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868A -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 Google Patents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868A
KR20160139868A KR1020150075710A KR20150075710A KR20160139868A KR 20160139868 A KR20160139868 A KR 20160139868A KR 1020150075710 A KR1020150075710 A KR 1020150075710A KR 20150075710 A KR20150075710 A KR 20150075710A KR 20160139868 A KR20160139868 A KR 20160139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facility
point
cylindrical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144B1 (ko
Inventor
길승환
Original Assignee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드벤처닷케이알(주) filed Critical 어드벤처닷케이알(주)
Priority to KR102015007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1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시설물 내부에 채광성을 높여 내부 습기를 줄이고 슬라이딩되어지는 속도가 향상되면서 발생 가능한 곰팡이 등의 세균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억제하며, 개폐가능한 유지보수용 윈도우를 추가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시설물의 내부 안전점검 및 유지보수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개폐식 시건장치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각종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을 연결하는 통신장치와 감지센서로 인해 체험자끼리 충돌하게되는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출발관제를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체험자가 슬라이딩 시설물과 직접적으로 마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및 각종 신체에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THE TUBULAR SLIDING FACILITY AND A VERSATILE ACCESS WINDOWS WITH SAFETY EQUIPMENTS}
본 발명은 상층에서 하층으로 형성된 빗면을 따라 내려가는 원통형의 슬라이딩 시설물에 채광창과 유지보수창을 형성하여, 채광 및 슬라이딩 시설물에 대한 중간점검과 유지보수를 원활하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출발구간과 도착구간에 안전관제 장치를 형성하여 체험자끼리 충돌하게 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시설물은 시설물의 길이가 길고 짧음이나 설치지역 및 지역문화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지만,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이동할 때에 원통형 파이프 형태의 빗면 시설물을 형성한 후 시설물이 외부충격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부구조를 지상에 고정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대부분의 슬라이딩 시설물은 PE재질(Polyethylene)로 형성된 플라스틱 튜브나 FRP(Fiber Reinforced Plastics)을 기본 소재로 한 것들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소재의 단점으로는 햇빛에 오랫동안 노출되어지면 모양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색상이 바래며, 하중을 많이 받게 되는 지점은 마모 및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벌어지거나 찢어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체험자가 안전하게 슬라이딩 시설물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시설물은 각 원통이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볼트로 체결되어지기 때문에, 볼트주변에서부터 크랙이 발생하거나 찢어져 체험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은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개폐가능한 밀폐형 문이 없기 때문에 빗물, 눈, 야생동물의 유입으로 인해 내부 청결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시설물을 이용하는 체험자를 통제할 수 있는 통제수단이 없어 체험자간 충돌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내부면과 체험자의 신체가 서로 마찰되어 체험자의 피부에 화상이 발생하게되는 문제점 또한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체험자가 안전하고 청결한 환경에서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된 원통형의 슬라이드 시설물을 통하여 체험자가 안전하게 슬라이딩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설물의 내구성이 변하지 않으며 슬라이딩 시설물 내부 환경을 청결하고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되어지는 슬라이딩 시설물의 내부 환경을 청결상태로 유지하며 체험자간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슬라이딩 시설물과 체험자의 신체가 마찰로 인해 화상사고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은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 시설물이 체험되어지기 위한 슬라이딩 출발부(10)와, 일측단부는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에 연결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낮은 지점에 자유단부로 형성되어지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빗면으로 형성되어지는 원통형 형상의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일측단부부터 타측단부까지 연속되어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며 출발신호가 제어되어지기 위한 안전제어 장치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는 복수층으로 형성되어지며, 체험자가 상층으로 이동되어지기 위해 각 층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지는 계단부와, 체험자가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부를 포함하는 것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 부(2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체험자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어지는 미끄럼부(21)와,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내부가 밀폐되어지는 시건장치부(22)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원통형 형상의 굴곡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는 유지보수 윈도우부(23)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원통형 형상의 굴곡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는 채광용 윈도우부(24)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지보수 윈도우부(23)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지며 개폐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개폐되어지며 비상시에는 체험자가 슬라이딩 시설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탈출가능하도록 비상구 기능으로 수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전제어 장치부(30)는 대기 및 출발신호가 점멸되어 표시되어지는 출발표시부(31)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형성되어 체험자의 움짐임이 감지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가 상호연결되어지는 통신관부(33)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감지센서부(32)에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면 출발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출발표시부(31)에 출발표시가 점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감지센서부(32)에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면 출발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시건장치부(22)가 자동으로 개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부(32)의 오작동 및 훼손됨에 따른 작동불능상태가 방지되어지기 위해 앞뒤 1m간격으로 이격되어 백업용 감지센서부가 추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험자의 신체부위가 상기 미끄럼부(21)와 직접 마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구부(40)가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은 각 슬라이드 연결부를 전체 용접한 후에 용접부위에 발생되어진 요철을 슬라이드의 면과 동일화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면과 체험자의 피부가 마찰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출발 및 도착 지점의 원활한 통제가 가능하여 