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070A - 벨벳 전모 시스템 - Google Patents

벨벳 전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070A
KR20160140070A KR1020150076178A KR20150076178A KR20160140070A KR 20160140070 A KR20160140070 A KR 20160140070A KR 1020150076178 A KR1020150076178 A KR 1020150076178A KR 20150076178 A KR20150076178 A KR 20150076178A KR 20160140070 A KR20160140070 A KR 20160140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ll
air supply
velvet
exha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열
이광영
박경철
박휘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도벨벳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도벨벳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도벨벳
Priority to KR1020150076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0070A/ko
Publication of KR2016014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모 공정이 수행되는 전모 공정실에 설치되어 벨벳의 파일을 컷팅하는 전모기와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상기 전모기에 공급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전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벨벳 전모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모기는, 상기 벨벳의 파일을 일정길이로 컷팅하기 위한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덮는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로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전모기에 연결되는 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상기 분진을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벨벳 전모 시스템{Velvet Shearing System}
본 발명은 벨벳의 파일을 일정 길이로 컷팅하는 전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실외로 배출하고 전모 공정실의 온도/습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조 기능을 갖는 벨벳 전모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벨벳 직물 등의 파일직물은 직물의 표면에 섬유털, 즉 파일이 심어진 직물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파일직물의 일종인 벨벳직물은 이중직으로 제직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조직(바닥조직)인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파일을 컷팅함으로써 원단의 하면에 파일이 형성되도록 한 직물을 말하며, 상기 지조직은 경사(날실)와위사(씨실)가 교차되어 짜여진 구조이다.
상기 벨벳 직물은 비로드(veludo) 또는 우단(羽緞)이라고도 한다. 상기 파일직물에는 날실로 파일을 나타내는 날파일 직물과 씨실로 파일을 나타내는 씨파일 직물이 있는데, 벨벳은 날파일 직물에 속한다. 벨벳은 날실로 바탕용 날실과 파일용 날실을 사용하고, 조직은 평조직이나 능조직으로 하며, 파일용 날실로서 직물 바탕 위에 부드러운 파일이나 루프를 나타낸 직물이다.
상기 벨벳 직물 제직의 다른 방법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직(二重織)의 조직으로 베를 짠 다음 홍두깨에 감기 직전에 두 겹이 된 직물 사이를 칼(커터)로 잘라 가르면 두 장의 직물이 되고, 잘린 날실이 잔털(파일)이 되어 천의 표면 조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벨벳의 제직을 위하여 견사 외에 면사 또는 화학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을 교직(交織)하기도 한다. 날파일 직물에는 벨벳 이외에도 플러시가 있는데, 파일의 길이로 구별한다.
상기 벨벳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대표적인 예를 들면, 시폰 벨벳(chiffon velvet:가볍고 부드러운 견제품인 고급 벨벳), 레이온 벨벳(rayon velvet:파일을 짧게 하고 곧바로 세워서 파일의 감촉을 약간 뻣뻣하게 한 고급 벨벳), 브로케이드 벨벳(brocade velvet:무늬를 나타낸 벨벳) 등이 있다. 씨파일 직물은 씨실로 바탕용 씨실과 파일용 씨실을 쓰고, 파일용 씨실로서 파일을 나타내는데, 여기에는 벨베틴과 코듀로이가 있다. 벨베틴은 파일용 씨실에 면사가 쓰이기 때문에 면벨벳이라 하기도 한다. 코듀로이는 날실 방향으로 파일로 형성되는 일정한 넓이의 두둑을 나타낸 것이 특징이다.
상기 벨벳 직물은 고급스런 광택과 촉감 및 외관을 가지는데, 과거 종교적 의복에 많이 쓰였으며, 왕이나 귀족들의 의상이나 실내장식용으로 많이 쓰였다. 그리고 현재에도 벨벳은 고급직물로 취급되고 있으며, 여성 및 아동의 옷감, 모자, 실내장식, 의자덮개 등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상기 벨벳 직물은 표면의 조직감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파일에 방향성을 주어서 광택을 부여함으로써 고급스러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색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파일 길이 및 제직방법에 따라 다양한 표면 조직감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벳 직물은 번아웃(Burn-out:섬유표면을 약품처리로 태우는 것) 및 캘린더링(직물을 다림질하여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 것) 등과 같은 가공 방법을 통해서 입체적 질감을 표현할 수 있어 고급 소재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벨벳 직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와 위사로 이루어진 원단 조직에 파일을 심는 형태가 되며, 상기 파일은 V자형 조직이나 W자형 조직으로 직조될 수 있다.
