A KR 20160140589A KR 1020167020560 A KR1020167020560 A KR 1020167020560A KR 20167020560 A KR20167020560 A KR 20167020560A KR 20160140589 A KR20160140589 A KR 2016014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engine
shield plate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930B1 (ko
Inventor
요시아키 쿠로카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엔진룸 프레임을 보다 견뢰한 구조로 하면서,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가온을 방지시킨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5)과, 엔진(5) 상부에 배치되어 엔진(5)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224)와, 엔진(5) 공랭용의 냉각 팬(206)을 구비한다. 엔진(5)의 전면측에 냉각 팬(206)을 배치함과 아울러 그 냉각 팬(206)을 덮는 팬 슈라우드(234)를 주행 기체(2)에 고착하고 있다. 엔진(5)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보닛(6) 배면에 배치하고, 보닛 실드판(244)을 주행 기체(2)에 고착시킨다.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ING VEHICLE}
본원 발명은 농작업용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 휠 로더라고 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요즘 디젤 엔진에 관한 고차원의 배기가스 규제가 적용됨에 따라 디젤 엔진이 탑재되는 농작업기, 건설기계, 선박 등에 배기가스 중의 대기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라고 하는 후처리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트랙터 등의 종래의 작업 차량 중에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탑재할 때 보닛 아래의 엔진룸 안에 디젤 엔진과 함께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저류되는 연료 탱크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그 한 쌍의 연료 탱크를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을 회피해서 차체의 좌우로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특허공개 2013-11669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0-042779호 공보
그런데, 상술의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을 트랙터와 같은 작업 차량에 적용할 때에는 한정된 좁은 탑재 스페이스 내에 디젤 엔진 및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터나 배터리,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 관련의 전자부품이라고 하는 여러가지 부품을 채워넣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작업 차량의 탑재 스페이스 내에서는 구동하는 디젤 엔진의 발열에 의해 디젤 엔진 자체뿐만 아니라 배기가스 정화장치도 상당히 고온이 된다. 그 때문에 디젤 엔진이나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로부터의 발열의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엔진룸 내의 온도 조정이 필요하게 되고, 적절한 배치 구조나 냉각 구조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엔진룸 후방에 배치되는 운전석에의 가열을 저감시키지 않으면 오퍼레이터의 거주성이 나빠진다. 또한,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도 제한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 전체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형상에 따라서는 오퍼레이터의 승강의 방해도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 상황을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와, 상기 엔진 공랭용의 냉각 팬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전면측에 상기 냉각 팬을 배치함과 아울러 그 냉각 팬을 덮는 팬 슈라우드를 상기 주행 기체에 고착하고, 상기 냉각 팬, 상기 엔진 및 상기 후처리장치를 보닛으로 덮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을 상기 보닛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보닛 실드판을 상기 주행 기체에 고착시킴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을 상기 팬 슈라우드 및 상기 보닛 실드판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보 프레임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고착된 차열판을 갖고 있고, 그 차열판이 상기 보닛 아래에서 상기 후처리장치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상면측을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시키고, 상기 엔진의 상부측에 상기 후처리장치를 탑재하고, 상기 보닛 상면 경사부의 후방 내부에 상기 후처리장치를 위치시킨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원 발명에 의하면 주행 기체에서 안정 지지된 팬 슈라우드 및 보닛 실드판을 한 쌍의 보 프레임에 의해 가설시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의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보 프레임을 가설하도록 차열판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차열판에 의해 보 프레임을 보강하고, 엔진룸 프레임을 보다 견뢰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후처리장치와 보닛 사이에 차열판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보닛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조종 좌석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종 좌석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엔진이나 후처리장치의 배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쾌적하게 조종가능해진다.
또한, 보닛 상면 경사부의 후방 내부에 후처리장치를 위치시킴으로써 보닛 내에 후처리장치 수용용의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열판과 보닛 사이에 단열층이 되는 공간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장치 주변의 환경을 고온으로 하는 한편 엔진룸 외측에의 열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기 ?문에 보냇 내의 히트 밸런스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랙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랙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트랙터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주행 기체의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주행 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좌측면 설명도이다.
도 7은 주행 기체를 좌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의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우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트랙터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트랙터의 평면 확대도이다.
도 13은 트랙터의 좌측면 확대도이다.
도 14는 캐빈측으로부터 본 보닛 배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주행 기체를 우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좌측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엔진룸 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우측 경사 전방으로부터 본 엔진룸 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연료 탱크 주위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 확대도이다.
도 19는 보닛의 좌측면도이다.
도 20은 보닛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보닛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보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23은 보닛의 배면도이다.
