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989A -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989A
KR20160139989A KR1020150075997A KR20150075997A KR20160139989A KR 20160139989 A KR20160139989 A KR 20160139989A KR 1020150075997 A KR1020150075997 A KR 1020150075997A KR 20150075997 A KR20150075997 A KR 20150075997A KR 20160139989 A KR20160139989 A KR 20160139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ble
optical fiber
binder yarn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학
Original Assignee
김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학 filed Critical 김진학
Priority to KR102015007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989A/ko
Publication of KR2016013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광케이블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중심 인장선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광섬유와 개재심을 바인더사(bind thread)에 의한 바인딩(binding) 작업에 의해 일체로 묶을 수 있게 바인더사가 권취된 보빈(bobbin)을 사용하고, 상기 바인더사를 다 사용한 보빈은 케이블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보빈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을 니퍼(nipper)를 포함한 절단기구로 절개하여 잡아당기면 절개홈을 따라 균열이 형성되면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빈 외주면에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부에 바인더사가 고정되어 권취되기때문에 권취장력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The Both sides incision bobbin for optical fiber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중심 인장선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광섬유와 개재심을 바인더사(bind thread)에 의한 바인딩(binding) 작업에 의해 일체로 묶을 수 있게 바인더사가 권취된 보빈(bobbin)을 사용하고, 상기 바인더사를 다 사용한 보빈은 케이블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보빈 양측에 형성된 절개홈을 니퍼(nipper)를 포함한 절단기구로 절개하여 잡아당기면 절개홈을 따라 균열이 형성되면 절개되는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국내외적으로 랜(LAN, LOCAL AREA NETWORK)의 보급확산, 양방향통신구현, 화상통화구현 등 다양한 통신서비스에 관련된 가입자 회로망의 보급추세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 케이블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옥외에 설치되는 케이블과 옥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및 옥외와 옥내 사이에 설치되는 인입용 케이블로 크게 구분된다.
또한, 광케이블 중 옥외용 케이블은 수십 킬로미터 혹은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설치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 광케이블 시공방법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내부가 빈 관로(Pipe)를 땅속에 매설한 뒤 그 관로 속으로 케이블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관로는 그 길이가 수백 미터에서 수천 킬로미터로 매설되기도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씩 맨홀과 맨홀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로 속에는 로프를 삽입한 뒤 그 관로를 지하에 매설하고, 상기 로프 끝단에 광케이블을 연결하여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케이블을 관로 속에 설치하게 된다.
한편, 광케이블의 구조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방수 테이프와 방수 테이프의 외주면에는 알루미늄으로 테이핑 처리한 알루미늄 테이핑부와, 상기 알루미늄 테이핑부의 외주면에는 폴리에틸렌으로 피복한 외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블의 구조는 중심 인장선을 기준으로 외주면에 광섬유와 개재심이 케이블 드럼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면서 광섬유와 개재심이 풀어지지않도록 광섬유와 개재심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으로 바인더사를 바인딩하여 일체로 묶는다.
상기와 같이 중심 인장선의 외주면에 위치한 광섬유과 개재심이 풀어지지않도록 바인더사(bind thread)로 묶기 위해서는 광케이블용 바인딩 장치를 사용한다.
상기 광케이블용 바인딩 장치는 중앙에 회전공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끼움 결합되고 바인더사가 권취된 보빙(bobbin)과,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상의 커버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블에 바인더사를 길이방향으로 바인딩 작업하기 위해서는 중심 인장선과 광섬유와 개재심의 끝단을 케이블 드럼에 연결한 다음 케이블 선단으로 끼움 결합된 회전축을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보빈을 케이블에 일렬로 끼움상태에서 맨 처음 위치한 보빈을 회전축에 끼움 결합한 다음 보빈 외주면에 커버를 체결한 후, 케이블 외주면에 바인더사가 나선형으로 바인딩작업되어 케이블 드럼에 함께 권취되고, 상기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바인더사는 광섬유와 개재심이 분리 및 풀어지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바인딩 처리하여 일체로 묶는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바인더사를 광섬유와 개재심을 일체로 묶는 바인딩 과정에서 보빈에 권취된 바인더사를 다 사용하면 커버와 회전축을 보빈에서 분리한 후 케이블에서 보빈을 제거해야만 다음에 위치한 새 보빈에 회전축과 커버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다 사용한 보빈을 케이블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보빈을 절단기구를 사용하여 절개하나 보빈 두께가 균일하기 때문에 절개하기가 쉽지않다.
또한, 보빈을 절개하여도 재질 자체가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작업자가 강제로 절개된 부위를 벌려서 케이블과 분리해야함으로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고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빈 외주면에 바인더사를 권취할 때 보빈 외주면이 미끄러워 바인더사의 끝단을 고정할 수 없어 권취장력이 약해짐으로 인해 권취하는 과정에서 바인더사가 엉키거나 풀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 - 1998- 0063863호 "광케이블 분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권취된 바인더사를 다 사용한 보빈을 케이블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보빈 외주면에 바인더사를 권취할 때 처음 감기는 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권취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보빈은 좌우 양측에 절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빈 상하부 외주면에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인더사를 다 사용한 보빈은 좌우 양측으로 절개홈을 형성하여 절개홈을 따라 니퍼를 포함한 절단기구로 절개하여 잡아당기면 지관으로 이루어진 보빈은 절개홈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여 바로 절개되면서 케이블에서 분리되어 누구나 쉽게 힘을 들이지않고 다 사용한 보빈을 제거할 수 있어 새보빈으로 교체 사용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의 외주면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함으로써 바인더사를 권취를 할때 처음 감기는 부분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권취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보빈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보빈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보빈이 절개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보빈에서 바인더사가 바인딩되는 것을 보시해 보인 정면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보빈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보빈을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보빈이 절개되는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 보빈(1)은 외주면에 바인더사(10)가 권취되어 광케이블에서 케이블(11)을 생산하는 공정중 중심 인장선(9)을 기준으로 외주면에 광섬유(7)와 개재심(8)이 케이블 드럼(12)에 권취할 때 광섬유(7)와 개재심(8)이 풀어지지 않도록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바인더사(10)를 감아서 일체로 묶을 때 사용한다.
따라서 지관으로 이루어진 보빈(1)은 바인더사(10)를 다 사용한 후 케이블(1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절개홈(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빈(1)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균일하지않고 두께를 얇은 절개홈(2)을 형성하여 니퍼와 같은 절단기구에 의해 쉽게 균열이 발생하여 절개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절개홈(2)에 절단기구를 사용하여 일부를 절개한 다음 절개 부위를 잡아당기면 절개홈(2)을 통해 균열이 생기면서 갈라져 절개되어 힘을 들이지않고 케이블(1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보빈(1)은 지관으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좌우 양측을 칼로 가압하여 칼자국을 형성함으로써 절개홈(2)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보빈(1)에서 절개홈(2)이 형성된 좌우 양측을 제외한 상하부 외주면 일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접착부(3)를 부착한다.
상기 접착부(3)는 바인더사(10)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빈(1)에 바인더사(10)를 권취할 때 처음 감기는 부분이 접착부(3)에 접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되어 권취장력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 보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보빈에서 바인더사가 바인딩되는 것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한편, 케이블(11)의 외주면에 바인더사(10)를 나선형으로 접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광케이블용 바인딩 장치(13)는 케이블(11)이 삽입되는 회전축(4)과, 바인더사(10)가 권취된 보빙(1)과, 원통형상의 커버(6)가 결합된다.
따라서 케이블(11)에 바인더사(10)를 길이방향으로 접착하기 위해서는 중심 인장선(9)과 광섬유(7)와 개재심(8)의 끝단을 케이블 드럼(12)에 연결한 다음 중심 인장선(9)과 광섬유(7)와 개재심(8)으로 회전축(4)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4)의 다음에는 다수개의 보빈(1)이 중심 인장선(9)과 광섬유(7), 개재심(8)이 삽입되어 일렬로 위치한 상태에서 맨 처음 위치한 보빈(1)을 회전축(4)에 끼움 결합한 다음 보빈(1) 외주면에 커버(6)를 체결한 다음 중심 인장선(9)과 광섬유(7)와 개재심(8)이 케이블 드럼(12)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외주면에 바인더사(10)가 나선형으로 접착되며 케이블 드럼(12)에 함께 권취되면서 광섬유(7)와 개재심(8)이 분리 및 풀어지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바인딩하여 일체로 묶는다.
또한, 바인더사(10)를 다 사용한 보빈(1)은 절단기구를 통해 절개홈(2)을 절개한 다음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절개홈(2)을 따라 갈라지면 절개되어 케이블(11)에서 분리되면, 회전축(4)은 새 보빈에 결합하여 바인딩 작업을 계속 진행한다.
1: 보빈 2: 절개홈
3: 접착부 4: 회전축
5: 회전공 6: 커버
7: 광섬유 8: 개재심
9: 중심 인장선 10: 바인더사
11: 케이블 12: 케이블 드럼
13: 광케이블용 바인딩장치