상술한 형태로 제직된 벨벳 직물은 지조직에 파일이 서 있는 형태로서, 벨벳의 제직 후 전모, 전처리, 염색, 수세 및 기타 후가공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벨벳 직물 등과 같은 파일직물의 제조 공정에는 상술한 전모 공정이 포함되는데, 상기 전모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파일의 길이를 균일하게 정리함으로써 상기 파일직물의 파일 두께 즉 파일의 길이가 균일하게 맞춰진다.
상술한 전모 공정은 상판과 하판이 컷팅될 때 파일 두께가 일정한 형태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파일 두께의 균제도를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공정이다.
상기 파일 두께는 파일직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파일들이 길이가 고르지 않게 전모되어 상기 파일에 길이 편차가 발생하면, 상기 파일직물의 외관 품질이 저하된다.
한편, 상기 파일직물은 액정표시장치의 기판에 배향홈을 형성하기 위한 러빙포로 적용되기도 하는데, 상기 전모공정에서 상기 러빙포의 파일 두께가 균일하게 처리되지 못하는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되고 세로선과 같은 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생산수율이 낮아지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파일직물의 전모 공정은 전모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전모장치는 전모 커터(21a)와 전모 베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모 커터(21a)는 회전몸체(2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파일(13)들을 일정길이로 컷팅하며, 상기 전모 베드(22)는 상기 전모 커터를 지나도록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파일직물 즉 벨벳의 바닥(10)을 받쳐준다.
여기서, 상기 회전몸체(21)의 하측 즉, 상기 회전몸체(21)와 상기 전모 베드(22) 사이에는 상기 전모 커터(21a)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파일들을 일정길이로 컷팅하는 고정 나이프(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모 공정이 진행되면 상기 회전몸체(21)의 주위에 분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분진의 제거의 필요하다. 상기 분진의 강제 배출을 위해 상기 전모장치에 배기 시스템이 적용할 수 있으나, 상기 전모장치가 설치되는 공간 내부의 공기도 함께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전모 공간의 온도/습도 관리가 어려우며, 전모 공간의 온도/습도 변화는 전모 품질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균일한 품질관리가 힘들고 전모 불량을 낮추는 데에도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 전모 공간의 온도/습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전모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8871호, 2011년 5월 1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8900호, 2011년 5월 12일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모 공간의 온도/습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조 기능을 갖춘 벨벳 전모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모 공정이 수행되는 전모 공정실에 설치되어 벨벳의 파일을 컷팅하는 전모기와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상기 전모기에 공급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전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벨벳 전모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모기는, 상기 벨벳의 파일을 일정길이로 컷팅하기 위한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덮는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로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전모기에 연결되는 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상기 분진을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기관에는 공기의 강제 공급을 위한 흡입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에는 공기의 강제 배출을 위한 배기 송풍기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 커버는, 상기 배기관이 연결되는 배기 커버와 상기 급기관이 연결되는 급기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관은 상기 급기 커버의 양측에 연결되는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기관에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은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흡입해서 분진과 함께 다시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배출하므로 전모 공정실의 실내 환경 즉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은 전모 공정실이 설치되는 건물이나 공장동의 내부 공기를 공급해서 분진 제거에 사용하므로, 분진 제거와 전모 공정실의 실내 환경 유지에 보다 효과적며, 전모 공정실의 온도/습도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벨벳 전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시스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 및 중복되는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첨부된 도면들 중, 도 1은 일반적인 벨벳 