도 24는 보닛의 저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작업 차량인 트랙터를 예로 들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도 1~도 11을 참조하면서 트랙터(1)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 전차륜(3)과 같이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한다)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그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원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외측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로부터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앞범퍼(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전차축(16)을 회전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 전차륜(3)를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히 변속해서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저면시 직사각형 프레임판 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누어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서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해 후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고 하는 작업기를 승강동시키는 유압식 승강기구(22)를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 쌍의 로어 링크(23) 및 탑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기구를 통해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 축(25)을 뒤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되는 엔진 출력축(도시 생략)에는 플라이 휠(26)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단에 자재축(自在軸) 이음을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해 플라이 휠(26)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전면측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도 1, 도 7 및 도 10 참조).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기구에 의해 적당히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기구를 통해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전면 하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해 전륜용 차동 기어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뒤쪽으로 돌출된 전차륜 전달축(도시 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기구를 경유해서 좌우 전차륜(3)에 전달된다.
이어서,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캐빈(7) 내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스티어링 칼럼(32)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은 캐빈(7) 내부의 전면측에 배치한 대시보드(33)의 배면측에 매설하는 상태로 입설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핸들축의 상단측에 평면시 대략 원형의 조종 핸들(9)을 부착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우측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를 최상승 위치나 최하강 위치에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원터치 승강 레버(34)와, 주행 기체(2)를 제동 조작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페달(35)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측에는 주행 기체(2)의 진행방향을 전진과 후진으로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리버서 레버)와, 동력 계단(繼斷)용 클러치(도시생략)을 차단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37)을 배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칼럼(32)의 좌측에서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의 하방에는 전후진 스위칭 레버(36)를 따라 연장되는 오조작 방지체(38)(리버서 가드)를 배치하고 있다. 접촉 방지구인 오조작 방지체(38)를 전후진 스위칭 레버(36)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트랙터(1)에 승강할 때에 오퍼레이터가 전후진 스위칭 레버(36)에 부주의하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시보드(33)의 배면 상부측에는 액정 패널을 내장한 조작 표시반(39)을 설치하고 있다.
캐빈(7) 내에 있는 조종 좌석(8) 전방의 바닥판(40)에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32)의 우측에는 엔진(5)의 회전속도 또는 차속을 제어하는 액셀 페달(41)을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바닥판(40) 상면의 대략 전체는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을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칼럼(42)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좌 사이드 칼럼(42) 사이에는 좌우 양 후차륜(4)을 제동 상태로 유지하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43)와, 트랙터(1)의 주행속도(차속)를 강제적으로 대폭 저감시키는 초저속 레버(44)(크리프 레버)와, 미션 케이스(17) 내의 주행 부변속 기어기구의 출력 범위를 스위칭하기 위한 부변속 레버(45)와, PTO 축(25)의 구동속도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PTO 변속 레버(46)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하방에는 좌우 양 후차륜(4)의 차동 구동을 온 오프하기 위한 디퍼런셜 록 페달(47)을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의 후방 좌측에는 PTO 축(25)을 역전 구동시키는 조작을 실행하는 역전 PTO 레버(48)를 배치하고 있다.
조종 좌석(8)과 조종 좌석(8)과 좌 사이드 칼럼(42) 사이에는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팔이나 팔꿈치를 얹기 위한 암 레스트(49)를 설치하고 있다. 암 레스트(49)는 조종 좌석(8)과는 별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트랙터(1)의 주행속도를 증감속시키는 주변속 레버(50)와, 로터리 경운기라고 하는 작업기의 높이 위치를 수동으로 변경 조절하는 다이얼식의 작업부 포지션 다이얼(51)(승강 다이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암 레스트(49)는 후단 하부를 지점으로 해서 복수 단계로 뛰어올라 회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 사이드 칼럼(42)에는 전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엔진(5)의 회전속도를 설정 유지하는 스로틀 레버(52)와, PTO 축(25)로부터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의 동력 전달을 계단 조작하는 PTO 클러치 스위치(53)와, 미션 케이스(17)의 상면측에 배치하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서브컨트롤 밸브, 도시 생략)를 스위칭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유압 조작 레버(54)(SCV 레버)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 외부 인출 밸브는 트랙터(1)에 후부착되는 프론트 로더라고 하는 별도의 작업기에 작동유를 공급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외부 인출 밸브의 수(4련)에 맞춰 유압 조작 레버(54)를 4개 배치하고 있다.
디젤 엔진(5)은 엔진 출력축과 피스톤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 상에 실린더 헤드를 탑재하고 있고, 실린더 헤드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203)를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헤드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204)를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을 따르는 양측면에 흡기 매니폴드(203)와 배기 매니폴드(204)를 나누어 배치한다. 디젤 엔진(5)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 전면에 냉각 팬(206)을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블록 후면에 플라이 휠(26)을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과 교차하는 양측면에 플라이 휠(26)과 냉각 팬(206)을 나누어 배치한다.