체험자끼리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슬라이딩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시설물 내부에 채광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 조명의 확보 및 습기제거와 곰팡이 억제가 가능하여 내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시설물의 해체 없이 손쉽게 시설물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출발지점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A지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B지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C지점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안전 장구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의 전체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되어지는 슬라이딩 시설물의 내부 환경을 청결상태로 유지하며 체험자간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슬라이딩 시설물과 체험자의 신체가 마찰로 인해 화상사고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은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 시설물이 체험되어지기 위한 슬라이딩 출발부(10)와, 일측단부는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에 연결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낮은 지점에 자유단부로 형성되어지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빗면으로 형성되어지는 원통형 형상의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일측단부부터 타측단부까지 연속되어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며 출발신호가 제어되어지기 위한 안전제어 장치부(30)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요소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출발부(10)의 사시부분을 도시한 도면으로,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출발부(10)는 지대가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는 체험자가 높은 지점으로 이동되어지기 위하여 복수층으로 형성되어지며, 각 층에는 소정의 위치에 계단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이동되어지기가 원활하다. 또한 체험자가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에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둘레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난간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계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가 설치되어지는 장소가 협소할 시에는 사다리로 대체되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이동수단으로 대체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에 형성되어진 슬라이딩부(20)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일측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의 최상층에 형성되어지며, 타측단부는 지대가 낮은 지점에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0)는 원통형 형상되어지며, 체험자가 높은 지점에서부터 낮은 지점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어지며 신체와 접촉되어도록 미끄럼부(2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는 슬라이딩부(20)의 내부가 외부의 오염물질로부터 오염되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지기 위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가능하게 내부가 밀폐되어지는 시건장치부(22)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20)는 블록단위의 스테인레스로 형성되어지며 각 슬라이딩부(20)가 서로 결합되어질 때, 결합되어지는 이음새 연결부위는 볼트로 체결되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용접처리되어 요철이 발생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B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중단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원통형 형상의 국곡면과 동일하도록 유지보수 윈도우부(23)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유지보수 윈도우부(23)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딩부(2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어진다. 또한 시설관리자가 원하게 시설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개폐되어진다.
한편 상기 유지보수 윈도우부(23)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불특정 간격으로 배치되어지는 것이 배제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딩부(2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어진다. 또한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내에서 외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불투명 또는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개폐되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시설물 내부에 체험자가 고립될 경우,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가 개폐되어 신속한 구조와 비상상황발생에 따른 대처를 가능하게 하도록 비상구 기능이 수행되어진다.
한편 상기 유지보수 윈도우부(23)는 일반적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등간격 배치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불특정 간격으로 배치되어지는 것이 배제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C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도착지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슬라이딩 시설물에는 안전제어 장치부(30)가 형성되어지며 대기 및 출발신호가 불빛으로 점멸되어 표시되어지는 출발표시부(31)가 슬라이딩 출발부(10)에 형성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는 체험자가 통과되어지는 움짐임이 감지되어지도록 감지센서부(32)가 형성되어지며,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가 상호연결되어지도록 통신관부(33)가 추가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통신관부(33)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되어지며, 일반적으로는 슬라이딩부(20)의 양측면에 원형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상하측면에 형성되어지거나 다른 형상의 중공관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에서 체험자가 통과되어지는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면 이를 감지신호로 전환하게 되며, 상기 감지신호를 통신관부(33)를 통하여 출발지점에 형성된 출발표시부(31)에 전달하게 되어진다.
상기 출발표시부(31)에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되어지면 출발표시가 점등되어지게 되며 이를 인식한 체험자가 슬라이딩 시설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체험자끼리 출동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에서 체험자가 통과되어지는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면 이를 감지신호로 전환하게 되며, 상기 감지신호를 통신관부(33)를 통하여 출발지점에 형성된 시선장치부(22)를 자동으로 개방하게 되어 체험자가 슬라이딩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이 체험자끼리 출동하게 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부(32)가 오작동 되거나 훼손되어 감지센서의 기능이 불가되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용 감지센서부가 추가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백업용 감지센서부는 상기 감지센서부(32)의 앞뒤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진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구부(40)를 이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안전 장구부(40)는 체험자의 신체 일부가 슬라이딩부(20)의 내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마찰되어 화상사고가 발생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섬유소재로 직조되어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안전 장구부(40)를 이용하게되는 체험자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내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지지 않아 안전하게 슬라이딩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체험자는 충돌되어지거나 화상사고가 발생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출발지점과 개폐지점에 개폐식 밀폐형 문을 추가로 형성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시설물 내부에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채광 윈도우를 통하여 내부습도 조절이 용이하며, 유지보수 윈도우가 추가로 형성되어짐으로써 슬라이딩 시설물의 해체가 없어도 상시 안전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슬라이딩 출발부 20 : 슬라이딩부