전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시스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벳 전모시스템의 일 실시 예는 분진 배출을 위한 공조 기능이 구비된 장치로서, 전모 공정이 수행되는 전모 공정실(R)에 설치되어 벨벳의 파일을 컷팅하는 전모기(100)와, 상기 전모 공정실(R)의 외부에서 상기 전모기(100)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닛(200)과, 상기 전모 공정중에 상기 전모기(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공기와 함께 상기 전모 공정실(R)의 외부(실외)로 배출하는 배기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모기(100)는 벨벳의 파일을 절단해서 파일 두께를 일정하게 하는 전모 공정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벨벳의 파일을 일정길이로 컷팅하기 위한 회전 블레이드(110)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덮는 블레이드 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둘레에는 커터날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일측(하측)에는 전모 베드(130)가 구비된다. 상기 전모 베드(130)는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벨벳의 바닥면을 받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하측 즉,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와 상기 전모 베드(130) 사이에는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파일을 일정길이로 컷팅하는 고정 나이프(14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급기유닛(200)은, 상기 전모 공정실(R)의 외부 공기를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가 설치된 영역 즉 상기 블레이드 커버(12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전모기(100) 특히 상기 블레이드 커버(120)의 일측에 연결되는 급기관(21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일측에는 상기 급기관(210)의 말단을 이루는 급기구(201)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커버(120)는, 상기 배기유닛(300)이 연결되는 배기 커버(121)와 상기 급기관(210)이 연결되는 급기 커버(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급기관(210)은 상기 급기 커버(125)의 양측에 연결되는 분지관(211)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 커버(121)와 급기 커버(122)는 일체형(이음부없는 하나의 구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 커버(120) 전체 구성 중에서 급기관(210)이 연결되는 부분을 급기 커버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관(210)에는 공기의 강제 공급을 위한 송풍기(220) 즉 흡입 송풍기가 구비되며, 전모 공정실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전모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급기관(210)에는 필터(230)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관(210)의 입구는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즉 전모 공정실(R)과 구획된 공간에 배치된다. 하나의 급기유닛(200)에는 복수의 전모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닛(200)은 상기 전모 공정실(R)이 설치되는 건물이나 공장동의 외부 공기 즉 실외 공기를 상기 전모기(100)로 공급할 수도 있으나, 에너지 효율 등의 측면에서 건물이나 공장동의 내부 영역 중 상기 전모 공정실(R)과 구획된 실내 공간, 예를 들면 복도나 다른 룸(Room)의 공기를 상기 전모기(100)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급기관(210)의 입구는 상기 전모 공정실(R)이 설치되는 건물이나 공장동의 실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유닛(300)은, 상기 블레이드 커버(120)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커버(120)의 내부에서 상기 전모 공정실(R)의 외부로 상기 분진을 배출하는 배기관(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기관(310)에는 공기의 강제 배출을 위한 송풍기(320) 즉 배기 송풍기가 구비되며, 상기 배기관(310)은 상기 배기 커버(121)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기 송풍기(320)와 상기 흡입 송풍기(220)의 출력을 조절해서 상기 전모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전모기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실외 배출로 인한 전모 공정실(R)의 내부 환경 변화가 최소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벨벳 전모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모기의 삼각 베드 즉 전모 베드(130) 위를 벨벳 원단이 지나갈 때, 회전 블레이드(110)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일정 두께 만큼을 남기고 파일을 절단한다. 이때 전모 공정 중에 발생되는 분진이 상기 배기유닛(300)에 의해 블레이드 커버의 내부 공기와 함께 실외 즉 건물이나 공장동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외로 배출되는 전모 공정실의 내부 공기로 인해 전모 공간의 온도, 습도 관리가 어려워지는 점을 감안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내부 공기 만큼의 외부 공기를 공기 흐름이 발생하는 국부적인 부분 즉 블레이드 커버의 내부에 공급해 주는 장치(급기유닛; 200)를 설치하여 전모 공정실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였다.
