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740A -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740A
KR20160139740A KR1020150075157A KR20150075157A KR20160139740A KR 20160139740 A KR20160139740 A KR 20160139740A KR 1020150075157 A KR1020150075157 A KR 1020150075157A KR 20150075157 A KR20150075157 A KR 20150075157A KR 20160139740 A KR20160139740 A KR 20160139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eelchair
switch
hea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훈
구본무
Original Assignee
안성훈
구본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훈, 구본무 filed Critical 안성훈
Priority to KR102015007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740A/ko
Publication of KR2016013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5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tilting the whole seat backw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운동감지유닛, 상기 운동감지유닛에서 감지한 머리의 기울어짐과 희전에 대한 각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운동감지유닛과 상기 송신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운동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입력받아 각도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된 각도 데이터를 상기 송신유닛으로 전달하는 조종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조종부와, 몸체, 상기 송신유닛으로부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단수 또는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종부에서 송신된 각도 데이터와 조합되는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유닛,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상기 스위치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휠체어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Motorized wheelchair}
본 발명은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용이하게 조종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와 관련된다.
휠체어는 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자립 보행이 불가능한 경우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수동 휠체어를 사용하여 왔다.
현재 기술과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몸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비율이 매년 높아져 왔고 계속 증가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장애인과 노인 중 보행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서 팔 기능도 퇴화되어 수동 휠체어를 사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이나 기술의 발달 및 편의성 증진을 위해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왔다.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에 있어서 전동 휠체어를 용이하게 조종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기술로서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휠체어를 조종하거나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휠체어를 조종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동 휠체어의 조작에 있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사용자들이 있고,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도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직관적으로 조종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8965호 (2011.11.02)
본 발명은 팔다리가 모두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자유자재로 편하게 조종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시한다.
또한 간이 침대와 같이 탑승자를 누일 수 있으며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할 때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탑승자와 간병인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휠제어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전동 휠체어로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운동감지유닛, 상기 운동감지유닛에서 감지한 머리의 기울어짐과 희전에 대한 각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운동감지유닛과 상기 송신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운동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입력받아 각도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된 각도 데이터를 상기 송신유닛으로 전달하는 조종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조종부와, 몸체, 상기 송신유닛으로부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단수 또는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종부에서 송신된 각도 데이터와 조합되는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유닛,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상기 스위치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휠체어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종부는 챙이 있는 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감지유닛, 상기 송신유닛, 상기 전원유닛 및 상기 조종제어유닛은 상기 챙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유닛은 버튼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종부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상기 버튼스위치의 누름 여부에 따른 조합된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휠체어제어유닛에서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제어유닛은,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앞으로 숙여지면 상기 구동유닛에 전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상기 구동유닛에 후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좌측으로 돌아가면 상기 구동유닛에 좌회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우측으로 돌아가면 상기 구동유닛에 우회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떼면 상기 구동유닛에 신호가 차단되고 머리에 따른 움직임이 없이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는,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한 좌판, 상기 좌판의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의 다른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하는 발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팔다리가 모두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이 자유자재로 편하게 조종할 수 있다.
또한 간이 침대와 같이 사용자를 누일 수 있으며 휠체어에서 침대로 이동할 때 침대와 휠체어의 높이와 위치를 맞출 수 있어 탑승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탑승자와 간병인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조종부의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전동 휠체어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동 휠체어를 조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100)는 조종부(1)와 휠체어부(2)를 포함한다.
조종부(1)는 운동감지유닛(11)과 송신유닛(12)과 전원유닛(13) 및 조종제어유닛(14)을 포함한다.
운동감지유닛(11)에서는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감지하고, 운동감지유닛(11)으로부터 감지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조종제어유닛(14)에서 입력받아 각도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된 각도 데이터를 송신유닛(12)으로 전달하며 이 각도 데이터를 송신유닛(12)에서 휠체어부(2)로 전송하게 된다. 전원유닛(13)은 운동감지유닛(11)과 조종제어유닛(14) 및 송신유닛(12)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 유닛이 원활하게 작동하게 한다.
