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758A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9758A KR20160139758A KR1020150075226A KR20150075226A KR20160139758A KR 20160139758 A KR20160139758 A KR 20160139758A KR 1020150075226 A KR1020150075226 A KR 1020150075226A KR 20150075226 A KR20150075226 A KR 20150075226A KR 20160139758 A KR20160139758 A KR 20160139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um
- temporary storage
- storage unit
- drum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7D11/000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006—Winding articles into rolls
-
- G07D11/0021—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65H2301/4191—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 B65H2301/41912—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for handling articles of limited length, e.g. AO format,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tween two belt lik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 상기 일시저장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저장부는, 매체를 협지한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드럼; 상기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릴; 상기 일시저장부의 매체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매체를 반송하는 입구롤러;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전달하는 드럼기어; 및 상기 입구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입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매체가 한 장씩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에는 지폐나 수표 등의 매체를 입금 처리하거나 출금 처리하기 위한 매체 처리 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매체 처리 장치에는 매체를 수납하고 방출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일예로, 드럼에 테이프와 매체를 감아서 수납하고, 릴을 감고 드럼을 되감아 매체를 방출하며, 테이프는 릴에 감는 방식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가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매체가 저장되는 일시저장부(10)와, 상기 일시저장부(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저장부(10)는, 이중의 테이프(13, 13a)와 그 사이에 협지되는 매체(P)를 함께 감기/되감기하는 드럼(11)과, 상기 테이프(13, 13a)를 감기/되감기하는 릴(12, 12a)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11)에 일단이 감겨진 테이프(13, 13a) 중 하측에 위치한 테이프(13)는 매체출입구(19) 측에 위치하는 입구롤러(14)와, 가이드롤러(16)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12)에 감겨지고, 상측에 위치한 테이프(13a)는 상기 입구롤러(14)의 상측에 외주면이 접하도록 위치하는 입구롤러(15)와 가이드롤러(16a)를 거쳐서 그 타단이 릴(12a)에 감겨질 수 있다.
입구롤러(14, 15)와 드럼(11) 사이에는 테이프(13a)의 상면을 가압하여 적정한 텐션을 인가함과 동시에 매체(P)와 테이프(13, 13a) 간에 협지력을 부여하기 위한 압박롤러(18a)가 결합되는 상부가이드(18)가 구비될 수 있다.
매체(P)의 수납 또는 방출 시에 드럼(11)에 감겨 수납되거나 드럼(11)으로부터 되감겨 방출되는 매체(P)와 테이프(13, 13a)의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17)가 드럼(11)의 하방과 후방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17)의 상부에는 하부가이드(17)가 드럼(11) 측을 향하여 가압되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7c)가 설치되고, 하부가이드(17)의 전방측단은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에 연결되어 드럼(11)의 직경변화에 따라 회전축(14a)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가이드(17)에는 매체(P)와 테이프(13, 13a)를 드럼(11)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핀치롤러(17b)와, 드럼(11)과 하부가이드(17)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롤러(17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 있어서, 드럼(11)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테이프(13, 13a)와 매체의 매수 증감에 따라 드럼(11)의 직경이 변하게 되므로, 일시저장부(10)의 운용 시, 드럼(11)의 회전축(11a)과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은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11)의 회전축(11a)은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내에 구비된 드럼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은 매체 수납 방출 장치 외부에 구비되는 매체 처리 장치의 반송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반송로 모터의 구동력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와 적어도 하나의 벨트에 의해 상기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에 전달될 수 있다.