상기 급기유닛(200)은 전모 공정 중에 전모 공정실과 구획된 공간의 공기를 전모기로 공급하며, 외부 공기는 전모기로 공급되는 도중에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전모기 110: 회전 블레이드
120: 블레이드 커버 121: 배기 커버
122: 급기 커버 130: 전모 베드
140: 고정 나이프 200: 급기유닛
210: 급기관 220: 흡입 송풍기
230: 필터 300: 배기유닛
310: 배기관 320: 배기 송풍기

Claims (5)

  1. 전모 공정이 수행되는 전모 공정실에 설치되어 벨벳의 파일을 컷팅하는 전모기와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상기 전모기에 공급하는 급기유닛과 상기 전모 공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는 벨벳 전모시스템으로서:
    상기 전모기는, 상기 벨벳의 파일을 일정길이로 컷팅하기 위한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 블레이드를 덮는 블레이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로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전모기에 연결되는 급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블레이드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전모 공정실의 외부로 상기 분진을 배출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벨벳 전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는 공기의 강제 공급을 위한 흡입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관에는 공기의 강제 배출을 위한 배기 송풍기가 구비되는 벨벳 전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커버는, 상기 배기관이 연결되는 배기 커버와 상기 급기관이 연결되는 급기 커버를 포함하는 벨벳 전모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은 상기 급기 커버의 양측에 연결되는 분지관을 포함하는 벨벳 전모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관에는 필터가 구비되는 벨벳 전모시스템.
KR1020150076178A 2015-05-29 2015-05-29 벨벳 전모 시스템 KR20160140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78A KR20160140070A (ko) 2015-05-29 2015-05-29 벨벳 전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78A KR20160140070A (ko) 2015-05-29 2015-05-29 벨벳 전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070A true KR20160140070A (ko) 2016-12-07

Family

ID=5757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178A KR20160140070A (ko) 2015-05-29 2015-05-29 벨벳 전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00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6121A (zh) * 2017-08-01 2017-11-21 湖州南浔荣伟丝织有限公司 一种可用于快速修剪线头的设备
WO2018174620A1 (ko) * 2017-03-22 2018-09-27 (주)에스엔피월드 액상 및 파우더 화장품 겸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871A (ko)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영도벨벳 러빙포 전모시스템 및 전모방법
KR20110048900A (ko)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영도벨벳 러빙포 전모시스템 및 러빙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871A (ko)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영도벨벳 러빙포 전모시스템 및 전모방법
KR20110048900A (ko)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영도벨벳 러빙포 전모시스템 및 러빙포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4620A1 (ko) * 2017-03-22 2018-09-27 (주)에스엔피월드 액상 및 파우더 화장품 겸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7798A (ko) * 2017-03-22 2018-10-04 (주)에스엔피월드 액상 및 파우더 화장품 겸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66121A (zh) * 2017-08-01 2017-11-21 湖州南浔荣伟丝织有限公司 一种可用于快速修剪线头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1196C (zh) 纺纱机的纤维束集束装置
CN112176707A (zh) 一种服装制造用纺织面料裁剪装置
CN113184593A (zh) 一种便于收卷的纺织布毛絮清洗设备
CN108708110B (zh) 一种棉麻布料染色烘干一体机
CN108532196A (zh) 一种纺织用除毛装置
KR20160140070A (ko) 벨벳 전모 시스템
CN213061413U (zh) 一种纺织面料加工用烫平装置
CN102500163A (zh) 纳米防粘过滤布
CN111979786B (zh) 一种纺织布料的制作工艺及其生产设备
CN208704305U (zh) 一种带有除尘功能的纺织面料烘干装置
CN107475852A (zh) 一种镂空织物及其生产方法
CN109267373A (zh) 一种经编面料染色工艺
CN209523021U (zh) 一种连续打底染色的高能效烘干设备
CN105908423A (zh) 一种纺织用纺织面料退浆装置
KR101538267B1 (ko) 쟈카드직물의 입체무늬 형성장치 및 입체무늬를 갖는 쟈카드직물
CN217357880U (zh) 一种纺织面料生产用印染烘干设备
CN205803859U (zh) 纺织用纺织面料退浆装置
CN105252897A (zh) 一种印花联合设备
CN212158014U (zh) 一种纺织布料的烘干装置
CN211340069U (zh) 一种纺织用自动熨烫设备
CN212611423U (zh) 一种布料拉幅装置
KR100327315B1 (ko) 버티컬 브라인더 원단 절단용 컷팅기
JP2022509566A (ja) 縦糸トランスプリント装置
CN209623294U (zh) 一种丝绸面料的烘干装置
KR101503050B1 (ko) 파일직물 전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