디젤 엔진(5)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207)와, 인젝터에 연료를 압송하는 원통 형상의 커먼레일(208)과, 연료 탱크(11)로부터의 연료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209)와, 흡기 매니폴드(203)와 연결한 EGR 장치(210)를 그 우측면에 구비한다. 연료 탱크(11)의 연료는 연료 압송 펌프(213)에 의해 연료 필터(209)를 통해 연료 공급 펌프(207)에 공급된 후, 연료 공급 펌프(207)로부터 커먼레일(208)로 압송된다. 따라서, 고압의 연료가 커먼레일(208)에 축적되기 때문에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레일(208)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로부터 엔진(5)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디젤 엔진(5)은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 과급기(211)와,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냉각해서 EGR 장치(210)에 재순환시키는 EGR 쿨러(212)를 그 좌측면에 구비한다. 터보 과급기(211)는 블로어 휠을 내장한 컴프레서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컴프레서 케이스의 흡기 취입측을 흡입관(222)을 통해 에어클리너(221)의 흡기 배출측과 접속하는 한편 컴프레서 케이스의 흡기 배출측을 흡기 중계관(흡기 상류측)(223)과 접속한다. 터보 과급기(211)는 터빈 휠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터빈 케이스의 배기 취입측을 배기 매니폴드(204)의 배기가스 출구와 연결하는 한편 터빈 케이스의 흡기 배출측을 후처리장치인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의 배기가스 입구와 연결한다.
디젤 엔진(5)은 양측면에 나누어 배치한 EGR 쿨러(212)와 EGR 장치(210)를 환류 관로로서 엔진(5) 후면(플라이 휠(26)측)을 우회시킨 재순환 배기가스관으로 접속한다. EGR 장치(210)는 엔진(5) 우측방에 있어서 전방(냉각 팬(206)측)으로 연장된 흡기 중계관(흡기 하류측)(225)과 접속하고 있다. 흡기 중계관(223, 225)은 각각 디젤 엔진(5) 양측면에 나누어 배치되어 있고, 디젤 엔진(5) 전방의 틀 프레임(226) 내에 설치되는 인터쿨러(도시 생략)에 접속하도록 디젤 엔진(5)의 전방 상측을 향해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를 틀 프레임(226) 전면 상측에 배치하고, 에어클리너(221)와 접속하는 흡입관(222)이 틀 프레임(226) 상방을 걸치도록 해서 디젤 엔진(5) 좌측면 후방에 연장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에어클리너(221)에 흡입된 신기(외부 공기)는 에어클리너(221)에서 제진·정화된 후, 흡입관(222)을 통해 터보 과급기(211)의 컴프레서 케이스에 흡인된다. 터보 과급기(211)의 컴프레서 케이스에서 압축된 가압 신기는 흡기 중계관(223, 225) 및 인터쿨러를 통해 EGR 장치(210)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한편,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EGR 쿨러(212)에서 냉각된 후, 재순환 배기가스관을 통해 EGR 장치(210)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EGR 장치(210)는 터보 과급기(211)로부터의 가압 신기와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EGR 가스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 가스를 흡기 매니폴드(203)에 공급한다. 즉, 디젤 엔진(5)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204)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흡기 매니폴드(203)에 환류됨으로써 고부하 운전 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하고, 디젤 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 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하게 된다.
디젤 엔진(5)은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장치(224)(DPF)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에 의해 엔진(5)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이 제거됨과 아울러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된다. 디젤 엔진(5)의 상면측 중 배기 매니폴드(204)의 상방에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는 디젤 엔진(5)의 출력축(크랭크축)과 평행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의 전후양측(배기가스 이동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배기가스 입구와 배기가스 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는 그 길이방향 일단측(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입구를 설치하고 있고, 그 배기가스 입구를 터보 과급기(21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의 배기가스 배출측과 연결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는 그 길이 방향 타단측(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출구를 설치하고 있고, 그 배기가스 출구를 배기관(227)과 연결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에 있어서 배기가스 입구가 하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는 한편 배기가스 출구가 우측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전방 좌측으로부터 후방 우측을 향해 디젤 엔진(5) 상방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디젤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와 배기관(227)을 디젤 엔진(5)의 출력축과 평행해지도록 해서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장치(224)가 디젤 엔진(5) 상면의 좌측을 덮는 한편 배기관(227)이 디젤 엔진(5) 상면의 우측을 덮도록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및 배기관(227)을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의 배기측과 접속하는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후방 우측에 입설한 사복(蛇腹)관(228)을 통해 테일 파이프(229)와 접속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설치시킴과 아울러 캐빈(7)의 하측에서 디젤 엔진(5)을 향해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있다. 테일 파이프(229)는 하방의 굴곡 부분이 기체 프레임(15) 상방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그 상단 부분 이외를 차열판(230)으로 덮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어서, 도 12~도 17을 참조하면서 보닛(6) 아래의 엔진룸 프레임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보닛(6)은 전방부 하측에 프론트 그릴(231)을 형성해서 엔진룸 전방을 덮는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해서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즉, 보닛(6) 및 엔진 커버(232)에 의해 디젤 엔진(5)의 전방, 상방 및 좌우를 덮고 있다.