휠체어부(2)는 몸체(21)와, 수신유닛(22)과, 스위치유닛(23)과, 구동유닛(24) 및 휠체어제어유닛(25)을 포함한다.
몸체(21)는 휠체어부(2)를 구성하는 각종 유닛들이 장착되고 바퀴가 부착되어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수신유닛(22)에서는 송신유닛(12)으로부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위치유닛(23)에서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데 이 스위치작동 데이터가 조종부(1)에서 송신된 각도 데이터와 조합되어 휠체어의 작동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휠체어제어유닛(25)에서는 수신유닛(22)으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스위치유닛(23)으로부터 입력된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조합하여 구동유닛(24)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유닛(24)이 휠체어를 구동시켜 휠체어가 움직이게 된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운동감지유닛(11)은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감지하는 부분으로서,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 같은 운동감지 센서를 구비한다.
자이로센서는 물체가 회전하는 회전력과 그 압력을 이용하여 이를 전자적 신호로 보내주게 되고 가속도센서는 물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여 이를 전자적 신호로 보내주게 되므로 머리의 기울어짐이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송신유닛(12)은 운동감지유닛(11)에서 감지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에 대한 각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분으로서 RF 송신기나 블루투스 송신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신유닛(12)은 머리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로부터 조종제어유닛(14)이 연산한 각도 데이터를 휠체어의 수신유닛(22)으로 전송하여 휠체어제어유닛(25)이 휠체어를 구동 및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전원유닛(13)은 운동감지유닛(11)과 송신유닛(12)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배터리는 가벼우면서도 비교적 용량이 큰 리튬 폴리머 계열의 배터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 외에도 태양열을 이용한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종제어유닛(14)은 운동감지유닛(11)으로부터 감지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입력받아 각도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된 각도 데이터를 송신유닛(12)으로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메인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각도 데이터는 앞 뒤의 기울어짐 각도와 좌 우의 회전 각도와 각도의 변화량에 대한 데이터를 말한다.
한편 조종부(1)는 챙(15)이 있는 모자(1')로 이루어지고, 운동감지유닛(11), 송신유닛(12), 전원유닛(13) 및 조종제어유닛(14)은 챙(15)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조종부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조종부(1)는 야구모자의 형태를 가진다. 모자(1')의 챙(15) 내부에는 운동감지유닛을 구성하는 자이로센서(111), 가속도센서(112)가 배치된다. 또한 송신회로유닛을 구성하는 RF 송신기(121)와 조종제어유닛을 구성하는 메인프로세서(141)가 배치된다.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RF 송신기와 메인프로세서는 집적회로 형태의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집적회로 형태의 칩은 작고 가벼우며 전기 소모량이 적으므로 챙(15) 내부에 배치하기 적당하다.
또한 전원유닛을 리튬 폴리머 전지(131)로 구성하여 챙(15)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리튬 폴리머 전지는 칩에 비해서는 무거우므로 균형을 생각하여 2개를 양쪽에 배치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챙(15) 가운데에 자이로센서(111), 가속도센서(112), 메인프로세서(141), RF 송신기(121)를 배치하고 그 양쪽에 리튬 폴리머 전지(131)를 각각 배치하는 것이 좋다.
한편 모자(1')의 앞쪽에 마크(16)를 부착하고 이 마크(16) 내부에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센서들이 머리에 더 밀착되어 배치되므로 흔들림이 적어 감지 오류를 더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종부(1)를 야구모자 형태로 가볍고 외출 복장에 어울리도록 구성하되 챙(15) 부분에 운동감지유닛(11), 송신유닛(12), 전원유닛(13) 및 조종제어유닛(14) 등을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조종부는 오작동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위치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걸림부재(17)를 모자(1')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걸림부재(17)를 귀에 걸어 모자(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걸림부재(17)는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의 부드러운 재질을 사용하고 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걸림부재(17)는 조종부(1)를 챙(15)이 있는 모자(1') 형태로 구성할 경우 특히 유용하다.