일시저장부(10) 내부에서 잼(jam)이 발생되거나, 매체 처리 장치에서 잼이 발생되어서 일시저장부(10) 내부의 매체 역시 방출되어야 할 경우, 사용자는 본체(20)에 장착되어 있던 일시저장부(10)를 본체(20)로부터 분리하고, 드럼의 회전축(11a)에 연결되는 노브와,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에 연결되는 노브를 각각 매체가 방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시저장부(10) 내에 잔류하는 매체를 일시저장부(10)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매체를 방출하는 것은 사용자가 드럼(11)의 회전축(11a)에 연결되는 노브와,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에 연결되는 노브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하므로, 그 동작이 번거롭고 잔류 매체 제거 작업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시저장부에서 잼이 발생하거나, 매체 처리 장치에서 잼이 발생하여 일시저장부에 체류 중인 매체를 방출(제거)하여야 할 경우, 일시저장부에 체류 중인 매체의 제거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는,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 상기 일시저장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저장부는, 매체를 협지한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드럼; 상기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릴; 상기 일시저장부의 매체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매체를 반송하는 입구롤러;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전달하는 드럼기어; 및 상기 입구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입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매체가 한 장씩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시저장부는,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사용자에 의해 회수되었는지에 관한 센싱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사용자에 의해 회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다음 매체를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선단은 상기 일시저장부 외부에 위치하고, 후단은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회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회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이고,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회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매체는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입구기어는 상기 드럼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드럼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는, 매체가 입출금되는 입출금부;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 상기 감별부를 통과한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와, 상기 일시저장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부; 매체의 반송을 위한 반송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저장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의 매체를 상기 입출금부로 반송하고,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의 매체를 한 장씩 상기 일시저장부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시저장부는, 매체를 협지한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드럼; 상기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릴; 상기 일시저장부의 매체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매체를 반송하는 입구롤러;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전달하는 드럼기어; 및 상기 입구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입구기어; 및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드럼기어를 구동하는 드럼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저장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입구기어는 상기 반송로를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상기 입구기어는 상기 드럼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시저장부에서 잼이 발생하거나, 매체 처리 장치에서 잼이 발생하여 일시저장부에 체류 중인 매체를 방출(제거)하여야 할 경우, 일시저장부에 체류 중인 매체의 제거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매체 수납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일시저장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일시저장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매체 처리 장치에서 매체가 반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 및 도 4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매체가 방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일시저장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일시저장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매체 처리 장치에서 매체가 반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 및 도 4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에서 매체가 방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체 처리 장치(1)는, 입출금부(100),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200), 감별부(200)를 통과한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 감별부(200)를 거친 매체 중 정상권으로 감별된 수표에 입금확인정보를 인자(인쇄)하는 인자부(410)와, 입금확인정보가 인자된 수표를 저장하는 수표 저장부(400), 출금시 입출금부(100)에서 미수취된 지폐가 회수되어 수납되는 분실/회수권 저장부(500), 지폐가 내부에 저장되다가 출금 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지폐를 반출하는 복수의 카세트로 이루어진 지폐 저장부(600), 감별부(200)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리젝트권 저장부(700), 지폐 저장부(600)에 지폐를 보충하거나 지폐 저장부(600)로부터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리무버블 카세트(800),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900)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 처리 장치(1)는 그 내부에 크게 상부모듈(2)과 하부모듈(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모듈(2)의 내부에는 입출금부(100), 감별부(200),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 수표 저장부(500) 및 분실/회수권 저장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모듈(3)에는 지폐 저장부(600)와 리젝트권 저장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매체 처리 장치(1)의 외부에는 리무버블 카세트(800)가 장착될 수 있는 카세트 장착부(8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표 저장부(500)가 상부모듈(2)에 구비되고, 지폐 저장부(600)는 하부모듈(3)에 구비됨에 따라서 수표의 반송 경로가 짧아질 수 있다. 아울러, 지폐의 반송로와 수표의 반송로가 분리되어 지폐와 수표 간의 간섭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표와 지폐의 신속하고도 원활한 처리가 가능하다.
입출금부(100)는, 입금시 매체가 투입되어 적재되는 입금공간(110)과, 상기 입금공간(110)과는 플레이트(13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출금시 매체가 적재되는 출금공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입금공간(110)은, 입금시 사용자가 매체를 투입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입금공간(110)의 하부에는 입금공간(110)에 적재된 매체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901) 측으로 방출하는 매체 방출 기구(1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매체 방출 기구(101)는, 매체를 낱장 분리하는 픽업롤러,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낱장 분리된 매체에 이송력을 가하는 피드롤러, 그리고 상기 피드롤러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매체의 2매 분리를 방지하는 가이드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30)는 2개 이상의 플레이트(plate)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의 입금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30)를 입금공간(110) 방향으로 이동시켜 매체를 가압하여 매체가 상기 매체 방출 기구(101)의 픽업롤러에 접촉하도록 한 후, 상기 픽업롤러와 피드롤러 및 가이드롤러에 의해 매체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901)로 반송시킬 수 있다.
출금공간(120)은, 지폐의 출금시 지폐 저장부(600)에서 방출되어 반송되어 온 매체가 적재되거나, 입금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매체가 적재되는 공간일 수 있다. 출금공간(120)의 하부에는 매체를 출금공간(120)에 적재하기 위해 매체에 이송력을 가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매체 수납 기구(102)가 구비될 수 있다.