엔진 프레임(14) 전측 부분 상방을 덮도록 프레임 저판(233)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및 앞범퍼(12)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가설시키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부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저판(233) 상에 입설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 팬(206)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어 라디에이터(235)와 냉각 팬(206)을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의 전면측에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틀 프레임(226)을 프레임판(233) 상에 입설시키고 있다.
틀 프레임(226)은 후면을 라디에이터(235)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 및 좌우 측면이 메쉬 형상의 판재로 덮여 있다. 그리고, 틀 프레임(226) 내에는 상기 인터쿨러 외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 등이 설치된다. 틀 프레임(226)의 전면의 상방 위치에는 에어클리너(221)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그릴(231)로부터 흡인된 냉각 공기가 프론트 그릴(231) 후방의 틀 프레임(226)을 향해 흐르기 때문에 에어클리너(221)를 냉강함과 아울러 틀 프레임(226) 내의 인터쿨러나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를 냉각한다. 또한, 틀 프레임(226)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라디에이터(235)에 전방으로부터의 냉각 공기가 도달함으로써 디젤 엔진(5)에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한 냉각 효과를 높인다.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은 지지용 보 프레임(236)에 의해 바닥판(40)의 전방 하측이 연결되어 있다. 지지용 보 프레임(236)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각각과 볼트 체결해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을 가설하고 있고, 그 상면에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지지 프레임(237)은 그 하단면을 지지용 보 프레임(236)의 상면과 볼트 체결함으로써 지지용 보 프레임(236)과 함께 디젤 엔진(5)의 플라이 휠(26)을 둘러싸는 형상이 된다.
디젤 엔진(5)은 그 좌우 측면 하측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도시 생략)를 방진 고무(239)를 갖는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와 연결하고 있다. 디젤 엔진(5)은 후면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도시 생략)를 방진 고무(241)를 갖는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과 연결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 외측에 기관 다리체(238)를 볼트 체결해서 디젤 엔진(5)을 엔진 프레임(14)으로 협지하고, 디젤 엔진(5) 전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디젤 엔진(5)의 후면을 지지용 보 프레임(236), 엔진 지지 프레임(237), 및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에 연결해서 기체 프레임(15) 전단에서 디젤 엔진(5) 후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좌우의 전방부 방진 고무(239)와, 좌우의 후방부 방진 고무(241)에 의해 디젤 엔진(5)이 주행 기체(2)에 지지되게 된다.
좌우 한 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이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서 기관 다리체(240)를 좌우로부터 끼우도록 입설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좌측 지주 프레임(242)이 기관 다리체(240)의 좌측 후방 위치에서 입설되고, 우측 지주 프레임(242)이 기관 다리체(240)의 우측 전방 위치에서 입설된다. 보닛(6)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차폐판)(244)이 그 하부 가장자리를 기관 다리체(240) 상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좌우 한 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보닛 실드판(244)은 평면시에서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보닛 실드판(244)은 좌측 지주 프레임(242)의 외측(좌측)으로부터 우측방향을 향해 프론트 유리(321) 전방면과 대략 평행하게 확장되는 후방 실드면(245)과, 후방 실드면(245)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전측방향을 향해 굴곡시킨 측방 실드면(246)과, 측방 실드면(245)의 전측 가장자리에서 우측 방향을 향해 굴곡시켜 우측 지주 프레임(243)과 접속되는 접속면(247)으로 구성된다. 후방 실드면(245)은 좌측 지주 프레임(242)과 접속함과 아울러 그 좌측 가장자리를 좌측 지주 프레임(242)보다 외측(좌측)으로 돌출시킨 형상이 되고, 프론트 유리(321) 전방면으로부터 이간되어 배치된다. 측방 실드면(246)은 기관 다리체(240) 상면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면(247)은 그 우측 가장자리를 우측 지주 프레임(243) 전방면에 일치시켜 배치하도록 해서 우측 지주 프레임(243)과 연결하고 있다.