휠체어의 몸체(21)는 휠체어의 구조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이하에 설명하는 수신유닛(22), 스위치유닛(23), 구동유닛(24) 및 휠체어제어유닛(25)이 장착되며, 베이스판(211), 좌판(212), 등받이(213) 및 발걸이(214)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판(211)에 이 베이스판(211)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한 좌판(212)이 결합된다. 베이스판(211) 내부에는 수신유닛(22), 구동유닛(24), 휠체어제어유닛(25)이 내장될 수 있다. 바퀴는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바퀴(216)와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바퀴(217)를 포함한다.
또한 좌판(212)의 일단에는 좌판(212)의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좌판(212)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되는 등받이(213)가 구비되는 한편 좌판(212)의 다른 일단에는 좌판(212)의 다른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좌판(212)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하는 발걸이(214)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휠체어의 높낮이와 등받이(213) 그리고 발걸이(214)가 조절 가능하여 가장 편한 탑승 상태를 만들어 준다. 높낮이의 조절은 유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고 등받이(213)와 발걸이(214)는 회동이 가능하므로 의자형태와 침대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수신유닛(22)은 송신유닛(12)으로부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분으로서, RF 수신기, 블루투스 수신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조종부(1)의 송신유닛(12)과 대응되는 장치로서 송신유닛(12)과 수신유닛(22)이 서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각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수신유닛(22)에서 수신한 각도 데이터는 휠체어제어유닛(25)에 전송되어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스위치유닛(23)은, 단수 또는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종부(1)에서 송신된 각도 데이터와 조합되는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한편 좌판(212)의 승하강, 등받이(213) 및 발걸이(214)의 회동을 조작한다.
스위치 중 조종스위치는 휠체어의 구동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팔걸이(215)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치유닛(23)에는 등받이(213)를 움직이기 위한 등받이스위치, 발걸이(214)를 움직이기 위한 발걸이스위치, 좌판(212)을 움직이기 위한 좌판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조종스위치는 버튼 형태의 스위치를 채용할 수 있고 조종스위치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휠체어는 움직이지 않는다. 한편 조작시 조종스위치를 떼면 휠체어가 정지하게 함으로써 급정거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종스위치의 조작 여부와 조종부(1)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에 따라 조합된 명령을 이용하여 휠체어제어유닛(25)에서 구동유닛(24)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조종부(1)에서 오류신호가 있는 등의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대하여 대응이 가능하여 조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동유닛(24)은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수신된 작동 명령에 따라 휠체어를 구동시킨다. 구동유닛(24)은 일반적으로 전동휠체어에 적용되는 구동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휠체어제어유닛(25)은, 수신유닛(22)으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스위치유닛(23)으로부터 입력된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조합하여 구동유닛(24)을 구동시키고, 휠체어의 작동을 제어한다.
휠체어제어유닛(25)은, 수신유닛(22)에서 수신된 각도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머리의 각도의 변화와 방향을 계산해 내고 이에 따라 구동유닛(24)을 구동하여 휠체어를 움직이게 한다. 휠체어제어유닛(25)은,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등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종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앞으로 숙여지면 구동유닛(24)에 전진 신호를 송신하고, 조종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구동유닛(24)에 후진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휠체어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종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좌측으로 돌아가면 구동유닛(24)에 좌회전 신호를 송신하고, 조종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우측으로 돌아가면 구동유닛(24)에 우회전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휠체어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일단 머리를 움직인 후에 원위치하더라도 머리의 다른 방향의 움직임이 없으면 구동을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머리를 앞으로 숙였다 세우더라도 머리의 다른 움직임이 없으면 전진을 계속한다.