매체 수납 기구(102)에 의해 출금공간(120)에 매체가 수납되면,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플레이트(130)를 입금공간(1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출금공간(120)에 수납된 매체를 입금공간(110)의 위치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매체를 수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감별부(200)는, 반송로(902)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수표/지폐 여부 포함)을 감별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경로를 포함하고, 그 반송경로에는 매체가 양방향으로 반송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구동기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감별부(200)는 매체의 반송방향과 관계없이 매체를 감별할 수 있다.
감별부(200)의 내부에는 길이 감지 센서, 이미지 센서 및 2매 감지부 등의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반송로(902)를 통과하는 매체의 길이를 감지하는 동시에, 매체의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반송되는 매체가 수표인지 또는 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하고, 반송되는 매체가 수표인 경우에는 해당 수표의 고유번호 및 금액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고, 지폐인 경우에는 지폐의 진위 여부, 권종 및 손상 여부를 감별한 후,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별부(200)로부터 전송된 수표의 고유번호 및 금액정보 등의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수표의 정상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매체 처리 장치(1) 내에서의 매체의 반송 및 처리에 관한 모든 사항을 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반송로(9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반송로(900) 상에 제공되는 게이트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고,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 처리 장치(1)의 구성의 작동을 기설정된 바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처리 장치(1)의 구성에는 리무버블 카세트(800) 역시 포함될 수 있는바, 제어부는 리무버블 카세트(800)와 관련된 지폐의 반송 및 처리 역시 관장할 수 있다. 또한, 매체 처리 장치(1)의 외부, 그리고 매체 처리 장치(1) 내부의 각 구성에는 각종 명령을 내리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내린 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감별부(200)에서 매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반송로(902)를 따라 반송되는 매체가 반송로(902)의 반송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즉, 반송되는 매체가 반송로(902)의 반송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skew)에서 반송되는 경우에는 매체의 검지 위치가 설정된 위치와 달라지게 되므로, 매체의 길이와 이미지 및 2매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감별부(200)를 통과한 매체의 반송시 매체의 잼(jam)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체가 반송로(902)의 폭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반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감별부(200)에는 반송되는 매체의 각도를 설정된 각도범위(예컨대, 반송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15°범위) 내로 보정하는 스큐 보정부(210)와, 반송로(902)의 폭 방향 중간부에 매체가 위치하도록 매체의 편심된 위치를 정위치로 보정하는 얼라인 보정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큐 보정부(210)는, 매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반송롤러(미도시)의 회전속도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일측으로 기울어진 매체를 반송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얼라인 보정부(220)는, 반송되는 매체의 양단에 접촉되어 매체의 폭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가 정위치로 보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기구물(미도시)을 포함하거나, 매체의 양단을 지지하는 반송롤러(미도시)의 선단부가 반송 방향을 기준으로 반송로의 폭 방향 중간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여 매체의 반송 과정에서 편심된 위치가 정위치로 보정할 수 있다.
감별부(200), 스큐 보정부(210) 및 얼라인 보정부(220)는, 매체의 입금경로를 기준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큐 보정부(210), 감별부(200) 및 얼라인 보정부(220)의 순서로 배치되거나, 또는 스큐 보정부(210), 얼라인 보정부(220) 및 감별부(200)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감별부(200)에서 수행되는 감지동작은 반송로(902)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된 감지수단(미도시)을 통하여 매체의 선단과 후단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입금 매체가 감별부(200)로 유입되기 전에 스큐 보정부(210)를 거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매체의 편심 여부는 감별부(200)에서의 감지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얼라인 보정부(220)가 감별부(200)의 전방에 위치할 것을 요하지 않으며 감별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더라도 무방하다.
제어부는 감별부(200)에서 검출된 정보를 토대로 매체를 정상권과 리젝트권으로 구분하고, 매체의 권종을 판별하여 매체가 기설정된 경로를 따르도록 제어하며, 이와 더불어 권종별 사용 빈도를 파악할 수 있다.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는, 일시저장부(310)와 본체(3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저장부(310)는, 입금시 감별부(200)에서 정상권으로 감별된 매체를 일시 저장하거나, 출금시 감별부(200)에서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매체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일시저장부(310)는 미수취되어 회수되는 매체나, 지폐 저장부(600)로부터 매체의 회수시에 리젝트권이 있는 경우, 이들 매체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시저장부(310)는 본체(39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체(390)는 일시저장부(310)가 매체 처리 장치(1)에 설치되도록 하는 일종의 지지 프레임으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본체(390)에는 각종 반송 기구들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로(903)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390)를 통과할 수 있고, 또 반송로(903)는 본체(390)를 지나 일시저장부(310)로 연결될 수 있다.