보닛(6) 내측에 있어서 보닛(6) 배면측에 보닛 실드판(244)을 배치해서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및 배기관(227)의 배면을 덮는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측 지주 프레임(242)의 좌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적어도 디젤 엔진(5)의 좌측(배기 매니폴드(204)측) 배면을 덮는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 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에 양측 가장자리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디젤 엔진(5) 배면 전체를 덮는다. 그리고, 보닛(6) 배면측에 있어서 보닛 실드판(244) 우측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영역에 배기관(227)과 접속된 사복관(228) 및 테일 파이프(229)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보닛(6)의 배면을 보닛 실드판(244)으로 덮음으로써 보닛(6)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되어 캐빈(7)측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 내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디젤 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의 배열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쾌적하게 조종가능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을 캐빈(7) 전방면으로부터 이간시켜 배치함으로써 보닛(6) 후방에 배치되는 캐빈(7)과 보닛 실드판(244)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은 후방 실드면(245)에 소정 주기의 요철을 형성하고 있고, 보닛(6) 아래의 엔진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차단한다. 보닛 실드판(244)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의 디젤 엔진(5)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보닛 실드판(244)의 요철에 의해 감쇠시켜 캐빈(7) 내로의 소음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다. 좌측 보 프레임(248)의 일단(후단)이 보닛 실드판(244)의 후방 실드면(245)을 통해 좌측 지주 프레임(242)과 연결되어 있다. 좌측 보 프레임(248)보다 짧은 우측 보 프레임(249)의 일단(후단)이 보닛 실드판(244)의 접속면(247)을 통해 우측 지주 프레임(243)과 연결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 각각의 타단이 팬 슈라우드(234)의 상방 후면과 연결되어 있다. 주행 기체(2)에서 안정 지지시킨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을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에 의해 가설시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의 부재가 일체적으로 되어 전체로서 견뢰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에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고착된 차열판(250)을 갖고 있다. 차열판(250)은 보닛(6) 아래에서 보 프레임(248, 249)의 중도부로부터 후방을 덮도록 해서 보 프레임(248, 249)을 가설하고 있다. 차열판(250)은 디젤 엔진(5) 상측의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및 배기관(227)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 프레임(248, 249)을 가설하도록 차열판(250)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차열판(250)에 의해 보 프레임(248, 249)을 보강하고, 엔진룸 프레임을 보다 견뢰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및 배기관(227)과 보닛(6)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디젤 엔진(5) 상부에 탑재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를 보닛(6) 후방 내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보닛(6)과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상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및 디젤 엔진(5)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과 차열판(25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해서 차열판(250) 하측의 엔진룸 내를 외기로부터 단열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를 고온 환경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열판(250)에 추가하여 보닛(6) 배면측에 배치해서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를 배면으로부터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구비하고 있다. 보닛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차열판(250)과 함께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 됨으로써 캐빈(7) 내가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과 차열판(250) 사이에 간격을 둠으로써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에 열기가 가득 차기 어렵게 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자체나 보닛(6) 등에 대한 열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디젤 엔진(5)과, 디젤 엔진(5) 상부에 배치되어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와, 디젤 엔진(5)의 공랭용 냉각 팬(206)을 구비한다. 디젤 엔진(5)의 전면측에 냉각 팬(206)을 배치함과 아울러 냉각 팬(206)을 덮는 팬 슈라우드(234)를 주행 기체(2)에 고착하고, 냉각 팬(206), 디젤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를 보닛(6)으로 덮는다. 디젤 엔진(5)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보닛(6) 배면에 배치하고, 보닛 실드판(244)을 주행 기체(2)에 고착시킨다.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다.
프론트 유리(321)의 수적을 제거하는 와이퍼(251)가 프론트 유리(321)에 피버팅하고 있다. 와이퍼(251)는 프론트 유리(321)을 통해 캐빈(7) 내부에 구동축(252)을 삽입시키고 있고, 구동축(252)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한다. 와이퍼(251)의 구동축(252)은 그 전방을 보닛 실드판(244)의 후방 실드면(245)으로 덮여 있다. 즉, 정면시에 있어서 주행 기체(2)에 탑재한 캐빈(7)의 전면을 덮는 프론트 유리(321)를 닦아 내는 와이퍼(251)의 구동축(252)을 보닛(6)의 상면 후방부로 덮는다. 이것에 의해 와이퍼(251)의 구동축(252)이나 와이퍼(251)의 구동기구에 빗물이 직접 쏟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유리(321)의 일부에 관통 구멍(253)을 형성하고 있고, 캐빈(7) 내부에서 지지되고 있는 유압 펌프(254)를 관통 구멍(253)으로부터 캐빈(7) 외부로 돌출시키고 있다. 관통 구멍(253)은 보닛 실드판(244)의 접속면(247)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 펌프(254)를 관통 구멍(253)으로부터 캐빈(7) 외부로 돌출시켜 배치할 때, 보닛 실드판(244)과의 완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유압 펌프(254)의 전면이 덮여지기 때문에 보닛(6) 내의 엔진룸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가온이 방지된다.
보닛(6) 후방을 회동 지지하기 위해 보닛 실드판(244) 전면 상부 가장자리에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설치하고 있다. 보닛 지지 브래킷(251)은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보닛 실드판(244)의 후방 실드면(245) 및 측방 실드면(246)에 고정시키고 있다. 즉,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그 배면을 후방 실드면(245)에 접속시킴과 아울러 그 우측 가장자리측에서 굴곡시킨 측면을 측방 실드면(246)에 접속시킨다. 또한, 보닛 지지 브래킷(255) 상단에는 보닛(6)과 접촉해서 지지함과 아울러 회동하는 힌지부(263)(도 23 및 도 24 참조)를 갖고 있다.