또한 이를 위하여 휠체어제어유닛(25)은 구동을 유지시키는 구동유지모듈과 머리의 초기위치를 저장하는 초기위치저장모듈을 가질 수 있다. 초기위치저장모듈은 사용자가 조종스위치를 누를 때의 머리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저장하고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전동 휠체어(100)의 구동이 시작된 다음 머리가 다시 초기위치로 돌아오더라도 구동유지모듈에 의해 이전의 구동을 유지시키게 할 수 있다. 머리가 초기위치가 아닌 다른 움직임이 있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구동을 하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조종부에서 송신되는 각도 데이터에 임계치를 설정하여 일정한 각도 이하인 경우 명령 신호로 판단하지 않아 휠체어를 동작시키지 않고 일정한 각도 이상인 경우 명령 신호로 판단하여 휠체어를 동작시키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스위치를 떼면 구동유닛(24)에 신호가 차단되고 머리에 따른 움직임이 없이 대기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 휠체어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전동 휠체어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사용자가 스위치유닛(23)에 구비된 등받이스위치를 누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등받이(213)가 회동한다. 등받이(213)의 각도가 적절한 위치가 되면 등받이스위치를 누르는 것을 멈추어 위치를 잡는다. 등받이스위치는 2개를 배치하여 등받이(213)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스위치유닛(23)에 구비된 발걸이스위치를 누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발걸이(214)가 회동한다. 발걸이(214)의 각도가 적절한 위치가 되면 발걸이스위치를 누르는 것을 멈추어 위치를 잡는다. 발걸이스위치는 2개를 배치하여 발걸이(214)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유닛(23)에 구비된 좌판스위치를 누르면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좌판(212)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휠체어의 높낮이와 등받이(213) 그리고 발걸이(214)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므로 사용자에게 가장 편한 탑승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다. 등받이(213)와 발걸이(214)를 좌판(212)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하면 침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휠체어에서 다른 침대로 사용자를 옮기기도 용이하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전동 휠체어를 조종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휠체어를 조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앞이나 뒤로 이동을 원하는 경우에 팔걸이(215)에 위치한 조종스위치를 누른채 고개를 앞으로 약간 숙여주면 휠체어는 전진한다. 한편 조종스위치를 누른채 고개를 뒤로 약간 젖히면 후진한다. 이와 같이 휠체어의 전후진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선회하여 이동을 원하는 경우에 조종스위치를 누른 채로 고개를 좌측으로 약간 돌리면 좌회전한다. 한편 조종스위치를 누른 채로 고개를 우측으로 약간 돌리면 우회전한다. 회전시에는 방향전환바퀴(217)가 회전함으로써 회전 위치를 잡아주고 구동바퀴(216)의 구동에 의해 진행하게 된다.
또한 조종스위치를 떼면 머리에 따른 움직임은 일어나지 않고 대기 모드가 된다. 이는 급정거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급정거를 위한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전동 휠체어를 자유자재로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조종부 1' : 모자
11 : 운동감지유닛 111 : 자이로센서 112 : 가속도센서
12 : 송신유닛 121 : RF 송신기
13 : 전원유닛 131 : 리튬 폴리머 전지
14 : 조종제어유닛 141 : 메인프로세서
15 : 챙 16 : 마크 17 : 걸림부재
2 : 휠체어부
21 : 몸체
211 : 베이스판 212 : 좌판 213 : 등받이 214 : 발걸이
215 : 팔걸이 216 : 구동바퀴 217 : 방향전환바퀴
22 : 수신유닛
23 : 스위치유닛
24 : 구동유닛
25 : 휠체어제어유닛
100 : 전동 휠체어

Claims (5)

  1. 전동 휠체어로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운동감지유닛,
    상기 운동감지유닛에서 감지한 머리의 기울어짐과 희전에 대한 각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운동감지유닛과 상기 송신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운동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된 머리의 기울어짐과 회전을 입력받아 각도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된 각도 데이터를 상기 송신유닛으로 전달하는 조종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조종부와,
    몸체,
    상기 송신유닛으로부터 각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단수 또는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종부에서 송신된 각도 데이터와 조합되는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스위치유닛,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수신유닛으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상기 스위치유닛으로부터 입력된 스위치작동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휠체어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부