일시저장부(310)는 드럼 방식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수표와 지폐를 함께 저장할 수 있게 되어 매체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해지고, 수표와 지폐의 일시저장부를 각각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일시저장부(310)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취급하는 매체의 권종이 상이하여 그 크기가 다양한 경우에도 모든 권종의 매체를 함께 일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다권종의 매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하기로 한다.
인자부(410)는, 입금수납시 일시저장부(300)로부터 방출되어 수표 저장부(400)를 향하여 반송되는 수표의 표면에 날짜 및 고유번호와 같은 입금 확인정보를 인자(인쇄)하기 위한 구성으로,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미도시)과, 상기 노즐과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수표를 승하강시키는 플래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수표 저장부(400)는, 일시저장부(310)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수표가 사용자의 입금요청에 의해 수납되는 공간이며, 상부모듈(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금요청시, 일시저장부(310)에 저장되어 있던 수표는 상기 인자부(410)에서 입금확인정보가 인자된 후에 수표 저장부(400)로 반송되어 수납될 수 있다.
분실/회수권 저장부(500)는, 매체의 입금취소시 일시저장부(310)로부터 방출되어 입출금부(100)의 출금공간(120)에 적재된 매체, 또는 매체의 출금시 입출금부(100)의 출금공간(120)에 적재된 매체를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 미수취권을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분실/회수권 저장부(500)는, 상부모듈(2)의 내부 일측에서 수표 저장부(4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수표 저장부(400)와 분실/회수권 저장부(500)는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지폐 저장부(600)는, 그 내부에 입금된 지폐를 저장할 수 있고, 출금 신호에 의해 저장된 지폐를 낱장 분리하여 반송로(906)로 공급할 수 있다. 지폐 저장부(60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권종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제 1 내지 7 카세트(610,620,630,640,650,660,6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제 4 내지 7 카세트(640,650,660,670)는 제 1 내지 3 카세트(610,620,630)보다 수직 방향으로의 길이가 작을 수 있고, 제 4 카세트(640)는 제 6 카세트(660) 위에, 제 5 카세트(650)는 제 7 카세트(67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이한 권종의 지폐를 취급하는 경우, 제 1 내지 7 카세트(610,620,630,640,650,660,670)는 각각 취급하는 권종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 빈도가 높은 권종의 경우 비교적 크기가 큰 제 1 내지 3 카세트(610,620,630)에 수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4 및 5 카세트(640,650)에 수납되는 매체의 사용 빈도는 제 6 및 7 카세트(660,670)에 수납되는 매체의 사용 빈도보다 높을 수 있다. 사용 빈도가 높은 매체의 반송 경로를 짧게 해주는 것이 신속한 매체 처리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복수의 카세트 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는 다른 카세트가 모두 차있을 경우 상기 다른 카세트에 수납되어야 할 지폐를 수납하는 오버플로우(overflow) 카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세트(610)가 오버플로우 카세트인 경우, 제 2 카세트(620)가 특정 지폐로 가득 차 있어서 상기 특정 지폐가 제 2 카세트(620)에 수납되지 못하면 상기 특정 지폐는 제 1 카세트(610)에 수납될 수 있다. 제 3 내지 7 카세트(630,640,650,660,670)에 수납되어야 할 지폐 역시 제 3 내지 7 카세트(630,640,650,660,670)에 남는 공간이 없으면 제 1 카세트(610)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카세트(610)에는 다양한 권종의 지폐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지폐 저장부(6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카세트를 지폐의 권종 및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하고, 작은 크기의 카세트는 상하 적층 구조로 배치함으로써 지폐의 수납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리젝트권 저장부(700)는, 리젝트권으로 감별된 지폐가 회수되어 저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젝트권 저장부(700)는 하부모듈(3)의 후방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리무버블 카세트(800)는, 지폐 저장부(600)에 지폐를 보충하거나 지폐 저장부(600)에 저장된 지폐를 외부로 반출(회수)하기 위한 카세트일 수 있다. 리무버블 카세트(800)는 매체 처리 장치(1)의 외측에 마련된 카세트 장착부(810)에 필요에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리무버블 카세트(800)가 카세트 장착부(810)에 장착되었을 때, 리무버블 카세트(800)는 매체 처리 장치(1) 내부의 반송로(906)와 연결된 반송로(909)와 연결될 수 있다.