보닛(6) 하방에 있어서의 차열판(250)의 좌우 양측에 신축가능한 가스 스프링(256, 25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은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248, 249) 각각의 후단측에 피버팅하고 있고,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타단(전단)은 보닛(6) 상부 내측면에 피버팅하고 있다. 따라서, 보닛(6)의 전방부를 들어올림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상단 위치를 축지점으로서 보닛(6)을 개동(開動)시키고, 디젤 엔진(5)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보닛(6)은 도 19~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중앙 위치에 프론트 그릴(231)을 구비하고 있고, 프론트 그릴(231)의 좌우 양측에 프론트 라이트(257, 258)를 상하에 배치하고 있다. 보닛(6) 상측의 천정부(259)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천정부(259)의 후방 하측의 공간이 넓어져 보닛(6) 내부의 엔진룸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를 수용하는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닛(6)은 양측면 전방에 개구 구멍(268)을 갖고 있고, 보닛(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냉각풍을 개구 구멍(268)을 통해 받아들인다.
배기가스 정화장치(224) 상측을 덮는 차열판(250)과 보닛(6)의 천정부(259)를 충분히 이간시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엔진룸 내의 히트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 전면 중앙의 넓은 영역에 냉각풍 취입용의 프론트 그릴(231)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 내에 적당히 냉각풍을 공급할 수 있고, 보닛(6) 내에 있어서의 열 축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 양측면에도 개구 구멍(268)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의 냉각 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보닛(6)의 좌우 후방 하측의 넓은 영역에 전체면에 펀치 구멍을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디젤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엔진 커버(232)의 상단 위치를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의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닛(6)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장치(224)의 보온 효과를 높이고, 고온에서의 재생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보닛(6)의 천정부(259)는 그 후측 가장자리에 노치부(260)를 설치한 형상을 갖고 있고, 노치부(260) 후방에 와이퍼(251)의 구동축(252)에 배치함으로써 보닛(6) 정면시에서 구동축(252)을 보닛(6)의 천정부(259) 후방부로 덮는다. 보닛(6)은 천정부(259) 이면에 대해 천정부(259) 후방부측을 좌우방향으로 가설하는 후방부 프레임틀(261)과, 천정부(259) 중도부를 좌우방향으로 가설하는 중도부 프레임틀(262)을 고착시키고 있다.
천정부(259) 이면측에 있어서 후방부 프레임틀(261)의 중앙 위치에는 보닛 지지 브래킷(255)의 힌지부(263)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외감(外嵌)시키는 레일 부재(지지 부재)(26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천정부(259) 이면측에는 힌지부(263) 후단의 좌측이 되는 위치에 보닛 실드판(244)의 후방 실드면(245) 상측을 연장시키는 실드판(266)을 설치함과 아울러 레일 부재(지지 부재)(264) 후단의 우측이 되는 위치에 보닛 실드판(244)의 접속면(246)을 연장시키는 실드판(267)을 설치하고 또한 중도부 프레임틀(262)의 좌우 양측에는 축(265)을 설치하고 있고, 가스 스프링(256)의 타단(전단)에 피버팅하고 있다.
도 11~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1)는 캐빈(7)의 바닥판(40) 하측에서 좌우 한 쌍의 스텝(10) 및 후차륜(4)보다 내측(기체 프레임(11)측)에 배치된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는 한 쌍의 기체 프레임(14)을 사이에 두도록 좌우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 탱크(11L)는 전방 부분이 좌측 기체 프레임(14)과 좌측 스텝(1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후방 부분이 좌측 기체 프레임(14)과 좌측 후차륜(4)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탱크(11R)는 전방 부분이 우측 기체 프레임(14)과 우측 스텝(1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후방 부분이 우측 기체 프레임(14)과 우측 후차륜(4) 사이에 배치된다. 한 쌍의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는 서로 용량이 다른 것이며, 그 하방을 연료 연통관(281)으로 연통시키고 있는 한편 그 상방을 공기 연통관(282)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용량이 큰 좌측 탱크(11L)는 캐빈(7) 전방에서 좌측 스텝(10) 전측을 덮는 형상을 갖고 있고, 스텝(10) 전측 상면에 급유구(283)를 구비한다. 즉, 좌측 탱크(11L)는 좌측 스텝(10)의 우측 및 전측을 둘러싸도록 해서 배치하고 있다. 좌측 탱크(11L)에 설치한 급유구(283)가 좌측 스텝(10) 근방 위치에 배치되는 점에서 오퍼레이터는 좌측 스텝(10)을 올라 연료 탱크(11)에의 급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급유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11)는 스텝(10) 및 후차륜(4)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있는 점에서 기체 외측의 물체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연료 탱크(11)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용량이 작은 우측 탱크(11R)는 그 전방부에 오목부(284)를 형성하고 있고, 오목부(284) 전측에 연료 탱크(11) 내의 연료를 디젤 엔진(5)에 공급하는 연료 압송 펌프(213)를 배치하고 있다. 연료 압송 펌프(213)의 외주 및 상측을 탱크 프레임(18)으로부터 입설시킨 플레이트(285)로 덮어 연료 압송 펌프(213)를 보호하고 있다. 연료 압송 펌프(213)는 연료 압송 펌프(213)의 후방 및 상방을 덮는 플레이트(285)를 통해 우측 탱크(11R)의 오목부(284)와 연결하고 있다. 연료 압송 펌프(213)는 좌측 탱크(11L)와 접속됨과 아울러 디젤 엔진(5)의 연료 필터(209)와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용량이 큰 좌측 탱크(11L)로부터 연료 압송 펌프(213)를 통해 디젤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한다.