    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부는 챙이 있는 모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동감지유닛, 상기 송신유닛, 상기 전원유닛 및 상기 조종제어유닛은 상기 챙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유닛은 버튼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종부로부터 수신된 각도 데이터와 상기 버튼스위치의 누름 여부에 따른 조합된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휠체어제어유닛에서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제어유닛은,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앞으로 숙여지면 상기 구동유닛에 전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 상기 구동유닛에 후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좌측으로 돌아가면 상기 구동유닛에 좌회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머리가 우측으로 돌아가면 상기 구동유닛에 우회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버튼스위치를 떼면 상기 구동유닛에 신호가 차단되고 머리에 따른 움직임이 없이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휠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운동이 가능한 좌판,
    상기 좌판의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되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의 다른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좌판과 같은 평면이 되도록 회전하는 발걸이
    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20150075157A 2015-05-28 2015-05-28 전동 휠체어 KR20160139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157A KR20160139740A (ko) 2015-05-28 2015-05-28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157A KR20160139740A (ko) 2015-05-28 2015-05-28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740A true KR20160139740A (ko) 2016-12-07

Family

ID=5757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157A KR20160139740A (ko) 2015-05-28 2015-05-28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7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36350A (zh) * 2023-05-11 2023-06-09 之江实验室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轮椅上用于乘坐者头部信号采集用辅助装置
KR20230147786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구동 제어 신호 생성 장치, 이동 보조 수단 및 휠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965A (ko) 2010-04-26 2011-11-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인식을 이용한 자율주행 휠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965A (ko) 2010-04-26 2011-11-02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인식을 이용한 자율주행 휠체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7786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과학기술원 시각장애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구동 제어 신호 생성 장치, 이동 보조 수단 및 휠체어
CN116236350A (zh) * 2023-05-11 2023-06-09 之江实验室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智能轮椅上用于乘坐者头部信号采集用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71230B (zh) 助行装置
TWI539913B (zh) 智慧型電腦桌椅系統
CN109758342B (zh) 外骨骼机器人及其控制方法
JP6544691B2 (ja) 起立動作支援システム、起立動作支援システムの制御部の制御方法、起立動作支援システムの制御部用プログラム、介護ベルト、ロボット
US10512577B2 (en) Robot,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recording medium, and method
AU2017406690B2 (en) Assistance device
JPWO2016042704A1 (ja) 着座動作支援システム、着座動作支援システムの制御部の制御方法、着座動作支援システムの制御部用プログラム、介護ベルト、ロボット
EP3197414B1 (en) Drive control system for powered wheelchair
WO2021178425A1 (en) Hybrid wheelchair
JP2012235839A (ja) 立位乗車移動体の運転操作補助装置、立位乗車移動体の運転操作補助方法、及び、立位乗車移動体の運転操作補助用プログラム
KR20160139740A (ko) 전동 휠체어
CN103315861A (zh) 一种角度可调的电动轮椅
KR102572254B1 (ko) 전동식 보행 보조기
US7080710B2 (en) Wheelchair control sensor using movement of shoulders and wheelchair driv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10028051A (ko) 보행 보조장치
JP2004166843A (ja) 歩行支援器具
CN211156780U (zh) 轮椅设备
KR101492587B1 (ko) 슬라이딩 팔걸이로 구동되는 전동 휠체어
CN110801352A (zh) 智能感知轮椅的操控系统及智能轮椅的控制方法
KR20180111722A (ko) 스마트 전동 체어
CN108542625B (zh) 具有扶手控制系统的电动四轮车
CN113244062A (zh) 一种基于双陀螺仪智能轮椅的姿态控制方法和装置
CN112817440A (zh) Vr运动控制装置
JP2010131225A (ja) 移乗支援装置
KR102643693B1 (ko) 지자계 조이스틱을 이용한 환경 감응형 전동 휠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