Claims (3)

  1. 바인더사가 권취되는 광케이블용 보빈에 있어서,
    지관으로 이루어진 보빈(1)은 좌우 양측으로 절개홈(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의 상하부 외주면에는 접착부(3)가 부착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3)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KR1020150075997A 2015-05-29 2015-05-29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KR20160139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97A KR20160139989A (ko) 2015-05-29 2015-05-29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997A KR20160139989A (ko) 2015-05-29 2015-05-29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89A true KR20160139989A (ko) 2016-12-07

Family

ID=5757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997A KR20160139989A (ko) 2015-05-29 2015-05-29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98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63A (ko) 1996-12-06 1998-10-07 이도이찌로 지문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63A (ko) 1996-12-06 1998-10-07 이도이찌로 지문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45266U (zh) 电力电缆、牵引至光纤安装管或导管中的光纤装置以及混合缆线
JP6766085B2 (ja)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を複数のユーザー住戸に提供するための、集合住宅における光ファイバー束の敷設
US20170353017A1 (en) Pulling device attachment
TW200900772A (en) Optical cable
TW202127081A (zh) 光纖電纜的芯露出方法及光纖電纜
KR20160139989A (ko) 광케이블용 양면 절개 보빈
JP5200094B2 (ja) 光ファイバユニット、光ファイバユニット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ユニットを用いた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
JP5546412B2 (ja) 光ケーブル
WO2023079932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敷設方法
US3087216A (en) Utility cable splice cover
JP462420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457055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WO2022264523A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AU2013375737B2 (en) Cable connection casing
JP6340110B1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製造方法
US11768344B2 (en) Cable wiring method
TWI818525B (zh) 光纖纜線及光纖纜線製造方法
KR101713980B1 (ko) I 볼트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지지선 결속방법
JP2008216787A (ja) 光ケーブル
US11391903B2 (en) Blocking an optical fiber in a fiber optic cable
JP5480759B2 (ja) 光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光ファイバ再接続方法
KR830000729Y1 (ko) 유리 섬유등의 권취관
JP2009080347A (ja) 光ケーブルの布設方法
JP2009080346A (ja) 光ケーブル
JP2008268461A (ja) 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