연료 탱크(11)는 서로 용량이 다른 한 쌍의 좌측 탱크(11L)와 우측 탱크(11R)를 주행 기체(2)의 좌우로 나누어 배치하고, 연료 연통관(281)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용량이 큰 좌측 탱크(11L)의 전방부측에 급유구(283)를 설치하고 있는 한편 용량이 작은 우측 탱크(11R)의 전방부에 오목부(284)를 설치하고, 오목부(284)에 연료 압송 펌프(213)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탱크(11L)로부터 연료 압송 펌프(213)를 통해 디젤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로 이루어지는 연료 탱크(11)를 가능한 한 대용량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료 압송 펌프(213)의 배치 장소를 디젤 엔진(5)에 가까운 곳에 확보할 수 있다.
연료 탱크(11)는 기체 프레임(15) 하측에서 좌우 바깥쪽으로 돌출된 탱크 프레임(18) 상에 재치되어 있고, 밴드(286)로 고정되어 있다. 탱크 프레임(18)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매달아 고정되어 있는 전측 보 프레임(287)과, 미션 케이스(17) 하면에 고정된 후측 보 프레임(288)과, 보 프레임(287, 288) 각각의 양단에서 고정되는 좌우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에 의해 저면시 직사각형 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는 각각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 각각의 저면 형상과 대략 동일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 재치한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 각각의 전후 2개소를 밴드(286)로 결속해서 고정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 각각에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방부를 연결한다. 양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 사이에 미션 케이스(17)를 배치하는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탱크 프레임(탱크 지지판)(18)을 전후 한 쌍의 보 프레임(287, 288)으로 연결한다. 각 보 프레임(287, 288) 각각을 양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에 하방으로부터 연결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1 트랙터 2 주행 기체
3 전차륜 4 후차륜
5 엔진 6 보닛
7 캐빈 10 스텝
11 연료 탱크 11L 좌측 연료 탱크
11R 우측 연료 탱크 12 앞범퍼
14 엔진 프레임 15 기체 프레임
26 플라이 휠 203 흡기 매니폴드
204 배기 매니폴드 206 냉각 팬
209 연료 필터 213 연료 압송 펌프
224 배기가스 정화장치 227 배기관
231 프론트 그릴 232 엔진 커버
236 지지용 보 프레임 237 엔진 지지 프레임
242 좌측 지주 프레임 243 우측 지주 프레임
244 보닛 실드판 245 후방 실드면
246 측방 실드면 247 접속면
248 보 프레임 249 보 프레임
250 차열판 251 와이퍼
252 구동축 253 관통 구멍
254 유압 펌프 255 보닛 지지 브래킷
256 가스 스프링 259 천정부
260 노치부 259 천정부
260 노치부 261 후방부 프레임틀
262 중도부 프레임틀 263 힌지부
264 지지 부재 265 축
266 실드판(좌) 267 실드판(우)
268 개구 구멍 283 급유구
284 오목부 285 플레이트

Claims (3)

  1.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장치와, 상기 엔진 공랭용의 냉각 팬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전면측에 상기 냉각 팬을 배치함과 아울러 그 냉각 팬을 덮는 팬 슈라우드를 상기 주행 기체에 고착하고, 상기 냉각 팬, 상기 엔진 및 상기 후처리장치를 보닛으로 덮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을 상기 보닛 배면에 배치하고,
    상기 보닛 실드판을 상기 주행 기체에 고착시킴과 아울러 좌우 한 쌍의 보 프레임을 상기 팬 슈라우드 및 상기 보닛 실드판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의 상기 보 프레임에 좌우 양 가장자리가 고착된 차열판을 갖고 있고, 그 차열판은 상기 보닛 아래에서 상기 후처리장치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상면측을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경사시키고,
    상기 엔진의 상부측에 상기 후처리장치를 탑재하고, 상기 보닛 상면 경사부의 후방 내부에 상기 후처리장치를 위치시키고 있는 작업 차량.