리무버블 카세트(800)가 매체 처리 장치(1)의 외측에 장착되어 매체 처리 장치(1)의 내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충 및/또는 회수 작업 시 매체 처리 장치(1)를 개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매체 처리 장치(1)의 잠금장치를 조작하지 않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카세트 장착부(810)는 매체 처리 장치(1)의 후면에 마련되고, 리무버블 카세트(800)는 매체 처리 장치(1)의 후방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리무버블 카세트(800)는 장착되었을 때 리젝트권 저장부(700)와 인접할 수 있다.
반송로(900)는, 입출금부(100)의 입금공간(110)과 감별부(200)의 입구를 연결하는 제 1 반송로(901), 상기 감별부(200)의 출구와 입출금부(100)의 출금공간(120)을 연결하는 제 2 반송로(902), 제 2 반송로(902)에서 분기되어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에 연결되는 제 3 반송로(903), 제 2 반송로(902)에서 분기되어 수표 저장부(400)에 연결되며 인자부(410)가 도중에 설치된 제 4 반송로(904), 제 2 반송로(902)에서 분기되어 분실/회수권 저장부(500)에 연결되는 제 5 반송로(905), 감별부(200)의 입구측에 위치하는 제 1 반송로(901)에서 분기되어 상부모듈(2)과 하부모듈(3)에 걸쳐서 구비되며 복수의 카세트(610,620,630,640,650,660,670) 및 리젝트권 저장부(700)와 연결되는 제 6 반송로(906), 감별부(200)의 출구측에 위치하는 제 2 반송로(902)에서 분기되어 상부모듈(2)과 하부모듈(3)에 걸쳐서 구비되며 제 6 반송로(906)에 연결되는 제 7 반송로(907), 제 6 반송로(906)에서 분기되어 제 4 내지 7 카세트(640,650,660,670)에 연결되는 제 8 반송로(908), 제 6 반송로(906)로부터 매체 처리 장치(1)의 외부로 연장되는 제 9 반송로(90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7 반송로(907)의 일단은 감별부(200)의 출구측에 위치하는 제 2 반송로(902)에 연결되고, 제 7 반송로(907)의 타단은 제 6 반송로(906)에 연결되어, 제 2 반송로(902)와 제 7 반송로(907) 및 제 6 반송로(906)를 따라서 지폐의 양방향 반송이 가능하다.
리무버블 카세트(800)가 카세트 장착부(810)에 장착되었을 때, 리무버블 카세트(800)는 제 9 반송로(909)에 연결될 수 있다.
감별부(200)의 입구측에는 상부모듈(2)과 하부모듈(3)에 걸쳐서 구비되는 제 6 반송로(906)가 설치되고, 감별부(200)의 출구측에는 상부모듈(2)과 하부모듈(3)에 걸쳐서 구비되는 제 7 반송로(907)가 설치됨으로써, 상부모듈(2)과 하부모듈(3) 사이에서 매체가 반송되는 경로가 단축될 수 있다.
반송로(900) 상에서의 각 분기점에는 반송경로를 절환하는 게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에서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의 경우, 기본적으로 도 1에서 설명된 종래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는, 매체를 협지한 테이프(13, 13a)를 감기/되감기하는 드럼(11)과, 테이프(13, 13a)를 감기/되감기하는 릴(12, 12a)을 구비한 일시저장부(310)와, 일시저장부(3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된 경우에는, 드럼(11)의 회전축(11a)에 결합되어 드럼(11)에 동력을 전달하는 드럼기어(330)와, 입구롤러(14)의 회전축(14a)에 결합되어 입구롤러(14)에 동력을 전달하는 입구기어(340) 간의 동력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고,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 간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수단(35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수단(350)에 의해,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되어 일시저장부(310)가 구동 상태인 경우에는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하여 매체의 수납과 방출에 따른 드럼(11)의 직경 변화와 관계 없이 입구기어(340)가 설정된 회전속도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가 개별적으로 구동될 때, 드럼기어(330)는 케이스(320)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입구기어(340)는 매체 처리 장치(1)의 반송로(1)의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기어(340)는 제 3 반송로(903)를 구동하는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기어 및 적어도 하나의 벨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제 3 반송로(903)를 구동하는 모터가 구동될 때 입구기어(340)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함께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로부터 분리되면(또는 본체(390)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상방 회전하면), 상기 입구기어(340)는 상기 모터와의 연결이 물리적으로 해제되어 상기 모터로부터는 더 이상 동력을 전달 받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일시저장부(310)에서 매체의 잼이 발생하거나, 매체 처리 장치(1)의 반송로(900)에서 매체의 잼이 발생하여, 일시저장부(310)에 체류 중인 매체를 방출(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일시저장부(310)를 본체(390)로부터 분리하면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 간에 동력이 전달되어 드럼(11)과 드럼기어(330)의 회전축(11a)의 일단에 구비된 노브(331)를 지폐의 방출방향, 즉 드럼(11)에 감겨있던 테이프(13, 13a)와 매체가 드럼(11)으로부터 풀어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드럼기어(330)와, 이에 클러치수단(350)에 의해 연결된 입구기어(340) 및 입구롤러(14) 또한 매체의 방출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일시저장부(310) 내에 잔류 중인 매체가 일시저장부(310)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클러치수단(350)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클러치수단(350)은, 드럼기어(330)와 상시 치합되는 제 1 기어(351)와, 제 1 기어(351)의 회전축(351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스윙암(352)과, 제 1 기어(351)와 상시 치합된 상태로 스윙암(352)에 결합되어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된 경우에는 입구기어(340)와 분리되고,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본체(39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입구롤러(340)와 치합되는 제 2 기어(35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어(351)의 회전축(351a)은 스윙암(352)을 관통하여 일시저장부(310)의 케이스(320)에 결합될 수 있고, 제 2 기어(359)의 회전축(359a)은 스윙암(352)에 결합될 수 있다.