30 : 안전제어 장치부 40 : 안전 장구부

Claims (11)

  1.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되어지는 슬라이딩 시설물의 내부 환경을 청결상태로 유지하며 체험자간의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슬라이딩 시설물과 체험자의 신체가 마찰로 인해 화상사고가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은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 시설물이 체험되어지기 위한 슬라이딩 출발부(10);와,
    일측단부는 높은 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에 연결되어지며 타측단부는 낮은 지점에 자유단부로 형성되어지며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빗면으로 형성되어지는 원통형 형상의 슬라이딩부(20);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일측단부부터 타측단부까지 연속되어 형성되어지며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며 출발신호가 제어되어지기 위한 안전제어 장치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는 복수층으로 형성되어지며, 체험자가 상층으로 이동되어지기 위해 각 층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지는 계단부와, 체험자가 상기 슬라이딩 출발부(10)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2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며, 체험자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어지는 미끄럼부(21)와,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내부가 밀폐되어지는 시건장치부(22)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원통형 형상의 굴곡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는 유지보수 윈도우부(23)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원통형 형상의 굴곡면과 동일하게 형성되어지는 채광용 윈도우부(24)를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윈도우부(23)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지며 개폐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몸체 상부에 형성되어지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등간격 배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광용 윈도우부(24)는 개폐되어지며 비상시에는 체험자가 슬라이딩 시설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탈출가능하도록 비상구 기능으로 수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제어 장치부(30)는 대기 및 출발신호가 점멸되어 표시되어지는 출발표시부(31)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형성되어 체험자의 움짐임이 감지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출발지점 및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감지센서부(32)가 상호연결되어지는 통신관부(33)를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8. 제 7 항에 있어서,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감지센서부(32)에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면 출발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출발표시부(31)에 출발표시가 점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9. 제 7 항에 있어서,
    도착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상기 감지센서부(32)에 체험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어지면 출발지점에 형성되어지는 시건장치부(22)가 자동으로 개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32)의 오작동 및 훼손됨에 따른 작동불능상태가 방지되어지기 위해 앞뒤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백업용 감지센서부가 추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체험자의 신체부위가 상기 미끄럼부(21)와 직접 마찰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구부(40)가 더 포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KR1020150075710A 2015-05-29 2015-05-29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KR10170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10A KR101701144B1 (ko) 2015-05-29 2015-05-29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710A KR101701144B1 (ko) 2015-05-29 2015-05-29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868A true KR20160139868A (ko) 2016-12-07
KR101701144B1 KR101701144B1 (ko) 2017-02-01

Family

ID=5757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710A KR101701144B1 (ko) 2015-05-29 2015-05-29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00B1 (ko) * 2020-01-22 2020-09-09 김상문 원통형 슬라이드장치
KR102474262B1 (ko) * 2022-08-10 2022-12-07 주식회사 플레이마스터 IoT를 활용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489U (ko) * 1985-11-15 1987-05-29
JPH0535185U (ja) * 1991-10-15 1993-05-14 株式会社マクロテツク ツリー型すべり台
KR20080001434U (ko) * 2008-05-11 2008-05-29 임영식 통풍채광공이 있는 안전 원통미끄럼틀
US20140135137A1 (en) * 2012-11-09 2014-05-15 Edwin Michael Gyde Heaven Water ride attraction incorporating rider ski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489U (ko) * 1985-11-15 1987-05-29
JPH0535185U (ja) * 1991-10-15 1993-05-14 株式会社マクロテツク ツリー型すべり台
KR20080001434U (ko) * 2008-05-11 2008-05-29 임영식 통풍채광공이 있는 안전 원통미끄럼틀
US20140135137A1 (en) * 2012-11-09 2014-05-15 Edwin Michael Gyde Heaven Water ride attraction incorporating rider ski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00B1 (ko) * 2020-01-22 2020-09-09 김상문 원통형 슬라이드장치
KR102474262B1 (ko) * 2022-08-10 2022-12-07 주식회사 플레이마스터 IoT를 활용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144B1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44B1 (ko) 다목적 개폐구 및 안전장치가 구비된 원통형 슬라이딩 시설물
KR101676481B1 (ko)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CN104027899B (zh) 一种高层建筑物逃生系统
EP1947050B1 (en) Safety device for moving handrails
US2828757A (en) Collapsible passageway
KR20140041755A (ko) 개인들에 대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오버헤드 케이블에 의한 이송을 위한 설비
JP2014088678A (ja) 乗下船用タラップ装置
WO2017195185A1 (en) Train platform located security system
KR20130030687A (ko) 스크린도어 안전장치
CN2928134Y (zh) 建筑物应急通道
JP2010280251A (ja) ヘリコプターに取り付けられる消火救難ユニット
KR101389948B1 (ko) 이동식 탑승교
JP2016530146A (ja) 防護要素を有する高架式運搬装置
US20210347389A1 (en) Chairlift loading apparatus for the loading of persons and its associated detection method
JP2010208799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ES2830253T3 (es) Pasarela de embarque móvil
CN208413584U (zh) 一种多功能电梯用轿厢
KR101620915B1 (ko) 구명정 안전승선을 위한 탈출 터널
KR102027501B1 (ko) 탑 사이드 모듈의 감시 및 차단 시스템
CN206198492U (zh) 一种高楼安全避灾装置
KR101676482B1 (ko) 지능형 안전 장치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JP6745963B2 (ja) ホームドア
CN103143129B (zh) 密布式商场火灾楼层疏散出口的快速载送装置
CN108999082B (zh) 一种桥梁维护用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