KR1020167020560A 2014-03-28 2015-03-26 작업 차량 KR102089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69484A JP6132799B2 (ja) 2014-03-28 2014-03-28 作業車両
JPJP-P-2014-069484 2014-03-28
PCT/JP2015/059518 WO2015147227A1 (ja) 2014-03-28 2015-03-26 作業車両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021A Division KR20200030621A (ko) 2014-03-28 2015-03-26 작업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589A true KR20160140589A (ko) 2016-12-07
KR102089930B1 KR102089930B1 (ko) 2020-03-17

Family

ID=541957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0560A KR102089930B1 (ko) 2014-03-28 2015-03-26 작업 차량
KR1020207007021A KR20200030621A (ko) 2014-03-28 2015-03-26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021A KR20200030621A (ko) 2014-03-28 2015-03-26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2257B2 (ko)
EP (1) EP3127786A4 (ko)
JP (1) JP6132799B2 (ko)
KR (2) KR102089930B1 (ko)
CN (1) CN106103247B (ko)
WO (1) WO2015147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552B2 (ja) * 2014-05-29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1943777B1 (ko) * 2014-10-24 2019-01-2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트랙터의 보닛
US10414266B1 (en) 2017-04-28 2019-09-17 Oshkosh Defense, Llc Vehicle cooling systems and methods
JP2019000079A (ja) * 2017-06-19 2019-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460180B1 (ja) * 2017-08-22 2019-01-3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保温構造
JP2019076033A (ja) * 2017-10-25 2019-05-2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2779A (ja) 2008-08-18 2010-02-25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0264800A (ja) * 2009-05-12 2010-11-25 Yanmar Co Ltd 農用トラクタ
JP2011047390A (ja) * 2009-08-29 2011-03-10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12201158A (ja) * 2011-03-24 2012-10-22 Kubota Corp 作業車
JP2013018325A (ja) * 2011-07-08 2013-01-31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作業車両
JP2013116692A (ja) 2011-12-05 2013-06-13 Ihi Shibaura Machinery Corp エンジン
JP2014031053A (ja) * 2012-08-01 2014-02-20 Yanmar Co Ltd 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4952A (en) * 1993-11-26 1995-11-07 Acoust-A-Fib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Shield between vehicle exhaust and passenger compartment
US6167977B1 (en) * 1999-01-15 2001-01-02 Case Corporation Easy-install, two-position tractor hood
JP2002021565A (ja) * 2000-07-11 2002-01-23 Komatsu Ltd 建設車両のエンジン囲い
DE102005058253B4 (de) * 2005-12-06 2007-10-04 Federal-Mogul Sealing Systems Gmbh Schutzschild zur thermischen und akustischen Abschirmung von Bauteilen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GB0911287D0 (en) * 2009-06-30 2009-08-12 Agco Sa Tractor cooling package
JP5911392B2 (ja) * 2012-07-20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2779A (ja) 2008-08-18 2010-02-25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0264800A (ja) * 2009-05-12 2010-11-25 Yanmar Co Ltd 農用トラクタ
JP2011047390A (ja) * 2009-08-29 2011-03-10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12201158A (ja) * 2011-03-24 2012-10-22 Kubota Corp 作業車
JP2013018325A (ja) * 2011-07-08 2013-01-31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作業車両
JP2013116692A (ja) 2011-12-05 2013-06-13 Ihi Shibaura Machinery Corp エンジン
JP2014031053A (ja) * 2012-08-01 2014-02-20 Yanmar Co Ltd 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7786A1 (en) 2017-02-08
CN106103247A (zh) 2016-11-09
CN106103247B (zh) 2019-06-21
JP2015189393A (ja) 2015-11-02
KR20200030621A (ko) 2020-03-20
US9902257B2 (en) 2018-02-27
WO2015147227A1 (ja) 2015-10-01
EP3127786A4 (en) 2018-04-11
US20170021721A1 (en) 2017-01-26
JP6132799B2 (ja) 2017-05-24
KR102089930B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0589A (ko) 작업 차량
US11155156B2 (en) Working vehicle
KR20210066946A (ko) 작업 차량
US11292335B2 (en) Working vehicle
WO2015141499A1 (ja) エンジン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定置型作業機
WO2015147232A1 (ja) 作業車両
JP6202748B2 (ja) 作業車両
JP2015189395A (ja) 作業車両
JP6295143B2 (ja) トラクタ
WO2016017607A1 (ja) 作業車両
JP6309347B2 (ja) トラクタ
JP2015223993A (ja) 作業車両
JP6353311B2 (ja) 作業車両
JP6233963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6030575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