스윙암(352)의 일측 하단부에는 돌출편(353)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편(353)의 일단과 케이스(320)에는 탄성부재(358)의 양단이 지지되어, 상기 스윙암(352)은 제 1 기어(351)의 회전축(351a)을 중심으로 입구기어(340)를 향하는 방향(도면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스윙암(352)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제 1 기어(351)의 회전축(351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홀(354, 356)이 형성되고, 케이스(320)에는 가이드홀(354, 356)을 관통하는 가이드축(355, 357)이 결합되어, 스윙암(352)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체(390)에는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되는 경우에, 스윙암(352)이 회전축(351a)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도면 기준 시계 방향)되어 제 2 기어(359)가 입구롤러(340)와 이격되어 분리되도록 돌출편(353)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이드부(395)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395)에는 돌출편(353)의 하측에 위치하며 수평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돌출편(353)이 접촉되어 미끄럼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면(39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부(395)의 가이드면(396) 상에 스윙암(352)의 돌출편(353)이 접촉하게 되고, 돌출편(353)은 탄성부재(358)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상방향 가압되므로,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윙암(352)이 회전축(35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기어(359)와 입구기어(340)가 서로 이격되어 치합 상태가 해제되므로,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 간의 동력 전달은 차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스윙암(352)의 돌출편(353)을 가압하고 있던 가이드부(395)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윙암(352)은 탄성부재(358)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제 2 기어(359)와 입구기어(340)가 서로 치합되므로,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 간에 동력 전달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로부터 분리되어 제 2 기어(359)가 입구기어(340)와 치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 1 기어(351)의 회전중심과 제 2 기어(359)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L1)과, 제 2 기어(359)의 회전중심과 입구기어(340)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L2) 간의 사이각은 120도 내지 130도 범위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드럼기어(330)가 매체의 방출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즉 도면에서 드럼기어(3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 1 기어(351)는 반시계방향, 제 2 기어(359)는 시계방향, 입구기어(3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경우 제 2 기어(359)와 입구기어(340)는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럼기어(330)가 매체의 수납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즉 도면에서 드럼기어(3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제 1 기어(351)는 시계방향, 제 2 기어(359)는 반시계방향, 입구기어(3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경우 제 2 기어(359)와 입구기어(340) 간에 작용하는 반발력에 의해 제 2 기어(359)의 기어치와 입구기어(340)의 기어치 간에 튕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매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드럼기어(330)에 연결된 노브(331)를 회전시킬 때, 기어 간에 튕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회전방향이 매체가 수납되는 방향임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노브(331)의 회전방향이 매체의 방출방향이 되도록 반대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매체 처리 장치(1)에서 매체가 반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경우,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에서 일시저장부(310)는 본체(390)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시저장부(310)에 잼이 발생되어 일시저장부(310)에 잔류하는 매체를 방출해야 하거나, 반송로(900)에서 잼이 발생되어 일시저장부(310)에 잔류하는 매체를 방출해야 하는 경우, 상기 잔류 매체는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입출금부(100)의 출금공간(120)으로 방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일시저장부(310)에 잔류 중인 매체의 제거를 명령하면, 제어부는 상기 명령을 받아 들여 드럼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드럼기어(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반송로(900), 예를 들어 제 3 반송로(903)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력은 기어, 벨트 등에 의해 입구기어(340)로 전달될 수 있고, 이로써 입구기어(340) 및 입구롤러(14)는 회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드럼기어(340) 및 입구기어(340)의 회전에 의해 드럼(11) 및 입구롤러(14)가 회전할 수 있고, 드럼(11)에 감겨 있는 매체는 매체 출입구(19)를 통해 일시저장부(310)로부터 방출될 수 있고, 이어서 제 3 반송로(903)를 통해 입출금부(100)의 출금공간(120)으로 방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3 및 도 4의 매체 수납 방출 장치(300)에서 매체가 방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경우,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것으로 예시한다.
일시저장부(310)가 본체(390)에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시저장부(310)에 잼이 발생되어 일시저장부(310)에 잔류하는 매체를 방출해야 하거나, 반송로(900)에서 잼이 발생되어 일시저장부(310)에 잔류하는 매체를 방출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잔류 매체는 한 장씩 매체 출입구(19)를 통해 방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일시저장부(310)에 잔류 중인 매체의 제거를 명령하면, 제어부는 상기 명령을 받아 들여 드럼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드럼기어(3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클러치수단(350)에 의해 드럼기어(330)와 입구기어(340)는 동력 전달 상태에 있으므로, 드럼기어(330)가 회전함에 따라 입구기어(340)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드럼기어(340) 및 입구기어(340)의 회전에 의해 드럼(11) 및 입구롤러(14)가 회전할 수 있고, 드럼(11)에 감겨 있는 매체(P)는 매체 출입구(19)를 통해 일시저장부(310)로부터 방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방출된 매체(P1)를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드럼기어(330) 및 입구기어(340)를 회전시켜 매체(P1)가 방출되도록 하되, 매체(P1)의 선단은 일시저장부(3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매체(P1)의 후단은 일시저장부(3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매체(P1)의 후단은 일시저장부(310)의 내부에서도 입구롤러(14, 15)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즉, 매체(P1)는 여전히 입구롤러(14, 15)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매체(P1)를 뽑아서 회수할 수 있다. 센서(50, 51)는 매체(P1)가 회수되었는지에 관한 센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50, 51)는 발광부(50) 및 수광부(51)를 포함하는 광센서일 수 있고, 매체(P1)가 정지되어 있을 때 수광부(51)는 매체(P1)의 후단 때문에 발광부(50)가 방출하는 빛을 수광하지 못할 수 있다. 매체(P1)가 사용자에 의해 회수되면 수광부(51)는 발광부(50)가 방출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50, 51)에서 검출되는 상기와 같은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매체(P1)가 회수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회수된 경우 드럼기어(330)를 회전시켜 다음 매체(P)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매체(P) 역시 그 선단은 일시저장부(310) 외부에 위치하고, 후단은 일시저장부(3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수광부(51)는 발광부(50)가 발하는 빛을 수광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제어부가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드럼기어(330)의 노브(331)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드럼기어(330)를 회전시킴에 의해 매체(P)가 일시저장부(310)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상부모듈 2 : 하부모듈
100 : 입출금부 110 : 입금공간
120 : 출금공간 130 : 플레이트
200 : 감별부 210 : 스큐 보정부
220 : 얼라인 보정부 300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310: 일시저장부 390: 본체
400 : 수표 저장부 410 : 인자부
500 : 분실/회수권 저장부 600 : 지폐 저장부
700 : 리젝트권 저장부 800 : 리무버블 카세트
810: 카세트 장착부 900 : 반송로
100 : 입출금부 110 : 입금공간
120 : 출금공간 130 : 플레이트
200 : 감별부 210 : 스큐 보정부
220 : 얼라인 보정부 300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310: 일시저장부 390: 본체
400 : 수표 저장부 410 : 인자부
500 : 분실/회수권 저장부 600 : 지폐 저장부
700 : 리젝트권 저장부 800 : 리무버블 카세트
810: 카세트 장착부 900 : 반송로
Claims (10)
-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
상기 일시저장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저장부는,
매체를 협지한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드럼;
상기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릴;
상기 일시저장부의 매체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매체를 반송하는 입구롤러;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전달하는 드럼기어; 및
상기 입구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입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매체가 한 장씩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되도록 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저장부는,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사용자에 의해 회수되었는지에 관한 센싱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사용자에 의해 회수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다음 매체를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선단은 상기 일시저장부 외부에 위치하고, 후단은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회수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회수되었다고 판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광센서이고,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가 회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은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된 매체의 후단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지 않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 감겨 있는 매체는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매체 출입구로 반송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입구기어는 상기 드럼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드럼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매체가 입출금되는 입출금부;
매체의 이상 유무 및 권종을 감별하는 감별부;
상기 감별부를 통과한 매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저장부와, 상기 일시저장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매체가 저장되는 매체 저장부;
매체의 반송을 위한 반송로;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시저장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의 매체를 상기 입출금부로 반송하고,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회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의 매체를 한 장씩 상기 일시저장부 외부로 방출하는 매체 처리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저장부는,
매체를 협지한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드럼;
상기 테이프를 감기/되감기하는 릴;
상기 일시저장부의 매체 출입구를 통해 출입하는 매체를 반송하는 입구롤러;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에 동력을 전달하는 드럼기어; 및
상기 입구롤러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입구기어; 및
상기 일시저장부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드럼기어를 구동하는 드럼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일시저장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때, 상기 입구기어는 상기 반송로를 구동하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일시저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 상기 입구기어는 상기 드럼기어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매체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5226A KR102323433B1 (ko) | 2015-05-28 | 2015-05-28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5226A KR102323433B1 (ko) | 2015-05-28 | 2015-05-28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9758A true KR20160139758A (ko) | 2016-12-07 |
KR102323433B1 KR102323433B1 (ko) | 2021-11-09 |
Family
ID=5757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5226A KR102323433B1 (ko) | 2015-05-28 | 2015-05-28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343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06655A1 (ko) * | 2021-12-10 | 2023-06-15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05068A (ja) * | 2001-09-28 | 2005-02-17 | キャッシュコード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紙幣アキュムレータ |
KR20100080189A (ko) | 2008-12-31 | 2010-07-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
KR20110115841A (ko) * | 2010-04-16 | 2011-10-2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JP2013199365A (ja) * | 2012-03-26 | 2013-10-03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媒体収納繰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KR20140084752A (ko) * | 2012-12-27 | 2014-07-0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 자동화기기 |
-
2015
- 2015-05-28 KR KR1020150075226A patent/KR1023234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05068A (ja) * | 2001-09-28 | 2005-02-17 | キャッシュコード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紙幣アキュムレータ |
KR20100080189A (ko) | 2008-12-31 | 2010-07-08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일시저장부에서 분리되는 지폐의 정렬 방법 |
KR20110115841A (ko) * | 2010-04-16 | 2011-10-24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
JP2013199365A (ja) * | 2012-03-26 | 2013-10-03 |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 媒体収納繰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KR20140084752A (ko) * | 2012-12-27 | 2014-07-0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금융 자동화기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06655A1 (ko) * | 2021-12-10 | 2023-06-15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금융자동화기기의 에스크로 유닛 제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3433B1 (ko) | 2021-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4412B1 (ko) | 매체 처리 장치 | |
JPH11316870A (ja) | 紙葉収納払出装置 | |
JP5633215B2 (ja) | 紙幣処理装置 | |
WO2005088566A1 (ja) | 紙葉類取扱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紙葉類搬送装置 | |
JPH09237371A (ja) | 紙幣処理機 | |
US11535477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JPH09235046A (ja) | 紙幣処理機 | |
JP2016003095A (ja) | 紙葉類収納繰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 |
WO2016076048A1 (ja) |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KR101665609B1 (ko) |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 |
KR20160139764A (ko) | 매체 처리 장치 | |
KR101527651B1 (ko) | 매체 처리 장치 | |
WO2016136320A1 (ja) | 媒体束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 |
KR101456367B1 (ko) | 매체 처리 장치 | |
KR102323433B1 (ko) |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 |
US20100007080A1 (en) | Sheet handling device and sheet handling method | |
KR20200037685A (ko) | 지폐 처리 장치 | |
KR101527653B1 (ko) | 매체 처리 장치 | |
JP2020009218A (ja) | 紙葉類帯封機構及び紙葉類処理装置 | |
US10189670B2 (en) |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and paper sheet handling method | |
KR20160011763A (ko) | 매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 |
JP6497193B2 (ja) |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US11900752B2 (en) |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transaction device | |
JP2018014002A (ja) |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 |
JP2016133966A (ja) | 媒体引渡装置及びシャッタ開閉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